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797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797B1
KR101812797B1 KR1020110012514A KR20110012514A KR101812797B1 KR 101812797 B1 KR101812797 B1 KR 101812797B1 KR 1020110012514 A KR1020110012514 A KR 1020110012514A KR 20110012514 A KR20110012514 A KR 20110012514A KR 101812797 B1 KR101812797 B1 KR 101812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ide frame
heat dissipating
hea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449A (ko
Inventor
김광수
박기만
제부관
신영호
양예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797B1/ko
Priority to CN201510824837.2A priority patent/CN105351812B/zh
Priority to CN201510822640.5A priority patent/CN105444076B/zh
Priority to US13/371,121 priority patent/US8845116B2/en
Priority to CN201210030687.4A priority patent/CN102635792B/zh
Priority to EP12154839.0A priority patent/EP2487406B1/en
Publication of KR20120092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449A/ko
Priority to US14/324,697 priority patent/US947038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74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with fins o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24F3/056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the air at least partially flowing over lighting fixtures, the heat of which is dissipated or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방열부재, 사이드 프레임, 지지부, 캡부 및 덕트를 포함한다. 방열부재는 일면에 광원모듈이 배치된다. 사이드 프레임은 방열부재의 제 1 및 제 2측부와 결합된다. 지지부는 방열부재의 제 3측부에 배치되어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된다. 캡부는 방열부재의 제 4측부에 배치되어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된다. 덕트는 방열부재와 인접하여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 부재 상에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는 밤중, 어두운 도로나 보도 같은 길에 높이 설치되는 등으로서,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사고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는 부피의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방열특성이 향상된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유체 또는 공기의 유입을 통해 방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일면에 광원모듈이 배치된 방열부재; 상기 방열부재의 제 1 및 제 2측부와 결합된 사이드 프레임; 상기 방열부재의 제 3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된 지지부; 상기 방열부재의 제 4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된 캡부; 및 상기 방열부재와 인접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 부재 상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부피의 슬림화를 가져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방열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체 또는 공기의 유입을 통해 방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광원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광원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방열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방열부재와 광원모듈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이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된 덕트 및 방열부재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지지부 및 전원 제어부의 배치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 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동일한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동일한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 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는 광원모듈(1000), 방열부재(2000), 사이드 프레임(3000), 커버부(4000), 지지부(5000), 전원 제어부(6000), 캡(7000) 및 덕트(8000)를 포함한다.
조명장치는 방열부재(2000) 상부에 배치된 커버부(4000)와 상기 방열부재(2000) 일면에 배치된 광원 모듈(1000), 상기 방열부재(2000)의 좌, 우 측부에서 상기 방열부재(2000)를 지지하는 사이드 프레임(3000)을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3000)의 일측은 지지부(5000)와 체결되고, 사이드 프레임(3000)의 타측은 캡(7000)과 체결된다. 지지부(5000)의 내부엔 전원 제어부(6000)가 배치되어 상기 광원 모듈(100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공급 통로인 덕트(8000)가 상기 방열부재(2000)와 사이드 프레임(3000) 사이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방열부재(2000)는 단일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일 방열부재 일면에 등 간격으로 복수의 광원 모듈이 배치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부재(2000)가 복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부(5000)의 측부 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복수의 방열부재(2000)가 서로 접하여 배열된 상기 방열부재들의 일면들은 동일한 평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각 방열부재 일면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 모듈은 실질적으로 등 간격으로 동일 면상에서 배치된다.
한편 커버부(4000)는 얇은 판 형상의 몸체(4100)를 갖고,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방열부재(200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방열부재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커버부(4000)는 복수의 통과 홀(4100a)을 갖는다. 이러한 통과 홀(4000a)은 방열부재(2000)가 외부공기와 접촉하여 공기 대류를 통한 방열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우천시 빗물이 커버부(4000)와 후술할 방열부재의 통과 홀(2100a)을 통과하여 외부로 자유롭게 배출 시킬 수 있어 방수특성에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커버부(4000)의 통과 홀(4100a)의 직경 싸이즈는 방열부재의 통과 홀(2100a)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커버부의 통과 홀의 직경 싸이즈는 가능하면 작게 하고, 적어도 방열부재의 통과 홀(2100a)보다 작다. 이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가능하면 커버부의 통과 홀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커버부(4000)는 방열부재 상부에 배치될 때, 전도에 의한 방열 특성을 고려하여, 커버부의 일면이 방열부재의 방열핀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고, 외부 공기와의 대류를 통한 방열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커버부의 일면과 방열부재의 방열핀과 사이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4000)의 재질은 방열부재의 재질과 동일하거나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지지부, 방열부재, 캡부와 같은 구조물들이 지지부-방열부재-캡부 순의 조명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됨으로, 전체 부피가 슬림화가 가능하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방열부재, 광원 모듈, 사이드 프레임 및 덕트 등이 착탈 가능하여 조명장치의 길이에 따라 추가 혹은 삭제가 가능하다.
