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960A - 기타용 점착 스티커 - Google Patents

기타용 점착 스티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960A
KR20170005960A KR1020150096068A KR20150096068A KR20170005960A KR 20170005960 A KR20170005960 A KR 20170005960A KR 1020150096068 A KR1020150096068 A KR 1020150096068A KR 20150096068 A KR20150096068 A KR 20150096068A KR 20170005960 A KR20170005960 A KR 20170005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tar
adhesive sticker
sticker
adhesive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데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데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데임
Priority to KR1020150096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5960A/ko
Publication of KR20170005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9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4Tuning devices, e.g. pegs, pins, friction discs or worm gea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타의 울림통을 이루는 전면판에 부착되어 진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진동판의 진동 및 공명으로 구현되는 기타의 음색과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기타의 전면판에 점착되는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에 점착제가 도포 되고 표면에 문자 또는 그림이 인쇄되는 PET지 원단과 상기 합성수지 원단의 상부에는 부착되며, 접착면이 불소표면처리로 코팅된 이형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스티커가 기타의 전면판에 부착되어서 기타 연주중 상기 전면판의 떨림을 억제하면서 기타의 음색과 음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타용 점착 스티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타용 점착 스티커 {Peel-off sticker for guitar}
본 발명은 기타의 전 낯에 점착하는 스티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타의 전 낯에 부착된 점착 스티커에 의해 기타의 전 낯의 공명이 조절되면서 기타 음을 미세 하게 조율할 수 있는 기타용 점착 스티커에 관한 것이다.
기타는 널리 알려진 현악기로서 외부 음파로부터 진동하여 소리를 내는 발음체인 울림통과 대략 6개∼12개의 줄이 연결되는 넷으로 구성된다. 상기 네트의 일단에는 기타의 줄을 감는 헤드 기계가 위치한다. 기타는 울림통을 몸으로 감싸듯이 파지하고 손가락 등으로 기타 줄을 퉁겨서 줄의 진동이 울림통을 진동시키며 그 진동에 의해 소리를 발생시키는 악기이다.
특히 기타의 음색과 음질에 직접적이고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전 낯은 가벼우면서도 내구성이 좋은 목재를 선별해 사용하는데, 보통 목질이 단단하고 오랜 기간 동안 자연건조를 거쳐 가볍고 최대한 얇은 두께로 가공해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기타의 소리는 대부분 전 낯으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람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것은 귀로 들려오는 공기의 진동이고, 기타에서는 전면판 떨면서 이 공기의 진동을 만들어낸다.
기타의 전 낯은 그 면적이 증가할수록 공명효과가 증가하는데 사용자가 휴대하거나 연주하는데 불편이 없어야 하기 때문에 전 낯의 크기를 확대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한된 크기로부터 큰 소리, 좋은 소리를 얻기 위해서는 전면판이 잘 진동해야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얇은 두께로 제작되어야 한다. 전면판이 기타 줄이 튕김에 따라 발생한 음을 공명시켜 큰 소리로 울리게 하기 때문이다.
또한, 내구성이 좋아야 하는 이유로는 기타 줄과 연결돼 전달되는 큰 장력 때문에 변형이나 파손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기타의 내구성을 고려해 전면판의 두께를 두껍게 가공하면 공명이 감소하면서 기타의 음질과 음색이 감소하고, 반면 전면판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라면 기타 줄의 장력에 의해 전면판 및 함께 구성된 측판과 후면 판이 변형되는 문제가 있다.
기타의 음질과 음색에 대해 좀더 살펴보면, 기타는 사용자가 튕긴 줄이 공기를 진동시키고, 이 진동은 기타의 사운드 홀을 통해 후면 판에 부딪히면서 반사되어 전면판으로 전달되며, 결국 전면판이 진동, 공명하면서 음이 증폭되게 된다.
