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832U - Movable Pedestal - Google Patents

Movable Pedest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832U
KR20170003832U KR2020160002325U KR20160002325U KR20170003832U KR 20170003832 U KR20170003832 U KR 20170003832U KR 2020160002325 U KR2020160002325 U KR 2020160002325U KR 20160002325 U KR20160002325 U KR 20160002325U KR 20170003832 U KR20170003832 U KR 201700038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frame
pedestal
support legs
support leg
movable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32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병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진산업
Priority to KR20201600023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832U/en
Publication of KR20170003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3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14Hanging-up devices
    • A61M5/1415Stands, brackets or the like for supporting infusion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8Ball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 B60B2200/26Medical appliance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는, 상하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체결공이 형성된 센터블록; 상기 센터블록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외곽프레임; 상기 지지다리의 끝단측 저면 또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저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퀴;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는, 방사형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지지다리가 보강되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어느 방향에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발로 밀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movabl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enter block having a fastening hol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support leg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radial shape about the center block; An outer frame integr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And a plurality of wheel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support leg or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frame. The movabl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plurality of radially arranged support legs are reinforced to provide excellent durability and can be easily pushed by a user in any direction.

Description

이동식 받침대 {Movable Pedestal}Movable Pedestal

본 고안은 링겔거치대나 의자 등을 이동 가능한 구조로 지지하기 위한 이동식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사형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지지다리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가 발로 미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외곽프레임이 구비된 이동식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pedestal for supporting a ring-gel pedestal, a chair, and the like in a movabl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vable pedestal for supporting a 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edestal provided with a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링겔거치대나 의자 등을 이동 가능한 구조로 지면에 안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다수 개의 바퀴가 구비된 이동식 받침대가 사용된다.In general, when a ring gear holder, chair, or the like is to be mounted on a ground with a movable structure, a movable pedestal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is us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이동식 받침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ventional mobile pedest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링겔거치대가 장착된 종래의 이동식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의자가 장착된 종래의 이동식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portable pedestal equipped with a ring gel pedestal, and FIG. 2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movable pedestal equipped with a chair.

종래의 이동식 받침대(10)는 일반적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지지다리(12)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하되, 각 지지다리(12)의 끝단측 저면에는 바퀴(14)가 구비되고, 중심부 상면에는 체결공(16)이 형성된다.The conventional movable pedestal 10 has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 which are generally radially arranged as a basic component. The wheels 14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at the end of each support leg 12, A fastening hole 16 is formed.

일반적으로 링겔거치대(20)는 수직으로 세워지는 봉 형상의 지지대(22)와, 상기 지지대(22)의 상측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링겔병(26)이 걸리는 링겔걸이(24)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식 받침대(10)에 링겔거치대(20)를 장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2) 하단을 체결공(16)에 삽입시킴으로써, 링겔거치대(20)를 세울 수 있게 된다.Generally, the ring gel holder 20 comprises a bar support 22 which is vertically erected and a ring gel holder 24 which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22 and engages the ring gel bottle 26. 1, by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se 22 into the fastening hole 16, it is possible to mount the ring gel stand 20 on the movable pedestal 10, .

링겔거치대(20)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지지대(22)를 손으로 밀어야 하는데, 환자의 손에는 링겔바늘이 꽂혀 있으므로 지지대(22)를 손으로 미는 조작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손으로 지지대(22)를 밀기 어려운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이동받침대(10)를 발로 밀어내어 상기 이동받침대(10)에 장착된 링겔거치대(10)를 이동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In order to move the ring gel holder 20, the support holder 22 must be pushed by hand. However, since the ring gel needle is inserted into the patient's hand, it may be difficult to push the holder 22 by hand. In this way, when the support base 22 is difficult to push by hand, a method of pushing the movable base 10 to the feet and moving the ring gel base 10 mounted on the base 10 is used.

