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85U - 상자 - Google Patents
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3885U KR20170003885U KR2020160002439U KR20160002439U KR20170003885U KR 20170003885 U KR20170003885 U KR 20170003885U KR 2020160002439 U KR2020160002439 U KR 2020160002439U KR 20160002439 U KR20160002439 U KR 20160002439U KR 20170003885 U KR20170003885 U KR 2017000388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g
- wing member
- storage space
- box
- tr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0—Internal supporting or protecting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028—El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5035—Paper elements
- B65D5/5038—Tray-like elements formed by folding a blank and presenting openings or re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13—Internal elements supporting the contents and movable for displaying them, e.g. movable bottoms or tr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 B65D81/13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of a shape specially adapted to accommodate contents, e.g.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 공간을 덮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날개부재를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수납되며 상기 제1 날개부재에 연결된 제2 날개부재를 갖는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접지가 용이하며, 개봉시 자동 리프트 업이 가능한 트레이부를 가지는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자는, 지정된 장소로 물품을 이송시에 그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물품의 외면을 감싸는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BOX)를 의미하며, 상자의 외관이 일정하게 이루어져 물품의 형태에 관계없이 적재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구매자가 물품을 별도로 포장할 필요없이 구매한 상태로 선물을 이루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자는 화장품, 식품류부터 쉽게 깨지거나 훼손될 우려가 있는 전자물품까지 두르 수용하게 되며, 이송시에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스티로폼이나 스폰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완충재를 그 물품의 외면에 끼움 결합하여 상자에 수용시키거나 또는 상자 내부에 입자 형태의 완충재를 물품과 함께 다량 주입하여 이송시에 물품의 파손을 방지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상자는 물품의 형태에 관계없이 다층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물품을 보호하기는 하나, 일률적인 형태를 이루고 물품의 선택에 있어서 차별화를 주기가 어렵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품보관시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면서도, 상자 개봉시 자동으로 물품이 리프트 업될 수 있는 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 공간을 덮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날개부재를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수납되며 상기 제1 날개부재에 연결된 제2 날개부재를 갖는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제1 날개부재가 상기 수납 공간의 외측으로 펼쳐질 때 상기 제2 날개부재의 펼쳐짐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날개부재 또는 상기 제2 날개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날개부재 또는 상기 제2 날개부재 중 나머니 하나에는 상기 절개부재에 간섭되는 절개홈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개부재는, 상기 절개홈에 관통되어 타단이 상기 제2 날개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트레이부를 상기 제1 날개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날개부재와 상기 제2 날개부재는 각각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부는, 양단에 상기 제2 날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제2 날개부재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부재는, 물품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날개부재와 어긋나게 마련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전방으로 접혀 들어가는 이격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상기 트레이부의 측면 및 하부에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자는, 본체부 좌우 양측의 제1 날개부재가 트레이부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는 제2 날개부재와 연결되어, 상자 개봉시 제1 날개부재에 연동하여 제2 날개부재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자동으로 트레이부가 상승될 수 있어, 상자 개봉시 물품이 부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품을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자 개봉시 수납 공간 내부의 물품 높이가 상자의 상부 단부 높이에 대응되어 자동으로 상승되므로, 물품이 사용자에게 잘 보일 수 있으며, 상자가 닫힌 상태에서는 제2 날개부재가 접혀 물품이 담긴 트레이가 하강함으로써 무게 중심이 내려가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착제의 이용없이 트레이부와 본체부를 즉시 조립할 수 있도록, 트레이부와 본체부가 조립되어 완성될 필요없이 개별로 완성된 후 포장시 트레이부와 본체부가 접지(folding)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와 같이, 트레이부와 본체부가 접힌 상태로 개별 보관될 수 있으므로, 포장재의 비용이 과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품이 포장되기 전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평편하게 접힌 상태로 운반 가능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운반비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자의 개구부가 되는 전방 상단부가 절개되지 않고 이격방지부재로 이용되어 수납 공간 내부로 접혀져 투입됨으로써, 트레이부와 본체부 내부의 수납 공간 사이의 유격이 좁혀질 수 있어, 트레이부와 본체부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특히 본체부 내부로 접혀진 이격방지부재가 펴지려는 성질로 인하여 트레이부가 본체부의 외부로 탈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격방지부재가 트레이부를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트레이부를 상승시킬 때 제1 날개부재를 과도하게 벌릴 필요가 없어 상자의 개방이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본체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트레이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에서 제1 날개부재가 개방되어 받침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에서 제1 날개부재가 덮여져 받침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본체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트레이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에서 제1 날개부재가 개방되어 받침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에서 제1 날개부재가 덮여져 받침부재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의 본체부와 트레이부를 도시한 전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에서 제1 날개부재의 회동에 따른 받침부재의 리프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자(100)는 본체부(110) 및 트레이부(150)를 포함하며, 화장품, 식품류 등의 물품이 보관되는 상자로서 물품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체부(110) 및 트레이부(150)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평면 상태로 전개가 가능하고, 접는 방법을 통해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상자(1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과 같이 일반적인 포장상자의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물품이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 공간(110A)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사용자의 편의성 및 개방시의 물품 낙하 방지 등을 위해 상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납 공간(110A)이 노출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상부에 개구부(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며 수납 공간(110A)이 형성되는 수납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고,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해 커버부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부재(111)는 수납 공간(110A)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자(100)의 바닥면(111A)과 측면 둘레(111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12)는 수납부재(111)의 뚜껑으로서 예를 들어 수납부재(111) 후측의 상단에 연장되어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접힘과 펼침에 따라 수납부재(111)를 개폐할 수 있다.