따라서 기타의 후면 판과 측판은 소리의 반사특성에 관계되고, 전면판은 음량증대에 관계된 구성이며, 전면판의 떨림 즉, 공명은 기타의 음색과 음량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기타의 전면판 크기와 두께 및 사운드 홀의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음장모드는 보통 50Hz 부근의 저주파 대역으로부터 2000~4000Hz의 고주파 대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연주과정에서는 다양한 대역에서 전면판이 진동하면서 기타의 음을 증폭하고, 이 과정에서 기타의 음량과 음색이 결정되어 사용자 및 청중에게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예전부터 기타는 대중적으로 인기있고 널리 사용되는 악기로서 대규모 설비시설을 갖춘 악기제조처에서 규격화된 생산과정을 통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되는 목재의 목질과 상태를 고려한 생산이 이뤄질 수 없어 생산된 기타마다 특히 전면판의 생산결과는 동일할 수 없으므로 음질과 음색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사용자마다 자신이 선호하는 연주기법과 음색이 있지만, 생산된 기타는 그 구조나 형태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음색과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여지가 없고,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자신이 선호하는 음색과 음량에 따라 제품과 생산처를 구별해 구매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등록특허 제10-0336920호(발명의 명칭: 기타의 공명상자 (Resonance box of guitar), 등록일: 2002년 05월 03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타의 울림통을 이루는 전면판에 부착되어 진동을 억제하는 것으로 진동판의 진동 및 공명으로 구현되는 기타의 음색과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점착 스티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기타용 점착 스티커는 하부에 점착제가 도포 되고 표면에 문자 또는 그림이 인쇄되는 PET지 원단과 상기 합성수지 원단의 상부에는 부착되며, 상기 합성수지 원단과의 접착면이 불소표면처리로 코팅된 이형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스티커 및 상기 점착 스티커는 기타의 전면판에 부착되어 기타의 연주중 상기 전면판의 떨림을 억제하는 것으로 기타의 음색과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점착 스티커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울림통을 이루는 전면판에 합성수지재의 점착 스티커를 점착시 킴으로써 전면판의 진동에 직접적 영향을 주어 기타의 음색과 음량을 미세하게 사용자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면판에 점착되는 스티커의 두께와 크기를 다양하게 제공해 사용자가 전면판상의 선택 부분에 점착시켜 감지된 음량과 음색에 따라 점착 스티커를 부가하거나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타 음색 및 음량 구현을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판의 사운드 홀 주변에 기타 스티커를 점착시킴으로써 기타 연주 과정에서 전면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타 스티커에 다양한 문자 또는 그림을 인쇄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성을 표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타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기타의 전면판, 측판 및 후면 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기타 연주 과정에서 전면판에 가해지는 진동밀도를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결과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기타용 점착 스티커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기타용 점착 스티커가 기타에 점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타용 점착 스티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타용 점착 스티커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타용 점착 스티커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8의 기타용 점착 스티커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타용 점착 스티커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기타용 점착 스티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서는 하부에 점착제가 도포 되고 표면에 문자 또는 그림이 인쇄되는 합성수지 원단과, 상기 합성수지 원단의 상부에는 부착되며, 표면이 불소표면처리로 코팅된 이형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스티커로서, 상기 점착 스티커는 기타의 전면판에 부착되어 기타의 연주중 상기 전면판의 떨림을 억제하는 것으로 기타의 음을 조율할 수 있는 기타용 점착 스티커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다수의 보강목이 설치된 기타 울림통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타용 점착 스티커가 설치되는 기타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사운드 홀(111)이 형성되고 상면에 기타 줄이 위치하며 퉁겨지는 기타 줄의 진동으로 소리를 발생시키는 전면판(110)과, 상기 전면판(110)의 진동을 반향 시키는 후판(120) 및 상기 전면판(110)과 후판(120)을 연결하는 측판(130)으로 몸체(100)가 이뤄진다.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네크(140)가 설치되고, 네트(140)의 일단에는 헤드머신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기타의 줄이 고정되는 브릿지가 형성된다. 상기 헤드머신과 브릿지에는 기타의 줄이 고정되며, 상기 헤드머신의 볼트를 감아 기타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으로 기타의 음을 조율할 수 있게 된다.
기타의 전면판(110)은 일반적으로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좋은 목재를 사용해 제작되는데, 특히 기타의 전면판(110)의 진동 또는 울림에 따라 기타의 음색과 음량이 결정되기 때문에 좋은 목재를 선별해서 가능한 얇은 두께로 전면판(110)을 제작해 진동이 잘 일어나도록 가공하는 것이 기타 제작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기타의 음량이 충분하게 강하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상기 전면판(110)이 정확한 음을 낼 수 있도록 조율된 기타 줄의 장력을 오랜 시간 동안 기타의 각 구성들이 변형 없이 잘 버텨야 하고, 동시에 사용함에 있어 불편이 없도록 충분히 가벼워야 한다. 그리고에 기타의 각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서 후반에서 반향 된소리를 공명시켜 큰 소리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전면판(110)은 활발한 공명을 위해 얇은 두께로 형성됨에도 기타 줄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큰 장력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전면판(110)에 쓰이는 목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에 의한 울림을 위해 가벼워야 하고, 또한 울림이 좋아지도록 전체 면이 균일한 두께로 가공되어야 전체 면에서 진동이 이뤄지면서 공명이 잘 이뤄져 좋은 음색과 음량을 구현하게 된다.
