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072A -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072A
KR20170006072A KR1020150096474A KR20150096474A KR20170006072A KR 20170006072 A KR20170006072 A KR 20170006072A KR 1020150096474 A KR1020150096474 A KR 1020150096474A KR 20150096474 A KR20150096474 A KR 20150096474A KR 20170006072 A KR20170006072 A KR 20170006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s
value
glucose concentration
color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702B1 (ko
Inventor
전재훈
김지선
김아희
최주현
고봉준
이은숙
오한별
김준식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6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7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1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제조명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CIE) 색 공간을 이용하여 시료의 정색반응(color reaction) 결과로 변화된 색에 대한 정보를 통해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a) 분석시료에 백색광을 조사하여 반사되어 검출된 광을 통해 RGB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RGB 값을 국제조명위원회(CIE) 색 공간상의 X, Y, Z 값으로 환산하고, 상기 X, Y, Z 값을 통해 색 좌표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색 좌표 값으로부터 파장(wavelength) 값 및 순도(purity) 값을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파장 값 및 순도 값들로부터 역 변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구하는 단계, 및 (e)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기반으로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추정된 역 변환 모델링 식을 적용하여 실시간 포도당 농도 검출하는 방법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METHOD FOR GLUCOSE CONCENTRATION DETECTION}
본 발명은 정량 분석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료의 정색반응(color reaction) 결과로 변화된 색의 RGB 값으로부터 국제조명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CIE) 색 공간을 이용하여 색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 수치로 산출하는 광학적 방법으로 포도당 농도의 미세한 변화도 수치적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색 반응(color reaction)이란 발색 또는 변색을 수반하는 화학반응으로 이를 이용하여 시료 내 대상물질의 농도를 분석하는 방법에 많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정색반응을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육안으로 시료의 변색 정도를 관찰하거나, 분광계나 비색법을 사용하여 정색반응의 정도를 관찰하는 주관적인 방법으로 농도를 정량 분석하여 부정확하다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효소전극,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그리고 농도 분석기 및 전기적 방법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효소전극의 경우는 측정값의 정확도와 전극의 안전성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나 분석기는 분석장치 외에도 많은 부대장치가 필요함으로 실험실이나 산업체 등에서 사용하기 어렵다.
그리고 전기적인 방법은 포도당이 포도당 산화효소(glucose oxidase)에 의해 산화되고 과산화수소(H2O2)가 되고, 그 다음 백금(platinum)으로 싸인 전극에서 과산화수소(H2O2)가 아래의 반응식과 같은 반응이 일어나고, 결국 당 분장 하나당 두 개의 전자를 발생하여 전류를 흐르게 된다.
포도당(glucose)+O2 →글루콘산(gluconic acid)+H2O2
H2O2→2O + 2H + 2e-
상기 화학식과 같이 발생되는 전류량과 포도당 양은 상관관계를 갖게 되어 이를 통해 포도당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전기적인 방법은 직접적인 포도당의 농도가 아닌 상관관계에 있는 전류량을 측정하기 때문에 신뢰도에 문제가 있어 정확한 포도당의 농도라 하기에는 문제가 있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08372호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도당 시료의 베네딕트 용액을 통한 정색반응(color reaction)으로 변화된 색을 측정하고, 측정된 색의 RGB 값으로부터 이를 국제조명위원회(CIE) 색 공간을 이용하여 포도당 농도를 간단하게 분석할 수 있는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은 (a) 분석시료에 백색광을 조사하여 반사되어 검출된 광을 통해 RGB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RGB 값을 국제조명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CIE) 색 공간상의 X, Y, Z 값으로 환산하고, 상기 X, Y, Z 값을 색 좌표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색 좌표 값으로부터 파장(wavelength) 값과 순도(purity) 값을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파장 값 및 순도 값들로부터 역 변환 모델링을 이용하여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구하는 단계, 및 (e)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기반으로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에서 (a) 단계 및 (b)단계는 분석시료의 포도당 농도 별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은 (a) 분석시료에 백색광을 조사하여 반사되어 검출된 광을 통해 RGB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RGB 값을 국제조명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CIE) 색 공간상의 X, Y, Z 값으로 환산하고, 상기 X, Y, Z 값을 색 좌표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색 좌표 값으로부터 파장(wavelength) 값과 순도(purity) 값을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파장 값 및 순도 값들로부터 역 변환 모델링을 이용하여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구하는 단계, 및 (e)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기반으로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가 분석시료의 농도 별로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술된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에서 상기 X, Y, Z 값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연산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에서 R, G, B는 분석시료의 색에서 측정한 값이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또한 상기 색 좌표 값은 x, y이며, x는
Figure pat00004
에 의해 연산될 수 있으며, y는
Figure pat00005
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출된 상기 파장 값이나 상기 순도 값을 통해 역 변환 모델링 기법으로 추정된 회귀식은 분석시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식으로서 역 변환 모델링 식이라 하며,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은 하기와 같은 수학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A0 내지 An은 모델링 결과 얻어진 역 변환된 색 좌표의 계수 값이고, X는 분석시료의 농도, Y는 파장 값 및 순도 값이다.