아울러, 본체부(110)는 수납부재(111)의 둘레면에 커버부재(112)뿐만 아니라 제1 날개부재(113), 이격방지부재(11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수납부재(111)의 둘레면 각각에는 커버부재(112), 제1 날개부재(113), 이격방지부재(114)가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커버부재(112), 제1 날개부재(113), 이격방지부재(114)각각은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접힘과 펼침이 용이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부재(112), 제1 날개부재(113), 이격방지부재(114) 각각은 후술되는 접는선(153B)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종이가 접혀져 형성될 수 있으며, 접혀진 선을 따라 본체부(110)와 구획될 수 있고 선을 따라 가이드되어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날개부재(113)는 수납부재(111)의 개구부 상부에서 좌우 양단에 마련될 수 있고, 커버부재(112)와 이격방지부재(114)는 제1 날개부재(113)와 어긋나게 마련되어, 후방에 커버부재(112)가 마련되는 경우 전방에는 이격방지부재(114)가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제1 날개부재(113), 커버부재(112) 각각은 일단이 수납부재(111)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일단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거나, 젖혀질 수 있으므로 수납부재(111)를 가로지르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다만, 이격방지부재(11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트레이부(150)의 하부에 접혀 들어간 후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112)는 본체부(11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접혀 본체부(1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고, 이와 달리 상부로 수직하게 펼쳐지거나 후방으로 젖혀져 수납 공간(110A)을 개방시키는 바와 같이, 커버부재(112)가 수납 공간(110A)을 개방하되 폐쇄할 수 있도록 수납 공간(110A)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커버부재(112)가 수납 공간(110A)을 폐쇄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커버부재(112)의 단부에는 보조날개(112A)가 마련되어 커버부재(112)가 고정된 일단의 반대편인 이격방지부재(114)에 대향하도록 접혀져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112)에서 보조날개(112A)가 형성되는 구분선 상에는 이중꽂이(114A)(이격방지부재(114)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음)가 끼움되는 결합홈(11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중꽂이(114A)와 커버부재(112)의 개폐는 일반적인 상자의 개폐방식과 동일 또는 유사하며, 본체부(110)는 제1 날개부재(113)가 마련되는 것이 종래와 다르고, 그 조립 방식은 일반적인 상자의 조립 방식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공지된 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도록 한다.
