KR20170009002A -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002A
KR20170009002A KR1020150100280A KR20150100280A KR20170009002A KR 20170009002 A KR20170009002 A KR 20170009002A KR 1020150100280 A KR1020150100280 A KR 1020150100280A KR 20150100280 A KR20150100280 A KR 20150100280A KR 20170009002 A KR20170009002 A KR 2017000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recognition means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열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주)유아이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아이투 filed Critical (주)유아이투
Priority to KR1020150100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9002A/ko
Publication of KR2017000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0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H04W4/003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화번호들이 설정된 하나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고,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화번호들마다 패턴, 비밀번호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수단을 서로 다르게 등록하고, 사용자 인식 수단을 입력하는 화면이 잠금 기능 해제 화면을 대체하기 때문에, 잠금 기능 해제와 전화번호 선택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lurality of telephone numbers and us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가입자 식별모듈만으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하는 단말기에서 앱을 통해 복수의 전화번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폰이나 PDA 등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업무용 유선 전화기의 기능을 대신하게 되면서,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고 있다.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을 가지고 사용할 경우, 단말기 구입 비용이 부담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을 휴대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전화번호가 설정된 유심(USIM)카드나 심(SIM)카드 등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보유하고,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번호가 설정된 가입자 식별 모듈을 선택하여 꽂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복수의 가입자 식별 모듈들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항상 소지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바꿀 때마다 단말기의 케이스를 열어서 가입자 식별 모듈을 교체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9-0076474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은, 사용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들이 설정된 하나의 사용자 식별 모듈(UIM)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App)을 다운받아 초기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초기 실행하면,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통해 복수의 전화번호들마다 사용자 인식 수단을 서로 다르게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이 등록된 이후,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 인식 수단을 입력하는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입력 화면에서 상기 등록된 사용자 인식 수단들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들 중에서 상기에서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에 대한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전화번호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은, 사용자가 제1,2전화번호들이 설정된 하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App)을 다운받아 초기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초기 실행하면,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통해 상기 제1,2전화번호들에 대해 각각 제1,2패턴을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잠금 기능 해제 화면을 상기 제1,2패턴을 입력하는 패턴 입력 화면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패턴 입력 화면을 표시하면, 사용자가 상기 패턴 입력 화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제1전화번호에 대한 상기 제1패턴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패턴이 기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패턴이 기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패턴에 대해 설정된 상기 제1전화번호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전환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패턴이 입력된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1전화번호로 송,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에는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이 저장되고,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복수의 전화번호들마다 서로 다르게 초기 등록된 사용자 인식 수단들을 초기 등록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에 대해 등록된 전화번호를 검색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화번호들이 설정된 하나의 가입자 식별 모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고, 사용자가 사용을 원하는 전화번호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전화번호들마다 패턴, 비밀번호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식 수단을 서로 다르게 등록하고, 사용자 인식 수단을 입력하는 화면이 잠금 기능 해제 화면을 대체하기 때문에, 잠금 해제와 전화번호 선택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위해 제1패턴을 입력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위해 제2패턴을 입력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위해 제1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위해 제2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는, 입력부(10), 디스플레이부(12), 메모리부(14), 통신부(16) 및 제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는 키패드, 터치 스크린 및 마이크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모든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부(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인식 수단을 입력받는다. 상기 입력부(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와 별도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포함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된 화면을 터치를 통해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입력부(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되는 입력 화면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입력 화면은, 패턴 입력 화면(12a)과 비밀번호 입력 화면(12b)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은, 패턴(P1)(P2), 비밀번호(P11)(P12), 지문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처리된 정보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등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을 입력하는 입력 화면과, 상기 입력 화면에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에 따라 설정되는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액정 표시장치, 발광 램프, 진동 장치,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14)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 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한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App.)이 저장된다.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은, 복수의 전화번호들이 설정된 하나의 가입자 식별 모듈(UIM, User Identity Module)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설정을 전환시켜주는 프로그램이다.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은, 상기 입력부(10)를 통해 복수의 전화번호들마다 서로 다르게 초기 등록된 사용자 인식 수단들을 상기 메모리부(14)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사용자 인식 수단을 입력하는 입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에 대해 사전에 등록된 전화번호를 검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은, 상기 제어부(20)가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도록 한다.
