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965U -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 Google Patents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965U
KR20170003965U KR2020170005695U KR20170005695U KR20170003965U KR 20170003965 U KR20170003965 U KR 20170003965U KR 2020170005695 U KR2020170005695 U KR 2020170005695U KR 20170005695 U KR20170005695 U KR 20170005695U KR 20170003965 U KR20170003965 U KR 201700039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deck
holding frame
frame
board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데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데크
Priority to KR2020170005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965U/ko
Publication of KR201700039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6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1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on prefabricated supporting structures or prefabricated foundation elements except coverings made of layers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2Paving elements having fixed spacing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의 기초틀에 보드(이하 데크보드라 함)들이 얹혀져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데크보드의 저면과 양쪽 테두리면들이 대략 ㄷ자형상의 보드유지틀에 유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데크보드가 흔들림이나 소음 등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또한 데크보드의 저면의 보드유지틀에 통풍배수구멍들이 형성되어, 데크보드의 빗물 등이 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크보드와 또한 보드유지틀이 통풍 상태를 유지하여, 데크보드와 보드유지틀의 부식으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또한 보드유지틀에 길이 짧은 데크보드를 복수개 장착하여 예를 들어 착색 또는 표면 무늬 등이 다양한 형태의 데크보드를 조합 형성하여 외관 및 미관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데크보드의 칫수에 맞게 보드유지틀의 제작과 또한 데크보드를 보드유지틀에 미리 결합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프레임의 기초틀에 고정함에 따라서, 기초틀에 데크보드의 결합 고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에 관한 것으로, 데크보드(10)의 저면과 양쪽 테두리면들이, 기초면(21)에 대하여 양쪽의 길이방향으로 세운면(22)에서 기초면의 안쪽으로 굽혀진 레일면(23)이 형성된 보드유지틀(20)에 장착되어, 프레임의 기초틀에 데크보드(10)들이 얹혀져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보드유지틀(20)의 길이는 데크보드(10)의 길이 보다 길며, 이 보드유지틀(20)에 복수개의 데크보드(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보드유지틀(20)에 다양한 데크보드(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서, 데크보드(10)가 보드유지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기초틀(30)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본 고안은 보드유지틀(20)에 결합된 데크보드(10)와의 틈(25)이 형성되어, 상기 틈(25)으로 공기가 유입되어서, 데크보드(10)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데크보드(1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Board frame of deck board}
본 고안은 건축물 내, 외장재 인테리어 바닥재 등에 사용되는 데크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기초틀에 보드(이하 데크보드라 함)들이 얹혀져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데크보드의 저면과 양쪽 테두리면들이 대략 ㄷ자형상의 보드유지틀에 유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데크보드가 흔들림이나 소음 등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또한 데크보드의 저면의 보드유지틀에 통풍배수구멍들이 형성되어, 데크보드의 빗물 등이 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크보드와 또한 보드유지틀이 통풍 상태를 유지하여, 데크보드와 보드유지틀의 부식으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또한 보드유지틀에 길이 짧은 데크보드를 복수개 장착하여 예를 들어 착색 또는 표면 무늬 등이 다양한 형태의 데크보드를 조합 형성하여 외관 및 미관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데크보드의 칫수에 맞게 보드유지틀의 제작과 또한 데크보드를 보드유지틀에 미리 결합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프레임의 기초틀에 고정함에 따라서, 기초틀에 데크보드의 결합 고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 외장재 인테리어 바닥재, 등산로, 인도 및 휀스 등에 목재 또는 합성수지의 데크보드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일명 데크보드는 미끄럼을 방지하고 또한 충격 및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고, 또한 시각적으로도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는 마감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데크보드는 프레임의 기초틀 일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그 위에 데크보드를 조립식으로 끼워 맞춘 후,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기초틀과 데크보드를 결합고정하는 시공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천연 원목의 경우, 침수성이 강한 원목의 문제는 자외선에 쉽게 뒤틀림과 터짐 및 수분에 의한 균열, 부패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오랜 기간 습식 건조와 방부처리 등의 여러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산 원가 면에서 부담이 있고, 또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와 산림의 훼손에 대한 등의 여러 가지 규제가 따르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데크보드의 형태가 다양하지 않고 일률적인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데크보드의 제작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프레임의 기초틀에 