이에 구체적인 구성요소에 대해선 아래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광원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이고, 도 4는 광원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광원 모듈은 케이스(100), 패킹 구조물(200), 렌즈 구조물(300), 발광 모듈(400) 및 절연 구조물(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클래드 메탈층(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0)는 클래드 메탈층(600)과 결합나사(미도시)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 및 고정되어 광원모듈의 몸체를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나사가 케이스(100)의 관통홀(H1)을 관통하여 클래드 메탈층(600)의 체결홈(H2)에 삽입되어 끼워지면, 케이스(100)와 클래드 메탈층(600)은 서로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결합나사에 의해 클래드 메탈층(600)과 결합 또는 클래드 메탈층(6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광원 모듈이 고장 날 경우, 상기 결합나사를 삽입 또는 제거하여 용이하게 유지 또는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0)의 형상에 대해 원형으로 나타내었지만 그 밖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패킹 구조물(200), 렌즈 구조물(300), 발광 모듈(400) 및 절연 구조물(500)을 수납하여 패킹 구조물(200), 렌즈 구조물(300), 발광 모듈(400) 및 절연 구조물(500)을 보호한다.
또한, 케이스(100)는 렌즈 구조물(300)을 통과한 광이 외부로 방출되는 개구(G)를 갖는다. 따라서, 렌즈 구조물(300)이 개구(G)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다. 케이스(100)는 발광 모듈(400)로부터의 열을 방열하기 위해, 열 전도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u),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는 외측 표면에 발광 모듈(400)로부터의 열을 방열하기 위한 복수의 방열핀(110)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열핀(110)에 의해 케이스(100)의 표면적은 더 넓어져 방열이 더 효과적인 이점이 있다.
패킹 구조물(200)은 케이스(100)와 렌즈 구조물(300)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 모듈(400)로 수분과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한다. 패킹 구조물(200)은 수분이 투과되지 않고, 탄성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방수용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등일 수 있다. 패킹 구조물(200)은 렌즈 구조물(300)의 외곽부(330) 위에 배치되도록 원형의 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 구조물(200)이 렌즈 구조물(300) 위에 배치되면, 케이스(100)는 패킹 구조물(200)을 압박한다. 따라서, 패킹 구조물(200)은 케이스(100)와 렌즈 구조물(300) 사이의 공간을 채우게 되므로, 케이스(100)의 개구(G)를 통해 수분과 이물질이 발광 모듈(400)로 침투되지 못하게 막는다. 따라서, 광원 모듈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렌즈 구조물(300)은 발광 모듈(400) 상에 배치되어 발광 모듈(400)로부터 방출된 광을 광학적으로 조절한다. 이러한 렌즈 구조물(300)은 렌즈(310)와 외곽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구조물(300)은 투광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글래스 또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C(Polycarbonate)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렌즈 구조물(300)은 상면에 복수의 렌즈(310)가 배치되고, 렌즈(310)는 돔(dorm) 형상일 수 있다. 렌즈(310)는 발광 모듈(400)에서 입사되는 광을 조절한다. 여기서, 광을 조절한다는 의미는 발광 모듈(400)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확산 또는 집광함을 의미한다. 렌즈(310)는 발광 모듈(400)의 발광 소자(430)가 발광 다이오드인 경우, 상기 발광 소자(430)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렌즈(310)는 발광 모듈(400)로부터의 광을 확산하지 않고 집광을 할 수 있다. 렌즈(310)는 발광 모듈(400)의 발광 소자(430)와 일대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310)는 형광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형광체는 황색 계열, 녹색 계열 또는 적색 계열의 형광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발광 모듈(400)의 발광 소자(430)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인 경우, 렌즈(310)에는 황색, 녹색 및 적색의 형광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렌즈(310)에 형광체가 포함되면, 발광 소자(430)에서 방출된 광의 연색지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외곽부(330) 위에는 패킹 구조물(200)이 배치된다. 이를 위해, 외곽부(330)는 패킹 구조물(200)이 온전히 안착되도록 평탄한(flat)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외곽부(330)는 평탄하지 않고, 내측 또는 외측으로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패킹 구조물(200)이 소정의 홈을 가진 경우, 외곽부(330)는 상기 소정의 홈에 맞춰 끼워질 수 있는 돌출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곽부(330)는 패킹 구조물(200)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예들의 형태를 포함한다. 외곽부(330)는 케이스(100)와 함께 패킹 구조물(200)을 압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곽부(330)와 패킹 구조물(200) 사이로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발광 모듈(400)을 상기 수분이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한다. 