게다가, 한 쌍의 제1 날개부재(113)는 수납 공간(110A)을 덮도록 이루어지되,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 쌍의 제1 날개부재(113)의 단면적이 수납 공간(110A)의 단면적과 같거나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수납 공간(110A)의 가로길이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1 날개부재(113)의 가로길이가 이루어지는 경우, 수납 공간(110A)에 대향한 한 쌍의 제1 날개부재(113)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수용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여 사용자가 제1 날개부재(113)를 동시에 외측으로 젖힐 수 있도록 제1 날개부재(113)에는 수납 공간(110A)을 폐쇄한 상태에서 수납 공간(110A)의 일부가 노출되는 절단면(153C)(도 1 및 도 3 참조)이 이루어져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1 날개부재(113)를 잡고 펼치기 용이할 수 있다. 이러한 절단면(153C)의 형성은 제2 날개부재(153)에 동일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1 날개부재(113)와 제2 날개부재(153)를 함께 젖힐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달리, 수납 공간(110A)에 대향하여 한 쌍의 제1 날개부재(113)가 서로 대향하는 사이가 서로 이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한 쌍의 제1 날개부재(113)사이에 끼워지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어 제1 날개부재(113)를 젖힐 수 있도록 고리(도시하지 않음), 밴드(도시하지 않음) 등의 구성이 제1 날개부재(113) 상에 마련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게다가, 제1 날개부재(113)가 수납 공간(110A)을 개방시 트레이부(150)가 자동으로 리프트 업이 가능하도록, 제1 날개부재(113)는 트레이부(150)의 양측에 마련되는 제2 날개부재(153)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날개부재(113)에는 절개부재(113A)가 마련될 수 있는데, 절개부재(113A)는 트레이부(150)를 제1 날개부재(113)에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절개부재(113A)는 그 일단이 제1 날개부재(113)에 연결된 상태로 제1 날개부재(113)의 일부가 절단되어 절개부재(113A)의 타단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재(113A)는 후술되는 제2 날개부재(153)의 절개홈(153A)에 관통되어 타단이 제2 날개부재(153)에 대향하여 절개부재(113A)가 제2 날개부재(153)에 걸리는 형태를 이루게 되고, 제2 날개부재(153)가 제1 날개부재(113)에 고정됨으로써, 트레이부(150)가 제2 날개부재(153)에 연동할 수 있다. 즉, 제1 날개부재(113)가 수납 공간(110A)을 개방시키도록 좌우 양측의 외측으로 젖혀지는 경우, 제2 날개부재(153)가 제1 날개부재(113)를 따라 외측으로 젖혀질 때, 제1 날개부재(113)를 따라 트레이부(150)의 받침부재(151)가 함께 올려질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격방지부재(114)는 수납부재(111)의 상부 전방이 절개되지 않고 수납 공간(110A) 내부에서 받침부재(151)의 측면 및 하부로 접혀 들어가 트레이부(150)를 수납 공간(110A)의 벽면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즉, 트레이부(150)와 본체부(110) 내부의 수납 공간(110A) 사이의 유격이 이격방지부재(114)에 의해 좁혀질 수 있고, 특히 본체부(110) 내부로 접혀진 이격방지부재(114)는 종이의 형상이 복귀하려는 성질로 인해 펴지려 하므로, 트레이부(150)의 받침부재(151)와 본체부(110) 사이의 유격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트레이부(150)가 본체부(110)의 외부로 탈리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방지부재(114)는 트레이부(150)가 수납 공간(110A)에 결합되기 전에 먼저 접지되어 트레이부(150)의 측면 및 하부에 이격방지부재(114)가 배치되도록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격방지부재(114)가 트레이부(150)를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트레이부(150)가 수납 공간(110A)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므로, 트레이부(150)를 상승시킬 때, 제1 날개부재를 과도하게 벌릴 필요가 없어 상자(1)의 개방이 편리할 수 있다.
트레이부(150)는 본체부(110) 내에 수납되어 물품(1)이 수납되는 구성으로서, 받침부재(151)와 제2 날개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재(151)는 양단에 제2 날개부재(153)가 마련되어 제2 날개부재(153)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고, 높이를 가져 물품(1)이 수납 공간(110A)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물품(1)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할 수 있으며, 물품(1)이 고정되는 고정홈(152)이 형성되어 물품(1)이 수납 공간(110A)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물품(1)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부재(151)는 본체부(110)의 수납 공간(110A)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넓이와 높이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받침부재(151)는 평면의 종이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박스 형태로 접혀져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면에 고정홈(152)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홈(152)은 관통되어 형성되는 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절개선(152A)이 받침부재(151)의 상면 중 일부분이 절개되어 물품(1)의 삽입에 의해 절개선(152A)이 벌어져 물품(1)이 끼워지거나 물품이 제거되어 