데크보드가 바로 고정되기 때문에, 데크보드가 사람에 의하여 밟힘에 의하여 데크보드의 중앙쪽이 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하고, 심하게는 훼손되어 데크보드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10-0970192에서 데크재가 차음시트, 결속체와 삽입편, 연결핀 및 연결철물 등으로 이루어진 부재가 데크보드 아래의 좌우양쪽에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또한 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나, 이 데크재의 경우는 아래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부재들의 수가 많아 일일이 부재들이 데크재와 기초틀을 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설비작업에 시간이 많이 걸리고, 또한 이로 인하여 설비비용이 높게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10-0970192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강판의 사용으로 기존 연결클립을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클립체결의 어려움으로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클립과 제품의 이격으로 발생되는 소음 및 깨짐으로 인한 하자를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합성목재 바닥재의 시공 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단위(유니트)화 하여 시공의 편의성과 시간을 간소화할 수 있고, 특히 조립된 상태로 공장 출하하여 하자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프레임의 기초틀에 고정되는 데크보드가 저면 및 측면을 받칠 수 있는 보드유지틀을 개재하여 유지고정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보드유지틀은 저면으로부터 양쪽의 세운면에서 안쪽으로 향한 레일면에 형성되어, 데크보드의 저면이 보드유지틀에서 밀착되어 휘는 등의 문제가 해결되고, 또한 데크보드의 측면에 보드유지틀의 레일면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보드유지틀에서 데크보드가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보드유지틀에 복수개의 데크보드들을 장착할 수 있어서 데크보드위의 무늬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색상의 데크보드를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바둑모양이나 글자모양 등의 데크보드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합성목재 바닥재의 시공 시 단순하였던 색상과 무늬를 다양하게 적용하여서 인도 보도블럭과 유사한 패턴의 구현으로 시인성(visibility, 視認性)과 표현성을 상향 보완할 수 있도록 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데크보드의 저면과 양쪽 테두리면들이, 기초면에 대하여 양쪽의 길이방향으로 세운면에서 기초면의 안쪽으로 굽혀진 레일면이 형성된 보드유지틀에 장착되어, 프레임의 기초틀에 데크보드들이 얹혀져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보드유지틀의 길이는 데크보드의 길이 보다 길며, 이 보드유지틀에 복수개의 데크보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보드유지틀에 다양한 데크보드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서, 데크보드가 보드유지틀에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기초틀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의 기초틀에 보드(이하 데크보드라 함)들이 얹혀져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의 데크보드의 저면과 양쪽 테두리면들이 대략 ㄷ자형상의 보드유지틀에 유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데크보드가 흔들림이나 소음 등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또한 데크보드의 저면의 보드유지틀에 통풍배수구멍들이 형성되어, 데크보드의 빗물 등이 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데크보드와 또한 보드유지틀이 통풍 상태를 유지하여, 데크보드와 보드유지틀의 부식으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또한 보드유지틀에 길이 짧은 데크보드를 복수개 장착하여 예를 들어 착색 또는 표면 무늬 등이 다양한 형태의 데크보드를 조합 형성하여 외관 및 미관적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데크보드의 칫수에 맞게 보드유지틀의 제작과 또한 데크보드를 보드유지틀에 미리 결합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프레임의 기초틀에 고정함에 따라서, 기초틀에 데크보드의 결합 고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은 기초틀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보드유지틀이 기초틀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데크보드가 보드유지틀에 장착된 상태에서 기초틀에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보드유지틀의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보드유지틀에 데크보드이 설치되는 예의 시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보드유지틀에 데크보드가 결합된 예의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보드유지틀에 데크보드의 배치예를 나타낸 평면도.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크보드(10)는 폭과 길이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의 장방형상체로 제작되며, 데크보드(10)의 양쪽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데크보드(10)의 위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고, 본 고안은 요철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고, 또한 다양한 색상으로 제작하여 후술하는 보드유지틀(20)들에 복수의 데크보드(10)들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바닥모양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드유지틀(20)은 도 4,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크보드(10)가 결합되어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는 폭과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보드유지틀(20)은 기초면(21)으로부터 양쪽으로 세운면(22)이 세워져 성형되고, 또한 상기 세운면(22)에서 기초면의 중앙쪽인 안쪽으로 절곡된 레일면(23)이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즉, 상기 보드유지틀(20)의 레일면(23)은 데크보드(10)의 양쪽 요홈(11)들이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는 칫수이고, 또한 보드유지틀(20)의 기초면(21)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크보드(10)의 저면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칫수이다.