상기 가입자 식별 모듈은, 유심(USIM)카드(30), 심(SIM)카드 등 가입자 정보를 포함하는 모듈을 포함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유심(USIM)카드(30)를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유심 카드(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정해진 위치에 삽입되며, 가입자 정보가 내장된다. 상기 유심 카드(30)는, 사용자가 이동통신사에 신청한 복수의 전화번호들이 모두 저장되어, 각 전화번호들에 해당하는 인터페이스들이 설정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심 카드(30)에는 2개의 제1,2전화번호(N1,N2)가 내장되고, 상기 제1,2전화번호(N1,N2)로 각각 송수신되도록 하는 제1,2인터페이스(31)(32)가 내장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2인터페이스(31)(32)는 상기 제1,2전화번호(N1,N2)에 각각 대응되는 인터페이스로서, 서로 독립된 화면을 설정하고 상기 메모리부(14)에 서로 독립된 저장영역을 할당하여 각 전화번호에 관련된 단말기 기능과 부가 기능을 각 저장영역에 저장하고 액세스하며 데이터를 관리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2개의 제1,2전화번호(N1,N2)가 설정된 하나의 유심 카드(30)를 장착한 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앱 스토어에서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다운로드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다운로드하면, 사용자는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초기 실행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은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초기 실행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S1)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부(20)가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초기 실행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상기 유심 카드(30)에 설정된 제1,2전화번호(N1,N2)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된 상기 제1,2전화번호(N1,N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상기에서 선택된 전화번호와 그에 대한 사용자 인식 수단을 등록하는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으로 패턴이 기본 설정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상기 패턴을 입력할 수 있는 패턴 등록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패턴 등록 화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패턴 등록 화면에 상기 제1,2전화번호(N1,N2)마다 서로 다른 패턴을 등록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제1전화번호에 대해 제1패턴(P1)을 등록하고, 상기 제2전화번호에 대해서는 상기 제1패턴(P1)과 다른 제2패턴(P2)을 등록한다.(S2)
상기에서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으로 패턴이 기본 설정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표시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패턴, 비밀번호, 지문 및 음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그에 대한 등록 화면이 표시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2패턴(P1,P2)이 등록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잠금 기능 설정시 잠금 기능 해제 화면을 상기 패턴을 입력하는 패턴 입력 화면(12a)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도록 설정한다.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이 잠금 기능 해제 화면을 대체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잠금 해제와 전화번호 선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홈 버튼(2)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을 표시한다.(S3)
도 3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에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에 대해 등록한 패턴을 입력한다. 사용자가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에 상기 제1패턴(P1)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입력된 제1패턴(P1)에 대한 제1전화번호(N1)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1전화번호(N1)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제1인터페이스(31)로 설정한다.(S5)(S6)
상기 제1인터페이스(31)가 설정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가 상기 제1패턴(P1)에 대한 상기 제1전화번호(N1)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1전화번호(N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에 상기 제1패턴(P1)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상기 제1패턴(P1)에 대한 제1전화번호(N1)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전화번호(N1)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제2전화번호(N2)에 대한 수신은 일시 중지된다. 상대방이 상기 제2전화번호(N2)로 전화할 경우, 상기 제2전화번호(N2)의 수신 불가에 대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통신사를 통해서 상기 제2전화번호(N2)로 걸려오는 전화가 상기 제1전화번호(N1)로 착신 전환될 수 있는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이후,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홈 버튼(2)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을 다시 표시한다.(S7)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에 상기 제2패턴(P2)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새로 입력된 제2패턴(P2)이 기 입력된 패턴인 상기 제1패턴(P1)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8)(S9)
상기 제어부(20)는, 새로 입력된 상기 제2패턴(P2)이 기 입력된 상기 제1패턴(P1)과 다르다고 판단하면, 상기 제2패턴(P2)에 대한 제2전화번호(N2)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전화번호(N2)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제2인터페이스(32)로 설정을 전환한다.(S10)(S11)
상기 제2인터페이스(32)가 설정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가 상기 제2패턴(P2)에 대한 상기 제2전화번호(N2)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2전화번호(N2)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에 상기 제2패턴(P2)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상기 제2패턴(P2)에 대한 제2전화번호(N2)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전화번호(N2)로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제1전화번호(N1)에 대한 수신은 일시 중지된다. 상대방이 상기 제1전화번호(N1)로 전화할 경우, 상기 제1전화번호(N1)의 수신 불가에 대한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통신사를 통해서 상기 제1전화번호(N1)로 걸려오는 전화가 상기 제2전화번호(N2)로 착신 전환될 수 있는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홈 버튼(2)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을 다시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에 상기 제2패턴(P2)을 다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0)는 새로 입력된 제2패턴(P2)이 기 입력된 패턴인 상기 제2패턴(P2)과 동일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제1전화번호(N1)로 송,수신이 가능한 제1인터페이스(31)를 유지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잠금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에 다운로드한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실행시키면,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통해 상기 패턴 입력 화면(12a)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통해 상기 제1,2전화번호(N1,N2)에 대한 제1,2패턴(P1,P2)을 입력하여, 상기 제1,2전화번호(N1,N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위해 제1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전화번호를 사용하기 위해 제2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으로 패턴이 아닌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상기 실시예와 상이하다.
사용자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1)에 2개의 제1,2전화번호(N1,N2)가 설정된 유심 카드(30)를 장착한 후,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다운로드하고,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실행하여 상기 제1,2전화번호(N1,N2)에 대한 사용자 인식 수단으로 서로 다른 제1,2비밀번호(P11,P12)를 각각 등록한다.
도 5a 및 도 6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의 홈 버튼(2)을 누르면,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2)의 비밀번호 입력화면(12b)을 표시한다.
도 5b 및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비밀번호 입력화면(12b)에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번호에 대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화면(12b)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제1비밀번호(P11)이면, 상기 제1전화번호(N1)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는, 상기 비밀번호 입력화면(12b)에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 제2비밀번호(P12)이면, 상기 제2전화번호(N2)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한다.
