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7870A -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 Google Patents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7870A
KR20170007870A KR1020150083295A KR20150083295A KR20170007870A KR 20170007870 A KR20170007870 A KR 20170007870A KR 1020150083295 A KR1020150083295 A KR 1020150083295A KR 20150083295 A KR20150083295 A KR 20150083295A KR 20170007870 A KR20170007870 A KR 20170007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value
pocket
ball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4211B1 (ko
Inventor
편정민
이경구
한태훈
Original Assignee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셰플러코리아(유) filed Critical 셰플러코리아(유)
Priority to KR1020150083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421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87Details of individual pockets, e.g. shape or ball ret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 F16C33/3837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 F16C33/3862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comprising two annular parts joined together
    • F16C33/3868Massive or moulded cages having cage pockets surrounding the balls, e.g. machined window cages comprising two annular parts joined together made from metal, e.g. two cast parts joined by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66Special parts or details in view of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6/00Joining parts; Fastening; Assembling or mounting parts
    • F16C2226/50Positive connections
    • F16C2226/52Positive connections with plastic deformation, e.g. caulking or staking
    • F16C2226/54Positive connections with plastic deformation, e.g. caulking or staking with ri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링 형태의 리테이너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테이너 부재는 포켓부와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켓부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며, 이격 구비된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고, 축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축 방향 내측이 만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며, 복수로 구비되고, 이격 구비된 상기 포켓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포켓부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포켓부에 반경 방향 외향 개구된 사각형 또는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Improved ball bearing retainer from alien substance environment}
본 발명은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켓부에 배출홀이 형성되어 볼과 포켓부 사이의 이물이 용이하게 배출되고 볼과 포켓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는 베어링의 외륜과 내륜 사이에 위치하여 베어링의 주 역할인 회전 운동에 있어 구동체인 볼의 이탈방지, 볼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부품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베어링은 외륜(40)과, 내륜(20)과, 볼(30)과, 리테이너(10)로 이루어진다.
외륜(40)은 링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외륜(40)의 내주면에는 외륜궤도가 형성된다. 외륜궤도는 전동체로 사용되는 볼(30)과 구름 접촉된다.
내륜(20)은 링 형태로 구비된다. 내륜(20)은 상기 외륜(40)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기 내륜(20)의 외주면에는 내륜궤도가 형성된다. 내륜궤도는 전동체로 사용되는 볼(30)과 구름 접촉된다.
볼(30)은 전동체로 사용된다. 상기 볼(30)은 외륜(40)과 내륜(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볼(30)은 복수로 원주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볼(30)은 외륜궤도 및 내륜궤도와 구름 접촉 상태에서 구름 운동한다.
리테이너(10)는 상기 외륜(40)과 내륜(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10)는 복수의 볼(30)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1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리테이너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테이너 부재는 대략 환형으로 형성되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포켓(11)과, 포켓(11)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13)로 이루어지고, 연결부(13)에는 리벳공(15)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포켓(11)은 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다.
리테이너(10)는 하나의 리테이너 부재에 구비되는 복수의 포켓(11)에 각각 볼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리테이너 부재를 덮어 두 리테이너 부재에 각각 구비되어 서로 대응하게 되는 두 포켓(11)에 볼이 하나씩 수용되도록 하고, 각 리벳공(15)에 리벳을 삽입한 다음 리벳공(15)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하는 리벳의 돌출부분을 타격하여 소성 변형시키는 체결방식으로 조립된다.