절개선(152A)이 복원되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아울러, 받침부재(151)는 수납 공간(110A)의 높이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품이 고정홈(152)을 통해 받침부재(151)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110A)의 높이와 받침부재(151)의 높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 날개부재(153)는 받침부재(151)가 제1 날개부재(113)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날개부재(1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날개부재(153)는 제1 날개부재(113)에 대응하도록 제1 날개부재(113)가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제1 날개부재(113)에 대향하여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날개부재(153)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절개부재(113A)에 간섭되는 절개홈(153A)이 마련될 수 있다. 절개홈(153A)은 절개부재(113A)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절개부재(113A)의 일단부의 위치에 마련되고 절개부재(113A)의 폭과 두께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날개부재(153)가 수납 공간(110A)에 수용되어 접혀진 상태에서 제2 날개부재(153)의 타단부와 받침부재(151)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즉 제2 날개부재(153)가 받침부재(151)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품(1)이 보관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2 날개부재(153)에는 접는선(153B)이 마련되어 제2 날개부재(153)가 접는선(153B)에 의해 각도를 이루며 꺾임으로써 타단부가 받침부재(15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도 5참조). 여기서, 접는선(153B)은 제2 날개부재(153)가 접혀져 형성된 선으로서, 제2 날개부재(153)가 꺾이는 위치를 가이드하여 제2 날개부재(153)가 임의의 위치에서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1 날개부재(113)가 수납 공간(110A)의 외측으로 펼쳐질 때 제2 날개부재(153)가 외측으로 함께 펼쳐지는데, 제1 날개부재(113)와 제2 날개부재(153)는 절개홈(153A)과 절개부재(113A)에 의해 서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어 제1 날개부재(113)의 타단부뿐만 아니라 일단부까지 함께 연동하여 펼쳐지거나 접힐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날개부재(113)의 타단이 회전시(펼쳐질 때), 받침부재(151)의 모서리에 연결된 제2 날개부재(153)의 일단이 제1 날개부재(113)의 일단 모서리에 근접하여 상부로 올려지게 되므로, 보관시에 수납 공간(110A)의 하부에 위치된 제2 날개부재(153)의 일단이 제1 날개부재(11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부로 끌어 올려져 상승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날개부재(113)가 접혀 수납 공간(110A)에 대향하면 제2 날개부재(153)가 연동하여 수납 공간(110A) 측으로 다시 수용됨으로써 받침부재(151)가 제2 날개부재(153)와 한께 수납 공간(110A)으로 삽입되면서 제1 날개부재(113)에 의해 상승된 높이가 복귀되어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날개부재(113)와 제2 날개부재(153)의 회전에 따라 받침부재(151)는 수납 공간(110A)에서 승하강될 수 있어, 상자(100)가 폐쇄되어 물품(1)이 보관된 상태에서는 무게중심이 내려가 안정적일 수 있고, 상자(100)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물품(1)이 수납 공간(110A) 상단부로 상승하여 잘 보일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제1 날개부재(113)에 절개부재(113A)가 마련되고, 제2 날개부재(153)에 절개홈(153A)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2 날개부재에 절개부재가 마련되고 제1 날개부재에 절개홈이 마련되거나 제1 날개부재(113)에 절개부재와 절개홈이 각각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2 날개부재(153)에 절개부재와 절개홈이 마련되는 바와 같이, 절개부재와 절개홈은 제1 날개부재와 제2 날개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위치가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본체부(110) 좌우 양측의 제1 날개부재(113)가 트레이부(15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는 제2 날개부재(153)와 연결되어, 상자(100) 개봉시 제1 날개부재(113)에 연동하여 제2 날개부재(153)가 함께 회전함으로써, 자동으로 트레이부(150)가 상승될 수 있어, 상자(100) 개봉시 물품(1)이 부각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물품(1)을 배출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자(100) 개봉시 수납 공간(110A) 내부의 물품(1) 높이가 상자(100)의 상부 단부 높이에 대응되어 자동으로 상승되므로, 물품(1)이 사용자에게 잘 보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물품
100: 상자
110: 본체부 110A: 수납 공간
111: 수납부재 112: 커버부재
112A: 보조날개 112B: 결합홈
113: 제1 날개부재 113A: 절개부재
114: 이격방지부재 150: 트레이부
151: 받침부재 152: 고정홈
152A: 절개선 153: 제2 날개부재
153A: 절개홈 153B: 접는선
110: 본체부 110A: 수납 공간
111: 수납부재 112: 커버부재
112A: 보조날개 112B: 결합홈
113: 제1 날개부재 113A: 절개부재
114: 이격방지부재 150: 트레이부
151: 받침부재 152: 고정홈
152A: 절개선 153: 제2 날개부재
153A: 절개홈 153B: 접는선
Claims (8)