이때, 사용자가 걸음을 걸으면서 이동받침대(10)를 발로 밀기 위해서는 지지다리(12)를 발로 밀어야 하는데, 상기 지지다리(12)는 체결공(16)이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지지다리(12)의 끝단을 바로 밀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이동받침대(10)는 지면 상에서 이동하는 동안 체결공(16)을 중심으로 자전을 하게 되는바, 지지다리(12)의 끝단을 정확하게 발로 미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push the movable pedestal 10 with the foot while the user is walking, the support leg 12 must be pushed to the foot. Since the support leg 12 is radially arranged from the point where the fastening hole 16 is formed, It is necessary to push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 directly. However, since the moving pedestal 10 rotates about the fastening hole 16 while moving on the grou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push the end of the supporting leg 12 accurately.

또한, 일반적으로 의자(30)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좌판(32)과,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판(34)을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하며, 이동받침대(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좌판(32)의 저면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센터축(36)이 구비된다.In general, the chair 30 is provided with a seat 32 for supporting the user's buttocks and a back plate 34 for supporting the user's back, And a center shaft 36 extending downwar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32.

이와 같이, 이동받침대(10)에 의자(30)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이동받침대(10)에는 큰 하중이 인가되는바, 사용 기간이 오래되거나 체중이 높은 사용자가 의자(30)에 착석하는 경우 상기 지지다리(12)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일측으로 비스듬히 의자(30)에 앉는 경우, 다수 개의 지지다리(12) 중 어느 하나의 다리(12)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지지다리(12)의 파손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chair 30 is mounted on the moving pedestal 10,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moving pedestal 10, and when a user having a long period of use or a high weight is seated on the chair 3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pport leg 12 may be damaged. Particularly, when the user sits on the chair 30 obliquely to one side, the load is concentrated on one leg 12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2, so that the support leg 12 breaks more frequently have.

KR 20-0198747 Y1KR 20-0198747 Y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지지다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고, 어느 방향에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발로 밀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동식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pedestal which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a plurality of support legs arranged radially and can be easily pushed by a user in any direction hav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는, 상하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체결공이 형성된 센터블록; 상기 센터블록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를 일체로 연결하는 외곽프레임; 상기 지지다리의 끝단측 저면 또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저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vable base including: a center block having a coupling hole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support leg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radial shape about the center block; An outer frame integr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And a plurality of wheel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end of the support leg or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frame.

상기 외곽프레임은, 상기 센터블록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 끝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The outer frame is configured to have a circular shape around the center block, an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support leg ends.

상기 외곽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외곽프레임보다 탄성이 높고 마찰계수가 큰 착탈패드가 구비된다.And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outer frame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ad having a higher elasticity and a larger friction coefficient than the outer frame.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퀴는 상기 지지다리 중 상기 외곽프레임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저면에 구비된다.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and the wheel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a portion of the support leg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는, 방사형으로 배열된 다수 개의 지지다리가 보강되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어느 방향에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발로 밀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The movabl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 plurality of radially arranged support legs are reinforced to provide excellent durability and can be easily pushed by a user in any direction.

