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345U - floor cleaner - Google Patents

floo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345U
KR20170004345U KR2020160003345U KR20160003345U KR20170004345U KR 20170004345 U KR20170004345 U KR 20170004345U KR 2020160003345 U KR2020160003345 U KR 2020160003345U KR 20160003345 U KR20160003345 U KR 20160003345U KR 20170004345 U KR20170004345 U KR 201700043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rush
rotated
main
driv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34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진구
Original Assignee
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구 filed Critical 정진구
Priority to KR20201600033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345U/en
Publication of KR20170004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45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47L13/44Securing scouring-cloths to the brush or like body of the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01Cylindrical or annular brush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등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울 구조의 바닥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바닥청소기는 상기 구동휠(13)이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7)를 잡고 본체(10)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구동휠(13)이 회전되면서 이와 연동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와 보조브러시(30)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전단부가 인접방향으로 회전되어 주변의 먼지와 쓰레기를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으로 모아주며, 상기 메인브러시(20)는 하측둘레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전방에 있는 먼지와 쓰레기를 빠르게 후방으로 밀어댐으로써, 바닥의 먼지와 쓰레기가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저장부(11)에 구비된 수집통(11a)에 수집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10)를 전방으로 미는 것만으로, 바닥의 먼지와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서 사용이 편리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cleaner of a new structure which is easy to use and capable of effectively collecting dust or trash on the floor.
When the user pushes the main body 10 forward by holding the handle 17 in a state where the driving wheel 13 is lowered on the floor, the botto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driving wheel 13 and is interlocked with the driving wheel 13 , The main brush 20 and the auxiliary brush 30 are rotated.
At this tim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brush 30 is rotated in the adjacent direction to collect the dust and waste around the front of the main brush 20, and the main brush 20 is rotated backward at the lower circumferential portion, The dust and the garbage of the floor are collected through the opening 12 into the collection cylinder 11a provided in the storage portion 11 by pushing the dust and the garbage which are located in the storage portion 11 backward rapidly.
Accordingly, the user can effectively clean dust and trash on the floor only by pushing the main body 10 forward, and is easy to use because of its light weight, and noise is not generated.

Description

바닥청소기{floor cleaner}Floor cleaner {floor cleaner}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등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울 구조의 바닥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cleaner of a new structure which is easy to use and capable of effectively collecting dust or trash on the floor.

일반적으로,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등을 청소할 때 사용되는 바닥청소기는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나 쓰레기를 흡입하여 청소하는 진공식 청소기나, 하측면에 부착된 걸레를 이용하여 바닥을 닦아낼 수 있도록 된 걸레타입의 청소기 등과 같이,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floor cleaner used to clean dust or garbage on the floor can clean the floor by using a vacuum cleaner that uses vacuum suction to suck dust and garbage, or a mop attached to the bottom. A vacuum cleaner of a mop type,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and widely used.

그런데, 진공식 청소기는 다량의 전기를 소비할 뿐 아니라, 소음이 발생되고 무거워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vacuum cleaner not only consumes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but also generates noise and is heavy and inconvenient to use.

반대로, 걸레타입의 청소기는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한 반면,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수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mop-type cleaner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collect dust and trash on the floor while noise is not generated and it is convenient to use.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method to solve such a problem.

