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936A - Ventilating device - Google Patents

Ventila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936A
KR20170005936A KR1020150095922A KR20150095922A KR20170005936A KR 20170005936 A KR20170005936 A KR 20170005936A KR 1020150095922 A KR1020150095922 A KR 1020150095922A KR 20150095922 A KR20150095922 A KR 20150095922A KR 20170005936 A KR20170005936 A KR 20170005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heat pipe
spacer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42532B1 (en
Inventor
김준호
김병호
황동원
최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티엠
Priority to KR1020150095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2532B1/en
Publication of KR20170005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9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5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10Efficient use of energy, e.g. using compressed air or pressurized fluid as energy carrier
    • Y02P80/15On-site combined power, heat or cool generation or distribution, e.g. combined heat and power [CHP]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ng device for a heat recovery, comprising a case, a heat exchanger, and an air blowing fan. The case comprises: an air supply duct allowing outdoor air to flow therein; an air discharge duct discharging indoor air; an air supply path guiding the air flowed by the air supply duct; and an air discharge path guiding the air flowed by the air discharge duct, wherein the air supply duct and the air discharge duct are formed on an external side thereof, wherein the air supply path and the air discharge path are formed therein. The heat exchanger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to be positioned across the air supply path and the air discharge path, and comprises plate-type heat pipes, a plurality of which are stacked to thereby perform a heat exchange with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supply path and the air discharge path. The air blowing fan is installed in each of the air supply path and the air discharge path so as to forcibly blow the ai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uilding to improve efficiency of a heat exchange between an air being provided indoors through an air supply duct and an air being discharged outdoors through an air discharge duct.

Description

열회수용 환기장치{VENTILATING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본 발명은 열회수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로부터 열 에너지를 회수하여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열회수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which recovers thermal energy from air exhausted to the outside and heats air supplied to the room.

근래에 들어, 건물 부문 에너지절약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건물의 밀폐성능은 나날이 향상되고 있는 반면, 이 높은 밀폐성능으로 건물 내 공기의 오염도는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수시로 환기를 시킴으로써 실내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해야 쾌적한 공기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In recent years, as building energy saving standards have been strengthened, the airtightness of air in buildings has deteriorated due to the high airtightness of buildings, while the airtightness of buildings has been improving day by da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reate a pleasant air environment by exchanging indoor air with outdoor air by venting from time to time.

실내 공기환경을 인간의 보건위생에 적합하도록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던 종래의 대표적인 환기방법으로는 창문을 열어 건물의 바람이 불어오는 쪽 창문으로부터 실외공기를 유입시키고 반대쪽 창문으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켜 교환시키는 풍력환기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풍력환기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열에너지가 그대로 배출되고 유입되므로 환기 후 실내온도가 급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 typical conventional ventilation method used to improve the indoor air environment to meet human health hygiene is to open the window to introduce outdoor air from the wind side window of the building and to discharge the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through the opposite window There is wind ventilation to exchange. However, in such wind power ventilation, since the thermal energy contained in the indoor air and the outdoor air is directly discharged and intro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oom temperature rapidly changes after the ventilation.

즉, 온도차와 환기량(실외공기 유입량)에 따른 열손실이 발생되어 동절기 난방 시에는 실내온도가 급격히 하강하고 하절기 냉방 시에는 실내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That is, the heat loss due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amount of ventilation (outdoor air inflow) is generated, so that the indoor temperature rapidly decreases during the winter season and the indoor temperature rises sharply during the summer cooling.

이와 같은 풍력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 실내로 유입되고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에너지를 교환하면서 환기를 시키는 기계식 환기시스템이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of wind power ventilation, it is a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that ventilates while exchanging heat energy of air flowing into the room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은 일반적인 기계식 환기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종래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eneral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eat exchanger.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인 환기시스템은 급기덕트(10), 배기덕트(20) 및 열교환기(30)를 포함한다. 실외공기는 열교환기(30)에서 배기덕트(20)로부터의 실내공기와 열을 교환한 후 급기덕트(10)를 따라 실내에 공급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general ventilation system includes an air supply duct 10, an exhaust duct 20, and a heat exchanger 30. [ The outdoor air exchanges heat with indoor air from the exhaust duct 20 in the heat exchanger 30, and then is supplied to the room along the air supply duct 10.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환기시스템은 열교환기(30)의 내부에 구리로 이루어진 히트파이프(31)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배기덕트(2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실외공기의 열에너지가 열교환기(30)를 통해 급기덕트(10)로 전달되어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전달하게 된다.In this prior art ventilation system, a heat pipe 31 made of copper is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the heat exchanger 30 so that the heat energy of the outdoor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 duct 20 to the outside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30 To the air supply duct 10 to transmit heat energy to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이렇게 배기덕트(20)와 급기덕트(10) 간에 열교환을 시키게 되는 열교환기(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에 의해 기화하는 작동 유체가 충전된 히트파이프(31)가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의 방열 핀(32)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heat exchanger 30, which exchanges heat between the exhaust duct 20 and the air supply duct 10, has a heat pipe 31 filled with a working fluid vaporized by heat, Radiating fin (32).

