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690Y1 - Leg for furniture - Google Patents
Leg for furni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4690Y1 KR200474690Y1 KR2020140003743U KR20140003743U KR200474690Y1 KR 200474690 Y1 KR200474690 Y1 KR 200474690Y1 KR 2020140003743 U KR2020140003743 U KR 2020140003743U KR 20140003743 U KR20140003743 U KR 20140003743U KR 200474690 Y1 KR200474690 Y1 KR 20047469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urniture
- bolt
- coupled
- inclined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가구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에 간격을 두고 고정장착되는 고정 지지구; 및 상기 고정 지지구의 하부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지지구와 경사 지지구를 분리구성하여 장식장이나 보관장 등의 가구 저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키면서도 상기 가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비용과 작업시간을 절감하고 부품의 손상시 해당되는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leg, comprising: a fixing base fixedly mounted on a bottom edge of a furniture at intervals; And an inclined support member slanting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ationary supp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fixed support member and the inclined support member from each other and easily connect them to the bottom surface of a furniture such as a cabinet or a storage room,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orresponding parts.
Description
본 고안은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식장이나 보관장 등의 가구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rniture leg,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rniture leg which is mounted on a bottom surface of a furniture such as a cabinet or a storage room so as to stably support the furniture.
일반적으로 싱크대나 찬장과 같은 주방용 가구를 비롯하여 장롱, 침대 등의 가구 저면에는 통풍 등을 위해 바닥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가구를 지지하는 받침다리가 장착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In general, kitchen furniture such as a sink or a cupboard, and a pedestal supporting the furniture in a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a furniture such as a dresser and a bed.
이러한 받칟다리는 통상적으로 가구의 저면판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여러 방향으로 돌아가며 나사못 등을 하나씩 일일이 조여서 체결하기 때문에 조립 및 장착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데다 장착과정에서 가구의 저면판에 나사못에 의한 구멍이 다수 개 천공되므로 가구를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있다.Such receiving legs are usually tightly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of the furniture and are rotated in various directions. Since the screws are tightened one by one, the assembling and mounting work is very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In the mounting process, There is also a problem of damaging furniture because a large number of such holes are drilled.
이에 따라 나사못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구에 장착할 수 있는 받침다리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된 바 있다.Accordingly, various types of support legs have been proposed that can be mounted on furniture without using screws or the like.
예컨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1-0002131호에 개시된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는, 체결소켓의 중심관 양쪽에는 반원형의 분할편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에는 경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주름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경사구멍에는 원추형 쐐기봉의 하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으며, 경사구멍과 쐐기봉의 사이는 두께가 얇은 연결살로 연결되어 있다.For example, in a leg fastening device of a kitchen furniture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2001-0002131, semicircular split piec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a center tube of a fastening socket, and inclined holes are formed inside thereof, A plurality of wrinkle jaws are integrally formed. The lower end of the conical wedge rod is coupled to the inclined hole so that the wedge rod is connected to the thin wedge rod.
따라서 가구의 저면판에 형성된 요홈부에 중심관을 삽입한 후 다리의 하단부를 타격하면 쐐기봉이 경사구멍에 틀어박히면서 분할편을 벌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다리가 가구의 요홈부와 결합되게 된다.Therefore, if the center pipe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groove formed on the bottom plate of the furniture and then the lower end of the leg is struck, the wedge rod is inserted into the inclined hole and opens the split piece. As a result, the leg is combined with the recessed portion of the furniture.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가구용 받침다리는 요홈부의 두께(약 3mm)가 상대적으로 얇아 외력에 취약한 특성상 가구의 저면판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망치 등의 도구로 하부를 타격할 때 쐐기봉의 상부가 그 타격력에 의해 요홈부를 관통하여 저면판을 뚫고 가구의 내부로 돌출되면서 저면판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다리의 결합력이 떨어져 외력에 의한 충격을 받을 시 자유로이 유동되거나 이동과정에서 쉽게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upport leg for furniture has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about 3 mm) of the recessed por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wedge rod is struck against the impact force when hitting the lower portion with a tool such as a hamm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ottom plate penetrates through the recess to penetrate the bottom plate and protrudes into the inside of the furniture, thereby damaging the bottom plate. Accordingly, when the impact due to the external force is received, There i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 지지구와 경사 지지구를 분리구성하여 장식장이나 보관장 등의 가구 저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키면서도 상기 가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fixing support and an inclined support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o be stably supported on a bottom surface of a furniture such as a cabinet or a storage room. have.