외곽부(330)는 렌즈(310)와 발광 모듈(400)의 발광 소자(430)를 일정 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외곽부(330)에 의해, 렌즈(310)와 발광 소자(43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발광 모듈(400)의 발광 소자(430)가 발광 다이오드인 경우, 상기 발광 다이오드(430)에서 방출되는 광의 배광 각도는 대략 120°를 가지는데, 이러한 광을 이용하여 원하는 배광 분포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발광 모듈(400)과 상기 렌즈(310) 사이에 상기 일정 간격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발광 모듈(400)은 클래드 메탈층(600) 위에 배치되고, 렌즈 구조물(300)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발광 모듈(400)은 기판(410)과 상기 기판(410)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4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41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기판(410)은 절연체에 회로가 인쇄된 것으로, 알루미늄 기판,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일반 PCB 일 수 있다. 기판(410)의 일 면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430)들이 배치된다. 기판(410)의 일 면은 광이 효율적으로 반사되는 컬러, 예를 들어 흰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 소자(430)는 복수로 상기 기판(410)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복수의 발광 소자(430)들은 상기 기판(410) 상에 어레이 형태로 탑재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430)들의 형태와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발광 소자(430)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발광 소자(430)는 적색 LED, 청색 LED, 녹색 LED 또는 백색 LE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기판(410)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직류 변환 장치나, 상기 조명 장치를 정전기 방전 현상(ESD) 또는 서지(Surge) 현상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소자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기판(410)의 저면에는 방열판(미도시)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미도시)은 발광 모듈(40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클래드 메탈층(6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방열판(미도시)은 열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서 예를 들어, 열전도 실리콘 패드 또는 열전도 테이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절연 구조물(500)은 발광 모듈(400)의 외주면을 감싼다. 이를 위해, 절연 구조물(500)은 원형태의 발광 모듈(400)에 따라 링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절연 구조물(500)의 링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절연 구조물(500)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절연 구조물(500)은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연 구조물(500)은 발광 모듈(400)을 전기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즉, 절연 구조물(500)은 발광 모듈(400)의 측면을 클래드 메탈층(600)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고, 금속성의 케이스(100)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따라서, 내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절연 구조물(500)은 발광 모듈(400)로의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클래드 메탈층(600)은 이종의 복수의 금속층들이 서로 결합된 층으로, 발광 모듈(400) 아래에 배치되고, 케이스(10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 모듈(400)로부터의 열을 자체 방열하거나 케이스(100)로 전달할 수 있다. 클래드 메탈층(600)은 발광 모듈(400)의 저면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래드 메탈층(600)이 발광 모듈(400)의 기판(410)의 저면과 간접적으로 접촉한다는 의미는 기판(410)의 저면에 방열판(미도시)이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방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방열부재와 광원모듈이 결합된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및 도 6을 참고하면, 방열부재(2000)는 베이스부(2100)와 베이스부(2100)의 일면에서 연장된 복수의 방열핀(2300)을 포함한다. 베이스부(2100)는 방열핀(2300)들 사이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 홀(2100a)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부의 타면에 배치된 광원 모듈(1000) 주변 영역에 통과 홀(2100a)이 배치될 수 있다.
방열부재(2000)는 그 자체적으로 광원모듈(1000)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방열부재(2000)의 베이스부(21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과홀(2100a)은 광원 모듈(1000)로부터 발생된 열을 외부 공기와의 대류를 통하여 방열특성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통과 홀(2100a)은 우천시 빗물과 같은 유체가 방열부재(2000)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배수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방열부재(2000)의 베이스부(2100)는 상면(2101)과 하면(2102)을 갖고, 상면(2101)은 평평한 하면(2102)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기울어짐의 방향은 방열핀(2300)의 길이 방향과 같다. 이에 따라 우천시 유체가 방열부재의 좌, 우 외각으로 흘러갈 수 있게 된다. 외곽으로 흐르는 유체는 방열부재 좌, 우에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면엔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원모듈(1000)과 방열부재(2000) 사이에 방열시트나 방열패드가 게재될 수 있다.