이러한 종래의 열교환기(30)는 히트파이프(31)가 구리(Cu)로 이루어지며 히트파이프(31)가 방열 핀(32)과 억지끼움에 의해 조립되기 때문에 히트파이프(31)와 방열 핀(32) 간에 열교환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Since the heat pipe 31 of the conventional heat exchanger 30 is made of copper and the heat pipe 31 is assembled by interference fit with the heat dissipation fin 32, 32 have a low heat exchange efficiency.

부연하자면, 방열 핀(32)과 히트파이프(31)가 억지끼움에 의해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방열 핀(32)과 히트파이프(31) 간에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열 이동 경로가 제한됨으로써 열교환 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The heat dissipation fin 32 and the heat pipe 31 are assembled by interference fit so that no complete contact is made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in 32 and the heat pipe 31 and the heat transfer path is limited, This is a low problem.

또한, 작동유체가 충전된 히트파이프(31)는 구리(Cu)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교환기(30)의 전체 무게가 무거워지게 될 뿐만 아니라 방열 핀(32)은 내식성의 향상을 위해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로 재질을 달리하는 히트파이프(31)와 방열 핀(32) 간의 열교환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heat pipe 31 filled with the working fluid is made of copper (Cu), the entire weight of the heat exchanger 30 is not only heavy but also the heat dissipation fin 32 is made of stainless steel steel,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heat pipe 31 and the heat dissipating fin 32, which are different in material from each other, is lowered.

또한, 방열 핀(32)과 공기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히트파이프(31)에 관통되는 방열 핀(32)은 매우 조밀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방열 핀(32)의 간격이 매우 조밀하게 되는 경우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방열 핀(32)의 표면에 부착되어 공기와 방열 핀(32) 간의 열교환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여 열교환 효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eat radiating fins 32 and the air, the heat radiating fins 32 penetrating the heat pipes 31 maintain a very tight gap. The foreign matter floating in the air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ng fin 32 and acts as an element which interferes with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air and the heat dissipating fin 32, thereby lowering heat exchange efficiency.

KR 10- 0626698 B (2006.09.14)KR 10- 0626698 B (2006.09.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에 설치되어 흡기덕트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와 배기덕트를 통해 실외로 유입되는 공기 간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회수용 환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which can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air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intake duct and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exhaust duct It has its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외면에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 및 실내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덕트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급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급기유로와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배기유로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에 걸쳐지게 설치되며 다수의 평판형 히트파이프가 적층되어 급기유로와 배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에 제각기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n air supply duct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into an outer surface; and an air discharge duct which discharges indoor air, and guides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duct into the air supply duct A casing provided with an air supply passage and an exhaust passage for guidi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haust duct; a plurality of plate-shaped heat pipes installed in the case and arranged to span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A heat exchanger for exchanging heat with air flowing along the flow path and an exhaust flow path, and a blowing fan for separately blowing air to the air supply flow path and the exhaust flow path,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케이스는 그 내부에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를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격벽을 가로질러 일측과 타측이 제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 partition wall is formed in the case for partitioning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and the heat exchanger is locat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in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평판의 형태를 갖으며 그 내부에 열에 의해 기화하는 작동 유체가 충전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다층을 형성하도록 적층된 히트파이프 및 상기 적층된 히트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를 이격시키면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공간을 제공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exchanger has a flat plate shape and is filled with a working fluid that is vaporized by heat. The heat pipe is stacked to form a multi-layer inside the case. The heat pipe is interposed between the stacked heat pipes, And a spacer which provides a through-spac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while separating the pipe.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채널은 히트싱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pacer has a plurality of channels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pass, thereby providing the through space, and the channel is formed with a heat sink.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pipe and the spacer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는 열계면 페이스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pipe and the spacer are fixed by a thermal interface paste.

이때, 상기 열계면 페이스트는 단일체로 이루어진 메시(Mesh)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thermal interface paste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single mesh.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적층된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의 외각을 감싸 고정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exchanger further includes a frame for enclosing and fix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acked heat pipe and the spacer, and the frame is preferably fixed inside the case.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의 측면과 마주하는 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에 히트파이프 또는 스페이서가 안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hook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frame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heat pipe and the spacer, and a heat pipe or a spacer is placed on the hook.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스페이서가 점착성의 열계면제에 의해 점착됨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와 일체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eat pipe is preferably integrated with the spacer as the spacer is adhered by the adhesive thermal interface agent.