Figure pat00006
이러한 일예로서, 분석시료로 포도당 농도를 정량하는 경우, 상기 파장 값이나 순도 값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에 따라 파장 값을 이용하여 포도당 농도를 정량하는 경우에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연산될 수 있으며, 여기서 X는 포도당 농도, Y는 파장 값이다.
Figure pat00007
또한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에 따라 순도 값을 이용하여 포도당 농도를 정량하는 경우에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연산될 수 있으며, 여기서 X는 포도당 농도, Y는 순도 값이다.
Figure pat00008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색 좌표 변화를 이용한 정량 방법은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포도당 농도의 미세한 변화를 정량할 수 있다.
시료의 정색반응이 일어날 시, 일반적인 방법으로 육안으로 분석시료의 변색 정도를 관찰하거나, 분광계나 비색법을 사용하여 정색반응의 정도를 관찰하는 방법과 같이 농도변화를 부정확하게 예측하는 방식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농도 검출 방법은 색 좌표 변화를 통한 분석시료의 농도 변화를 광화학적 특성 검출을 통해 데이터를 수치화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미세한 변화도 정확하게 정량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주관적인 방법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베네딕트 용액을 이용한 포도당 농도뿐만 아니라 소변 검사, 요오드 반응과 같이 색이 변하는 지시약을 사용하는 반응 등에서 색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 수치로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대사증후군 진단 및 당뇨병의 진단, 수질검사, 혈청 콜레스테롤 검사, 임신 검사 등에 적용되어 임상연구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환경공학, 제약 및 화장품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의 순서도 이다.
도 3은 CIE 색 공간의 색도분포표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CIE 색 공간상의 파장 값 및 순도 값의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석시료의 RGB 값을 측정하기 위한 광학 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도당 농도에 따른 파장 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도당 농도에 따른 순도 값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도당 농도에 따라 CIE 색 공간상에서 색 좌표의 이동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도당 농도에 따라 CIE 색 공간상에서 파장 값의 이동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a) 분석시료에 백색광을 조사하여 반사되어 검출된 광을 통해 RGB 값을 측정하는 단계(S110), (b) 상기 RGB 값을 CIE 색 공간상의 X, Y, Z 값으로 환산하고, 상기 X, Y, Z 값을 색 좌표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S120), (c) 상기 색 좌표 값으로부터 파장(wavelength) 값 및 순도(purity) 값을 도출하는 단계(S130), (d) 상기 측정된 파장 값 및 순도 값들을 통해 역 변환 모델링으로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구하는 단계(S140), 및 (e) 상기 역변환 모델링 식에 대입하여 분석시료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시료에 대한 파장(wavelength) 값 및 순도(purity) 값을 도출하는 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단계 및 (b) 단계를 분석시료의 농도 별로 반복수행하여 색 좌표 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색 좌표 값으로부터 파장(wavelength) 값 및 순도(purity) 값을 도출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a) 단계 내지 (c) 단계를 분석시료의 농도 별로 반복수행하여, 농도에 따른 파장(wavelength) 값 및 순도(purity)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색 좌표 변화를 이용한 정량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면, 분석시료에 백색광을 조사하여 반사되어 나온 광을 검출하고, 검출된 광으로부터 분석시료의 색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RGB 값을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RGB 값은 0에서 255 사이의 디지털 값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RGB 값을 이용하여 CIE 색 공간을 기반으로 분석한다.
CIE 색 공간 (또는 CIE 1931 색 공간)은 인체의 색체 인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표준 측색 시스템으로 수학적으로 정의된 색 공간의 하나로서, 국제조명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CIE)가 1931년 제정한 것이다.
