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8538A - 조명 모듈 - Google Patents

조명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8538A
KR20170008538A KR1020150099847A KR20150099847A KR20170008538A KR 20170008538 A KR20170008538 A KR 20170008538A KR 1020150099847 A KR1020150099847 A KR 1020150099847A KR 20150099847 A KR20150099847 A KR 20150099847A KR 20170008538 A KR20170008538 A KR 20170008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heat
heat dissipation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208B1 (ko
Inventor
이솔잎
김재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2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8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8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열판을 포함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판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조명 모듈은 내측에 형성된 방열판을 통하여 방열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무게 감소 및 디자인 자유도를 증대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모듈{Light Emitting Device Module}
본 발명은 조명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출력 및 효율이나 신뢰성 측면에서 광원으로서 유익한 장점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조명 장치를 위한 고출력, 고효율 광원으로서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LED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높은 수준의 출력을 제공하면서 광 효율을 높이고 제조비용을 낮출 필요가 있다.
따라서, LED 조명용 광원은 고효율, 고신뢰성이 필요하게 되며, 전기적 및 광학적 신뢰성뿐만 아니라 열적 특성을 발휘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광원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광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복수 개의 방열판을 배치하여 공랭식 방열 구조를 구현하는 경우 조명 모듈의 디자인 자유도가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열판을 구비하면서도 설치 공정의 효율, 무게 감소 및 디자인 자유도를 증대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내측에 방열판이 형성되어 작업자의 설치시 사고 위험이 적어 조립을 최적화하면서도 외측에 다양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 조명 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열판을 포함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판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조명 모듈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방열판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 사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광원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접촉면과 적어도 하나의 만곡형 방열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는 열 전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의 광 조사선상에 배치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일측이 개방된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방열판을 포함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개방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캐비티의 폭은 넓어지는 조명 모듈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방열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접촉면과 적어도 하나의 만곡형 방열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의 광 조사선상에 배치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은 내측에 방열판을 형성하여 방열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무게 감소 및 디자인 자유도를 증대시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 형상 본체 내부에 방열핀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된 방열핀의 모서리 등에 의한 사고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열 분포에 따른 대류 발생시 방열판을 통해 난류를 형성함으로써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방열판의 형상을 만곡형으로 형성하여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모듈은 벽체 등의 구조물에 설치되기 때문에 무게의 감소가 중요한 바, 방열핀을 만곡형으로 형성하고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조명 모듈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 배치되는 방열판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의 방열 성능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에 형성된 슬릿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의 열 전도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분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1)은 광원부(100), 방열부(200) 및 렌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 모듈(1)은 열 전도와 열 전도에 따른 방열부(200)의 외, 내부에서의 공기 대류를 이용하여 광원부(100)의 열을 방열할 수 있다.
광원부(100)는 발광 소자(110)와 발광 소자(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되는 기판(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2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110)는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UV(Ultra Violet) 등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ED) 칩일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100)로는 기판(120) 위에 패키지 하지 않은 LED 칩을 직접 본딩할 수 있는 COB(Chips On Board) 타입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LED 칩과 같은 발광 소자(110)가 패키지 된 LED 패키지가 광원부(100)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발광 소자(110)는 와이어 본딩, 다이 본딩, 플립 본딩 방식 등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기판(120)에 탑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본딩 방식은 칩 종류 및 칩의 전극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기판(120)은 기판상에 회로 패턴이 형성된 평판형의 PCB가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열부(200)의 형상에 따라 일정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방열부(200)는 광원부(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할 수 있도록 광원부(100)와 일측이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부(200)는 효과적인 방열을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200)는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의 내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열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 자유도 및 열 전도에 따른 방열 성능을 고려하여 사각 기둥, 오각 기둥 또는 다각 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의 외주면은 절연을 위하여 절연재를 이용한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220)은 하우징(210)의 내주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판(220)의 상호 이격 거리는 하우징(210) 내부의 대류에 따른 방열 성능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방열판(220)은 광원부(100)가 배치되는 방열판(220)의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갈수록 너비(b)와 돌출된 높이(h)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부(100)가 배치되는 방열판(220)의 일측은 너비(b)와 높이(h)가 크기 때문에 열 전도량이 크고 타측으로 갈수록 방열판(220)의 너비(b)와 높이(h)는 낮아지기 때문에 방열부(20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방열판(220)은 광원부(100)가 밀착 배치되는 접촉면(221)과 방열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면(221)을 통해 전도된 