또한, 본 고안의 보드유지틀(20)은 기초면에 다수의 통풍배수구멍(24)들이 뚫려 있다. 그리고, 보드유지틀(20)에 결합된 데크보드(10)와의 틈(2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통풍배수구멍(24)들은 데크보드(10)로부터 유입되는 빗물 등을 배출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상기 틈(25)에 의하여 틈(25)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통풍구의 역할을 하여 데크보드(10)와 보드유지틀(20)들에 바람들이 통하여져 습기로 인한 부식 등을 예방하여 데크보드(10) 및 보드유지틀(2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데크보드(10)의 저면과 양쪽 측면들이 보드유지틀(20)의 기초면과 세운면(22) 및 레일면(23)에 유지 고정되기 때문에, 데크보드(10)가 흔들림이나 소음 등이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데크보드(10)가 장착된 보드유지틀(20)을 프레임의 기초틀(30)에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바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데크보드(10)의 칫수에 맞게 보드유지틀(20)의 제작과, 또한 데크보드(10)를 보드유지틀(20)에 미리 결합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프레임의 기초틀(30)에 고정함에 따라서, 기초틀에 데크보드의 결합 고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의 상태의 프레임의 기초틀(30)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드유지틀(20)를 배열하면서 상기 보드유지틀(20)에 데크보드(10)들을 장착한 후, 나사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데크보드(10)가 프레임의 기초틀(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보드유지틀(20)의 길이는 데크보드(10)의 길이 보다 길며, 이 보드유지틀(20)에 복수개의 데크보드(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보드유지틀(20)에 다양한 데크보드(10)를 장착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드유지틀(20)에 복수개의 데크보드(10)들을 장착할 수 있어서 데크보드(10)위의 무늬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색상의 데크보드(10)를 조합하여 배치할 수 있음으로써, 예를 들어 바둑모양(40)이나 글자모양 등의 데크보드(10)를 다양한 형태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하여, 합성목재 바닥재의 시공 시 단순하였던 색상과 무늬를 다양하게 적용하여서 인도 보도블럭과 유사한 패턴의 구현으로 시인성(visibility, 視認性)과 표현성을 상향 보완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합성목재 바닥재의 최대 문제점인 수축, 팽창(길이선열팽창계수)으로 인한 하자를 목섬유 함량을 증가(70중량%)시켜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플라스틱(polyethylene, polypropylene 등) 함유로 발생되는 열팽창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어 열팽창의 한계를 주고자 두께를 30~40% 줄이고 길이를 짧게(15~50cm) 절단하여 연결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데크보드(10)는 열팽창의 한계를 주고자 두께를 줄이고 길이를 짧게 절단 한 것에 대한 보완으로 보드유지틀(20)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보드유지틀(20)이 없을 때보다 골곡최대하중, 굴곡클리프변형, 충격저항성, 충격강도, 뒤틀림성 등 KS F 3230의 물성값을 상향시켜 보완할 수 있다.