CIE 색 공간은 적색(R), 녹색(G), 청색(B)의 삼원색을 조합하여 색을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색은 CIE 색 공간에서 X, Y, Z 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RGB 값을 XYZ라는 색 공간으로 바꾸어주며 Y 값은 밝기 또는 조도의 값이 되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따라서 어떤 색의 색도를 X, Y, Z 값으로부터 계산된 값인 두 개의 값을 색 좌표 값인 x, y로 표현할 수 있다.
도 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IE 색 공간의 외곽의 곡선 경계선은 단색광의 색상(Hue)에 해당하며, 각각의 단색광의 파장이 나노미터(nm)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바깥쪽의 곡선 경계선은 '스펙트럼 위치(spectrum line)'라 명칭하며, CIE 색 공간에서 아래쪽의 직선경계선은 '보라색 선(Purple line)'이라 명칭하고 상기 보라색 선에 해당하는 색깔은 단색광으로 표현할 수 없다. 또한 이러한 CIE 색 공간에서 채도가 낮은 색깔인 흰색이 가운데 영역에 존재하며, 이러한 CIE 색 공간의 한 가운데 점을 '백색 점'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이 분석시료의 RGB 값을 CIE 색 공간상에서의 파장 값과 순도 값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RGB 값을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 CIE 색 공간에서 X, Y, Z 값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 G, B는 분석시료의 색을 측정한 값이다.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그 다음 상기 X, Y, Z 값을 토대로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x, y 값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상기 x, y 값은 색 공간상에서의 색 좌표 값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상기 산출된 색 좌표 값을 기반으로 파장 값 및 순도 값을 얻을 수 있으며, 상기 파장 값은 상기 색 좌표 값을 잇는 직선이 CIE 색 공간의 외곽의 곡선 경계선과 만나는 지점을 통해 도출할 수 있고, 상기 순도는 상기 색 좌표 값과 CIE 색 공간의 한 가운데의 백색 점 사이의 거리를 환산하여 도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파장은 측정된 색 좌표 값을 CIE 색 공간의 색도분포표를 기준으로 표시되어, 상기 색 좌표 값과 상기 CIE 색 공간에서 스펙트럼 라인(spectrum line) 상에서 일직선으로 만나는 부분을 파장 값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CIE 색 공간에서 스펙트럼 위치(spectrum line)에 있는 좌표는 순도(Purity)가 100%이며, 안쪽의 백색광 지점으로 갈수록 순도 값은 낮아져 백색광 지점 좌표 값의 순도는 0%이다.
그러므로 상기 순도는 상기 일직선으로 만나는 스펙트럼 라인(spectrum line) 지점을 100%로 하여, 상기 백색광 지점의 좌표 값과 측정된 색 좌표 값 사이의 값을 순도 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출된 파장 값 및 순도 값을 통해 분석시료로서 포도당 농도의 검출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수학식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포도당 농도에 따른 색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1% 내지 40% 농도를 갖는 각 농도가 다른 포도당 용액을 준비하며, 이때 포도당 용액은 40% 포도당 용액에 증류수를 섞어 그 농도를 희석하여 준비한다. 이와 같이 준비된 포도당 용액 10mL과 베네딕트 용액(Benedict's solution) 2mL를 혼합하고 약 2 분정도 일정시간 동안 가열하여 최종적으로 분석할 시료를 준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석시료인 포도당 용액의 RGB 값을 측정하기 위한 광학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센서는 빛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꿔 RGB 값을 얻기 위한 센서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레이 타입(array type)으로 배열된 복수의 광 다이오드 및 컬러필터로 이루어진 컬러센서로 TCS3200(AMS-TAOS, USA)가 사용될 수 있다.
포도당 용액에서부터 반사되어 나온 광학센서인 컬러센서 수광된 빛은 디지털 신호인 RGB값으로 변환하여 저장되고, 저장된 RGB 값을 앞서 설명한 CIE 색 공간에서 X, Y, Z 값으로 변환하고, 이를 통해 색 좌표 값을 산출한다. 산출된 색 좌표 값으로부터 파장 값 및 순도 값은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은 포도당 농도 변화에 따라 측정된 RGB 값과 파장 값 및 순도 값을 나타낸 결과이다.