등록특허 10-1362085호,10-1362085, 등록실용신안 20-0222173호,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222173,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이 편리하면서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 등을 효과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바닥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oor cleaner of a new structure which can effectively collect dust, trash, and the like on the floor while being easy to u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는 저장부(11)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상기 저장부(11)에 연결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구동휠(13)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 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휠(13)에 연결되어 구동휠(13)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되어 회전되어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개구부(12)로 밀어 넣는 메인브러시(2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휠(13) 또는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13) 또는 메인브러시(20)가 회전되면 회전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 양측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상기 메인브러시(20)쪽으로 수집하는 한 쌍의 보조브러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torage portion 11 is formed inside and an opening portion 12 connected to the storage portion 11 is formed on a lower side thereof, and a driving wheel 13 is provided around the periphery thereof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13 so as to be rot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13. The driving wheel 13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 main brush 20 which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rush 20 on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which is driven by the drive wheels 13 Or the main brush 20 and is rotated when the driving wheel 13 or the main brush 20 is rotated to collect dust or waste on both sides of the main brush 20 toward the main brush 20 And a pair of auxiliary brushes (30) The cleaner is provided.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하단에 구비된 디스크(32)와, 상기 디스크(32)의 둘레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솔부재(33)로 구성되며, 둘레부가 상기 본체(10)의 전방 양측 모퉁이의 전방과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brush 30 includes a rotation shaft 3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isk 3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31, And a circumferential portion protruding in a forward and aft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corners of the main body 10. The bottom cleaner includes a plurality of bristle members 33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개구부(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걸레부재(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cleaner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rake member (19)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opening (12).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구동휠(13)은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구동축(16)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브러시(20)는 증속기(40)를 통해 상기 구동축(16)에 연결되며, 상기 증속기(40)는 원웨이베어링(48)을 통해 상기 구동축(16)에 결합된 구동기어(43)를 포함하고, 상기 원웨이베어링(48)은 상기 구동축(16)이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만 상기 구동축(16)과 구동기어(43)를 구동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구동축(16)이 역회전되면 구동축(16)이 공회전되어 구동기어(43)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wheel 13 is coupled to a driving shaft 16 provided in the main body 10, and the main brush 20 is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16 And the one-way bearing 48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16 via a one-way bearing 48. The one way bearing 48 is coupled to the drive shaft 16, The driving shaft 43 is driven only when the driving shaft 16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driving shaft 43 is not rotated when the driving shaft 16 is reversely rotated, The floor cleaner is provided.

본 고안에 따른 바닥청소기는 상기 구동휠(13)이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7)를 잡고 본체(10)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구동휠(13)이 회전되면서 이와 연동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와 보조브러시(30)가 회전된다.When the user pushes the main body 10 forward by holding the handle 17 in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wheel 13 is lowered on the floor, the botto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driving wheel 13 , The main brush 20 and the auxiliary brush 30 are rotated.

이때,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전단부가 인접방향으로 회전되어 주변의 먼지와 쓰레기를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으로 모아주며, 상기 메인브러시(20)는 하측둘레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전방에 있는 먼지와 쓰레기를 빠르게 후방으로 밀어댐으로써, 바닥의 먼지와 쓰레기가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저장부(11)에 구비된 수집통(15)에 수집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brush 30 is rotated in the adjacent direction to collect the dust and waste around the front of the main brush 20, and the main brush 20 is rotated backward at the lower circumferential portion, So that the dust and waste on the floor are collected through the opening 12 into the collection bin 15 provided in the storage part 11. [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10)를 전방으로 미는 것만으로, 바닥의 먼지와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서 사용이 편리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ffectively clean dust and trash on the floor only by pushing the main body 10 forward, and is easy to use because of its light weight, and noise is not genera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청소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청소기를 도시한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청소기의 A-A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청소기의 B-B선 단면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청소기의 구동축과 메인브러시 및 보조브러시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청소기의 작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청소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showing a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BB line section of the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drive shaft of a floor cleaner and a main brush and an auxiliary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action of the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청소기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는 저장부(11)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상기 저장부(11)에 연결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구동휠(13)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의 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메인브러시(2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보조브러시(30)로 구성된다.1 to 6 illustrate a floor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torage unit 11 is formed and an opening 12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11 is formed on a lower side thereof, A main brush 20 which is provided so as to extend laterally in front of the opening 12 of the main body 10 and a main brush 20 which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pair of auxiliary brushes (3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rush (20).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합성수재질의 통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면 전방에는 상기 메인브러시(20)가 삽입되는 오목부(14)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오목부(14)의 후측면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a recessed portion 14 into which the main brush 20 is inserted is formed in front of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 opening 1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lot extending laterally to the rear side of the concave portion 14.

이때, 상기 오목부(14)의 후측면은 상기 메인브러시(20)의 후측면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며, 상기 저장부(11)에는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먼지와 쓰레기를 수집하는 수집통(11a)이 탈착가능하게 구비된다.The rear surface of the concave portion 14 is rounded to correspond to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rush 20 and the storage portion 11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12 A collecting cylinder (11a) for collecting dust and garbage is detachably provided.