보드유지틀(20)의 사용으로 기존 연결클립을 사용하면서 발생되는 클립체결의 어려움으로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클립과 제품의 이격으로 발생되는 소음 및 깨짐으로 인한 하자를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합성목재 바닥재의 시공 시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단위(유니트)화 하여 시공의 편의성과 시간을 간소화할 수 있고, 특히 조립된 상태로 공장 출하하여 하자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 : 데크보드 11 : 요홈
20 : 보드유지틀 21 : 기초면
22 : 세운면 23 : 레일면
24 : 통풍배수구멍 25 : 틈
30 : 기초틀 40 : 바둑모양

Claims (2)

  1. 데크보드(10)의 저면과 양쪽 테두리면들이, 기초면(21)에 대하여 양쪽의 길이방향으로 세운면(22)에서 기초면의 안쪽으로 굽혀진 레일면(23)이 형성된 보드유지틀(20)에 장착되어, 프레임의 기초틀에 데크보드(10)들이 얹혀져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에 있어서,
    상기 보드유지틀(20)의 길이는 데크보드(10)의 길이 보다 길며, 이 보드유지틀(20)에 복수개의 데크보드(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보드유지틀(20)에 다양한 데크보드(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서, 데크보드(10)가 보드유지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기초틀(30)에 고정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드유지틀(20)에 결합된 데크보드(10)와의 틈(25)이 형성되어, 상기 틈(25)으로 공기가 유입되어서, 데크보드(10)에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데크보드(10)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KR2020170005695U 2017-11-06 2017-11-06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KR201700039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95U KR20170003965U (ko) 2017-11-06 2017-11-06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5695U KR20170003965U (ko) 2017-11-06 2017-11-06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773A Division KR20170057531A (ko) 2015-11-17 2015-11-17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65U true KR20170003965U (ko) 2017-11-23

Family

ID=6048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695U KR20170003965U (ko) 2017-11-06 2017-11-06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96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454B1 (ko) 2022-09-14 2023-01-13 주식회사 유진텍 데크보드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보드 프레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192B1 (ko) 2010-02-05 2010-07-14 (주)그린아트산업 목재데크용 연결클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192B1 (ko) 2010-02-05 2010-07-14 (주)그린아트산업 목재데크용 연결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454B1 (ko) 2022-09-14 2023-01-13 주식회사 유진텍 데크보드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데크보드 프레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7531A (ko)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WO2011118952A2 (ko)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US20090031651A1 (en) Befestigungsvorrichtung fur Glasscheiben Und Platten
WO2011131182A4 (de) Verlegeplatte
KR20170003965U (ko) 데크보드의 보드유지틀
KR101338538B1 (ko) 바닥재 데크보드 구조물
EP2740858B1 (en) Construction set for covering substrate, in particular floor substrate
KR101260667B1 (ko) 데크 플레이트 고정 구조
DE20209869U1 (de) Bahn- oder Plattenmaterial aus Kunststoff als Träger für Platten- oder Fliesenbeläge
KR102072500B1 (ko) 데크로드 결합구 및 그와 결합되는 데크
KR20110111652A (ko) 바닥재 데크보드 고정용 클립유지부재
HRP20110783T1 (hr) Transportna podloga
KR102084084B1 (ko) 데크 고정용 클립
KR20180087603A (ko) 내구성이 강화된 친환경 고강도 합성데크 조립체
EP3568296B1 (en) Strip-shaped sandwich structure and a slat comprising such a strip-shaped sandwich structure
JP4283121B2 (ja) ドア
KR100981921B1 (ko)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CN204781794U (zh) 改良的塑木地板组合结构
KR101001191B1 (ko) 차음 방진용 체육관 마루바닥
KR200430910Y1 (ko) 방음벽용 가변형 지주 가림판
CN217812101U (zh) 一种复合地板
KR100642078B1 (ko) 건축용 바닥판재
KR102076451B1 (ko) 데크로드 연결 바 및 그와 결합되는 데크
CN204754102U (zh) 一种高耐候卡槽地板
KR101001189B1 (ko)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