또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히트파이프는 상기 배기유로에서 급기유로를 향해 상향되게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pipe installed in the fram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exhaust passage toward the air supply passage.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기 판재는 사인곡선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lso, the spacer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positioned between the heat pipe and the heat pipe, and the plate material preferably has a shape of a sinusoidal curve.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를 이격시키면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공간을 제공하는 박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페이스의 내부에 사인곡선의 형태를 갖는 히트싱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pacer includes a box that provides a through spac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while separating the heat pipe from the heat pipe, wherein a heat sink having a shape of a sine curve is provided in the space.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에 의하면,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동일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 간의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 중량이 가벼워져 환기장치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eat pipe and the spacer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r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heat transfer between the heat pipe and the spacer is rapidly performed, Can be made light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 핀의 역할을 하는 스페이서가 조밀하게 배치되지 않아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스페이서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시켜 열교환 효율이 우수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acer serving as the heat dissipation fin interposed between the heat pipe and the heat pipe is not densely arranged,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is minimized from sticking to the spacer,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가 열계면 페이스트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열전달을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견고하게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가 고정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pipe and the spacer are fixed by the thermal interface paste to smooth the heat transfer and firmly fix the heat pipe and the spacer.

도 1은 일반적인 기계식 환기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열교환기의 적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열교환기에 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eneral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eat exchange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exchanger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cking of the heat exchanger in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rame is installed in a heat exchanger in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rame installed in the heat exchanger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rame installed in a heat exchanger in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acer in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acer in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는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가 마련된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200),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300)으로 구성된다.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se 100 provided with an air supply duct 110 and an air discharge duct 120 and a case 100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to supply air to the air supply duct 110, A heat exchanger 200 for exchanging heat wit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duct 120, and a blower fan 300 for forcibly blowing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100.

부연하자면, 케이스(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가 중공된 박스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케이스(100)는 상부가 개방되며 그 내부에 열교환기(200), 송풍팬(300)이 설치되는 본체(101)와 개방된 본체(101)의 상면에 설치되는 커버(102)로 구성된다.3 and 4, the case 1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box. The case 100 is opened at its upper part and includes a heat exchanger 200, And a cover 10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ed main body 101. [

이러한 본체(101)와 커버(102)는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조립되어 일체화되며, 본체(101)와 커버(102)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내식성을 갖게 되어 장시간 습기에 노출되어도 안정적으로 열교환기(200), 송풍팬(300)을 보호하게 된다.The main body 101 and the cover 102 are assembled and integrated by a fastening means such as a bolt and the main body 101 and the cover 102 are made of stainless steel and hav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The air conditioner 200, and the air blowing fan 300 are protected.

또한, 본체(101)의 일측 외면에는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110)가 형성되며, 본체(101)의 타측 외면에는 실내공기가 배기되는 배기덕트(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는 본체(101)의 내부와 연통되어 급기덕트(110)를 통해 실외공기가 본체(101)의 내부로 유입되며 배기덕트(120)를 통해 실내공기가 본체(101)의 내부로 유입된다.An air supply duct 110 through which outdoor air flows is formed on on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and an exhaust duct 120 through which indoor air is exhausted is formed on the other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The air supply duct 110 and the air exhaust duct 120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1 so that outdoor air flows into the main body 101 through the air supply duct 110, Is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1).

이렇게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를 통해 실외공기,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본체(101)의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를 안내하는 급기유로(A) 및 배기유로(B)가 형성되어 급기덕트(110)와 배기덕트(120)를 통해 본체(10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제각기 급기유로(A)와 배기유로(B)를 통해 실내로 급기하거나 실외로 배기한다.As shown in FIG. 4, the main body 101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are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duct 110 and the exhaust duct 120 is provided with an air supply passage A for guiding outdoor air and indoor air,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1 through the air supply duct 110 and the air exhaust duct 120 is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flow path A and the air discharge flow path B, Exhaust outdoors.

이렇게, 본체(101)로 유입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를 안내하도록 본체(101)의 내부에 마련되는 급기유로(A) 및 배기유로(B)는 격벽(130)에 의해 구획되어 본체(101)의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섞이지 않도록 차단하게 된다.The air supply passage A and the air discharge passage B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1 to guide the outdoor air and the room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1 ar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130, So that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door space are prevented from being mixed.

격벽(130)은 본체(101) 내부를 양분하여 일측으로 실외공기가 타측으로 실내공기가 흐르도록 본체(101)의 내측 선단에서 기단을 향해 연장되고, 이러한 격벽(130)을 가로질러 열교환기(200)가 설치되어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와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열 에너지를 교환시키게 된다.The partition wall 130 extends toward the base end from the inner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1 so as to divid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1 into one side so that outdoor air flows to the other side, 200 are installed to exchange heat energy between the air exhausted to the outside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room.

즉, 열교환기(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내부 공간을 급기유로(A)와 배기유로(B)로 구획하는 격벽(130)을 가로질러 위치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때 열교환기(200)의 일측과 타측이 제각기 급기유로(A)와 배기유로(B)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급기덕트(110) 및 배기덕트(120)를 통해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열교환기(200)를 통과하면서 열을 전달하여 배기덕트(120)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가 가지고 있는 열 에너지를 급기덕트(110)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에 전달하게 된다.3 and 4, the heat exchanger 200 is installed across the partition 130 separ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0 from the air supply passage A and the exhaust passage B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200 are installed in the air supply flow path A and the exhaust flow path B to flow into the case 100 through the air supply duct 110 and the air discharge duct 120,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pass through the heat exchanger 200 to transfer heat and the heat energy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duct 120 is transferred to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duct 110 .

