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317A -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 Google Patents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317A
KR20170004317A KR1020150094503A KR20150094503A KR20170004317A KR 20170004317 A KR20170004317 A KR 20170004317A KR 1020150094503 A KR1020150094503 A KR 1020150094503A KR 20150094503 A KR20150094503 A KR 20150094503A KR 20170004317 A KR20170004317 A KR 2017000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owering
screw
light emit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주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텍에코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텍에코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텍에코뷰
Priority to KR102015009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317A/ko
Publication of KR2017000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7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 G09F9/37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movable elements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being controlled by the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에 관한 것으로, 가로와 세로 각각 두 줄 이상 등간격으로 천공된 전면천공부(011)를 포함하는 하우징(001),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입체기둥 형상인 발광기둥(110), LED램프(120), 발광기둥의 저면부로부터 형성되는 승강홈(130), 승강홈의 말단에 구비되는 승강스크루 연결부(140)를 포함하는 발광부(100),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승강스크루(210), 승강스크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강회전기어(220), 승강스크루와 승강회전기어의 위치를 올리거나 내리는 기능의 승강결착부(230)를 포함하는 승강부(200), 전동모터(310)와 회전기어(320)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300),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발광부(100)의 색정보와 승강결착부(230)의 결착여부, 회전구동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스크루(210) 하단에 사각 내지 팔각 기둥형태의 스크루결합부(211);를,
상기 승강회전기어(220) 상단에 상기 스크루결합부가 끼워지도록 사각 내지 팔각의 홈인 스크루 홈(221);과 하단에 자성을 띈 원기둥 형태의 코어(222);를,
상기 승강결착부(230)가 상기 코어(222)의 외곽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코일(23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Emboss projection LED display board capable lifting per pixel}
본 발명은 화소별로 LED를 기둥형태 내에 구비하고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도록 하여, 화소별로 돌출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원하는 색상을 화소별로 표시함과 함께 부조(浮彫) 형태로 입체화된 형상이 표현되는 실물의 입체 영상물을 제공하기 위한 엘이디(LED) 전광판에 관한 것이다.
엘이디(LED ; Light Emitting Diode)는 화합물반도체 특성을 이용해 전기신호
를 적외선 또는 빛으로 변환시키는 조명분야 기술로써, 가정용 가전제품, 리모컨, 전광판, 각종 자동화 기기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LED는 저전압에서 구동할 수 있는 발광소자로서 다른 발광체에 비하여 수명이 길며 소비전력이 낮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 충격성이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LED를 매트릭스(matrix)로 구성하여 문자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이 LED 전광판으로, 다양하게 문자나 그래픽을 표현할 수 있어 광고나 정보전달 매체로 폭넓게 적용되어 확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다양한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3D 그래픽 기술이 접목되어, 소비자 입장에서 보다 다이나믹한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이어서, LED 게시판 분야에서도 보다 입체적이고 다이나믹한 영상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광판 분야에서도 입체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기술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042호는 입체 효과 엘이디 전광판 기술에 관한 것으로 전면과 후면에 디스플레이보드를 설치하여 전후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잔상 효과에 의해 입체감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83759호인 입체적인 배경효과를 제공하는 2단형 전광판 시스템 기술 또한, 전광판을 2단으로 구성하여 광고효과를 향상코자 하였다. 