광원부(100)의 열은 방열면(222)을 통해 하우징(210)의 내부로 방열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면(222)은 방열판(220)의 내부측으로 절곡된 만곡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방열판(220)은 무게를 감소하면서도 방열 면적을 확대하여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220)의 경방향측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방열판(220)은 적어도 둘의 만곡형 방열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열판(220)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과 같이 만곡형 방열면(222)의 모서리가 맞닿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방열판(220)은 하우징(210)의 가상의 길이 방향 중심에 관통공(230)이 형성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은 관통공(230)을 통해 광원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부(200)는 내부에 방열판(220)이 형성되어 작업자의 설치시 사고 위험이 적어 조립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방열판(220)은 방열판(220)의 일측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명 모듈(1)의 무게를 더욱 감소시키면서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10)은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2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릿(211)은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는 방열판(2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릿(211)은 방열판(220)에 의하여 하우징(210) 내부로 방열된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즉, 방열판(220)을 통해 하우징(210) 내부로 방열된 열은 슬릿(211)을 통해 하우징(210)의 외부로 방열될 수 있다.
슬릿(211)의 폭(W)은 광원부(100)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일측의 슬릿(211)의 너비(W1)는 반대측 슬릿(211)의 너비(W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100)가 배치되는 측의 슬릿(211)의 폭(W)을 좁게 형성하여 하우징(210)을 통해 전도되는 열의 양을 많게 할 수 있으며, 광원부(100)의 반대측으로 갈수록 슬릿(211)의 폭(W)을 크게 하여 하우징(210) 내부의 열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조명 모듈(1)의 무게를 감소시켜 최적화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방열부(200)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열 전도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 전도부(240)는 하우징(210) 내부에 배치되되, 광원부(100)와 방열판(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열 전도부(240)는 하우징(210) 및 방열판(2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판(220)의 접촉면(221)에 배치되는 광원부(100)의 구조와 달리, 열 전도부(240)는 광원부(100)와의 접촉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열 전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열판(22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내주면과 열 전도부(24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열 전도부(240)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이 광원부(100)에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공(230)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300)는 광원부(100)의 발광 소자(110)에서 출사되는 광의 조사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렌즈부(300)는 광원부(100)를 덮도록 배치되어 광원부(100)가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렌즈부(300)는 렌즈 프레임(310)과 렌즈(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부(300)는 링 형상의 렌즈 프레임(310)과 렌즈 프레임(3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렌즈(3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프레임(310)은 하우징(210)과 결합하여 렌즈부(300)의 렌즈(320)가 광원부(100)의 광 조사선상에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렌즈(320)는 유리 재질 중 하나인 하드 글라스 필름(hard glass film)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320)는 LiF, MgF2, CaF2, BaF2, Al2O3, SiO2 또는 광학유리(N-BK7○R)의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SiO2의 경우, 쿼즈 결정 또는 UV Fused Silica일 수 있다. 또한, 렌즈(320)는 저철분 글라스(low iron glass)일 수 있다.
또한, 렌즈(320)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프로필렌(PP), 아크릴 폴리머(Acrylic Polymer),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광 투과성이 높은 플라스틱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모듈(1a)은 광원부(100), 방열부(200a) 및 렌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부(100)는 방열부(200a)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렌즈부(300)는 광원부(100)의 광 조사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조명 모듈(1a)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 된 상기 조명 모듈(1)과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는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방열부(200a)는 광원부(10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할 수 있도록 광원부(100)와 일측이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방열부(200a)는 효과적인 방열을 위하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부(200a)는 내부에 캐비티(250)가 형성된 하우징(210a)과 하우징(210a) 내부의 벽(212)으로부터 캐비티(250)를 향하여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열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0a)은 하우징(210a)의 길이 방향 중심을 향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a)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캐비티(250)가 형성된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자인 자유도 및 열 전도에 따른 방열 성능을 고려하여 내부에 캐비티(250)가 형성된 사각 기둥, 오각 기둥 또는 다각 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10a)의 외주면은 절연을 위하여 절연재를 이용한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250)는 하우징(210a)의 일측에서 깊이를 갖고 형성되되, 일측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캐비티(250)의 개방된 일측은 열이 방출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캐비티(250)는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250)의 너비(d)는 일측과 타측의 너비(d)가 동일한 너비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측과 타측의 너비(d)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250)의 너비(d)는 방열 성능 및 상기 조명 모듈(1a)의 무게를 고려하여 개방된 일측으로 갈수록 캐비티(250)의 폭은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일측의 캐비티(250)의 너비(d1)는 반대측 캐비티(250)의 너비(d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캐비티(250)를 형성하는 하우징(210a) 내부의 벽(212)은 캐비티(250)의 바닥(Bottom, 개방된 일측의 반대편)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열 전도와 열 대류에 따른 방열 성능 및 무게를 고려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캐비티(250)의 바닥에는 광원부(100)를 향하여 연통되게 형성된 관통홀(23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명 모듈(1, 1a)은 공항에서 이착륙장을 조명하거나 의류 또는 행사장을 조명하도록 설치되는 트랙 라이트(Track light)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모듈(1, 1a)은 다운 라이트(Down light; 매립등)에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운 라이트(Down light)는 천장 또는 벽체에 홀을 뚫고 그 속에 광원을 매입하는 조명 방식으로서, 조명과 건물을 일체화시키는 건축 조명기법 중 하나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1a : 조명 모듈
100 : 광원부
110 : 발광 소자 120 : 기판
200, 200a : 방열부 220 : 방열판
300: 렌즈부 320 : 렌즈

