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399A - 초점 변경 안경 - Google Patents

초점 변경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399A
KR20170004399A KR1020150094694A KR20150094694A KR20170004399A KR 20170004399 A KR20170004399 A KR 20170004399A KR 1020150094694 A KR1020150094694 A KR 1020150094694A KR 20150094694 A KR20150094694 A KR 20150094694A KR 20170004399 A KR20170004399 A KR 20170004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stance
spectacle frame
thickness
fo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화
김훈희
이영호
이태경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399A/ko
Publication of KR20170004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06Systems determining the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5/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7/08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8Auxiliary lenses; Arrangements for varying focal length
    • G02C7/081Ophthalmic lenses with variable focal length
    • G02C7/085Fluid-filled lenses, e.g. electro-wetting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초점을 변경해 주는 초점 변경 안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점 변경 안경은 안경테; 상기 안경테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어 각각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두께 조절이 가능한 가능한 렌즈; 상기 각각 측정된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두께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 및 상기 거리 센서 및 상기 렌즈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초점 변경 안경{GLASSES WITH CHANGEABLE FOCUS}
본 발명은 초점 변경 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는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초점을 변경해 주는 초점 변경 안경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는 시력(사람이 물체의 존재나 형상을 인식하는 눈의 능력)과 시야(눈으로 정면의 한 점을 주시하고 있을 때 보이는 외계의 범위)에 의해서 결정된다. 시각장애의 판정기준은 시력 또는 시야결손 정도의 측정을 통해서 시각장애 판정 기준(보건복지부 고시 제 2000-2호 장애인등급판정 중)을 적용하여 판정한다. 시각 장애인의 생활 향상을 위한 다양한 보조기기가 신체구조, 생활습성, 학습능력, 생활환경 등을 고려하여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시각 장애인용 보조기구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일상생활 보조기기, 정보통신 접근보조기기, 이동보조기기로 나눌 수 있으며, 기능적으로 제한된 시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확대시켜 주는 것과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를 청각, 촉각 등의 대체 감각으로 변환시켜주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관련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53041호가 있다.
시각 장애를 위한 보조기기 중 대표적인 제품은 시력보정용 안경 저시력으로 인한 장애를 극복할 수 있는 제품이다.
하지만 고정적인 초점으로 제작이 되기 때문에 사용 시 수동적인 조절 또는 안경의 교체를 통해서만 초점의 변경이 가능하다. 최근 다초점렌즈와 같은 제품이 있지만 한 개의 렌즈에 3부분을 가공하여 인위적인 인간의 안구 초점을 변경하여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물체를 보는 위치에 따라 따라 능동적으로 시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저시력자를 보조할 수 있는 안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선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초점을 변경해 주는 초점 변경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안경테; 상기 안경테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어 각각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두께 조절이 가능한 가능한 렌즈; 상기 각각 측정된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두께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 및 상기 거리 센서 및 상기 렌즈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초점 변경 안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점 변경 안경은 시선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렌즈의 두께를 조정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시각장애로 인한 부족한 시야각에 대해서 거리 센서를 통해서 알람을 발생시켜 부족한 시야각에 대한 보조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초점 변경 안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초점 변경 안경이 초점 변경 또는 부족한 시야각 보조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초점 변경 안경의 렌즈의 두께가 조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초점 변경 안경을 이용하여 부족한 시야각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초점 변경 안경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초점 변경 안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초점 변경 안경이 초점 변경 또는 부족한 시야각 보조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점 변경 안경(100)은 안경테(110), 거리 센서(120), 렌즈(130), 렌즈 조절부(140), 제어부(150) 및 알람부(160)을 포함할 수 있다.
안경테(110)는 상기 초점 변경 안경(100)의 틀 역할을 수행한다.
거리 센서(120)는 착용자의 시선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120)는 상기 안경테(110)의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대상 물체와의 거리는 안경테(110)의 좌측에 설치된 좌측 거리 센서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편의상,'좌측 거리 데이터'라 함)와 우측에 설치된 좌측 거리 센서와 대상 물체와의 거리(편의상,'우측 거리 데이터'라 함)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거리 센서(12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레이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점 변경 안경(100) 착용자가 신문 또는 책을 보는 경우 착용자의 시선은 독서면으로 조정될 수 있고, 독서면이 대상 물체가 될 수 있다. 상기 대상 물체는 착용자의 시선 변경에 따라 실시간 또는 소정 시간 간격(예: 1초)으로 조정될 수 있다.