도 3 의 (a)와 (b)는 기타 연주과정에서 기타의 몸체(100)에서 발생하는 진동(558Hz)을 시뮬레이션의 결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의 몸체(100)에서 측판(130)과 후면판(120)에 비하여 전면판(110)이 크게 진동하면서 기타의 음색과 음량 결정에 가장 직접적이고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타용 점착 스티커는 상기 전면판(110)에 소정의 크기와 두께를 갖는 스티커를 점착시킴으로써 전면판(110)의 진동을 부분적으로 감소 또는 반감시켜 상기 전면판(110)의 진동으로 구현되는 기타의 음색과 음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타용 점착 스티커(200)는 PET, PC, 우레탄 등 공지의 합성수지재로부터 선택된 재료를 이용한 필름형태의 합성수지 원단(202)을 베이스로 하부에 점착제(204)가 도포 되고, 상기 합성수지 원단(202)의 표면에 문자 또는 그림이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 원단(202)의 상부에는 접착면이 불소표면처리로 코팅된 이형지층(206)이 적층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타용 점착 스티커(200)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타의 전면판(110)에 점착되어서 전면판(110)의 진동을 부분적으로 감쇄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전면판(110)의 다수 곳에 동시에 점착되거나, 점착되었던 스티커를 떼어내 다른 부분에 점착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질과 음량이 구현되도록 기타의 전면판(110)에 스티커를 점착시켜 조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기타용 점착 스티커는 앞서 서술한 점착 스티커(200) 다수 개가 적층된 다층 점착 스티커(201)를 제안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층 점착 스티커(201)는 다양한 크기와 두께로 형성된 합성수지원단(202)이 서로 적층된 것으로, 기타의 전면판(110)에 점착된 위치와 그 두께에 따라 전면판(110)의 진동을 억제, 감쇄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층 점착 스티커(2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층이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된 점착 스티커(a~d)가 서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층 점착 스티커(201)는 동일한 두께를 갖는 다수의 점착 스티커들(a~d)이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두께의 점착 스티커들(a~d)이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전면판(110)에 상기 점착 스티커(a~d)를 점착시켜 기타를 연주해본 후, 자신이 선호하는 음색과 음량 조절을 위해 서로 다른 두께의 점착 스티커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거나 부가함으로써 미세하게 기타의 음색과 음량을 조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도면에서는 상기 다층 점착 스티커(201)가 a로부터 d로 가면서 크기와 두께가 점차 감소하게 형성된 것으로서, 이때 각 다층 점착 스티커(201)는 상기 다층 점착 스티커(201)의 일측 가장자리 일부에는 점착제(204)가 도포 되지 않은 부분을 별도로 형성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층 점착 스티커(201)는 그 두께와 제거를 위해 파지할 부분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별되는 색으로 표시하거나 돌출된 태그(tag)를 더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두께에 따른 전면판(110)의 진동 억제와 감쇄를 가늠해 사용자가 다층 점착 스티커(201)를 부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다층 점착 스티커(2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홀(111)의 둘레에 맞춰 점착될 수 있도록 사운드 홀(111)의 둘레 형상을 만족하는 라운드면을 기준으로 서로 적층되게 형성되어서 기타의 전면판(110) 특히 사운드 홀(111)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기타의 전면판(110)과 함께 기타의 음질과 음량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사운드 홀(111)의 주변에 본 발명의 다층 점착 스티커(201)를 설치함으로써 기타의 음질과 음량에 보다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은 물론, 외관상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점착 스티커를 사용함에 있어 거부감이나 이질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서로 다른 크기의 다층 점착 스티커(200)가 적층됨으로서 기타의 전면판(110)의 진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해 진동의 정도를 더욱 억제, 감쇄할 수 있고, 그 결과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기타의 음량과 음질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서로 다른 크기의 점착 스티커를 선택해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손쉬운 기타 음질의 조율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가장 큰 크기의 a로부터 가장 작은 크기의 b까지 점차 크기가 감소하는 점착 스티커들이 적층되어 기타의 사운드홀(111)의 둘레에 점착된 다층 점착 스티커(201)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는 상기 점착 스티커(2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합성수지 원단(202)에 사운드홀(111)의 둘레형상을 만족하는 라운드면을 제외한 점착 스티커(200)의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 절취선이 형성되되, 내측으로 감소하게 형성된 테두리 절취선이 다수 개 형성된 점착 스티커(200)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이 선호하는 음으로 조율하는 과정에서 상기 점착 스티커(200)에 형성된 테두리 절취선으로 점착 스티커(200)의 면적을 선택해 점착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기타의 음질과 음색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점착 스티커(200)의 크기를 감소시켜야 하거나 일부를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 테두리 절취선을 이용해 점착된 스티커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미세한 기타 조율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도 10에서는 사운드홀(111)의 둘레에 점착되는 점착 스티커(200)를 구성함에 있어, 사운드홀(111)의 둘레 모두에서 점착될 수 있도록 사운드홀(111)의 둘레 형상을 만족하는 링 형상의 점착 스티커(200)를 제안한다.