또한 경사 지지구의 하부 끝단을 곡면지게 형성하여 가구의 이동이나 운반시 경사 지지구 및 바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pport is curved so as to prevent the inclined support and the floor from being damaged when the furniture is moved or transported.
또한 경사 지지구를 다수개수로 구성하여 지면의 수평상태에 따라 상기 경사 지지구의 개수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가구의 수평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l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it possible to adjust the number of the inclined support zones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tate of the groun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inclined support zones to easily align the level of the furniture.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가구용 다리는 가구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에 간격을 두고 고정장착되는 고정 지지구; 및 상기 고정 지지구의 하부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 지지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urniture leg is fixedly mounted on a bottom edge portion of a furniture with an interval therebetween. And an inclined support member slanting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stationary support.
또한 상기 가구와 고정 지지구의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간격 유지 플레이트가 개재되고, 상기 고정 지지구와 간격 유지 플레이트는 끼움 구조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space-retaining plate formed of rubber or silicone is interposed between the furniture and the stationary support, and the stationary support and the space-retaining plate are detachably mounted through a fitting structure.
또한 상기 고정 지지구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지지구 몸체; 상기 지지구 몸체의 일 측에 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경사 지지구 결합공이 형성되는 지지구 결합부; 상기 지지구 몸체 및 지지구 결합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볼트를 통해 상기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는 볼트 결합공;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ixed support may include a support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ize; A supporting portion having a slanting protrus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and having an inclined support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a bolt coupling hole formed at an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support body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urniture through a bolt.
또한 상기 경사 지지구는 내부가 빈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곡면형상의 곡면 지지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 지지구와 결합되는 볼트 몸체가 결합되는 볼트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 지지부의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볼트 지지 버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clined support member may have a hollow conical shape, a curved support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at a lower end thereof, a bolt support portion to which a bolt body coupled with the fixed support may be coupled, And a bolt support portion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또한 상기 경사 지지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경사 지지부재와 상기 경사 지지부재의 최하단에 결합되는 곡면 지지부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the inclined support member is detachably mounted to at least two inclined support members and a curved surface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lowermost end of the inclined support member.
또한 상기 경사 지지부재와 곡면 지지부는 끼움 또는 나선 결합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곡면 지지부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lant supporting member and the curved surface supporting portion are formed in a fitting or spiral coupling structure, and slidable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supporting portion at intervals.
또한 상기 가구와 고정 지지구의 사이에는 수직 연결부가 구비된 연결 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 연결부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 지지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 connecting plate having a vertical connecting portion is mounted between the furniture and the fixed holding portion, and a vertical supporting portion is mounted on the vertical connecting portion so as to be adjustable in height.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지지구와 경사 지지구를 분리구성하여 장식장이나 보관장 등의 가구 저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키면서도 상기 가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비용과 작업시간을 절감하고 부품의 손상시 해당되는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fixed support member and the inclined support member from each other and easily connect them to the bottom surface of a furniture such as a cabinet or a storage room,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orresponding parts.
또한 경사 지지구의 하부 끝단을 곡면지게 형성하여 가구의 이동이나 운반시 경사 지지구 및 바닥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가구의 배치가 용이하고 바닥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support is curved to prevent damage to the inclined support and floor when the furniture is moved or transported,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furniture easily and prevent the floor from being damaged.