렌즈(130)는 두께(또는 도수) 조절이 가능한 렌즈일 수 있다. 상기 렌즈(130)는 기계적 외력 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인장되거나 압축될 수 있다. 상기 렌즈(130)는 탄성 재질일 수도 있고, 유동성을 가지는 플루이딕 렌즈(fluidic lenz)로 구현될 수 있다.
렌즈 조절부(140)는 측정된 좌측 거리 데이터 또는 우측 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130)를 인장시키거나 압축시킬 수 있다. 상기 렌즈 조절부(140)는 안경테(110)와 렌즈(130)에 고정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조절부(140)는 좌측 렌즈에 고정되게 위치하는 좌측 렌즈 조절부 및 우측 렌즈에 고정되게 위치하는 우측 렌즈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렌즈 조절부는 좌측 렌즈의 두께를 조절하고, 우측 렌즈 조절부는 우측 렌즈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거리 센서(120)로부터 획득된 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거리 조절부(140) 또는 알람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를 통해 렌즈(130)의 두께가 조절되거나 알람부(160)가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160)는 안경테의 좌측 및 우측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거리 센서(120)를 통해 획득된 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렌즈의 두께를 조절하는 방법과 부족한 시야각을 보조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거리 센서(120)는 안경테(110)의 좌측 및 우측 모두에 구비되어 좌측 거리 데이터 및 우측 거리 데이터 모두가 이용되어 초점위치가 변경되고, 상기 변경된 초점 위치에 대응되게 렌즈(130)의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좌측 거리 센서로부터는 좌측 거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우측 거리 센서로부터 우측 거리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점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렌즈의 초점위치 변경은 렌즈의 두께 변경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초점위치 변경 방법은 좌측과 우측에서 수집된 좌측 거리 데이터 및 우측 거리 데이터를 기반으로 평균 거리를 측정하여 좌측 및 우측 렌즈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 초점위치 변경 방법은 좌측 데이터는 좌측 렌즈를 우측 데이터는 우측 렌즈를 각각 조절하는 방법이다.
세 번째로 초점위치 변경 방법은 좌측과 우측 데이터 평균값을 이용하여 좌측 렌즈의 초점위치는 좌측 데이터와 좌우측 평균값의 평균을 이용하여 변경되고, 우측 렌즈의 초점위치는 우측 데이터와 좌우측 평균값의 평균을 이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렌즈 조절부(140)는 거리 센서(120)를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렌즈(130)를 압축하거나 인장할 수 있다. 상기 렌즈(130)는 압축 또는 인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렌즈(130)와 렌즈 조절부(140)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렌즈 조절부(140)는 렌즈(130)와 안경테(110)측에 고정이 되어 있으며, 렌즈(130)의 인장 또는 압축은 렌즈 조절부(140)의 최외각에서 렌즈 조절부(140)의 조임 또는 풀림과 같은 기계적인 방식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렌즈 조절부(140)의 각 부위별 파트에 전자석을 적용하여 전자기적으로 렌즈의 조절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초점 변경 안경의 렌즈의 두께가 조절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초점 거리가 짧은 거리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3 (b)는 초점 거리가 중간 거리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3(c)는 초점 거리가 먼 거리인 경우를 나타낸다.
중간 거리일 경우에는 도수가 없는 상태로 렌즈(130) 두께가 조절되고, 먼 거리일 경우에는 오목렌즈 상태로 렌즈(130) 두께가 조절되고, 짧은 거리일 경우에는 볼록렌즈 상태로 렌즈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렌즈 조절부(140)는 각 부분마다 전자석(141)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30)가 오목렌즈 상태로 변할 때는 전자석(141)이 모두 같은 극성을 가지게 되어서, 상기 렌즈(130)가 밖으로 당겨지게 되고, 렌즈(130)가 볼록렌즈 상태로 변할 때는 전자석(141)이 마주 보는 전자석이 다른 극성을 가지게 되어서, 상기 렌즈(130)가 밀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렌즈(130)의 두께가 조절되고, 그에 따라 초점위치도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초점 변경 안경을 이용하여 부족한 시야각을 보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정상인의 시야각(410)과 시각 장애인의 시야각(420)은 다소 차이가 난다. 정상인의 시야각(410)은 200도 정도이나, 시각 장애인의 시야각(420)은 그 미만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의 경우, 부족한 시야각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참조번호 430은 거리 센서(120)를 통해 보조가 가능한 각도이다.
예를 들어, 거리 센서(120)을 통해서 거리 센서(120)로부터 60cm 거리 안에 물체가 인지되면 측정된 방향(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에 위치한 알람부(160)는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착용자에게 장애물을 알릴 수 있다. 상기 알람부(16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LED 램프, 진동을 출력하는 진동 모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초점 변경 안경은 시선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렌즈의 두께를 조정하여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시각장애로 인한 부족한 시야각에 대해서 거리 센서를 통해서 알람을 발생시켜 부족한 시야각에 대한 보조를 할 수 있다.
상술한 초점 위치 변경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한편, 이러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초점 변경 안경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초점 변경 안경
110: 안경테
120: 거리 센서
130: 렌즈
140: 렌즈 조절부
150: 제어부
160: 알람부