상기 제1전화번호(N1)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비밀번호(P12)를 입력하면 상기 제2전화번호(N2)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하도록 전환된다.
상기 제2전화번호(N2)로 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제1전화번호(N1)에 대한 수신이 일시 중지되거나, 상기 제1전화번호(N1)로 걸려오는 전화를 상기 제2전화번호(N2)로 착신 전환 서비스를 신청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유심카드에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저장하고,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통해 사용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이동통신 단말기 12: 디스플레이부
12a: 패턴 입력 화면 12b: 비밀번호 입력 화면
20: 제어부 30: 유심 카드

Claims (10)

  1. 사용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들이 설정된 하나의 사용자 식별 모듈(UIM)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App)을 다운받아 초기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초기 실행하면,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통해 복수의 전화번호들마다 사용자 인식 수단을 서로 다르게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이 등록된 이후,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 인식 수단을 입력하는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입력 화면에서 상기 등록된 사용자 인식 수단들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들 중에서 상기에서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에 대한 전화번호를 검색하고, 검색된 전화번호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 화면에서 상기 등록된 사용자 인식 수단들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에서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과 기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에서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인식 수단과 다르다고 판단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에서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에 대해 설정된 전화번호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가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이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인식 수단과 동일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 설정된 전화번호로 송,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잠금 기능이 설정되면, 잠금 기능 해제 화면을 상기 입력 화면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실행시 표시하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들 중에서 상기에서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에 대한 전화번호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설정이 되면,
    상기 복수의 전화번호들 중 나머지 전화번호들에 대한 수신은 일시 중지되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은, 패턴, 비밀번호, 지문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은,
    유심(USIM)과 심(SIM)을 포함하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방법.
  9. 사용자가 제1,2전화번호들이 설정된 하나의 사용자 식별 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App)을 다운받아 초기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초기 실행하면, 사용자가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을 통해 상기 제1,2전화번호들에 대해 각각 제1,2패턴을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잠금 기능 해제 화면을 상기 제1,2패턴을 입력하는 패턴 입력 화면으로 대체하여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패턴 입력 화면을 표시하면, 사용자가 상기 패턴 입력 화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제1전화번호에 대한 상기 제1패턴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패턴이 기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패턴이 기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패턴에 대해 설정된 상기 제1전화번호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전환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1패턴이 입력된 상태라고 판단하면, 상기 제1전화번호로 송,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방법.
  10.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메모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에는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이 저장되고,
    상기 전화번호 설정 전환 앱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복수의 전화번호들마다 서로 다르게 초기 등록된 사용자 인식 수단들을 초기 등록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사용자 인식 수단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인식 수단에 대해 등록된 전화번호를 검색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검색된 전화번호로 송신과 수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로 설정하도록 하는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150100280A 2015-07-15 2015-07-15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1700090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80A KR20170009002A (ko) 2015-07-15 2015-07-15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280A KR20170009002A (ko) 2015-07-15 2015-07-15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002A true KR20170009002A (ko) 2017-01-25

Family

ID=5799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280A KR20170009002A (ko) 2015-07-15 2015-07-15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90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7736A (zh) * 2017-08-15 2018-01-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启动交互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6474A1 (en) 2007-09-13 2009-03-19 Giovanni Carlucci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n aglycone derivable from an iridoid glycosi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6474A1 (en) 2007-09-13 2009-03-19 Giovanni Carlucci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n aglycone derivable from an iridoid glycosi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47736A (zh) * 2017-08-15 2018-01-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启动交互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095B2 (en) Screen lock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EP2981113B1 (en)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mobile devices sharing same phone number
EP3028403B1 (en) Home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043936B2 (en) Communications device
KR100450967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메뉴 작성 방법
US20090305691A1 (en) Mobile telephone, telephone number managing server, telephone number changing system, telephone number requesting method, and telephone number requesting program
KR20100074596A (ko) 동시대기 단말 및 그의 툴킷 메뉴 제공 방법
KR20110049230A (ko) 다수의 송신 키를 포함하는 멀티 심 단말기 및 그의 운용 방법
KR20200017175A (ko)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의 eSIM 관리 방법
KR10073181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의 스피드다이얼 설정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39232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9002A (ko) 복수의 전화번호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090101619A (ko) 국제 로밍 처리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과,그 시스템에 포함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002323B2 (en) SIM card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JP6708076B2 (ja) コードレス電話
KR100622876B1 (ko) 사용자 제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 방법
KR10107219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사용 제한 방법
JP2012074975A (ja) 加入者識別モジュール、携帯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93055B1 (ko) 사용자데이터 관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1387853B1 (ko) 블루투스 장치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711726B1 (ko) 인스턴스 메시징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530650B1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한 사칙연산 수행 방법
KR100651491B1 (ko) 화상통화를 위한 전화번호 목록을 관리하는 이동통신단말기와 그에 따른 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KR20080034644A (ko) 가입자 정보 카드의 폰북 읽기 방법 및 그 단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