도 1은 링겔거치대가 장착된 종래의 이동식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의자가 장착된 종래의 이동식 받침대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movable pedestal equipped with a ring gel holder.
2 is a state view showing the use of a conventional movable pedestal equipped with a chair.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mobil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movabl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ovabl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제1실시예First Embodiment ))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겔거치대나 의자를 이동 가능하도록 받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체결공(112)이 형성된 센터블록(110)과, 상기 센터블록(110)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120)와, 상기 지지다리(120)의 저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바퀴(140)를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bile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movabl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upporting the ring gel pedestal or the chair movably, and includes a center block 110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extending horizontally to form a radial shape around the center block 110 and a plurality of wheels 140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leg 120, Respectively.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100)는 센터블록(110)으로 인가되는 하중이 어느 일측의 지지다리(120)로만 집중되지 아니하고 각 지지다리(120)로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120)를 일체로 연결하는 외곽프레임(130)을 구비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In this case, the movabl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center block 110 is not concentrated only on one of the support legs 120, And an outer frame 130 that integrally connects the legs 120. [0064]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지지다리(120)가 외곽프레임(1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120) 중 어느 일측으로 하중이 집중되더라도, 인가된 하중이 외곽프레임(130)을 통해 복수 개의 지지다리(120)로 분산되는바, 상기 센터블록(110)에 큰 하중이 인가되더라도 지지다리(120)가 파손되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이동식 받침대(10)에 구비된 지지다리(12)는 외팔보 구조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측방 외력이 인가될 때 쉽게 휘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100)에 구비된 지지다리(120)는 측면이 외곽프레임(130)에 의해 보강되어 있으므로 측방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휘어지지 아니한다는 장점도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ar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outer frame 130, even if a load is concentrated on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the applied load is transmitted to the outer frame 130 So that the support leg 120 is not easily broken even when a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center block 110. As a result,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legs 12 of the conventional mobile pedestal 10 are extended in a cantilever structure, they can be easily bent when an external lateral force is applied. However, the support pedestal 12 is provided with a movable pedestal 100 The supporting legs 120 are reinforced by the outer frame 130 so that they are not bent even when a lateral external force is applied.

한편, 이동식 받침대(100)가 지상에서 구를 수 있도록 지지다리(120) 저면에 구비되는 바퀴(140)는 안착 안정성이 높게 확보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지지다리(120)의 끝단측에 구비되는데, 이와 같이 바퀴(140)가 지지다리(120) 끝단측에 구비되면 센터블록(110)에 하중이 인가되었을 때 바퀴(140)에 발생되는 반력이 지지다리(120)의 끝단측으로 집중되는바, 상기 지지다리(120)는 센터블록(110)과 가까운 측보다 끝단측이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100)는, 상기 지지다리(120)로 전달되는 바퀴(140)의 반력이 외곽프레임(130)을 타고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외곽프레임(130)이 지지다리(120)의 끝단측(더 명확하게는 바퀴(140)가 장착된 부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wheel 140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leg 12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0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seat can be secured, When the wheel 140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0, the reaction force generated in the wheel 140 is concentrated toward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0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center block 110, The end portions of the support legs 120 tend to be more easily broken than the side closer to the center block 110. Therefore, the movabl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uter frame 130 is supported by the support legs 120 so that the reaction force of the wheels 140 transmitted to the support legs 120 can be dispersed on the outer frame 130 120 (more specifically, the portion where the wheel 140 is mounted).

한편, 복수 개의 지지다리(120)를 연결하는 외곽프레임(130)은 어느 방향으로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터블록(110)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outer frame 13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may have a circular shape around the center block 110 a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so that the outer frame 130 can be evenly dispers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ny direction. .

또한, 사용자가 이동식 받침대(100)를 발로 밀면서 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이동식 받침대(100) 중 가장자리에 위치되는 부위를 발로 밀게 되는데, 종래의 이동식 받침대(10)와 같이 지지다리(12)의 끝단이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지지다리(12)의 끝단을 발로 밀어야 한다. 이때 사용자가 정확하게 지지다리(12)의 끝단을 밀지 못하는 경우 이동식 받침대(10)가 회전되어 버릴 뿐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user moves the movable pedestal 100 by pushing the pedestal 100, the portion of the movable pedestal 100 located at the edge of the movable pedestal 100 is pushed to the foot. The end of the supporting leg 12, like the conventional movable pedestal 10, The user must push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 to the foot. At this time, if the user can not accurately push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 the movable pedestal 10 may be rotated, but the user may not be able to move in a desired direction.