상기 구동휠(13)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구동축(16)의 양단에, 본체(1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둘레면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본체(10)를 바닥에 놓고 전후진시키면, 상기 구동휠(13)이 정역회전되도록 구성된다.The driving wheel 1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a driving shaft 16 extending laterally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protrude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driving wheel 13 is rotated in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when the main body 10 is placed on the floor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이때, 상기 본체(10)의 후방 하측면 양측에는 상기 구동휠(13)이 삽입되는 오목홈(15)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16)은 양단이 상기 오목홈(15)의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휠(13)에 연결된다.At this time, concave grooves 15 into which the driving wheels 13 are inserted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both ends of the driving shaft 16 are extended into the concave grooves 15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13.

또한, 상기 본체(10)의 상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바형상의 손잡이(17)가 구비된다.In addition, a bar-shaped knob 17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상기 손잡이(17)는 하단부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결합부(18)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knob 17 is rotatably coupled to a coupling portion 18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개구부(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걸레부재(19)가 구비된다.A mop member 19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opening 12.

상기 걸레부재(19)는 벨크로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The mop member 19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using a Velcro member.

상기 메인브러시(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21)과, 상기 회전축(21)의 둘레면에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솔부재(22)가 구비된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하측 둘레부가 상기 본체(10)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회전축(21)의 양단이 상기 본체(10)의 오목부(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21)은 증속기(40)를 통해 상기 구동휠(13)의 회전축(2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13)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메인브러시(20)가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The main brush 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rotation axis 21 exten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rush members 22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on axis 21,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21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concave portion 14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rotrud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rush 20 is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driving wheel 13 so that the main brush 20 rotates at a high speed when the driving wheel 13 is rotated.

이때, 상기 증속기(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에 상기 구동축(16)과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된 제1 및 제2 지지축(41,42)과, 상기 구동축(16)에 고정결합된 구동기어(43)와, 상기 구동축(16)과 제1 지지축(41)에 결합되며 상호 연결되는 복수개의 증속기어(44)와, 상기 제2 지지축(42)에 고정되며 상기 증속기어(44)에 연결된 종동기어(45)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지지축(42)은 벨트(46)와 풀리(47)를 통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회전축(21)에 연결된다.5, the main body 1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pport shafts 41 and 42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drive shaft 16, A plurality of speed increasing gears 44 connected to the driving shaft 16 and the first supporting shaft 41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driven gear 45 fixed to the speed increasing gear 44. The second supporting shaft 42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21 of the main brush 20 through a belt 46 and a pulley 47 .

따라서, 상기 구동휠(13)이 회전되면, 상기 구동축(16)과 구동기어(43)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증속기어(44)에 의해 구동휠(13)의 회전속도가 증폭되어 상기 제2 지지축(42)과 종동기어(45)가 고속으로 회전되며, 이에 연동하여, 상기 메인브러시(20)가 고속으로 회전된다.Accordingly, when the drive wheel 13 is rotated, the drive shaft 16 and the drive gear 43 are rotated, so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drive wheel 13 is amplified by the speed increase gear 44, The second support shaft 42 and the driven gear 45 are rotated at a high speed, and the main brush 20 is rotated at high speed in conjunction therewith.

이때, 상기 증속기(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본체(10)를 전방으로 밀어 상기 구동휠(13)이 정회전(도면의 경우, 반시계방향)되면, 상기 메인브러시(20)가 상기 구동휠(13)과 같은 정방향(도면의 경우, 하단부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6, when the user pushes the main body 10 forward and the drive wheel 13 is rotated forward (counterclockwise in the case of the figure), the main The brush 20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riving wheel 13 (in the case of the figure,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end is rotated backward).

이러한 증속기(40)의 구성 및 작용은 일반적인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booster 40 are general one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하단에 구비된 디스크(32)와, 상기 디스크(32)의 둘레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솔부재(33)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축(31)이 상기 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auxiliary brush 30 includes a rotation shaft 3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isk 3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tion shaft 31, and a plurality of radially extending And the rotation shaft 3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rush 20 in front.

이때, 상기 보조브러시(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부가 상기 본체(10)의 전방 양측 모퉁이의 전방과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솔부재(33)의 길이가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brush 30 is formed to have a sufficiently long length of the bristle member 33 so that the circumferential portion protrudes in the forward and lateral directions of the front side corners of the main body 10.