그러나, 대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전광판이 입체 효과를 효과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정면 부분에서 감상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기존의 TV나 모니터 등의 3D 영상은 좌안과 우안이 보는 형상을 달리 제공하여 이를 인식하는 시청자가 입체로 느끼게 하는 원리인데 반해, 전광판은 특성상 멀리 떨어져서 보게 되고, 보는 각도가 정면이 아닐 수 있는 경우가 많아, 제공하는 이미지를 좌안과 우안용으로 달리 제공하는 방식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임의의 많은 사람이 보게되는 데 필요한 3D 감상용 안경을 일일이 제공해 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옥외나 넓은 공간에 설치되어 대형 이미지를 표시하는 전광판의 특성상 공간의 여유가 있고, 멀리서 떨어져 보거나 정면이 아닌 위치에서 보더라도 입체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야, 감상자가 입체효과를 극명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화소를 표현하는 엘이디를 개별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하여 화소별로 오르내리게 함으로써, 평면의 이미지를 부조(浮彫)형의 입체 형상으로 표현하고 단위 화소 당 색상을 표시함으로써 입체의 효과를 주는 엘이디 전광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은 가로와 세로 각각 두 줄 이상 등간격으로 천공된 전면천공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입체기둥 형상인 발광기둥, LED램프, 발광기둥의 저면부로부터 형성되는 승강홈, 승강홈의 말단에 구비되는 승강스크루 연결부를 포함하는 발광부,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승강스크루, 승강스크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강회전기어, 승강스크루와 승강회전기어의 위치를 올리거나 내리는 기능의 승강결착부를 포함하는 승강부, 전동모터와 회전기어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발광부의 색정보와 승강결착부의 결착여부, 회전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승강스크루 하단에 사각 내지 팔각 기둥형태의 스크루결합부를, 승강회전기어 상단에 상기 스크루결합부가 끼워지도록 사각 내지 팔각의 홈인 스크루 홈과 하단에 자성을 띈 원기둥 형태의 코어를, 승강결착부가 코어의 외곽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코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에 따르면, 전체 이미지나 문자를 표현하기 위한 최소 단위인 화소(?素, pixel)별로 승강 가능하도록 기둥 구조를 형성하여, 각각의 화소가 개별적으로 상승과 하강이 가능함에 따라, 평면형상의 이미지에 돌출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입체로 돌출되게 하여 부조(浮彫) 형태로 표시되며 각 화소에 그 위치에 적합한 색상을 표시하도록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형상적으로 입체성을 갖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실재로 각 화소가 돌출되어 입체적인 형성을 형성함으로써 정면에서 볼 때와 측면에서 볼 때 등 위치별로 볼 수 있는 이미지가 상이하며, 이를 통해 광고물의 표시나 시각 예술의 표현방법, 다양한 그래픽 정보의 제공을 주목도 높게 제공하고, 보는 이는 인상적으로 영상물을 감상하게 되어 광고나 정보 전달 효과가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회전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화소 별 승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승강결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화소를 단계별로 승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을 이용한 영상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사시도이다. 가로와 세로 각각 두 줄 이상 등간격으로 천공된 전면천공부(011)가 하우징(001)의 전면덮개(010)에 구비된다. 전면천공부(011)는 사각형 내지 팔각형 중 하나의 형태로 천공되는데, 이유는 원형일 경우에는 천공된 공간을 드나드는 기둥형태가 회전되기 때문으로, 사각 이상의 다각형일 경우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강을 유도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입체기둥 형상인 발광기둥(110)이 전면천공부(011)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게 되며, 이 형상 또한 사각기둥 내지 팔각기둥 중 하나인 것이 적합하다. 발광기둥(110)은 기립승강하기 위한 구조이면서, LED램프가 표현하는 색상을 넓은 면에 퍼뜨려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발광기둥(110)의 내측에 LED램프(120)가 구비되며, 발광기둥의 저면부로부터 승강홈(130)이 형성되고, 승강홈의 하단 말단에 승강스크루 연결부(140)가 구비된다. 상기 발광기둥(110), LED램프(120), 승강홈(130)이 발광부(100)를 형성한다. 발광부(100)의 하부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승강스크루(210)와, 승강스크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강회전기어(220), 승강스크루와 승강회전기어의 위치를 올리거나 내리는 기능의 승강결착부(230)를 포함하는 승강부(200)가 구성된다. 승강부의 승강회전기어(220)는 회전연결기어(330)과 회전기어(320)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310)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30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설명한 발광부(100)와 회전구동부(300)는 프로세서인 제어부(400)에 의해 제어되어, 각 화소별로 표현해야 하는 색상에 관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함께 승강부(200)의 승강결착부(230)가 전자석의 원리에 따라 제어부(400)가 전기신호를 제어함에 따라 승강작동이 이루어진다. 