더욱이, 사용자가 지지다리(12)의 끝단을 발로 밀어 이동식 받침대(10)를 이동시킬 때, 상기 지지다리(12)의 끝단에 인가되는 힘이 지지다리(12)의 길이방향과 일치하지 아니하면 상기 이동식 받침대(10)가 회전을 하게 되는바, 지지다리(12) 끝단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변화된다. 이와 같이 지지다리(12) 끝단의 위치가 불규칙하게 변화되면, 사용자는 지지다리(12) 끝단을 정확하게 바로 미는 동작이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발생된다.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 does not coincide with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pport leg 12 when the user moves the movable pedestal 10 by pushing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 with the foot, When the movable pedestal 10 is rotated,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 changes irregularly. When the position of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 is irregularly changed, a problem arises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accurately push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 directly.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100)와 같이 각각의 링 형상의 외곽프레임(130)이 최외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면, 사용자는 어느 방향에서도 외곽프레임(130)을 발로 밀 수 있으므로 이동식 받침대(100)를 발로 밀어 이동시키는 조작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이동식 받침대(100)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외곽프레임(130)은 항상 동일한 형태를 이루므로, 사용자는 이동식 받침대(100)를 눈으로 확인하지 아니하더라도 연속적으로 발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However, if each ring-shaped outer frame 130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osition as in the case of the mobil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push the outer frame 130 in any direction, 100 can be easily pushed and moved. In particular, since the outer frame 130 always has the same shape regardless of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able pedestal 100 is rotated, the user can continuously push the movable pedestal 100 with his / do.

또한, 지지다리(120)를 연결하는 외곽프레임(130)이 없는 경우에는 바퀴(140)를 지지다리(120)에만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바퀴(140)는 지지다리(120)의 개수만큼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외곽프레임(130)이 지지다리(120)의 끝단을 연결하는 링 구조로 형성되면, 상기 바퀴(140)를 외곽프레임(130) 저면에도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식 받침대(100)의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Since the wheel 140 can be mounted only on the support leg 120 in the absence of the outer frame 130 connecting the support legs 120, . However, if the outer frame 130 is formed as a ring structure connecting the ends of the support legs 120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the wheels 140 can b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0, The stability of the movable pedestal 100 can be improved.

((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100) 제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mobil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식 받침대(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바퀴(140)가 이동식 받침대(100)의 중심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멀리 이격될수록 안착 안정성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상기 바퀴(140)가 지지다리(120)의 끝단측 저면에 장착되는 경우, 지지다리(120)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바퀴(140)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는바, 상기 이동식 받침대(100)가 기울어지거나 뒤집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된다.In the mobile pedestal 100, the stability of the seat is improved as the wheel 140, which is seated on the ground, moves away from the center of the movable pedestal 10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when the wheel 14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leg 120, as the length of the support leg 120 increases, the distance of the wheel 140 increases, ) Is not inclined or inverted.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100)는 보다 안정적으로 지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120)의 끝단이 외곽프레임(130)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다리(120)의 끝단측이 외곽프레임(130)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면, 센터블록(110)과 바퀴(140) 간의 거리가 증가하므로 이동식 받침대(100)의 안정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4,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0 is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outer frame 130 so that the movabl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block 110 and the wheel 140 is increased so that the stability of the movable pedestal 100 can be improved. .

이때, 상기 지지다리(120)의 외측단이 외곽프레임(130)의 외측면보다 과도하게 돌출되면, 사용자가 외곽프레임(130)을 발로 밀 때 상기 지지다리(120)의 끝단이 간섭될 우려가 있고, 상기 지지다리(120)의 끝단측에 외력이 집중되어 파손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다리(120)의 끝단측이 외곽프레임(13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는 적절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outer end of the support leg 120 is excessively projecte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0, there is a fear that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0 may be interfered when the user pushes the outer frame 130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end side of the support leg 120 and is damag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that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0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0 is set appropriatel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동식 받침대(100)에 외곽프레임(130)이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외곽프레임(130)의 개수는 둘 이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다리(120)의 끝단측이 외곽프레임(130)의 외측면보다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다리(120)의 끝단측을 연결하는 또 다른 외곽프레임(미도시)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다리(120)가 둘 이상의 외곽프레임(130)으로 연결되면, 이동식 받침대(100)의 구조적 강도가 현저히 향상된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only one outer frame 130 is provided in one mobile pedestal 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outer frames 130 may be changed to two or mo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0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0, another outer frame 130, which connects the end of the support leg 120, (Not shown) may be add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are connected by two or more outer frames 130, the structural strength of the movable base 100 can be remarkably improved.