포도당농도(%) R G B 파장(nm) 순도(%)
1 30 27 26 497 1.373
2 26 26 23 516 3.103
3 30 30 26 534 4.266
4 30 29 23 561 11.21
5 36 31 23 574 20.24
6 36 29 22 578 20.73
7 35 24 19 587 22.93
8 39 25 19 589 28.56
9 36 21 16 592 30.43
10 38 20 15 595 34.96
15 44 18 14 601 43.99
20 47 19 15 602 44.72
25 46 18 14 602 46.02
30 50 19 15 603 47.77
35 57 21 16 603 52.16
40 58 21 16 603 53.16
도 6 및 도 7은 표 1에 나타난 포도당 농도에 따른 파장 값 및 순도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포도당 용액의 농도 변화에 따라 파장 값 및 순도의 값이 계속적으로 증가(monotonically increasing region)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가로축 변수인 포도당 농도와 세로축 변수인 파장 또는 순도를 역 변환하는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포도당 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 포도당 농도 검출은 역 변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추정된 회귀식을 구하고 이에 따라 검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회귀식을 본 발명에서는 역 변환 모델링 식이라 명칭한다.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은 하기 수학식 3과 같으며, 여기서 A0 내지 An은 모델링 결과 얻어진 역 변환된 색 좌표의 계수 값, X는 농도, Y는 파장 값이나 순도 값이다.
Figure pat00014
상기 수학식 3과 같이 역변환 모델링을 통해 포도당 농도를 환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측정된 포도당 농도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5차 다항식을 이용한 역 변환 모델링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여기서 측정 결과와 모델링을 통해 얻어진 회귀 식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척도인 결정계수(R2)는 파장과 순도 모두 R2은 0.992이고 유의수준 p 값은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알 수 있었다.
포도당 농도를 정량하는 경우에서 역 변환 모델링 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된 파장 값을 이용하여 포도당 농도를 정량하는 경우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5차 다항식을 이용한 역 변환 모델링 한 결과 여기서 X는 포도당 농도이고, Y는 파장 값이다.
Figure pat00015
또한, 같은 방법으로 순도 값을 이용하여 포도당 농도를 정량한 경우에도 도7을 참조하면 하기 수학식 5와 같이 역 변환 모델링한 결과이다. 여기서 X는 포도당 농도이고, Y는 순도 값이다.
Figure pat00016
또한, 이와 같은 추정된 회귀식을 LabVIEW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실시간 포도당 농도 검출이 가능한 색 좌표 변화에 따른 농도 검출 방법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색 좌표 값이 중앙의 백색부분에서 스펙트럼 위치(Spectrum line)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침점물이 증가되어 색의 순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포도당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색 좌표 값의 변화는 스펙트럼 위치(Spectrum line)에서의 파장 값의 증가와 함께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베네딕트 시약을 포도당 용액에 첨가하여 가열하면, 시료 용액은 청색에서 진한 오렌지색으로 점차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즉, 포도당 농도에 따라 청색에서 녹색, 황색, 진한 오렌지색의 순서대로 색의 변화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서 살펴본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Claims (7)

  1. (a) 분석시료에 백색광을 조사하여 반사되어 검출된 광을 통해 RGB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RGB 값을 국제조명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CIE) 색 공간상의 X, Y, Z 값으로 환산하고, 상기 X, Y, Z 값을 통해 색 좌표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색 좌표 값으로부터 파장(wavelength) 값 및 순도(purity) 값을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파장 값 및 순도 값들로부터 역 변환 모델링을 이용하여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구하는 단계; 및
    (e)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기반으로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및 상기 (b) 단계를 분석시료의 농도 별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2. (a) 분석시료에 백색광을 조사하여 반사되어 검출된 광을 통해 RGB 값을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RGB 값을 국제조명위원회(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CIE) 색 공간상의 X, Y, Z 값으로 환산하고, 상기 X, Y, Z 값을 통해 색 좌표 값으로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색 좌표 값으로부터 파장(wavelength) 값 및 순도(purity) 값을 도출하는 단계;
    (d) 상기 파장 값 및 순도 값들로부터 역 변환 모델링을 이용하여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구하는 단계; 및
    (e)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을 기반으로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및 상기 (c) 단계를 분석시료의 농도별로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X, Y, Z 값은 하기 수학식에 따라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여기서, 상기 R, G, B는 분석시료의 색에서 측정한 값임)
  4.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색 좌표 값은 x, y이며, x는
    Figure pat00020
    에 의해 연산되고, y는
    Figure pat00021
    에 의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은
    Figure pat00022
    (여기서, A0 내지 An은 모델링 결과 얻어진 역 변환된 색 좌표의 계수 값, X는 분석시료의 농도, Y는 파장 값이나 순도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역 변환 모델링 식에 따라 파장 값을 이용하여 포도당 농도를 정량하는 경우에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Figure pat00023

    (여기서, X는 포도당 농도, Y는 파장 값)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역변환 모델링 식에 따라 순도 값을 이용하여 포도당 농도를 정량하는 경우에는 하기 수학식에 따라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Figure pat00024