또한 경사 지지구를 다수개수로 구성하여 지면의 수평상태에 따라 상기 경사 지지구의 개수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가구의 수평을 맞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sloped support zones is made to be plural, so that the number of the sloped support zone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state of the ground, so that the level of the furniture can be easily adjus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다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다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다리를 구성하는 경사 지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및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다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다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urniture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inclined support constituting a leg for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ures 4 and 5 show another embodiment of a furniture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urniture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원고안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다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다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다리를 구성하는 경사 지지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 및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다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rniture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rniture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 4 and 5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urniture le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고안인 가구용 다리(10)는 가구(F)의 저면 가장자리 부분에 간격을 두고 고정장착되는 고정 지지구(20)와 상기 고정 지지구(20)의 하부에 경사지게 결합되는 경사 지지구(30)로 대별된다. The
여기서 상기 가구용 다리(10)는 가구(F)의 저면에 다수개수가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본원고안에서는 4개의 가구용 다리(10)가 가구(F)의 저면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 the
상기 가구(F)의 저면에 고정결합되는 고정 지지구(20)는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지지구 몸체(21)와, 상기 지지구 몸체(21)의 일 측에 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경사 지지구 결합공(23)이 형성되는 지지구 결합부(22)와, 상기 지지구 몸체(21) 및 지지구 결합부(2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볼트(40)를 통해 상기 가구(F)의 저면에 고정되는 볼트 결합공(24)으로 구성된다. The
즉 상기 고정 지지구(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형성되는 지지구 몸체(21)의 일 측에 하부 끝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지지구 결합공(23)이 구비된 지지구 결합부(22)를 돌출형성한 후 상기 지지구 몸체(21)와 지지구 결합부(22)에 볼트 결합공(24)을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지지구 결합부(22)를 경사지게 형성한 것은 지지구 결합부(22)에 경사 지지구(30)를 용이하게 결합하면서도 가구(F)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경사 지지구(30)에 용이하게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The inclined supporting
상기 고정 지지구(2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경사 지지구(3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경사지게 결합되어 가구(F)를 지지하게 된다. The
그리고 상기 경사 지지구(30)는 내부가 빈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곡면형상의 곡면 지지부(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 지지구(20)의 경사 지지구 결합공(23)과 결합되는 볼트 몸체(33)가 결합되는 볼트 지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 지지부(32)의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볼트 지지 버팀부(34)가 형성된다. The curved
즉 상기 경사 지지구(30)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하부 끝단에 곡면 지지부(31)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볼트 몸체(33)가 결합되는 볼트 지지부(32)를 형성하며, 상기 볼트 지지부(32)의 외면에는 볼트 몸체(33)와 볼트 지지부(32)의 지지를 위하여 볼트 지지 버팀부(34)를 형성한 것이다. That is, the
여기서 상기 경사 지지구(30)의 형상은 원뿔 형상뿐만 아니라 내부가 빈 사각형, 원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the shape of the
또한 상기 경사 지지구(30)의 곡면 지지부(31)를 곡면지게 형성한 것은 가구(F)의 운반 및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가구(F)의 이동이나 운반시 경사 지지구(30) 및 바닥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curved
그리고 상기 경사 지지구(30)는 도시된 도 3과 같이 구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경사 지지구(30)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경사 지지부재(31a)와 상기 경사 지지부재(31a)의 최하단에 결합되는 곡면 지지부(31)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3, that is, the
즉 상기 경사 지지구(30)는 다수개의 경사 지지부재(31a)로 구성하여 높낮이를 조절하면서도 부품의 손상시 해당되는 경사 지지부재(31a)와 곡면 지지부(31)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경사 지지부재(31a)와 곡면 지지부(31)는 끼움 또는 나선 결합구조 형성되고, 상기 곡면 지지부(31)의 외면에는 가구(F)의 이동 및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미끄럼 방지 돌기(35)가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상기 가구용 다리(10)는 도시된 도 4 및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Next, the
먼저 도시된 도 4의 가구용 다리(10)는 가구(F)와 고정 지지구(20)의 사이에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간격 유지 플레이트(50)가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The
즉 상기 간격 유지 플레이트(50)는 가구(F)와 고정 지지구(20)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가구(F)에서 전달되는 하중을 감쇄시키면서도 외부의 충격이 가구(F)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고정 지지구(20)와 간격 유지 플레이트(50)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끼움 구조로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즉 상기 고정 지지구(20)의 상부에는 간격을 두고 끼움 결합홈(25)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지지구(20)의 끼움 결합홈(25)과 대응하는 간격 유지 플레이트(50)의 하부에는 끼움 결합돌기(52)를 장착하여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A