그러나 종래의 베어링은 이물 환경에서 작동되는 경우 볼과 볼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포켓부 사이에 이물이 잔류하여 포켓부 밖으로 빠져 나가지 않게 되고, 잔류하는 이물에 의하여 볼 표면에 흠이 발생하여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1-0037701호(2001.08.04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포켓부에 배출홀을 형성하여 포켓부와 볼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베어링의 구동이 원활하게 되고 포켓부와 볼 사이의 이물이 배출홀을 통하여 배출되어 베어링의 수명이 향상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는 서로 마주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링 형태의 리테이너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테이너 부재는 포켓부와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켓부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며, 이격 구비된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고, 축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축 방향 내측이 만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며, 복수로 구비되고, 이격 구비된 상기 포켓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포켓부에는 배출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포켓부에 반경 방향 외향 개구된 사각형 또는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배출홀은 사각형의 형태로써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배출홀의 중심을 반경 방향으로 지나는 선에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리테이너 부재의 외경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리테이너 부재의 외경을 향할수록 상기 제2 연장부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연장부의 양 단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 사이에는 내측 면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와 상기 리테이너 부재의 외경 사이에는 외측 면취부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 면취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양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 형성되고; 상기 외측 면취부는 상기 제2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리테이너 부재의 외경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연장부의 길이를“W2”로 하고, 볼 지름을“DB”로 하여, 0.25×DB 값을“볼지름값”이라 할때;
상기 제1 연장부의 길이(W2)는 상기 볼지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2 연장부의 길이는“h”로, 상기 리테이너 부재의 폭을“W1”로 하여, 0.25×W1의 값을“리테이너값”이라 할때;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h)는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폭(W1)에서 상기 리테이너값을 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내측 면취부의 곡률 반경을“r3”로, 상기 제1 연장부의 길이를“W2”로 하여, 0.5×W2의 값을“폭값”이라 할때;
상기 내측 면취부의 곡률 반경(r3)은 상기 폭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외측 면취부의 곡률반경을“r2”로, 상기 제1 연장부의 길이를“W2”로 하여, 0.5×W2의 값을“폭값”이라 할때;
상기 외측 면취부의 곡률 반경(r2)은 상기 폭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배출홀에 의하여 발생되는 볼과 상기 포켓부의 접촉 면적 감소율은 5% ∼ 1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는 포켓부에 배출홀이 형성되어 볼과 포켓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베어링의 원활한 구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홀을 통하여 이물이 배출됨으로써 이물에 의한 볼 표면의 손상이 감소되어 베어링의 수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볼 베어링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리테이너를 이루는 리테이너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에 볼이 삽입되어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이루는 리테이너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포켓부와 배출홀을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홀의 형상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에 볼이 삽입되어 조립된 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를 이루는 리테이너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포켓부와 배출홀을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홀의 형상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도 3의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축 방향”으로 하고 리테이너 부재(110)의 포켓부(111)에서 볼(30)이 접촉되는 측을“내측”이라 하고, 그 반대 측을“외측”이라 하여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베어링의 내륜과 외륜 사이에서 볼(3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100)는 두 개의 리테이너 부재(110)가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된다. 한 쌍을 이룬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는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는 스틸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는 링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는 포켓부(111)와, 연결부(113)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켓부(111)는 복수로 형성된다. 상기 포켓부(111)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포켓부(111)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113)가 연결 구비된다. 상기 포켓부(111)는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포켓부(111)는 축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포켓부(111)의 반경 방향 내측은 볼(30)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포켓부(111)는 볼(30)을 수용하도록 만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포켓부(111)는 배출공(112)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홀(112)은 상기 포켓부(111)에 반경 방향 외향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112)은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112)은 볼(30)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112)은 하나의 포켓부(111)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12)은 상기 포켓부(111)에 반경 방향 외향 개구된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112)은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112)은 볼(30)과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112)은 하나의 포켓부(111)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홀(112)은 제1 연장부(1121)와, 제2 연장부(121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연장부(1121)는 상기 배출홀(112)의 중심을 반경 방향으로 지나는 선에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길이를“W2”로 하고, 볼 지름을“DB”로 하여, 0.25×DB 값을“볼지름값”이라 하면,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길이(W2)는 상기 볼지름값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범위의 길이(W2)를 같는 상기 제1 연장부(1121)에 의하여 볼(30)과 상기 포켓부(111)가 접촉되는 면적이 감소하면서 외부로부터 볼(30)측으로 침투되는 이물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부(1123)는 상기 제1 연장부(1211)의 양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1123)는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1123)는 상기 제1 연장부(1211)로부터 수직하게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1123)는 단부가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을 향할수록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연장부(1123)의 포켓부(111)의 원주 방향 중심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에 의하여 상기 볼(30)은 포켓부(111)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2 연장부(1123)의 길이는“h”로,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폭을“W1”로 하여, 0.75×W1의 값을“리테이너값”이라 하면,
상기 제2 연장부(1123)의 길이(h)는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폭(W1)에서 상기 리테이너값을 뺀 값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범위의 길이(h)를 갖는 제2 연장부(1123)에 의하여 포켓부(111)의 볼(30)측으로 침투되는 이물이 원활하게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볼(30)과 포켓부(111)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베어링이 원활한 구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양 단부와 상기 제2 연장부(1123)의 단부 사이에는 내측 면취부(112c)가 형성된다.