이렇게,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어 실외공기와 실내공기의 열 에너지를 교환시키게 되는 열교환기(200)는 다수의 평판형 히트파이프(210)가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교환기를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heat exchanger 200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to exchange the heat energy of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flat plate heat pipes 210 are stacked. Such a heat exchang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열교환기의 적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 exchanger in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acking of the heat exchanger in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열교환기는 평판의 형태를 갖는 챔버(211)의 내부에 열에 의해 기화하는 작동 유체(212)가 충전되며 케이스(100)의 내부에서 다층을 형성하도록 적층된 히트파이프(210) 및 적층된 히트파이프(210) 사이에 개재되어 히트파이프(210)와 히트파이프(210)를 이격시켜 공기가 통과하는 틈새를 형성하는 스페이서(220)로 구성된다.The heat exchanger includes a chamber 211 having a flat plate shape, a heat pipe 210 filled with a working fluid 212 that is vaporized by heat and stacked to form a multi-layer inside the case 100 And a spacer 220 interposed between the heat pipe 210 and the stacked heat pipe 210 to separate the heat pipe 210 from the heat pipe 210 to form a gap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부연하자면, 히트파이프(210)는 얇은 두께를 갖는 평판과 같은 형태를 갖는 챔버(211)와 상기 챔버(211) 내부에 충전되는 작동 유체(212)로 구성되어 히트파이프(210)를 지나는 공기의 열 에너지가 챔버(211)에 전달되면서 작동 유체(212)가 기화되어 열을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heat pipe 210 includes a chamber 211 having a thin plate-like shape and a working fluid 212 filled in the chamber 211. The heat pipe 210 is formed of a thin plate, And the working fluid 212 is vaporized and heat is transferred while the thermal energy is transferred to the chamber 211.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200)는 상기한 형태의 히트파이프(210)가 복수로 마련되어 급기유로(A) 또는 배기유로(B)의 축선방향과 직교하도록 케이스(100) 내부에 적층되어 급기유로 또는 배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열교환기(20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챔버(211)는 열전도율이 우수하고 구리에 비해 중량이 가볍고, 가공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다.Particularly, the heat exchang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eat pipes 210 of the above-described type and is stacked inside the case 100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air supply passage A or the exhaust passage B The outdoor air or the indoor air flowing along the air supply passage or the exhaust passage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r 200. At this time, the chamber 211 is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which is excellent in heat conductivity, light in weight compared to copper, and excellent in workability.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적층된 히트파이프(210)와 히트파이프(210) 사이에는 스페이서(220)가 개재되어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히트파이프(21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틈새를 형성하게 된다.A gap 220 is formed between the heat pipe 210 and the heat pipe 210 so that the outdoor air or the room air can pass through the heat pipe 210.

이렇게, 케이스(100) 내부에 유입된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통과하도록 히트파이프(210) 간에 틈새를 형성하게 되는 스페이서(220)는 급기유로(A)와 배기유로(B)를 따라 흐르는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채널(221)이 형성된다.The spacer 220 that forms a gap between the heat pipes 210 so that the outdoor air or the room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100 passes through the air flow path A and the air flowing along the exhaust flow path B A plurality of channels 221 passing therethrough are formed.

또한, 스페이서(220)에 형성된 채널(221)은 다수의 히트싱크(222)가 형성되어 스페이서(220)의 채널(221)을 통과하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와 접촉면적을 극대화시켜 열 전달 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스페이서(220)는 압출에 의해 채널(221)과 방열핀 형태의 히트싱크(222)가 일체로 성형된다.The channel 221 formed in the spacer 2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eat sinks 222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outdoor air or the room air passing through the channel 221 of the spacer 220, . The spacer 220 is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the channel 221 and the heat sink 222 in the form of a heat dissipation pin by extrusion.

이때, 스페이서(220)의 채널(221) 내부에 형성된 히트싱크(222)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렇게 히트싱크(222)가 요철형태로 채널(221) 내부에 형성되면 공기통로를 확보하기 유리하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히트싱크(222)의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시켜 열전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at sink 222 formed in the channel 221 of the spacer 220 is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When the heat sink 222 is formed in the channel 221 in a concavo-convex shape, So that th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222 is minimized and the heat transfer effect can be improved.

이렇게, 다층으로 적층된 히트파이프(210)에 개재되는 스페이서(220)는 바람직하게 챔버와 동일하게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져 히트파이프(210)와 히트파이프(210) 간의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The spacers 220 interposed in the multi-layered heat pipe 210 are preferably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s in the case of the chamber to improve heat transfer efficiency between the heat pipe 210 and the heat pipe 210 .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챔버(211)와 스페이서(220)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챔버(211)와 스페이서(220)가 2종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우수한 열 전달 효과를 갖게 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hamber 211 and the spacer 220 are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the chamber 211 and the spacer 220 have an excellent heat transfer effect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hamber 211 and the spacer 220 are made of two kinds of materials.