Claims (5)

  1. 안경테;
    상기 안경테 좌측 및 우측에 설치되어 각각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
    두께 조절이 가능한 가능한 렌즈;
    상기 각각 측정된 대상 물체와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두께를 조절하는 렌즈 조절부; 및
    상기 거리 센서 및 상기 렌즈 조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변경 안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절부는
    상기 렌즈 및 상기 안경테에 고정되어 상기 측정된 거리에 근거해서 조여지거나 풀려지면서 상기 렌즈를 인장시키거나 압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변경 안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절부는 상기 렌즈 및 상기 안경테에 고정되게 위치한 전자석을 포함하되,
    상기 전자석은 상기 측정된 초점거리에 따라 극성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변경 안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 변경 안경은
    상기 안경테 좌측 및 우측 방향에 각각 위치하여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거리 센서를 소정 시야각 범위에서 물체가 인지된 경우, 상기 물체가 인지된 방향에 위치한 알람부가 상기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변경 안경.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조절부 좌측 및 우측 렌즈 각각에 고정되게 위치하여, 상기 안경테 좌측에 설치된 좌측 거리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1거리 데이터 및 상기 안경테 우측에 설치된 우측 거리 센서를 통해 측정된 제2거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용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렌즈의 두께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변경 안경.
KR1020150094694A 2015-07-02 2015-07-02 초점 변경 안경 KR20170004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94A KR20170004399A (ko) 2015-07-02 2015-07-02 초점 변경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694A KR20170004399A (ko) 2015-07-02 2015-07-02 초점 변경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99A true KR20170004399A (ko) 2017-01-11

Family

ID=5783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694A KR20170004399A (ko) 2015-07-02 2015-07-02 초점 변경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39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5378A (zh) * 2017-05-12 2017-08-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眼镜控制方法及装置
CN107463003A (zh) * 2017-08-16 2017-12-12 邵洁茹 焦距调节系统
KR20220045618A (ko) 2020-10-06 2022-04-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겔 기반 스크류 타입의 가변 초점 안경
KR20220045619A (ko) 2020-10-06 2022-04-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하는 안경테를 갖는 고분자 겔 기반 가변 초점 안경
KR20220075487A (ko) 2020-11-30 2022-06-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리개 구조 기반 가변 초점 안경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5378A (zh) * 2017-05-12 2017-08-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眼镜控制方法及装置
US10942372B2 (en) 2017-05-12 2021-03-09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glasses, and storage medium
CN107463003A (zh) * 2017-08-16 2017-12-12 邵洁茹 焦距调节系统
KR20220045618A (ko) 2020-10-06 2022-04-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분자 겔 기반 스크류 타입의 가변 초점 안경
KR20220045619A (ko) 2020-10-06 2022-04-13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하는 안경테를 갖는 고분자 겔 기반 가변 초점 안경
KR20220075487A (ko) 2020-11-30 2022-06-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리개 구조 기반 가변 초점 안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7188B2 (en) Hybrid audio system for eyewear devices
KR20170004399A (ko) 초점 변경 안경
US11234070B2 (en) Manufacturing a cartilage conduction audio device
EP3329671A1 (en) Unique reflective lenses to auto-calibrate eye tracking system
US20150187115A1 (en) Dynamically adjustable 3d goggles
KR102506095B1 (ko) 안경류 장치들을 위한 연골 전도 오디오 시스템
SG159541A1 (en) Control of myopia using contact lenses
JP2022534833A (ja) 個人化されたオーディオ拡張のためのオーディオプロファイル
US11234092B2 (en) Remote inference of sound frequencies for determination of head-related transfer functions for a user of a headset
EP3445066A1 (en) Cartilage conduction audio system for eyewear devices
KR20220066911A (ko) 오디오 콘텐트를 제공할 때 촉각 콘텐트의 레벨을 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20232342A1 (en) Audio system for artificial reality applications
WO2016116662A1 (en) Near eye device adjustment
EP4049716A1 (en) Artificial retina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101230341B1 (ko) 시각 지원 보조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62546A (ko) 촉각 콘텐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91194A (ko) 안경 및 그 제어방법
US10616692B1 (en) Optical microphone for eyewear devices
RU234542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я дл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направл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звука речи
US20220180885A1 (en) Audio system including for near field and far field enhancement that uses a contact transducer
UA132857U (uk) Оправа окулярів для корекції безпечної відстані для очей при читанн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