-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 공간을 덮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날개부재를 갖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 내에 수납되며 상기 제1 날개부재에 연결된 제2 날개부재를 갖는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상기 제1 날개부재가 상기 수납 공간의 외측으로 펼쳐질 때 상기 제2 날개부재의 펼쳐짐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 내에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재 또는 상기 제2 날개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이루어지는 절개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날개부재 또는 상기 제2 날개부재 중 나머니 하나에는 상기 절개부재에 간섭되는 절개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재는,
상기 절개홈에 관통되어 타단이 상기 제2 날개부재에 대향하여, 상기 트레이부를 상기 제1 날개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재와 상기 제2 날개부재는 각각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트레이부는, 양단에 상기 제2 날개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제2 날개부재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물품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날개부재와 어긋나게 마련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상기 수납 공간의 전방으로 접혀 들어가는 이격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방지부재는,
상기 트레이부의 측면 및 하부에 맞닿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439U KR200491906Y1 (ko) | 2016-05-04 | 2016-05-04 | 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60002439U KR200491906Y1 (ko) | 2016-05-04 | 2016-05-04 | 상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885U true KR20170003885U (ko) | 2017-11-15 |
KR200491906Y1 KR200491906Y1 (ko) | 2020-06-29 |
Family
ID=6040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60002439U KR200491906Y1 (ko) | 2016-05-04 | 2016-05-04 | 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90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5646A (ko) * | 2017-12-27 | 2018-01-16 | 주식회사 마스카컴퍼니 | 화장품용 포장 박스 |
KR102363504B1 (ko) * | 2021-06-11 | 2022-02-16 | 이미란 | 천 커버가 씌워진 상품 포장용 트레이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75454A (ja) * | 2002-11-01 | 2004-06-24 | Daizen Kk | 窓付き段ボール箱 |
KR200361939Y1 (ko) * | 2004-06-05 | 2004-09-16 | 변우영 | 승강식 포장상자 |
KR200398276Y1 (ko) * | 2005-07-18 | 2005-10-12 | 김상희 | 물품 포장용 상자 |
-
2016
- 2016-05-04 KR KR2020160002439U patent/KR200491906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75454A (ja) * | 2002-11-01 | 2004-06-24 | Daizen Kk | 窓付き段ボール箱 |
KR200361939Y1 (ko) * | 2004-06-05 | 2004-09-16 | 변우영 | 승강식 포장상자 |
KR200398276Y1 (ko) * | 2005-07-18 | 2005-10-12 | 김상희 | 물품 포장용 상자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5646A (ko) * | 2017-12-27 | 2018-01-16 | 주식회사 마스카컴퍼니 | 화장품용 포장 박스 |
KR102363504B1 (ko) * | 2021-06-11 | 2022-02-16 | 이미란 | 천 커버가 씌워진 상품 포장용 트레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1906Y1 (ko) | 2020-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5833B1 (ko) | 음식물 보관용 팩 또는 이에 관한 개량 | |
US3215332A (en) | Carton | |
KR20100044894A (ko) | 끽연 물품용 팩 및 상자 | |
KR200492642Y1 (ko) | 포장상자와 물품 디스펜서 | |
KR20170108153A (ko) | 절개부를 함유하는 스페이서를 갖는 소비자 물품용 용기 | |
KR20180087242A (ko) | 소비재용 팩 | |
KR20170003885U (ko) | 상자 | |
US2638210A (en) | Display box for decorated easter eggs | |
KR20100003634U (ko) | 쿠키 포장상자 | |
KR200398741Y1 (ko) | 상품 포장용 상자 | |
KR101878197B1 (ko) | 포장용 상자 | |
KR101757152B1 (ko) | 전시 기능을 갖는 포장용 상자 | |
JP3196778U (ja) | スティック状包装品用トレー | |
KR101735937B1 (ko) | 포장용 박스 | |
KR200491046Y1 (ko) | 칸막이가 구비된 제품 포장용 박스 | |
KR200474670Y1 (ko) | 칸막이가 구획된 포장박스 | |
KR102018563B1 (ko) | 제품 전시 및 격리 포장 가능한 포장 케이스 | |
KR102077551B1 (ko) | 물품의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박스 | |
KR102708931B1 (ko) | 분배 수단을 포함하는 소비재용 용기 | |
KR200441420Y1 (ko) | 포장용 조립체 | |
KR20110047530A (ko) | 경대형상품지기 | |
KR200442947Y1 (ko) | 포장용 조립체 | |
KR101968978B1 (ko) | 포장케이스 및 제작방법 | |
KR101709659B1 (ko) | 봉재형 포장상자 | |
KR101631824B1 (ko) | 상품 포장박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