제어부(400)는 전원부(50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각 화소별 표시해야할 색상에 대한 데이터나 각 화소별 승강작동을 위한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하여 통신부(410)와 연결된다. 통신부(410)를 통해 전송받은 데이터에 의해 화소별로 표시해야할 색상 정보를 통해 발광부(100)를 제어하고, 각 화소별로 승강여부를 판단하여 돌출하도록 회전을 전달하기 위해 승강결착부(230)의 자기장 신호를 제어하며, 전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해 회전구동부(300)를 제어한다. 통신부가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을 경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 무선랜, 지그비(zigbee) 중 하나가 적합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회전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많은 발광부와 승강부 중 임의의 하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면 <a>는 발광부와 승강부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b>는 회전구동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전동모터(310)가 회전하면 이와 연결된 회전기어(320)에 의해 연결된 회전연결기어(330)가 회전연결축 중 간접연결축(340b)을 통해 승강회전기어(22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승강회전기어(220)가 회전하면 이와 연결된 승강스크루(210)가 함께 회전하며 승강스크루의 홈에 끼워지는 승강스크루 연결부(140)를 밀어올리거나 끌어내려, 발광부의 발광기둥(110)이 올라가거나 내려오게 된다. 전동모터(310)의 회전력은 직접연결축(340a)에 구비되는 회전연결기어(330)에 의해 다수의 간접연결축(340b)를 회전시켜주며, 이를 통해 각 화소별로 구비된 승강회전기어(220)를 회전시키게 됨에 따라 모든 화소의 승강 기립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화소 별 승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연결기어(330)가 승강회전기어(220)를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승강스크루(21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승강스크루(210)의 홈을 따라 끼워진 승강스크루 연결부 돌출부(140)에 의해 발광부(100)가 밀어 올려지거나, 당겨 내려진다. 이는, 사각형 이상의 다각형 형태로 천공된 전면천공부가 형성됨에 따라, 동일한 형상의 기둥형태인 발광기둥(110)이 승강스크루(210)의 회전력에 의해 함께 회전하지 않고, 전면덮개(010)에 의해 회전이 제한됨으로써 지지력을 갖게 되고, 승강스크루 연결부 돌출부(140a)가 승강스크루(210) 홈을 따라 밀려 올라가거나 당겨 내려지게 되는 것이다. 단, 발광기둥(110)이 전면천공부를 따라 승강함에 따라, 전면천공부(011)와 빈번한 마찰을 하게 되는데, 이는 베어링(bearing)이나 롤러(roller)를 구비하여 마찰을 완화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a>는 회전력을 전달받은 승강스크루(210)가 승강스크루 연결부 돌출부(140a)를 밀어올려, 발광기둥(110)이 최고점에 이르도록 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b>는 이와 반대로 회전하여 발광기둥을 최저점에 이르게 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발광부(100)가 거의 돌출되지 않은 초기 설정상태(default)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승강결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승강스크루(210)는 승강회전기어(220)와 직접 결합된 상태가 아니고, 하단의 사각 내지 팔각 기둥형태의 스크루결합부(211)를 통해 동일한 형상의 홈인 스크루 홈(221)에 끼워져서 연결된다. 스크루홈(221)에 스크루결합부(211)가 부드럽게 드나들 수 있도록 윤활유를 넣으면 승강회전기어(220)가 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스크루결합부(211)로부터 떨어져 나올 수 있을 것이다. 승강회전기어(220)의 하부에는 자성을 띈 원기둥 형태의 코어(222)가 자기장 코일(231)을 지난다. 자기장 코일(231)은 코어(222)와 접촉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로 전기신호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켜, 자성을 띈 코어(222)를 자석의 특성에 의해 밀어내거나 당기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승강회전기어(220)와 코어(222)만이 승강스크루(210)의 스크루결합부(211)로부터 이탈되어 오르내리도록 하기 위해, 승강스크루(210)는 스크루지지부(212)에 의해 하한점이 제한된다. 도 <a>는 이들 구조가 연결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b>는 자기장 코일(231)에 전기신호가 가해져 자기력이 발생함에 따라 코어를 밀어내거나 잡아 당김에 따라 승강회전기어(220)가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좌측 도면은 자기장 코일(231)에 의해 발생된 자기력이 코어(222)를 밀어냄으로써, 승강회전기어(220)가 회전연결기어(330)에 연결된 상태이다. 우측 도면은 이와 반대로 자기장 코일(231)에서 발생된 자기력이 코어(222)를 잡아당김으로써, 연결된 승강회전기어(220)가 강제로 하강함에 따라 회전연결기어(330)와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처럼 승강결착부(230)의 자기장코일(231)이 전기신호에 의해 자기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자성을 띈 코어(222)가 밀려올라가거나 내려오게 됨으로써, 각 화소별로 전동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할 것인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b>의 좌측 도면처럼 승강회전기어(220)가 회전연결기어(330)에 연결된 상태에서만 회전력이 전달되어, 승강스크루(210)를 회전시킴으로써 발광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승이나 하강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화소에서는 <b>의 우측 도면처럼 승강회전기어(220)가 당겨 내려져서 회전연결기어(330)와 연결이 해제됨에 따라, 전동모터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이 승강스크루(210)에 전달되지 않는 것이다. 