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763U - 조립식 가방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763U
KR20170003763U KR2020160002188U KR20160002188U KR20170003763U KR 20170003763 U KR20170003763 U KR 20170003763U KR 2020160002188 U KR2020160002188 U KR 2020160002188U KR 20160002188 U KR20160002188 U KR 20160002188U KR 20170003763 U KR20170003763 U KR 201700037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late
fastening holes
bag
front body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928Y1 (ko
Inventor
김경아
Original Assignee
김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아 filed Critical 김경아
Priority to KR2020160002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2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2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45C13/1092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of the socket-and-pin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2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 A45C13/123Arrangement of fasteners of press-button or turn-button fasteners of press-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6Ladies'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2007/0004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 A45C2007/0013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convertible into an open planar surface, e.g. a sheet with fasteners along the periphery of the surfac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비자가 직접 제작할 수 있는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 충분한 견고성을 갖고, 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독특하고 심미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대량생산이 가능한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을 포함하되, 상기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의 양 측면부(11,21) 및 하단부(12,22)가 다수개의 체결홀(14,15,24,25)을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의 체결홀(14,15)과 배면몸판(20)의 체결홀(24,25)이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정면몸판(10)의 양 측면부(11) 및 하단부(12)가 배면몸판(20)의 양 측면부(21) 및 하단부(22)와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가방{Assembly Bag}
본 고안은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간편한 조립에 의해 제작할 수 있고, 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하는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방은 다양한 물품을 내부에 수납하여 보관함으로써 물품의 공간이동을 보다 편리하게 하는 제품으로서, 사용 목적이나 보관대상 물품의 종류, 사용자의 직업이나 연령 등에 따라 취사 선택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가방은 단순히 물품수납의 기능성만을 고려하던 과거의 패턴에서 벗어나 가방이 패션 지향적인 상품으로 인식되면서 패션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가방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도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가방의 일 예로서, 여성들이 손에 들거나 어깨에 메고 다니는 핸드백의 경우에는, 물건을 수납하는 기본적인 용도로서의 기능보다는 오히려 의상과 함께 매우 중요한 패션용품으로서의 기능이 더 크기 때문에, 핸드백을 사용하는 여성들은 본인의 나이, 몸매, 의상, 날씨나 계절,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한 패션을 연출하거나 자신만의 개성을 드러내기 위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핸드백을 필요로 하게 된다.
또한, 최근 젊은 층 사이에서는 DIY(Do It Yourself) 열풍이 불면서 가구 등의 인테리어 분야뿐만 아니라 패션 분야에도 소비자가 직접 조립/제조하여 사용하는 옷이나 가방 등에 대한 니즈가 있다. 소비자가 직접 조립/제조하는 DIY 용품의 경우 브랜드에 따른 일률적인 디자인에서 벗어나 소비자가 원하는 디자인으로 용품을 제작할 수 있으므로, 패션변화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핸드백을 사용하고자 하는 여성이나 개성있는 가방을 연출하기 원하는 젊은 층에게 어필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5931호에서는 조립식 가방을 개시하기도 하였는데, 개시된 선행문헌의 조립식 가방은 지퍼를 이용하여 전면부와 후면부를 교체 가능하도록 조립한 구성으로서, 비록 전면부와 후면부를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장점은 있지만, 무엇보다 지퍼라는 조립수단은 가방의 사용과정에서 원하지 않게 체결이 해제될 가능성이 높아 가방의 조립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가방의 테두리를 따라 지퍼가 지나치게 외부로 많이 노출될 수 밖에 없어 스타일적인 제한이 큰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고급스러운 소재로서 주로 사용되는 가죽을 이용한 가방의 경우, 가죽을 재단하고 봉제하는 것에 특별한 기술과 장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DIY 가방이 활성화되기 어려웠으며, 가죽 스티치를 최소화하기 위해 한 장의 가죽을 접어서 끼우는 방식으로 가방을 제작하는 DIY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원단이 롤 형태로 제공되는 면 또는 플라스틱 재료와는 달리 가죽은 동물의 한 마리당 획득되는 한 장의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가죽 한 장을 접어서 하나의 가방을 만드는 것은 가죽의 손실이 큰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가죽 가방 DIY 분야에서는 가죽 공예와 같은 개인의 취미생활 형태만이 존재하였을 뿐, DIY용 가방 재료를 대량생산하는 것은 비용적인 측면에서 어려웠다.