상기 내측 면취부(112c)는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양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 형성된다. 상기 내측 면취부(112c)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오목하도록 만곡 형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내측 면취부(112c)의 곡률반경을“r3”로,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길이를“W2”로 하여, 0.5×W2의 값을“폭값”이라 하면,
상기 내측 면취부(112c)의 곡률반경(r3)은 상기 폭값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연장부(1123)와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 사이에는 외측 면취부(112d)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 면취부(112d)는 상기 제2 연장부(1123)의 단부로부터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외측 면취부(112d)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외측 면취부(112d)의 곡률반경을“r2”로,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길이를“W2”로 하여, 0.5×W2의 값을“폭값”이라 하면,
상기 외측 면취부(112d)의 곡률반경(r2)은 상기 폭값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배출홀(112)의 형태 및 크기로 인하여 상기 포켓부(111)의 축 방향 내측면과 상기 볼(30)의 접촉 면적은 종래 리테이너와 볼의 접촉 면적보다 5% ∼ 15% 범위로 감소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감소된 접촉 면적으로 인하여 볼과 리테이너의 사이에 마찰이 감소되어 베어링의 구동성 및 수명이 향상된다.
또한 리테이너(111)의 포켓부(111) 및 볼(30)측으로 침투되는 이물의 배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테이너에 볼(3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볼(30)의 이탈이 방지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취부가 최대로 형성된 배출홀(112)의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배출홀(112)은 원호부(112a)와 면취부(1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호부(112a)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호부(112a)는 원호각이 180°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 원호부(112a)의 지름은 볼 지름(DB)의 15% ∼ 27% 범위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홀(112)을 이루는 상기 원호부(112a)의 원호각이 180°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기 면취부(112b)의 위치가 포켓부(111)의 원주 방향 중심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포켓부(111)에 볼(30)이 안정적으로 안착 가능하게 되어 상기 볼(30)이 리테이너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포켓부(111)에 삽입되는 볼(30)에 침투되는 이물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을“D1”으로 하고,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폭을“W1”으로 하며,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반경 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원호부(112a)의 중심(C)을 이은“센터 피치써클 지름”을“D2”로 하여 기재한다.
그리고 D1-W1-0.05W1 값을“최소 센터피치값”으로, D1-W1+0.05W1 값을“최대 센터피치값”으로 정의한다.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D1)과,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폭(W1)과, 센터 피치써클 지름(D2)의 관계가 상기와 같이 정의 되었을 경우,
상기 센터 피치써클 지름(D2)은 상기 최소 센터피치값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 센터 피치써클 지름(D2)은 상기 최대 센터피치값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범위의 센터 피치써클 지름(D2)에 원호부(112a)가 형성됨으로써 이물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향상 시킴과 동시에 리테이너로부터 볼(30)의 이탈이 방지 될 수 있다.
상기 면취부(112b)는 상기 원호부(112a)의 양측 단부로부터 만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면취부(112b)는 반경 방향 외측 단부가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면취부(112b)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 형성된다. 상기 면취부(112b)의 곡률 반경(r1)은 상기 원호부(112a)가 갖는 반경의 20% ∼ 80% 범위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의 면취부(112b)가 상기 볼(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에 기재한 원호부(112a)와 면취부(112b)의 형태 및 크기로 인하여 상기 포켓부(111)의 축 방향 내측면과 상기 볼(30)의 접촉 면적은 종래 리테이너와 볼의 접촉 면적보다 5% ∼ 15% 범위로 감소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감소된 접촉 면적으로 인하여 볼과 리테이너의 사이에 마찰이 감소되어 베어링의 구동성 및 수명이 향상된다.
상기 연결부(11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된 상기 포켓부(111)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13)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13)는 볼(30) 간의 원주 방향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113)에는 리벳공(115)이 형성된다. 상기 리벳공(115)은 축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쌍을 이룬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는 연결부(113)에 형성된 상기 벳공(115)에 리벳이 삽입 고정된다. 쌍을 이루는 리테이너 부재(110)는 상기 리벳공(115)의 위치를 일치시켜 리벳으로 고정한다. 상리 리벳은 일치된 리벳공(115)을 통과하여 반대편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는 통과된 리벳의 돌출 부분을 타격하여 소성 변형시켜 고정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110 : 리테이너 부재 111 : 포켓부
112 : 배출홀 112a : 원호부
112b : 면취부 1121 : 제1 연장부
1123 : 제2 연장부 113 : 연결부
115 : 리벳공

Claims (8)