상기 외곽프레임(130)의 개수 및 형상은 지지다리(120)의 개수나 길이, 강성 등 여러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number and shape of the outer frames 130 can be freely changed according to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e number, length, and rigidity of the support legs 12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제3실시예Third Embodiment ))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100) 제3 실시예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mobil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외곽프레임(130)이 이동식 받침대(100)의 최외곽에 위치하면 상기 이동식 받침대(100)가 다른 물체에 부딪히게 되므로, 사용 기간이 오래 경과되었을 때 상기 외곽프레임(130)이 파손될 확률이 가장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외곽프레임(130)이 파손되면, 이동식 받침대(100) 전체를 폐기해야 하므로 심각한 자원 낭비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outer frame 130 is positioned at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movable pedestal 100, the movable pedestal 100 hits another object, so that the probability that the outer frame 130 will be broken when the use period has elapsed is the highest do. If the outer frame 130 is broken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movable pedestal 100 must be discarded, thereby causing a serious waste of resources.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100)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외곽프레임(130)의 외측면에 착탈패드(150)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곽프레임(130)의 외측면에 착탈패드(150)가 구비되면, 외곽프레임(130)이 직접 다른 물체와 충돌하지 아니하고 상기 착탈패드(150)가 다른 물체와 충돌하게 되는바, 외곽프레임(130)의 파손 우려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외곽프레임(130) 대신 착탈패드(150)가 손상될 수 있지만, 상기 착탈패드(150)가 손상되었을 때에는 착탈패드(150)만을 교체하고 이동식 받침대(100)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낭비가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The removabl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detachable pad 15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0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When the detachable pad 15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0, the outer frame 130 does not directly collide with other objects, and the detachable pad 150 collides with other objec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battery 130. Of course, instead of the outer frame 130, the attaching / detaching pad 150 may be damaged. However, when the attaching / detaching pad 150 is damaged, only the attaching / detaching pad 150 may be replaced and the movable supporting plate 100 may be continuously u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ste is significantly reduced.

한편, 이동식 받침대(100)는 중량 대비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제작되는데, 플라스틱이나 금속은 일반적으로 마찰계수가 매우 높지 아니하므로, 사용자가 외곽프레임(130)을 발로 밀 때 사용자의 발이 미끄러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패드(150)는, 사용자의 발이 쉽게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외곽프레임(130)보다 마찰계수가 높은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movable pedestal 100 is usually made of plastic or metal so as to have a high strength relative to the weight. Since plastic or metal generally has a very low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the user pushes the outer frame 130 Frequently, the user's foot slip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detachable pad 15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friction coefficient than the outer frame 130 so that the user's foot does not slip easily.

또한, 상기 이동식 받침대(100)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단단한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제작되므로, 사용자가 발로 외곽프레임(130)을 바로 미는 과정에서 자신의 발이 상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될 우려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이동식 받침대(100)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착탈패드(150)가 일정 수준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료(더 명확하게는 외곽프레임(130)보다 탄성이 높은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디.In addition, since the movable pedestal 100 is made of a hard plastic or metal so as to have a strength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pushes the outer frame 130 directly, There is a possibility of occurren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removable pedest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detachable pad 15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higher than a certain level (more specifically, a material having higher elasticity than the outer frame 130) This is desirabl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이동식 받침대(100)에 착탈패드(150)가 추가된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착탈패드(150)는 도 4에 도시된 이동식 받침대(100)에도 구비될 수 있다.3, the attachment / detachment pad 150 may be attached to the movable attachment 100 shown in FIG. 4, but the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attachment / detachment / .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이동식 받침대 110 : 센터블록
112 : 체결공 120 : 지지다리
130 : 외곽프레임 140 : 바퀴
150 : 착탈패드
100: movable base 110: center block
112: fastening hole 120: support leg
130: outer frame 140: wheel
150: detachable pad