즉, 현재의 상태에서 상승이나 하강의 작동이 전달되지 않아 현 위치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의 화소를 단계별로 승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초기 설정상태(default)에서는 <a>와 같이 모든 화소의 발광부 발광기둥(110)이 동일한 높이를 형성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화소별로 승강할 화소에 위치한 승강결착부 자기장 코일에 전기신호를 보내어 자성에 의해 코어(222)가 승강회전기어(220)를 회전연결기어(330)와 연결하여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필요한 화소의 발광기둥(110)만이 단계별로 상승이나 하강 작동을 하게 된다. 도 <a>가 <b>로, <b>가 <c> 및 <d>로 작동하는 단계에서 보듯이, 각 화소별로 따로 상승, 하강을 제어할 수도 있지만, 단계를 정하여 각 단계별로 상승 또는 하강해야할 화소를 지정하여 해당되는 화소 모두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여러 단계로 나누어 화소들의 발광기둥을 상승 또는 하강하게 할수록, 표현되는 부조(浮彫) 형태의 입체형상이 정교해 질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을 이용한 영상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a>는 본 발명에 의한 엘이디 전광판을 통해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를 표시한 예의 정면도이다. 가로 세로의 화소(pixel)수가 많아지면 많아 질 수 록 전광판이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의 정밀도가 높아질 것이다. 도 <a>에서 예시한 사례는 가로 약 60픽셀*세로 약 70여 픽셀로, 총 450 픽셀 전후로 표현된 것이다. 각 픽셀별로 발광부와 승강부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픽셀을 작게 하는 것 보다는 화면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화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화소수가 증가 할 수 록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는 정교해 질 것이다. 도 <b>는 <a>도면을 표시한 전광판의 측면도이다. 도시한 예는 이미지의 중심부를 수직화한 단면의 형상일 뿐이며, 가로와 세로로 각 한 점(화소, pixel)씩 을 모두 승강 제어함으로써, 이미지의 입체감을 실재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마와 코, 입술, 가슴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고, 눈, 인중, 목 부분을 상대적으로 덜 돌출되도록 하여, 평면형상인 이미지에 입체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는 단지 평면이미지를 입체적으로 표현해 줄 뿐만 아니라, 빛과 공간성을 활용하여 입체성을 부가한 복합적인 표현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고물나 다양한 시각 예술 표현 형태로도 광범위하게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001 : 하우징
010 : 전면덮개
011 : 전면천공부
100 : 발광부
110 : 발광기둥
120 : LED램프
130 : 승강홈
140 : 승강스크루 연결부
140a : 승강스크루 연결부 돌출부
200 : 승강부
210 : 승강스크루
211 : 스크루결합부
212 : 스크루지지부
220 : 승강회전기어
221 : 스크루 홈
222 : 코어
230 : 승강결착부
231 : 자기장 코일
300 : 회전구동부
310 : 전동모터
320 : 회전기어
330 : 회전연결기어
340 : 회전연결축
340a : 직접연결축
340b : 간접연결축
400 : 제어부
410 : 통신부
500 : 전원부

Claims (7)

  1. 화소별로 구비된 엘이디를 통해 칼라색상을 표시하는 전광판에 있어서,
    가로와 세로 각각 두 줄 이상 등간격으로 천공된 전면천공부(011)를 포함하는 하우징(001);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입체기둥 형상인 발광기둥(110), LED램프(120), 발광기둥의 저면부로부터 형성되는 승강홈(130), 승강홈의 말단에 구비되는 승강스크루 연결부(140)를 포함하는 발광부(100);
    나선형의 홈이 형성된 승강스크루(210), 승강스크루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승강회전기어(220), 승강스크루와 승강회전기어의 위치를 올리거나 내리는 기능의 승강결착부(230)를 포함하는 승강부(200);
    전동모터(310)와 회전기어(320)를 포함하는 회전구동부(300);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발광부(100)의 색정보와 승강결착부(230)의 결착여부, 회전구동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스크루(210) 하단에 사각 내지 팔각 기둥형태의 스크루결합부(211);를,
    상기 승강회전기어(220) 상단에 상기 스크루결합부가 끼워지도록 사각 내지 팔각의 홈인 스크루 홈(221);과 하단에 자성을 띈 원기둥 형태의 코어(222);를,
    상기 승강결착부(230)가 상기 코어(222)의 외곽을 따라 이격 형성되어 전류를 통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기장코일(231);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자기장코일(231)에 전류를 흘려보내 코어(222)가 전자석의 성질을 띄어 자성에 의해 밀거나 끌어당김에 따라 승강회전기어(22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천공부(011)가,
    사각형 내지 팔각형 중 하나의 형태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둥(110)이,