따라서, 제조자 또는 소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소비자가 가죽 스티치를 하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가방의 사용 중에 조립이 해체되지 않는 견고성을 가지면서, 제작 과정에서 가방 재료의 손실이 적고 사용되는 재료의 소요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입체 구조를 갖는 조립식 가방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소비자가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으면서 충분한 견고성을 갖고, 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독특하고 심미감을 제공하는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을 포함하는 조립식 가방에 있어서, 상기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의 양 측면부(11,21) 및 하단부(12,22)가 다수개의 체결홀(14,15,24,25)을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의 체결홀(14)과 배면몸판(20)의 체결홀(24)이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정면몸판(10)의 체결홀(15)과 배면몸판(20)의 체결홀(25)이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정면몸판(10)의 양 측면부(11) 및 하단부(12)가 배면몸판(20)의 양 측면부(21) 및 하단부(22)와 각각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는, 상기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와 배면몸판(20)의 하단부(22)는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은, 상기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 및 배면몸판(10)의 하단부(22) 중 하나 이상이 날개부(13,23)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13,23)가 하나 이상의 체결홀(16,26)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홀(16,26)이 정면몸판(10)의 측면부(11)에 형성된 체결홀(14), 배면몸판(20)의 측면부(21)에 형성된 체결홀(24), 또는 둘 다와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는, 상기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이 인조 또는 천연 가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는, 상기 조립수단(30)이 단추, 버튼, 클립, 볼트-너트, 리벳, 스냅 및 스냅형 리벳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하며, 특히, 상기 조립수단(30)이 볼트(31)-너트(32)이고, 상기 볼트(31)는 머리부(311)와 볼트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32)는 머리부(321)와 너트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너트(32)의 머리부(321)는 육각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31)의 머리부(311)의 높이가 2mm 이하이고, 상기 너트(32)의 머리부(321)의 높이가 1 내지 7mm이며, 상기 볼트부(312)와 너트부(322)의 길이가 1.5 내지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312)의 직경이 1.5 내지 3mm이며, 상기 너트부(322)의 외경이 3 내지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볼트(31)의 머리부(311)는 일자형 홈부(3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일자형 홈부(313)의 너비가 1.5 내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는, 다수개의 체결홀(41)을 갖는 덮개부(4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면몸판(20)이 다수개의 체결홀(27)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40)의 체결홀(41)이 배면몸판(20)의 체결홀(27)과 서로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0)가 제1 결속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이 상기 제1 결속부재(42)와 탈착 가능한 제2 결속부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 결속부재(42,19)는 자석, 클립, 단추, 고리 및 스냅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는, 다수개의 체결홀(51)을 갖는 속주머니(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 또는 배면몸판(20)이 상기 속주머니(50)가 조립되는 부분에 다수개의 체결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속주머니(50)의 체결홀(51)이 정면몸판(10) 또는 배면몸판(20)의 체결홀과 서로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는, 다수개의 체결홀(51)을 갖는 속주머니(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속주머니(50)의 체결홀(51)이 배면몸판(20)의 체결홀(27) 및 덮개부(40)의 체결홀(41)과 서로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는, 다수개의 체결홀(61)을 갖는 손잡이부(6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 배면몸판(20), 또는 둘 다가 상기 손잡이부(60)가 조립되는 부분에 다수개의 체결홀(18,28)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60)의 체결홀(61)이 정면몸판(10), 배면몸판(20) 또는 둘 다의 체결홀(18,28)과 서로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하나의 구현예는, 상기 너트(32)의 머리부(321)를 고정하기 위한 스패너(70)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조립식 가방이 다수개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하면몸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의 체결홀과 하면몸판의 체결홀이 중첩되어 조립수단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배면몸판(20)의 체결홀과 하면몸판의 체결홀이 중첩되어 조립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이 하면몸판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은 조립수단에 의해 정면몸판과 배면몸판을 조립함으로써 소비자가 스티치를 하지 않고도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몸판과 손잡이, 덮개 등의 디자인을 달리 하거나 조립수단의 종류와 위치의 패턴을 다르게 함으로써 완성된 가방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설정하면서 독특한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은 기존 스티치를 하지 않는 DIY 방식으로 제안되었던 한 장의 가죽을 접어 끼우는 방식으로 가방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요소를 각각 단편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가죽 재료의 손실이 최소화되고 가방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가죽의 소요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면서도 가방의 내용물의 하중을 충분히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대량생산에도 적합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의 바닥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립수단(30)의 사시도, 평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따라 이용가능한 스냅형 리벳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의 구성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의 하단부(12,22)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의 측면부(11,21)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라 덮개부(40) 및 속주머니(50)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라 손잡이부(60)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화한 것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을 실제로 구현한 사진이다.