Claims (4)

상하방향으로 깊이를 갖는 체결공(112)이 형성된 센터블록(110);
상기 센터블록(110)을 중심으로 방사형을 이루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다리(120);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120)를 일체로 연결하는 외곽프레임(130);
상기 지지다리(120)의 끝단측 저면 또는 상기 외곽프레임(130)의 저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바퀴(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받침대(100).
A center block 110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12 having a depth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extending horizontally to form a radial shape about the center block 110;
An outer frame 130 integral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A plurality of wheels 140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leg 120 or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0;
(100). ≪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130)은,
상기 센터블록(110)을 중심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120) 끝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받침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frame (130)
And a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are formed to have a circular shape about the center block (110) so as to connec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130)의 외측면에는, 상기 외곽프레임(130)보다 탄성이 높고 마찰계수가 큰 착탈패드(1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받침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movable pad (150) having a higher elasticity and a great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the outer frame (130)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다리(120)는 상기 외곽프레임(130)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바퀴(140)는 상기 지지다리(120) 중 상기 외곽프레임(130)의 외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의 저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받침대(10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support legs 120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0,
Wherein the wheel (140)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a portion of the support leg (120)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30).

KR2020160002325U 2016-04-29 2016-04-29 Movable Pedestal KR2017000383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25U KR20170003832U (en) 2016-04-29 2016-04-29 Movable Pedest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325U KR20170003832U (en) 2016-04-29 2016-04-29 Movable Pedest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32U true KR20170003832U (en) 2017-11-09

Family

ID=60408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325U KR20170003832U (en) 2016-04-29 2016-04-29 Movable Pedest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832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454A (en) 2021-03-03 2022-09-14 오현민 Movable object stan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747Y1 (en) 2000-03-03 2000-10-02 이희성 Spoon for bab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8747Y1 (en) 2000-03-03 2000-10-02 이희성 Spoon for babi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454A (en) 2021-03-03 2022-09-14 오현민 Movable object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3925A1 (en) Base structure for a walking stick
US20130048427A1 (en) Portable ladder
US20160174708A1 (en) Furniture glide with rigid arcing sidewall
CN103016928B (en) Can be used as device and the television set of hanger and base
US8621710B2 (en) Furniture glide
KR20170003832U (en) Movable Pedestal
JP2010002047A (en) Support device for base isolation
JP3151650U (en) Bathtub mat and bathtub
JP2003125966A (en) Bathtub stand and fixation member used for bathtub stand
KR200474690Y1 (en) Leg for furniture
CN208572586U (en) Display device and its shell structure
CN209807782U (en) Child seat
CN210078744U (en) Novel exercise rack for volleyball
KR200473975Y1 (en) Kickstand of furniture
KR101581404B1 (en) Supporting implement
JP2020159224A5 (en)
CN205249306U (en) Cell -phone frame for lunch -box
JP6491838B2 (en) Bathtub stand
CN210158342U (en) High-breaking-resistance five-star foot
JP6463964B2 (en) Handrail bracket
KR101511897B1 (en) Lower variable diaphragm stand device
CN210383712U (en) Adjustable cup holder
CN211269477U (en) Furniture foot pad
CN211625359U (en) Gas stove support capable of assisting rotation of cookware
CN110367857B (en) Bathtub support and bathtub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613;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61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06

Effective date: 2018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