    (여기서, X는 포도당 농도, Y는 순도 값)
KR1020150096474A 2015-07-07 2015-07-07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KR10170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474A KR101706702B1 (ko) 2015-07-07 2015-07-07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474A KR101706702B1 (ko) 2015-07-07 2015-07-07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072A true KR20170006072A (ko) 2017-01-17
KR101706702B1 KR101706702B1 (ko) 2017-02-15

Family

ID=5799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474A KR101706702B1 (ko) 2015-07-07 2015-07-07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7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0686A (zh) * 2019-02-27 2019-06-18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提高半定量毒物检测精确度的方法、系统及终端
KR20230148804A (ko) * 2019-12-31 2023-10-25 주식회사 젠라이프 글루코즈 색 센서, 글루코즈 변색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센싱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687B1 (ko) * 2020-06-30 2021-10-19 광주과학기술원 Rgb 값을 이용한 포도당 농도 측정 장치
KR20230060229A (ko) * 2021-10-27 2023-05-04 한국전기연구원 광열 모듈레이션 레이저 스펙클 영상을 이용한 포도당 농도 측정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297A (ja) * 1994-10-11 1996-04-30 Fuji Electric Co Ltd 液体の着色検知装置
KR101308372B1 (ko) 2013-05-22 2013-10-04 주식회사 에스코넥 정량 수치 분석결과를 위한 요화학분석 모듈 및 방법
KR20140129532A (ko) * 2013-04-30 2014-11-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빛의 투과도를 이용한 pH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297A (ja) * 1994-10-11 1996-04-30 Fuji Electric Co Ltd 液体の着色検知装置
KR20140129532A (ko) * 2013-04-30 2014-11-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빛의 투과도를 이용한 pH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308372B1 (ko) 2013-05-22 2013-10-04 주식회사 에스코넥 정량 수치 분석결과를 위한 요화학분석 모듈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광학적 방법을 이용한 색 정보 검출, 전기학회논문지 64(1), pp. 159-164.(2015.01.31.)* *
반사형 소자를 이용한 시료 의 컬러정보 및 농도분석, 전기학회논문지 63(8), pp. 1121-1127.(2014.08.3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0686A (zh) * 2019-02-27 2019-06-18 山东大学齐鲁医院 一种提高半定量毒物检测精确度的方法、系统及终端
KR20230148804A (ko) * 2019-12-31 2023-10-25 주식회사 젠라이프 글루코즈 색 센서, 글루코즈 변색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센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702B1 (ko)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1903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improved accuracy of test results
Pessoa et al. A digital image method of spot tests for determination of copper in sugar cane spirits
US2020022516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determining compromised reagent pads by quantifying color changes induced by exposure to a hostile environment
US10352950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omponent measurement
KR101706702B1 (ko) 포도당 농도 검출 방법
US201500551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 colorimetric assay
TWI636252B (zh) 分析物濃度測定的正規化校正
JP7185701B2 (ja) 試料中の分析物を検出するためのカメラを較正し使用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0346983B2 (en) Method for estimating an amount of analyte in a fluid
CN114235726B (zh) 微流控总氮浓度检测的数据处理方法、系统、设备及介质
Raja et al. Use of RGB color sensor in colorimeter for better clinical measurement of blood glucose
KR101490333B1 (ko) 빛의 투과도를 이용한 pH측정 장치 및 방법
Fay et al. Critical importance of RGB color space specificity for colorimetric bio/chemical sensing: A comprehensive study
Raja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 colorimeter designed with RGB color sensor
WO2001036943A1 (fr) Procede d&#39;estimation de mesure d&#39;absorbance et appareil associe
Palekar et al. Biochemical blood sensing platform with CMOS image sensor and software-based wavelength filter
KR102239896B1 (ko) 시료 변화 감지 장치와 시료 변화 감지 장치에서 시료들의 광학적 편차를 보정하는 방법
KR20170006073A (ko) Led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농도 검출 장치
Kim et al. An array-type RGB sensor for precision measurement of pH
TW201122458A (en) Liquid chromaticity inspecting device and inspecting method thereof
JPWO2019162496A5 (ko)
JPH0242328A (ja) 溶液の色調分析方法及び装置
Thomas et al. Development of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using Image Processing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Kompany-Zareh et al.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for resolution of noisy smartphone based diffuse reflectance data from CdS pigments
JP5020219B2 (ja) 分析方法および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