특히, 상기 솔부재(33)는 상기 디스크(32)의 둘레부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솔부재(33)의 단부가 바닥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Particularly, the bristle member 33 is provided so as to extend down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disk 32 so that the end of the bristle member 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또한, 상기 보조브러시(30)의 회전축(3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벨기어(34)를 통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회전축(21)에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전방둘레부가 상호 인접방향으로 회전되어 주변의 먼지나 쓰레기를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으로 모으도록 구성된다.4 and 5, the rotating shaft 31 of the auxiliary brush 30 is drivingly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21 of the main brush 20 through a bevel gear 34, When the main brush 2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ront circumferential portions are rotated in mutually adjacent directions to collect dust or waste around the front of the main brush 20.

이때, 상기 메인브러시(20)와 보조브러시(30)는 상기 본체(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main brush 20 and the auxiliary brush 30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10 so that they can be replaced as needed.

이와 같이 구성된 바닥청소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휠(13)이 바닥에 내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17)를 잡고 본체(10)를 전방으로 밀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휠(13)이 회전되면서 이와 연동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와 보조브러시(30)가 회전된다.6,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17 and pushes the main body 10 forward, in a state where the driving wheel 13 is lowered on the floor,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main brush 20 and the auxiliary brush 30 are rotated while the driving wheel 13 is rotated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전단부가 인접방향으로 회전되어 주변의 먼지와 쓰레기를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으로 모아주며, 상기 메인브러시(20)는 하측둘레부가 후방으로 회전되어 전방에 있는 먼지와 쓰레기를 빠르게 후방으로 밀어댐으로써, 바닥의 먼지와 쓰레기가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저장부(11)에 구비된 수집통(11a)에 수집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uxiliary brush 30 is rotated in the adjacent direction to collect the dust and waste around the front of the main brush 20, and the main brush 20 is rotated backward at the lower circumferential portion, The dust and the garbage of the floor are collected through the opening 12 into the collection cylinder 11a provided in the storage portion 11 by pushing the dust and the garbage which are located in the storage portion 11 backward rapidly.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10)를 전방으로 미는 것만으로, 바닥의 먼지와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청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서 사용이 편리하고,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effectively clean dust and trash on the floor only by pushing the main body 10 forward, and is easy to use because of its light weight, and noise is not generated.

특히,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31)이 구비되며 둘레부가 상기 본체(10)의 전방 양측 모퉁이의 전방과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됨으로, 실내의 구석부분을 깔끔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the auxiliary brush 30 is provided with a rotation axis 3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eriphery thereof is protruded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lateral direction from the front side corners of the main body 10,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또한,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는 상기 개구부(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걸레부재가 구비됨으로, 상기 본체(10)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면 상기 메인브러시(20)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먼지 등이 상기 걸레부재(19)에 의해 청소됨으로, 바닥을 더욱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s provided with a mop member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opening 12. When the main body 10 is advanced forwardly, dust or the like, which is not removed by the main brush 20, Is cleaned by the mop member (19),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loor can be cleaned more cleanly.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상기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상기 증속기(40)를 통해 구동휠(13)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Although the auxiliary brush 30 is connected to the main brush 20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uxiliary brush 3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13 through the booster 40 Can be directly connected.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증속기(40)의 구동기어(43)는 상기 구동축(16)에 고정결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구동기어(4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웨이베어링(48)을 통해 상기 구동축(16)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본체(10)를 전방으로 밀 때만, 상기 구동축(16)과 구동기어(43)가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7 and 8, the driving gear 43 of the booster 40 is fixedly coupled to the driving shaft 16 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as shown in FIGS. 7 and 8, The drive shaft 16 and the drive gear 43 are driven and connected only when the user pushes the main body 10 forward, The brush 20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ed.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원웨이베어링(48)은 상기 구동축(16)의 외측에 결합되는 내륜(48a)과, 상기 내륜(48a)의 외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륜(48b)과, 상기 내륜(48a)과 외륜(48b)의 사이에 구비되는 키부재(48c)로 구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one-way bearing 48 includes an inner ring 48a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drive shaft 16, an outer ring 48b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inner ring 48a, And a key member 48c provided between the outer ring 48a and the outer ring 48b.