한편, 케이스(100) 내에 적층된 히트파이프(210)와 스페이서(220)는 통상의 열계면 페이스트(230)에 의해 고정된다. 히트파이프(210)와 스페이서(220)를 고정하게 되는 열계면 페이스트(230)는 물체 간 열전달 향상을 목적으로 전자제품 등과 같이 방열하고자 하는 제품에 부착되는 부재이다.Meanwhile, the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stacked in the case 100 are fixed by the ordinary thermal interface paste 230. The thermal interface paste 230 for fixing the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is a member attached to a product to be heat-dissipated, such as an electronic produc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eat transfer between objects.

이러한 열계면 페이스트(2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테이프 등의 얇은 두께로 제작되거나 또는 액상, 겔과 같은 점도를 갖는 상태에서 도포될 수 있으며, 제품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열계면 페이스트(230)를 구성하는 배합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s shown in FIG. 6, the thermal interface paste 230 may be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such as a sheet or a tape, or may be applied in a state having a viscosity such as a liquid or a gel. . Here,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thermal interface paste 230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열계면 페이스트(230)는 단일체로 이루어진 메시(Mesh)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단일체로 이루어진 메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열전달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진 망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열계면 페이스트(230)에 메시가 마련되는 경우 열계면 페이스트(230)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어 열계면 페이스트(230)가 찢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thermal interface paste 230 may further include a single mesh. The single mesh may be in the form of a net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conductivity, such a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When a mesh is provided in the thermal interface paste 230, the rigidity of the thermal interface paste 230 is increased to prevent the thermal interface paste 230 from being torn.

또한,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는 앞서 설명한 열계면 페이스트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점착성의 열계면제에 의해 스페이서와 히트파이프가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를 일체로 형성하기 위한 접착수단으로는 열전도성 시트, 열계면 그리스, 열전도성 엘라스토머(Thermoconductive elastomer) 등이 될 수 있다.The heat pipe and the spacer may be integrally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thermal interface paste. However, in some cases, the spacer and the heat pipe may be integrally formed by a cohesive thermal interface, and the heat pipe and the spacer may be integrally formed As the adhesive means for this purpose,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a thermal interface grease, a thermoconductive elastomer,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에 의하면,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히트파이프(210)와 스페이서(220)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동일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히트파이프(210)와 스페이서(220) 간의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 중량이 가벼워져 환기장치를 경량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constituting the heat exchanger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made of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nd the weight of the ventilation device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히트파이프(210)와 히트파이프(210) 사이에 개재되는 방열 핀의 역할을 하는 스페이서(220)가 조밀하게 배치되지 않아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스페이서(220)에 달라붙는 것을 최소화시켜 열교환 효율이 우수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acer 220 serving as a heat dissipation fin interposed between the heat pipe 210 and the heat pipe 210 is not densely arrange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stick to the spacer 220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excellent.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예를 들어, 앞선 설명에서는 스페이서(220)의 채널 내부에 히트싱크(222)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도 6의 원호 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스(220)가 중공된 튜브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그 내부가 평탄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heat sink 222 is formed inside the channel of the spacer 220. However, in some cases, as shown in the arc of FIG. 6, the space 22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It may be done in a flat sha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는 열교환기(200)와 케이스(10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프레임(240)이 마련되거나, 히트파이프(210)의 열전달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경사지게 설치되거나 또는 스페이서(220)의 구조가 변경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이를 도 7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heat recovery venti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frame 240 for facilitating the assembly of the heat exchanger 200 and the case 100 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heat transfer of the heat pipe 210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Or the structure of the spacer 220 may be chang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Fig.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열교환기에 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rame is installed in a heat exchanger in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층으로 적층된 히트파이프(210)와 스페이서(220)를 모듈화시켜 케이스(100)에 간편하고 조립할 수 있도록 적층된 히트파이프(210)와 스페이서(220)의 둘레에 프레임(240)이 설치된다.The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are laminated so that the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are modularized so that the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case 100, (240).

이러한, 프레임(240)은 케이스(100)로 유입된 공기가 스페이서(220)를 통해 히트파이프(210)와 열교환할 수 있도록 히트파이프(210)와 스페이서(220)의 측면을 감싸는 중공된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frame 240 includes a hollow pipe 210 surrounding the heat pipe 21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spacer 220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100 can exchange heat with the heat pipe 210 through the spacer 220. [ .

이때, 프레임(240)은 스테인리스강과 같은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히트파이프(210), 스페이서(2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다층으로 적층된 히트파이프(210)와 스페이서(2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rame 24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such as stainless steel, or a heat pipe 210 such as aluminum or an aluminum alloy, a heat pipe 210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pacer 220, (220).

그리고, 프레임(240)과 히트파이프(210), 스페이서(220)의 고정은 앞서 설명한 열계면 페이스트(23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적층된 히트파이프(210), 스페이서(220)를 프레임(240)에 고정하기 위해 중공된 관의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240)의 내측면에 열계면 페이스트(230)가 구비되어 히트파이프(210), 스페이서(220)가 고정될 수 있다.The frame 240, the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may be fixed by the thermal interface paste 230 described above. That is, in order to fix the laminated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to the frame 240, a thermal interface paste 23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240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210, and the spacer 220 can be fixed.