  1. 서로 마주하도록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링 형태의 리테이너 부재(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는 포켓부(111)와 연결부(113)로 이루어지며; 상기 포켓부(111)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며, 이격 구비된 연결부(113) 사이에 구비되고, 축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축 방향 내측이 만곡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113)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구비되며, 복수로 구비되고, 이격 구비된 상기 포켓부(111)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포켓부(111)에는 배출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홀(112)은 상기 포켓부(111)에 반경 방향 외향 개구된 사각형 또는 원호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112)은 사각형의 형태로써 제1 연장부(1121)와 제2 연장부(1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연장부(1121)는 상기 배출홀(112)의 중심을 반경 방향으로 지나는 선에 수직하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1123)는 상기 제1 연장부(1121)로부터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을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1123)는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을 향할수록 상기 제2 연장부(1123) 사이의 거리가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양 단부와 상기 제2 연장부(1123)의 단부 사이에는 내측 면취부(112c)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1123)와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 사이에는 외측 면취부(112d)가 형성되며;
    상기 내측 면취부(112c)는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양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만곡 형성되고; 상기 외측 면취부(112d)는 상기 제2 연장부(1123)의 단부로부터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외경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길이를“W2”로 하고, 볼 지름을“DB”로 하여, 0.25×DB 값을“볼지름값”이라 할때;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길이(W2)는 상기 볼지름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1123)의 길이는“h”로,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폭을“W1”로 하여, 0.75×W1의 값을“리테이너값”이라 할때;
    상기 제2 연장부(1123)의 길이(h)는 상기 리테이너 부재(110)의 폭(W1)에서 상기 리테이너값을 뺀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면취부(112c)의 곡률반경을“r3”로,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길이를“W2”로 하여, 0.5×W2의 값을“폭값”이라 할때;
    상기 내측 면취부(112c)의 곡률반경(r3)은 상기 폭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면취부(112d)의 곡률반경을“r2”로, 상기 제1 연장부(1121)의 길이를“W2”로 하여, 0.5×W2의 값을“폭값”이라 할때;
    상기 외측 면취부(112d)의 곡률반경(r2)은 상기 폭값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112)에 의하여 발생되는 볼(30)과 상기 포켓부(111)의 접촉 면적 감소율은 5% ∼ 1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환경 개선용 볼베어링용 리테이너.
KR1020150083295A 2015-06-12 2015-06-12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KR10170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295A KR101704211B1 (ko) 2015-06-12 2015-06-12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295A KR101704211B1 (ko) 2015-06-12 2015-06-12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870A true KR20170007870A (ko) 2017-01-23
KR101704211B1 KR101704211B1 (ko) 2017-02-08

Family

ID=5798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295A KR101704211B1 (ko) 2015-06-12 2015-06-12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42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997A (ko) *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리테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129B1 (ko) 2017-05-31 2018-06-07 셰플러코리아(유) 구름 베어링용 궤도륜 탈자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701A (ko) 1999-10-19 2001-05-15 정수훈 수냉식 냉각수단을 갖는 지관 가공장치
JP2006322564A (ja) * 2005-05-20 2006-11-30 Ozak Seiko Co Ltd ベアリン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7701A (ko) 1999-10-19 2001-05-15 정수훈 수냉식 냉각수단을 갖는 지관 가공장치
JP2006322564A (ja) * 2005-05-20 2006-11-30 Ozak Seiko Co Ltd ベアリ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997A (ko) * 2018-04-17 2019-10-25 주식회사 베어링아트 리테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4211B1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9838B2 (en) Ball retaining cage for bearings and a deep groove ball bearing
US6783279B2 (en) Angular contact ball-bearing cage with lubricant pockets
EP3104030A1 (en) Segmented cage and roller bearing
US20170284467A1 (en) Rolling Bearing
CN111164318B (zh) 带有缩短的凸缘的推力轴承保持架
KR101704211B1 (ko)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US8591121B2 (en) Rolling bearing cage and assembly
US10690182B2 (en) Roller bearing for supporting radial deformation of the roller bearing, and rotative assembly comprising such roller bearing
EP2042756A1 (en) Cage, production method for the cage, thrust roller bearing equipped with the cage
US9587676B2 (en) Self-aligning roller bearing
CN109210074B (zh) 用于滚动轴承的分段式保持架
CN110337550B (zh) 滚动轴承
US20170102032A1 (en) Low friction ball bearing cage design with optimized contact surface
US11209050B1 (en) Contamination-resistant bearing assembly
KR20170093707A (ko) 롤러 베어링
US10208797B2 (en) Tapered roller bearing
US10941811B1 (en) High-speed bearing
US20140023304A1 (en) Rolling bearing with rolling bodies and flange
JP2006112555A (ja) 調心輪付きころ軸受
KR20160082776A (ko)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KR20190102670A (ko) 케이지 변형이 억제되는 구름 베어링
US20200370594A1 (en) Rolling bearing attachment structure
KR101864611B1 (ko) 볼 베어링
KR102536309B1 (ko) 조립성이 향상된 테이퍼 롤러 베어링
KR20160082943A (ko) 이물환경 개선용 볼 베어링용 리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