다음으로 도시된 도 5의 가구용 다리(10)는 가구(F)와 고정 지지구(20)의 사이에는 수직 연결부(61)가 구비된 연결 플레이트(60)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 연결부(61)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 지지구(63)가 결합 또는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5, a connecting
즉 상기 연결 플레이트(6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일 측 끝단에 내부에 나선 결합홈(62)이 형성된 수직 연결부(61)를 일체로 형성한 후 상기 수직 연결부(61)에 하부에 볼트 몸체(64)가 상부에 형성된 보조 지지구(63)를 나선 결합하여 회전작동을 통해 보조 지지구(6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구용 다리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a furniture leg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지지구 몸체(21)와, 상기 지지구 몸체(21)의 일 측에 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경사 지지구 결합공(23)이 형성되는 지지구 결합부(22)와, 상기 지지구 몸체(21) 및 지지구 결합부(22)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볼트(40)를 통해 상기 가구(F)의 저면에 고정되는 볼트 결합공(24)으로 구성되는 고정 지지구(20)를 형성한다. A supporting
그리고 내부가 빈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곡면형상의 곡면 지지부(3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 지지구(20)의 경사 지지구 결합공(23)과 결합되는 볼트 몸체(33)가 결합되는 볼트 지지부(32)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 지지부(32)의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볼트 지지 버팀부(34)가 형성되는 경사 지지구(30)를 형성한다. A curved
다음으로 가구(F)의 저면에 고정 지지구(20)의 상부를 밀착시킨 후 상기 지지구 몸체(21)와 지지구 결합부(22)의 볼트 결합공(24)에 볼트(40) 또는 나사를 결합하여 가구(F)의 저면에 고정 지지구(20)를 고정결합한다. A bolt 40 or a screw 40 is fastened to the
그리고 상기 고정 지지구(20)의 경사 지지구 결합공(23)에 경사 지지구(30)의 볼트 몸체(33)를 나선결합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거치면 가구용 다리(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The assembly of the
여기서 상기 가구용 다리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 the assembly order of the furniture legs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이와 같이 본원고안인 가구용 다리는 장식장이나 보관장 등의 가구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가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 지지구와 경사 지지구가 분리구성되어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한 장점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furniture leg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a furniture such as a cabinet or a storage room, so that the furniture can be stably supported, and the fixed support and the inclined suppor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고안인 가구용 다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s and orientation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10 : 가구용 다리, 20 : 고정 지지구,
21 : 지지구 몸체, 22 : 지지구 결합부,
23 : 경사 지지구 결합공, 24 : 볼트 결합공,
30 : 경사 지지구, 31 : 곡면 지지부,
32 : 볼트 지지부, 33 : 볼트 몸체,
34 : 볼트 지지 버팀부, 40 : 볼트,
50 : 간격 유지 플레이트, 60 : 연결 플레이트.10: Furniture leg, 20: Fixed area,
21: support body, 22: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23: inclined support hole, 24: bolt engagement hole,
30: an inclined support, 31: a curved support,
32: bolt support, 33: bolt body,
34: bolt support bracket, 40: bolt,
50: spacing plate, 60: connecting plate.
Claims (7)
상기 가구와 고정 지지구의 사이에는 수직 연결부가 구비된 연결 플레이트가 장착되고, 상기 수직 연결부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보조 지지구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A fixed base fixedly mounted on a bottom edge portion of the furniture at intervals; And an inclined support member slantably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xed support,
Wherein a connection plate having a vertical connection portion is mounted between the furniture and the fixed base, and an auxiliary support member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is mounted on the vertical connection portion.
상기 가구와 고정 지지구의 사이에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간격 유지 플레이트가 개재되고,
상기 고정 지지구와 간격 유지 플레이트는 끼움 구조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ap-retaining plate formed of rubber or silicone is interposed between the furniture and the fixed base,
Wherein the fixing support and the spacing plate are detachably mounted through a fitting structure.
소정의 두께와 크기를 가지고 형성되는 지지구 몸체;
상기 지지구 몸체의 일 측에 경사지게 돌출형성되고 중앙에는 경사 지지구 결합공이 형성되는 지지구 결합부;
상기 지지구 몸체 및 지지구 결합부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볼트를 통해 상기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는 볼트 결합공;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 body form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size;
A supporting portion having a slanting protrusion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body and having an inclined support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a bolt coupling hole formed at an interval between the support body and the support part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urniture through a bolt.
상기 경사 지지구는 내부가 빈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끝단에는 곡면형상의 곡면 지지부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고정 지지구와 결합되는 볼트 몸체가 결합되는 볼트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트 지지부의 외면에는 둘레를 따라 볼트 지지 버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ed support is formed with a hollow conical shape, a curved support portion having a curved shape at its lower end, a bolt support portion to which a bolt body coupled with the fixed support is coupled, and an outer surface of the bolt suppor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 bolt support brace is formed along the perimeter.