이러한 프레임(240)은 케이스(100)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볼트가 관통되어 케이스(100)에 조립되는 나사공(미도시)이 형성되거나 또는 프레임(240)에 후크와 같은 결속구(미도시)를 형성하여 케이스(100)와 조립될 수 있다.The frame 240 may be formed with a screw hole (not shown) to be inserted into the case 100 through bolts to facilitate assembly with the case 100 or a hook (Not shown) may be formed and assembled with the case 100.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rame installed in the heat exchanger of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층으로 적층된 히트파이프(210) 및 스페이서(220)와 프레임(24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프레임(240)에 걸림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latching structure may be applied to the frame 240 to securely fix the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and the frame 240 stacked in a multilayer.

즉, 프레임(240)에 적용된 걸림 구조는 프레임(240)의 내부 양측면에 걸림턱(241)이 형성되어 히트파이프(210) 또는 스페이서(220)가 안치된다. 이러한 걸림턱(241)은 프레임(240)의 내측면에서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데, 이때 걸림턱(241)과 걸림턱(241) 사이의 간격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파이프(210)의 두께만큼이 되도록 형성되어 프레임(240)에 적층된 히트파이프(210) 및 스페이서(220)가 설치될 때 걸림턱(241)과 걸림턱(241) 사이에 히트파이프(210)가 위치하도록 형성된다.That is, the latching structure applied to the frame 240 has the latching protrusions 241 form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frame 240 to house the heat pipes 210 or the spacers 220. 8, the spacing between the latching jaw 241 and the latching jaw 241 is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latching jaw 241 and the latching jaw 241 is smaller than that of the heat pipe 210. [ The heat pipe 210 is formed between the stopping protrusion 241 and the stopping protrusion 241 when the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are installed on the frame 240 .

그리고, 상기와 같이 프레임(240)에 걸림턱(241)이 형성된 경우 걸림턱(241)의 돌출된 길이만큼 스페이서(220)의 측단으로 걸림턱(241)이 인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적층된 히트파이프(210) 및 스페이서(220)가 프레임(240)에 설치될 때 마치 조립 블록과 같은 형태로 끼움된다.When the engaging protrusion 241 is formed on the frame 240 as described above, a space is formed through which the engaging protrusion 241 can be inserted into the side end of the spacer 220 by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engaging protrusion 241 When the laminated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are installed in the frame 240, they are fitted in the same shape as the assembly block.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프레임(240)의 걸림턱(241)과 걸림턱(241) 사이의 간격이 스페이서(220)의 두께만큼이 되도록 형성되어 프레임(240)에 적층된 히트파이프(210) 및 스페이서(220)가 설치될 때 걸림턱(241)과 걸림턱(241) 사이에 스페이서(220)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heat pipe 210 and the heat pipe 210 are formed on the frame 240 so that the gap between the latching jaw 241 of the frame 240 and the latching jaw 241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spacer 220, The spacers 2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atching jaws 241 and the latching jaws 241 when the spacers 220 are installed.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열교환기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rame installed in a heat exchanger in a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히트파이프(210)의 열전달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프레임(240)에 히트파이프(210) 및 스페이서(220)는 경사지게 설치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eat pipe 210 and the spacer 220 are installed on the frame 240 in an inclined manner so that the heat transfer of the heat pipe 210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이때, 프레임(240)에 설치되는 히트파이프(2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유로(B)에서 급기유로(A)를 향해 상향되게 기울어지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히트파이프(210)가 배기유로(B)에서 급기유로(A)를 향해 상향되게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면 배기유로(B)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는 공기가 배기유로(B) 측에 위치한 히트파이프(210)에 열을 전달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heat pipe 210 installed in the frame 240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exhaust passage B toward the air supply passage A as shown in FIG. When the heat pipe 210 is installed so as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exhaust passage B toward the air supply passage A, the air exhaus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assage B flows into the heat pipe 210 located on the exhaust passage B side, (210).

이처럼 배기유로(B) 측에 위치한 히트파이프(210)에 열이 전달되면 히트파이프(210)에 충전된 작동 유체(212)가 기화하면서 급기유로(A) 측에 위치한 히트파이프(210)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급기유로(A)를 통해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가 가열되고, 이렇게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에 열을 전달한 작동 유체(212)는 응축되면서 히트파이프(210)를 따라 배기유로(B)로 이동하게 되어 열전달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When heat is transferred to the heat pipe 210 located on the side of the exhaust passage B, the working fluid 212 filled in the heat pipe 210 is vaporized and moved to the heat pipe 210 located on the side of the air supply passage A At this time,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air supply flow path A is heated, and the working fluid 212, which transfers heat to the air supplied to the room, is condensed and flows along the heat pipe 210 along the exhaust flow path B, So that heat transfer can be performed quickly.