방열부재(2000)의 재질은 광원 모듈(1000)로부터의 열을 방열하기 위해, 열 전도성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케이스(100)는 금속 재질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u),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이드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8은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된 덕트 및 방열부재의 배치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3000)은 하부 부재(3100)와 상기 하부부재(3100)와 이격된 상부부재(3300), 상기 하부 부재(3100)와 상부부재(3300)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3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3000)은 상부 부재, 하부 부재 및 연결 부재에 의해 구획된 개구부(G1)가 형성된다. 개구부(G1)는 방열부재의 복수의 방열핀의 간격에 의해 형성된 공간과 동일 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개구부(G1)는 상기 방열부재에서 유출된 유체의 외부 배출 통로가 된다.
사이드 프레임(3000)은 방열부재(2000)의 측부에 배치되고, 방열부재(2000)의 엣지부가 상기 사이드 프레임(3000)의 하부부재(3100)상에 배치되어 방열부재(2000)와 결합된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3000)은 일측은 후술할 지지부(5000)와 나사체결(미도시) 되고, 타측 역시 캡(7000)과 나사 체결되어 전체 조명장치의 형상을 구현한다.
사이드 프레임(3000)은 내측에 배치된 방열부재의 높이 정도로 유지되어 전체 조명장치가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사이드 프레임(3000)은 방열부재 전체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도록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높이가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사이드 프레임(3000)은 방열부재를 지지하는데 있어 강성을 가진 금속물질일 수 있지만,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로 이용시 무게의 부담을 줄이고, 동시에 사출 성형성의 용이를 위해 글래스 또는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C(Polycarbonate)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3000)의 하부부재(3100)는 상면의 일부가 상기 하부부재의 바닥면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다. 기울기의 방향은 하부부재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이 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방열부재로부터 유출된 유체의 외부 배출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부재(3100)의 기울기 방향으로 상면에 복수의 그루브(3100a)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부부재(310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하부부재의 상면에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고, 그루브(3100a)는 사이드 프레임(3000)의 개구부(G1)에 대응되어 하나씩 혹은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덕트(8000)는 상부가 개구되고, 베이스부(8100)와 상기 베이스부(8100)의 양단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8300)를 포함한다.
덕트(8000)는 단일 개로 이루어져 상기 방열부재(2000)와 인접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3000)의 하부 부재(3100) 상에 배치될 수 있지만, 광원 모듈의 증가 혹은 감축에 따라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단위 덕트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덕트의 연장부(8300)는 일측에 상기 광원모듈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미도시)의 통로인 홀(8100a)을 갖는다. 이러한 덕트(8000)는 상기 방열부재(2000)와 인접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3000)의 하부 부재(3100) 상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30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방열부재(2000), 덕트(8000) 및 사이드 프레임(3000)의 순으로 배치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3000)의 연결부재(3200)가 상기 덕트(8000)의 측부를 밀착 지지하게 된다.
이때, 덕트(8000)와 방열부재(2000) 사이는 일정한 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방열부재(2000) 위로 흐르는 유체가 상기 덕트(8000)와 방열부재(2000) 사이의 갭을 타고, 사이드 프레임(3000)의 개구부(G1)나 그루브(3100a)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덕트(8000)의 높이는 사이드 프레임(3000)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방열부재(2000)의 베이스(2100)부보다 동일하거나 낮음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지지부 및 전원 제어부의 배치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5000)는 상부 지지부(5100) 및 하부 지지부(5500)를 포함한다.
하부 지지부(5500)는 전원 제어부(6000)가 배치될 수 있는 내측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전원 제어부(6000)의 유지 보수하는데 있어 용이하도록 하부 지지부는 상기 내측 공간과 대응되는 개구부(G2)를 갖는다. 개구부(G2)는 상기 전원 제어부(6000)가 배치된 후, 플랜지부(5200)에 의해 덮혀 보호된다. 플랜지부(5200)는 하부 지지부(5500)의 나사(미도시)로 체결되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5100)와 하부 지지부(5500)가 결합시 안정적으로 밀착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부(5500)의 내측 공간 주변으로 패킹(5300)이 배치된다.