이때, 상기 내륜(48a)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축(16)이 정회전되는 방향(도면의 경우 반시계방향)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경사홈(48d)이 형성되고, 상기 키부재(48c)는 상기 경사홈(48d)의 내부에 구비된다.At this time, an inclined groove 48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ring 48a so as to be dee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ive shaft 16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figure) (48d).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43)는 상기 외륜(48b)의 외부에 결합된다.The driving gear 43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ring 48b.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6)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내륜(48a)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키부재(48c)가 경사홈(48d)의 낮은 쪽으로 이동하여 내륜(48a)과 외륜(48b)이 상호 고정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내륜(48a)과 함께 외륜(48b) 및 구동기어(43)가 함께 회전된다.8, when the driving shaft 16 is rotated in the normal direction, the inner ring 48a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key member 48c moves to the lower side of the inclined groove 48d, The outer ring 48b and the driving gear 43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inner ring 48a.

그리고, 이와 반대로, 상기 구동축(16)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키부재(48c)는 경사홈(48d)의 깊은 쪽으로 이동하여 내륜(48a)과 외륜(48b)이 고정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외륜(48b)과 구동기어(43)는 정지된 상태에서 내륜(48a)만 공회전되도록 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drive shaft 16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key member 48c moves to the deep side of the inclined groove 48d so that the inner ring 48a and the outer ring 48b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Only the inner ring 48a is allowed to idle while the drive gear 48b and the drive gear 43 are stopped.

이러한 원웨이베어링(48)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임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is one-way bearing 48 is generally us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바닥청소기는 사용자가 본체(10)를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구동휠(13)이 정회전될 때는 상기 원웨이베어링(48)에 의해 구동축(16)과 구동기어(43)가 상호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구동기어(43)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메인브러시(20)가 회전되면서 청소를 하게 된다.When the user pushes the main body 10 forward, the drive shaft 13 and the drive shaft 43 are driven by the one-way bearing 48 when the drive wheel 13 is rotated forward And the driving gear 43 is rotated, so that the main brush 20 is rotated and cleaned.

그리고, 사용자가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길때는 상기 원웨이베어링(48)의 내륜(48a)과 외륜(48b)의 고정이 해제되어 구동축(16)만 공회전됨으로써, 구동기어(43)와 메인브러시(20)는 회전되지 않게 된다.When the user pulls the main body 10 backward, the fixing of the inner ring 48a and the outer ring 48b of the one-way bearing 48 is released and only the drive shaft 16 is idled, The brush 20 is not rotated.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길 때 불필요하게 본체(10)에 부하가 걸려 사용자에게 부담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pulls the main body 10 backwar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oad is unnecessarily applied to the main body 10 and the burden on the user can be prevented.

그런데,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메인브러시(20)가 증속기(40)를 통해 상기 구동휠(13)에 연결됨으로, 사용자가 본체(10)를 전후방으로 밀거나 당길 때, 상기 브러시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며, 이러한 경우, 메인브러시(20)를 회전시키기 위한 부하가 본체(10)에 작용됨으로, 본체(10)를 밀거나 당길 때 힘이 들게 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main brush 20 is connected to the drive wheel 13 through the booster 40 so that when the user pushes or pulls the main body 10 forward or backward, In this case, a load for rotating the main brush 20 is applied to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is forced when the main body 10 is pushed or pulled.

그런데, 본 실시예의 경우,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길 때는 상기 구동축(16)만이 공회전됨으로,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길 때는 적은 힘으로 손쉽게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drive shaft 16 is idly rotated when the main body 10 is pulled backward, the main body 10 can be easily pulled backward with a small force when pulling the main body 10 backward have.

10. 본체 20. 메인브러시
30. 보조브러시 40. 증속기
10. Main body 20. Main brush
30. Ancillary brush 40. Speedometer

Claims (4)