한편, 히트파이프(210)와 히트파이프(210)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220)는 판재로 형성되되 사인곡선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히트파이프(210)와 히트파이프(210) 사이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spacer 220 interposed between the heat pipe 210 and the heat pipe 210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and has a shape of a sine curve to allow air to pass between the heat pipe 210 and the heat pipe 210 Thereby forming a clearanc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스페이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acer in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페이서(220)는 사인곡선과 같은 웨이브가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져 사인곡선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히트파이프(210)가 접하게 된다.The spacer 220 is formed of a wave-shaped plate material such as a sinusoidal curve, and the heat pipe 2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sinusoidal curve.

이렇게 스페이서(220)가 사인곡선과 같은 웨이브를 반복 형성하게 되면 스페이서(220)가 구조적으로 탄성복원력이 발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When the spacer 220 repeatedly forms a wave such as a sinusoidal curve, the spacer 220 has a structure in which elastic restoring force is exerted structurally.

따라서, 히트파이프(210)의 상부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에 준하게 히트파이프(210) 간의 간격이 가까워졌다가 스페이서(220)로부터 발휘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히트파이프(210) 간의 간격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열교환기(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eat pipe 210,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 pipes 210 becomes closer to the external force, and the gap between the heat pipes 210 becomes larger due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exerted from the spacer 22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eat exchanger 200 from being damaged by the impact.

한편, 스페이서는 그 내부에 사인곡선의 형태를 갖는 히트싱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the spacer may be provided with a heat sink having a shape of a sine curve inside thereof.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회수용 환기장치 중 스페이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pacer in the ventilation device for heat recov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스페이서(220)는 히트파이프(210)와 히트파이프(210)를 이격시키면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공간을 제공하는 박스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사인곡선의 형태를 갖는 판재로 이루어진 히트싱크(222a)가 구비된다.The spacer 220 is formed of a box that provides a through spac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while separating the heat pipe 210 and the heat pipe 210, A heat sink 222a is provided.

이렇게 히트싱크(222a)가 사인곡선과 같은 형태를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게 되면 히트싱크(222a)가 구조적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따라서, 히트싱크(222a)가 스페이서(220)의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히트싱크(222a)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해당하는 부분이 스페이서(220)의 내측면에 접하게 되면서 탄성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히트싱크(222a)와 스페이서(220)의 접촉을 긴밀하게 할 수 있고, 따라서 히트싱크(222a)와 스페이서(220) 간의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When the heat sink 222a is formed of a sheet material having the shape of a sinusoidal curve, the heat sink 222a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exerted structurally. Therefore, when the heat sink 222a is installed inside the spacer 220,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op dead center and the bottom dead center of the heat sink 222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pacer 220 and exerts an elastic force, The contact between the sink 222a and the spacer 220 can be made close to each other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etween the heat sink 222a and the spacer 220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와 같이 히트싱크(222a)가 사인곡선의 형태를 갖는 판재로 이루어진 경우 히트싱크(222a)와 스페이서(220)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 또는 가공이 불필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히트싱크(222a)를 스페이서(220)로부터 분리시켜 히트싱크(222a)의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eat sink 222a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having a shape of a sine curve as described above, a separate member or processing for fixing the heat sink 222a and the spacer 220 is unnecessary, The heat sink 222a can be separated from the spacer 220 as needed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sticking to the surface of the heat sink 222a.

100 : 케이스 101 : 본체
102 : 커버 110 : 급기덕트
120 : 배기덕트 130 : 격벽
200 : 열교환기 210 : 히트파이프
211 : 챔버 212 : 작동 유체
220 : 스페이서 221 : 채널
222,222a : 히트싱크 230 : 열계면 페이스트
240 : 프레임 241 : 걸림턱
A : 급기유로 B : 배기유로
100: Case 101: Body
102: cover 110: air supply duct
120: exhaust duct 130: partition wall
200: heat exchanger 210: heat pipe
211: chamber 212: working fluid
220: spacer 221: channel
222, 222a: heat sink 230: thermal interface paste
240: frame 241:
A: Air supply flow path B:

Claims (12)