상기 링 형상의 점착 스티커(200)는 각각의 직경이 서로 다른 링 형상의 스티커가 함께 점착되어서 필요에 따라 제거할 수 있게 구성된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 홀(111)의 둘레에 설치되어서, 기타의 연주시 전면판(110)과 사운드홀(111)의 진동을 흡수 및 억제하면서 미세하게 기타의 음색과 음질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판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기타 110 : 전면판
111 : 사운드홀 120 : 측면판
130 : 측판 140 : 네크
200 : 점착 스티커 201 : 다층 점착 스티커
202 : 합성수지 원단 204 : 점착제
206 : 이형지층

Claims (6)

  1. 문자 또는 그림이 상부면에 인쇄되고 하부면에 점착제가 도포되는 합성수지 원단; 및
    상기 합성수지 원단의 상부면에 부착되며, 부착면이 불소표면처리된 이형지층;을 포함하는 점착 스티커가 기타의 전면판에 점착되어서 기타 연주시 상기 전면판의 떨림을 억제하면서 기타의 음색 및 음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점착 스티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스티커는 상기 기타의 사운드홀의 둘레에 점착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운드홀의 형상과 같은 사운드 홀 절취선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점착 스티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스티커는 서로 다른 두께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점착 스티커가 서로 적층된 다층 점착 스티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점착 스티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 점착 스티커는 각각의 점착 스티커에서 동일한 위치와 크기로 형성된 사운드 홀 절취선이 형성되어 사운드 홈의 둘레에서 함께 점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점착 스티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스티커는 테두리를 절취할 수 있는 테두리 절취선이 형성되되, 내측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차례로 감소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테두리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점착 스티커.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스티커는 상기 사운드 홀의 둘레에 점착되는 소정의 폭으로 형성된 링 형태의 점착 스티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타용 점착 스티커
KR1020150096068A 2015-07-06 2015-07-06 기타용 점착 스티커 KR20170005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68A KR20170005960A (ko) 2015-07-06 2015-07-06 기타용 점착 스티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068A KR20170005960A (ko) 2015-07-06 2015-07-06 기타용 점착 스티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960A true KR20170005960A (ko) 2017-01-17

Family

ID=57990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068A KR20170005960A (ko) 2015-07-06 2015-07-06 기타용 점착 스티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59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920B1 (ko) 1999-09-30 2002-05-27 배윤수 기타의 공명상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6920B1 (ko) 1999-09-30 2002-05-27 배윤수 기타의 공명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9985B2 (en) Hybrid electric/acoustic percussion instrument
CN100570705C (zh) 音调调制鼓
US79687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sound output characteristics of a drum
US7763788B2 (en) Cymbal muting system
US5811709A (en) Acoustic drum with electronic trigger sensor
US20060021495A1 (en) Electric percussion instruments
US20080264235A1 (en) Drum structures having turn-on drumhead tuning and spherical acoustic chambers
US5918299A (en) Stringed instrument
JP2003066953A (ja) 改装可能なドラムヘッド
US20140256218A1 (en) Kazoo devices producing a pleasing musical sound
US6051764A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 formed from bamboo plates
WO2016075664A1 (en) Musical instrument for preventing player's body from damping vibrations
US6150594A (en) Drumming apparatus
US7657051B1 (en) Bass drum speaker
US8569602B2 (en)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nd related methods
US8536434B2 (en) Retrofit kit and method for tuning and miking resonant side drumhead
JP2008026350A (ja) 電子打楽器
JP2004526180A (ja) インテグラルピックアップマウント付きアコースティックギター
KR20170005960A (ko) 기타용 점착 스티커
US8648237B1 (en) Mandolin with integrated armrest
JP3806068B2 (ja) 組立楽器
US20230237979A1 (en) Drum Accessory
US20240153473A1 (en) Drum enhancement assembly
CN2159558Y (zh) 复合式振动膜(板)发音装置
WO2020195203A1 (ja) 弦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