내부에는 저장부(11)가 형성되고 하측면에는 상기 저장부(11)에 연결되는 개구부(12)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구동휠(13)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2) 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휠(13)에 연결되어 구동휠(13)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되어 회전되어 바닥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후방으로 밀어 상기 개구부(12)로 밀어 넣는 메인브러시(2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구동휠(13) 또는 메인브러시(2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휠(13) 또는 메인브러시(20)가 회전되면 회전되어 상기 메인브러시(20)의 전방 양측에 있는 먼지나 쓰레기를 상기 메인브러시(20)쪽으로 수집하는 한 쌍의 보조브러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
A main body 10 having a storage part 11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12 connected to the storage part 11 at a lower side and a drive wheel 13 at the periphery;
And extends laterally in front of the opening 12 of the main body 10 a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13 so that when the driving wheel 13 is rotated, the main body 10 is rotated to rotate the dust or waste on the floor backward A main brush 20 which is pushed into the opening 12,
The driving wheel 13 or the main brush 2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rush 20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wheel 13 or the main brush 20, And a pair of auxiliary brushes (30) rotating when rotated to collect dust or waste on both sides of the main brush (20) toward the main brush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브러시(3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의 하단에 구비된 디스크(32)와,
상기 디스크(32)의 둘레부에서 방사방향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솔부재(33)로 구성되며,
둘레부가 상기 본체(10)의 전방 양측 모퉁이의 전방과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brush (30)
A rotary shaft 3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isk 32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31,
And a plurality of bristle members 33 extending radially from the periphery of the disk 32,
And the circumferential portion protrudes in a forward direction and a lateral direction of front side corners of the main body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측면에 상기 개구부(12)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걸레부재(1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ake member (19)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opening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13)은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구동축(16)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브러시(20)는 증속기(40)를 통해 상기 구동축(16)에 연결되며,
상기 증속기(40)는 원웨이베어링(48)을 통해 상기 구동축(16)에 결합된 구동기어(43)를 포함하고,
상기 원웨이베어링(48)은 상기 구동축(16)이 정방향으로 회전될 때만 상기 구동축(16)과 구동기어(43)를 구동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구동축(16)이 역회전되면 구동축(16)이 공회전되어 구동기어(43)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청소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wheel 13 is coupled to a driving shaft 16 of the main body 10,
The main brush 20 is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16 through a speed changer 40,
The speed changer 40 includes a drive gear 43 coupled to the drive shaft 16 via a one-way bearing 48,
The one-way bearing 48 drives the drive shaft 16 and the drive gear 43 only when the drive shaft 16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drive shaft 16 is reversely rotated, So that the driving gear (43) is not rotated.
KR2020160003345U 2016-06-15 2016-06-15 floor cleaner KR2017000434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45U KR20170004345U (en) 2016-06-15 2016-06-15 floo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345U KR20170004345U (en) 2016-06-15 2016-06-15 floor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45U true KR20170004345U (en) 2017-12-26

Family

ID=6125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345U KR20170004345U (en) 2016-06-15 2016-06-15 floo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345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085B1 (en) 2011-12-30 2014-02-12 한경희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085B1 (en) 2011-12-30 2014-02-12 한경희 base assembly for floor clea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2686B2 (en) Agitator with internal twin motor drive system
KR20040018603A (en) Cleaning device
KR20170086401A (en) Cleaner with rotation-type cloth
TW201801663A (en) Self-propelled electric sweeper which is small and has high cleaning performance
KR200483483Y1 (en) floor cleaner
KR101333008B1 (en) Electrostatic using cleaner
CN211582928U (en) Robot of sweeping floor with two round brush structures
KR20170004345U (en) floor cleaner
KR20190066536A (en) Improved floor cleaner
KR20110006014U (en) Non-mop Mop Manual Cleaner
KR101888474B1 (en) Improved floor cleaner
CN214301487U (en) Cleaning device is used in road construction convenient to use
CN210681932U (en) A collecting box for waste paper recovery
CN209750345U (en) Cupboard cleaner
KR20180135676A (en) Manual Vacuum Cleaner
KR200336735Y1 (en) steam dustcloth combined use vacuum cleaner
CN112006601A (en) Anti-collision household dust collector capable of avoiding blockage
KR20180002554U (en) floor cleaner
CN214387368U (en) Transmission ground brush subassembly
CN215191272U (en) Corner sweeper
CN204500546U (en) Rolling mops floor two-part intelligent sweeping
CN210395213U (en) Garbage cleaning device for environmental sanitation machinery
CN216439120U (en) Device for preventing roller from shaking for cleaning appliance
JP2019050968A (en) Self-propelled type robot cleaner
KR20010062066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55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55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01

Effective date: 2018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