지지부(5000)의 형상은 내부에 전원 제어부(6000)가 배치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구조이든지 상관없다. 이때, 전원 제어부(6000)는 가능하면 방열부재(2000)에 배치된 광원모듈과 가능하면 가까운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원 제어부와 광원 모듈의 거리에 따른 전압 강하를 방지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0: 광원 모듈
2000: 방열부재
3000: 사이드 프레임
4000: 커버부
5000: 지지부
6000: 전원 제어부
7000: 캡
8000: 덕트

Claims (9)

  1. 일면에 광원모듈이 배치된 방열부재;
    상기 방열부재의 제 1 및 제 2측부와 결합된 사이드 프레임;
    상기 방열부재의 제 3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된 지지부;
    상기 방열부재의 제 4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결합된 캡부; 및
    상기 방열부재와 인접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 부재 상에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덕트;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방열부재의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높이보다 큰 조명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기 방열부재 및 상기 캡부는 상기 지지부-상기 방열부재-상기 캡부 순의 일 방향으로 배치되는 조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2 이상이 각각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에서 연장된 복수의 방열핀을 포함하는 조명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 상부에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가지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방열부재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전원 공급 통로인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는 동일한 재질인 조명장치.
  8. 삭제
  9.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일측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광원 모듈;
    상기 지지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제어부;
    상기 광원모듈의 일면에 배치된 방열부재; 및
    상기 방열부재의 측부에 배치된 사이드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모듈은
    클래드 메탈층;
    상기 클래드 메탈층 위에 배치되는 절연 구조물;
    상기 절연 구조물 위에 배치되며,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한 발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 위에 배치되는 렌즈 구조물;
    상기 렌즈 구조물 위에 배치되는 패킹 구조물; 및
    상기 패킹 구조물 위에 배치되며, 상기 클래드 메탈층과 체결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하부영역와 상기 하부영역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부영역 및 상기 하부영역과 상부영역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재의 일부분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부영역 상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부재의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높이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하단에서 상단까지의 높이보다 높지 않은 조명 장치.
KR1020110012514A 2011-02-11 2011-02-11 조명 장치 KR101812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514A KR101812797B1 (ko) 2011-02-11 2011-02-11 조명 장치
CN201510824837.2A CN105351812B (zh) 2011-02-11 2012-02-10 光源模块
CN201510822640.5A CN105444076B (zh) 2011-02-11 2012-02-10 Led照明设备
US13/371,121 US8845116B2 (en) 2011-02-11 2012-02-10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module which is changeable according to power consumption and having improved heat radiation and waterproof
CN201210030687.4A CN102635792B (zh) 2011-02-11 2012-02-10 包括可根据电力消耗而改变的模块并具有改善的散热性和防水性的led照明设备
EP12154839.0A EP2487406B1 (en) 2011-02-11 2012-02-10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module which is changeable according to power consumption and having improved heat radiation and waterproof
US14/324,697 US9470383B2 (en) 2011-02-11 2014-07-07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module which is changeable according to power consumption and having improved heat radiation and waterpro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514A KR101812797B1 (ko) 2011-02-11 2011-02-11 조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990A Division KR102003516B1 (ko) 2017-12-13 2017-12-13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49A KR20120092449A (ko) 2012-08-21
KR101812797B1 true KR101812797B1 (ko) 2017-12-27

Family

ID=46884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514A KR101812797B1 (ko) 2011-02-11 2011-02-11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27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305B1 (ko) * 2015-09-09 2016-09-05 주식회사 포메링 디밍기능을 가진 경량화된 엘이디 조명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0196A1 (en) 2006-09-30 2008-04-03 Ruud Lighting, Inc. LED Floodlight Fix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0196A1 (en) 2006-09-30 2008-04-03 Ruud Lighting, Inc. LED Floodlight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449A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6299B2 (en) Lighting device
EP2876365B1 (en) Light emitting device module
US9470383B2 (en) LED lighting device including module which is changeable according to power consumption and having improved heat radiation and waterproof
CN105650487B (zh) 照明模块和照明设备
KR100978208B1 (ko) 조립형 엘이디 조명기기
KR101812797B1 (ko) 조명 장치
KR101812800B1 (ko) 조명 장치
KR102003516B1 (ko) 조명 장치
KR101827719B1 (ko) 조명 장치
KR101241249B1 (ko) 조명 장치
KR101822160B1 (ko) 조명 장치
KR101800376B1 (ko) 조명 장치
KR101879216B1 (ko) 조명 장치
KR101859457B1 (ko) 조명 장치
KR101823135B1 (ko) 조명 장치
KR101796746B1 (ko) 조명 장치
KR102075125B1 (ko) 조명기기
KR101827714B1 (ko) 조명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170008538A (ko) 조명 모듈
KR20130079672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