Claims (12)

  1. 관통되게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방열판을 포함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판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조명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는 조명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 사이에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폭은 상기 광원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조명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접촉면과 적어도 하나의 만곡형 방열면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과 상기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는 열 전도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광 조사선상에 배치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8. 일측이 개방된 캐비티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복수 개의 방열판을 포함하는 방열부; 및
    상기 방열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광원부를 포함하며,
    개방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캐비티의 폭은 넓어지는 조명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방열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조명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방열부의 개방된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낮아지는 조명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은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는 접촉면과 적어도 하나의 만곡형 방열면을 포함하는 조명 모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의 광 조사선상에 배치되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모듈.
KR1020150099847A 2015-07-14 2015-07-14 조명 모듈 KR102356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47A KR102356208B1 (ko) 2015-07-14 2015-07-14 조명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47A KR102356208B1 (ko) 2015-07-14 2015-07-14 조명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8538A true KR20170008538A (ko) 2017-01-24
KR102356208B1 KR102356208B1 (ko) 2022-01-27

Family

ID=5799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847A KR102356208B1 (ko) 2015-07-14 2015-07-14 조명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2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6545A (ko) * 2008-01-09 2009-07-13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방열성능을 향상시킨 전구형 엘이디 조명기구
JP2009163955A (ja) * 2007-12-28 2009-07-23 Sharp Corp 放熱器及び照明装置
KR101322492B1 (ko) * 2013-06-03 2013-10-28 김용민 Led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3955A (ja) * 2007-12-28 2009-07-23 Sharp Corp 放熱器及び照明装置
KR20090076545A (ko) * 2008-01-09 2009-07-13 화우테크놀러지 주식회사 방열성능을 향상시킨 전구형 엘이디 조명기구
KR101322492B1 (ko) * 2013-06-03 2013-10-28 김용민 Led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208B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724B2 (en)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array
US9939144B2 (en) Light emitting module
EP2796782B1 (en) Lighting device
KR101472403B1 (ko) 발광소자 모듈
US20110109215A1 (en) Lighting device
US9657923B2 (en) Light emitting module
KR20150060499A (ko) 모듈 어레이
KR102251125B1 (ko) 조명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장치
KR102356208B1 (ko) 조명 모듈
KR101315703B1 (ko) 조명 장치
KR101109142B1 (ko) 가로등용 발광다이오드 램프
KR20150111189A (ko) 엘이디 어셈블리의 케이스
KR102075668B1 (ko) 조명 장치
KR101326947B1 (ko) Led 조명 장치
KR101812797B1 (ko) 조명 장치
KR102003516B1 (ko) 조명 장치
KR102109100B1 (ko) 조명기기
KR101754927B1 (ko) Led 모듈
KR102075125B1 (ko) 조명기기
JP2016134301A (ja) Led照明用放熱装置
KR101946267B1 (ko) 조명기기
KR20160073182A (ko) 엘이디 램프
JP3190878U (ja) 照明装置
KR101580789B1 (ko) 조명기기
KR101796746B1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