상기 경사 지지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경사 지지부재와 상기 경사 지지부재의 최하단에 결합되는 곡면 지지부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inclined support member is detachably mounted to at least two inclined support members and a curved surface support member coupled to the lowermost end of the inclined support member.
상기 경사 지지부재와 곡면 지지부는 끼움 또는 나선 결합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곡면 지지부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다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lant supporting member and the curved surface supporting portion are formed in a fitting or spiral coupling structure, and a slip prevention projec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supporting portion with a spa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743U KR200474690Y1 (en) | 2014-05-14 | 2014-05-14 | Leg for furni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3743U KR200474690Y1 (en) | 2014-05-14 | 2014-05-14 | Leg for furni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4690Y1 true KR200474690Y1 (en) | 2014-10-07 |
Family
ID=5200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3743U Expired - Lifetime KR200474690Y1 (en) | 2014-05-14 | 2014-05-14 | Leg for furni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4690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303A (en) * | 2015-06-26 | 2017-01-04 | 이경환 | Height adjustable apparatus for furniture leg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KR20180081416A (en) | 2017-01-06 | 2018-07-16 | 신효선 | Leg for furniture and fixing structure of the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3535A (en) * | 2005-01-17 | 2006-07-21 | 백미경 | Leg height adjusting device |
KR100725428B1 (en) * | 2006-09-27 | 2007-06-07 | 한기만 | Fasteners for Chair Legs |
KR20140002692U (en) * | 2012-10-30 | 2014-05-09 | (주)다보스티엔지 | leg for furniture |
-
2014
- 2014-05-14 KR KR2020140003743U patent/KR200474690Y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83535A (en) * | 2005-01-17 | 2006-07-21 | 백미경 | Leg height adjusting device |
KR100725428B1 (en) * | 2006-09-27 | 2007-06-07 | 한기만 | Fasteners for Chair Legs |
KR20140002692U (en) * | 2012-10-30 | 2014-05-09 | (주)다보스티엔지 | leg for furnitur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1303A (en) * | 2015-06-26 | 2017-01-04 | 이경환 | Height adjustable apparatus for furniture leg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KR101715046B1 (en) * | 2015-06-26 | 2017-03-10 | 이경환 | Height adjustable apparatus for furniture leg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
KR20180081416A (en) | 2017-01-06 | 2018-07-16 | 신효선 | Leg for furniture and fixing structure of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4690Y1 (en) | Leg for furniture | |
KR101164025B1 (en) | Supporter for furniture | |
KR102086671B1 (en) | Height adjustment device for furniture and Dest and Chairs used it | |
CN104481991B (en) | A kind of dismounting device of buckle structure | |
DK200900382A (en) | Fittings for fastening and support of cabinets to a wall and method for securing cabinets to the wall | |
US9188277B2 (en) | Cabinet installation device | |
JP5899942B2 (en)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1439904B1 (en) | Apparatus for adjusting the high and low of furnitureand all the like | |
KR101162580B1 (en) | Leg of sink | |
US20140053326A1 (en) | Mounting system for mounting toilets | |
CN105243961B (en) | The mounting structure of floor tile screen pony sill | |
KR101355651B1 (en) | Kickstand of furniture | |
CN104121606B (en) | A kind of thermocouple mounting structure of burner for gas kitchen range | |
JP5322586B2 (en) | Seismic device for pipe assembly shelf | |
KR101105345B1 (en) | Sign fixing assembly with variable function | |
KR200415062Y1 (en) | Furniture height adjustment | |
KR101511897B1 (en) | Lower variable diaphragm stand device | |
KR20160144138A (en) | Foot of the furniture | |
CN105433704A (en) | Teacup support rack with good stability | |
KR20160001505U (en) | Lantern Stand for Leisure | |
KR20200144281A (en) | Pipe supporting device for electric construction | |
JP4821729B2 (en) | Storage furniture fixing structure | |
KR101587818B1 (en) | Kickstand of sink | |
JP5965690B2 (en) | Prop standing tool | |
JP6497961B2 (en) | Support device and unit roo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40514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301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4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4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603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4070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409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409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40930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