외면에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급기덕트 및 실내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덕트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상기 급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급기유로와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배기유로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에 걸쳐지게 설치되며 다수의 평판형 히트파이프가 적층되어 급기유로와 배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에 제각기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And an exhaust duct for exhausting indoor air. The exhaust duct includes an air supply duct for guid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duct and an exhaust duct for guiding air introduced through the exhaust duct. FIG.
A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case and arranged to pass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and having a plurality of flat plate heat pipes stacked thereon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air flowing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And
And a blowing fan installed in each of the air supply duct and the exhaust duct for forcedly blowing ai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내부에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를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격벽을 가로질러 일측과 타측이 제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se has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Wherein the heat exchanger is located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across the partition wall in the air supply flow path and the exhaust flow pa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평판의 형태를 갖으며 그 내부에 열에 의해 기화하는 작동 유체가 충전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다층을 형성하도록 적층된 히트파이프; 및
상기 적층된 히트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를 이격시키면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공간을 제공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exchanger
A heat pipe having a flat plate shape and filled with a working fluid vaporized by heat inside the case, the heat pipe being laminated so as to form a multilayer in the case; And
And a spacer interposed between the stacked heat pipes to provide a through space through which the heat pipe and the heat pipe are separated while allowing air to pass therethrough.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급기유로와 배기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의 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채널은 히트싱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pacer
Wherein a plurality of channels through which the air flowing along the air supply passage and the exhaust passage pass are formed to provide the through space, and the channel is formed with a heat sink.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t pipe and the spacer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는 열계면 페이스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heat pipe and the spacer are fixed by a thermal interface past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계면 페이스트는 단일체로 이루어진 메시(Mesh)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thermal interface paste further comprises a mesh made of a single bod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적층된 히트파이프와 스페이서의 외각을 감싸 고정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heat exchanger
Further comprising a frame for enclosing and fix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tacked heat pipe and the spacer,
And the frame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as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상기 스페이서가 점착성의 열계면제에 의해 점착됨에 따라 상기 스페이서와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heat pipe
Wherein the spacer is integral with the spacer as it is adhered by a cohesive thermal interface agent.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히트파이프는 상기 배기유로에서 급기유로를 향해 상향되게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heat pipe installed in the frame is installed to be inclined upward from the exhaust flow path toward the air supply flow path.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 사이에 위치하는 판재로 형성되되, 상기 판재는 사인곡선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pacer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positioned between the heat pipe and the heat pipe, and the plate material has a shape of a sine curv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히트파이프와 히트파이프를 이격시키면서 공기가 통과하는 관통공간을 제공하는 박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페이스의 내부에 사인곡선의 형태를 갖는 히트싱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회수용 환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pacer comprises a box for providing a through space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while separating the heat pipe from the heat pipe, wherein a heat sink having a shape of a sine curve is provided in the space. .
KR1020150095922A 2015-07-06 2015-07-06 Ventilating device KR1017425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922A KR101742532B1 (en) 2015-07-06 2015-07-06 Ventil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922A KR101742532B1 (en) 2015-07-06 2015-07-06 Ventilat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936A true KR20170005936A (en) 2017-01-17
KR101742532B1 KR101742532B1 (en) 2017-06-01

Family

ID=5799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922A KR101742532B1 (en) 2015-07-06 2015-07-06 Ventila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253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00687B (en) * 2019-09-23 2020-09-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Heat pipe type air conditioning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698B1 (en) 2005-09-08 2006-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Ventilator and mothod for installing a grill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3878A (en) * 1999-01-22 2000-08-02 Toray Eng Co Ltd Heat exchange segment and gas-gas heat exchange element comprising laminated heat exchange segments
JP2002206878A (en) * 2001-01-12 2002-07-26 Showa Denko Kk Heat exchanger for heat recovery
KR200411135Y1 (en) * 2005-12-08 2006-03-10 주식회사 세기하이텍 Plate type heat pipe
KR100865983B1 (en) * 2007-04-27 2008-10-2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Method for manufacturing of flat plate heat pipe having heat sink and apparatus manufacture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698B1 (en) 2005-09-08 2006-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Ventilator and mothod for installing a grill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2532B1 (en)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86578B (en) Electronic system, enclosure therefor, and method of cooling an electronic system
WO2017036282A1 (en) Air cooling semiconductor refrigerating device for circulation cooling system
US20080078186A1 (en) Heat exchanger and an air conditioner containing the heat exchanger
US10028414B2 (en) Passive cooling features for electronics equipment cabinets
WO2015109113A2 (en) Dewpoint indirect evaporative cooler
KR20050112657A (en) Ventilating system
US20220146122A1 (en) Passive heat exchanger with single microchannel coil
CN102858141A (en) Dispersive heat radiation type thermostat for field instruments
US20190234627A1 (en) Electric controller based on thermally superconductive heat dissipating plate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CN107357375B (en) Efficient heat dissipation device of sealed chassis and sealed chassis
CN105258382A (en) Heat exchange device and semiconductor refrigerator provided with same
WO2009076850A1 (en) Communication device
JP2009068834A (en) Condenser assembly
KR101742532B1 (en) Ventilating device
US20120134114A1 (en) Thermal management of environmentally-sealed electronics enclosure
CN210381736U (en) Heat dissipation apparatus and electrical device
US6980436B2 (en) Computer cooling system
WO2016192298A1 (en) Cold transfer device and semiconductor refrigeration box having cold transfer device
CN205491634U (en) A heat abstractor and switch board for big power control cabinet
US20180010827A1 (en) Dual Heat Pipe Thermoelectric Cooler
CN211651348U (en) Microchannel radiator convenient to fixed mounting
CN212164068U (en) Cooling assembly for equipment in machine room
CN212628953U (en) Heat radiation structure of display device
CN211019806U (en) Heat radiator for electronic device
TWI575202B (en) Air-exchanging component of air-exchan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