    사각기둥 내지 팔각기둥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스크루 연결부(140)가 승강스크루(210)의 나선형 홈을 따라 끼워지기 위해 돌출부(140a);를 포함하여, 승강스크루가 회전하면 상기 발광기둥(110)이 전면천공부(011)에 의해 지지되며 나선의 홈이 승강스크루 연결부를 밀어 올리거나 내림으로써, 발광부(100)의 상승과 하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5. 제 1항에 있어서, 전동모터(310)에 의해 구동되는 회전기어(320)의 회전력을 승강회전기어(220)에 연결하기 위한 회전연결기어(330);및 회전연결축(3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가 점멸과 작동을 제어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7. 제 6항에 있어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받을 경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통신, 무선랜, 지그비(zigbee) 중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KR1020150094503A 2015-07-02 2015-07-02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KR20170004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503A KR20170004317A (ko) 2015-07-02 2015-07-02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4503A KR20170004317A (ko) 2015-07-02 2015-07-02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317A true KR20170004317A (ko) 2017-01-11

Family

ID=57833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503A KR20170004317A (ko) 2015-07-02 2015-07-02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31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4571A1 (zh) * 2017-05-25 2018-11-29 周丹 一种拉杆式虚拟像素灯柱
CN108979065A (zh) * 2018-09-25 2018-12-11 浙江天博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夜光功能的户外走道地板及其挤出用设备
KR102334400B1 (ko) 2021-03-18 2021-12-01 김봉준 화소별 출몰구조를 갖는 입체 스크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197171A1 (ko) 2021-03-18 2022-09-22 김봉준 화소별 출몰구조를 갖는 입체 스크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4571A1 (zh) * 2017-05-25 2018-11-29 周丹 一种拉杆式虚拟像素灯柱
CN108979065A (zh) * 2018-09-25 2018-12-11 浙江天博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夜光功能的户外走道地板及其挤出用设备
CN108979065B (zh) * 2018-09-25 2024-03-01 浙江天博生物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夜光功能的户外走道地板及其挤出用设备
KR102334400B1 (ko) 2021-03-18 2021-12-01 김봉준 화소별 출몰구조를 갖는 입체 스크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2197171A1 (ko) 2021-03-18 2022-09-22 김봉준 화소별 출몰구조를 갖는 입체 스크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30554A (ko) 2021-03-18 2022-09-27 김봉준 화소별 출몰구조를 갖는 입체 스크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4317A (ko) 화소별 승강 가능한 부조 입체 표시 엘이디 전광판
US9204138B2 (en) User controlled regional display of mixed two and three dimensional content
TWI501214B (zh) 具有黑畫面內插之立體三度空間液晶顯示裝置
KR20110110512A (ko) 16×24 매트릭스 발광다이오드 전광판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발광다이오드 전광판
US20120300298A1 (en) 3d visual display system and method
KR20140073791A (ko) 무빙 디스플레이장치
CN109147577A (zh) 旋转式显示装置及旋转式显示装置的控制系统
KR100614202B1 (ko) 전광판 회전을 이용한 3차원 입체 영상 출력장치
KR20220031692A (ko) 변형 가능한 표면을 가진 전자 디스플레이
KR101806330B1 (ko) 핀형 물리화소를 갖는 3차원 입체정보 표시장치
US20020145576A1 (en) Visual message display device
CN209641256U (zh) 一种基于全息显示单元的拼接显示系统
KR101487906B1 (ko) 플립닷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조립모듈
KR101504565B1 (ko) 투사 영상을 맵핑시키는 플립닷 디스플레이 장치
CN110148360A (zh) 一种显示立体全息图像的全透明led显示屏
KR20160126227A (ko) 움직이는 광고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86859Y1 (ko) 회전식 입체간판
CN210223375U (zh) 一种全透明led屏显示全新图形的显示设备
JP6513376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用枠
KR20050033361A (ko) 잔상효과를 이용하여 원통형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전광판
CN102456298A (zh) 一种基于远程控制的led显示屏
KR20050033355A (ko) 잔상효과를 이용하여 구형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 전광판
CN102024388B (zh) 一种立体led显示屏
KR200338026Y1 (ko) 잔상효과를 이용하여 구형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 전광판
KR200338028Y1 (ko) 잔상효과를 이용하여 원통형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전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