본 고안은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이 조립수단(30)에 의해 조립된 조립식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은 다수개의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의 체결홀과 배면몸판(20)의 체결홀이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정면몸판(10)의 양 측면부(11) 및 하단부(12)가 배면몸판(20)의 양 측면부(21) 및 하단부(22)와 각각 조립된 구조를 갖는 조립식 가방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은 소비자가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고도 쉽고 간편하게 가방을 조립할 수 있으며, 정면몸판과 배면몸판에 형성된 체결홀의 개수와 위치의 패턴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조립수단의 형태를 다양하게 구성함으로써, 조립된 가방의 디자인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기존 스티치를 사용하지 않는 DIY 방식으로 제안되었던 한 장의 가죽을 접어 끼우는 방식으로 가방을 제조하는 것이 아니라 정면몸판과 배면몸판을 각각 단편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가죽 재료의 손실이 최소화되고 소요되는 가죽의 양도 적어서 대량생산에 의해서도 심미성이 뛰어나고 견고한 가방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은 각각 측면부(11,21) 및 하단부(12,22)를 포함하며, 이후 자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은 체결홀 및 조립수단에 의해 양 측면부(11,21)가 각각 조립되어 가방의 측벽을 구성하고, 하단부(12,22)가 조립되어 가방의 바닥부를 구성하게 된다. 도 1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의 각 구성요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임의로 표시한 것이며, 상기 점선이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에 표시되어야 하거나, 가방의 제작 과정에서 반드시 점선을 따라서 몸판을 접어야 한다고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은 조립수단(30)에 의한 체결을 위하여 다수개의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은 완성될 가방의 디자인에 따라 원하는 개수와 패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의 결합뿐만 아니라 덮개부, 속주머니, 손잡이부 등의 조립을 고려해서 체결홀의 개수와 패턴을 정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의 크기와 모양은 조립수단(30)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수단이 볼트-너트인 경우, 상기 체결홀은 너트의 너트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홀은 2 내지 6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은 조립수단(30)에 의해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을 조립함으로써 손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조립수단(30)의 종류와 디자인을 다르게 하거나 체결홀의 개수와 패턴을 달리하여 조립수단(30)의 개수와 패턴을 조정함으로써 완성된 가방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독특한 심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에 형성된 체결홀(15)와 배면몸판(20)의 하단부(22)에 형성된 체결홀(25)을 중첩되도록 하고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가방의 바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바닥부를 형성하는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와 배면몸판(20)의 하단부(22)를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재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도 내용물의 하중을 충분히 버틸 수 있는 견고한 바닥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단부(12,22)가 서로 교차되는 형태란, 도 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바닥부의 일부는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가 외부로 드러나고 나머지 일부는 배면몸판(20)의 하단부(22)가 외부로 드러난 형태를 갖도록,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가 일부분은 배면몸판(20)의 하단부(22)의 안쪽에 위치하고, 나머지 일부분은 배면몸판(20)의 하단부(22)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교차는 바닥부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교차될 수 있고, 또는 대칭이 아닌 형태로 교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 및 배면몸판(10)의 하단부(22) 중 하나 이상이 날개부(13,23)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13,23)가 하나 이상의 체결홀(16,26)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홀(16,26)이 정면몸판(10)의 측면부(11)에 형성된 체결홀(14), 배면몸판(20)의 측면부(21)에 형성된 체결홀(24), 또는 둘 다와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부(13,23)는 가방의 양 측면에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단부의 양 측면에 각각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는 둘 모두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에 형성될 수 있고, 둘 모두 배면몸판(20)의 하단부(2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의 일 측면에 하나의 날개부(13)가 형성되고, 배면몸판(20)의 하단부(22)의 일 측면에 다른 하나의 날개부(23)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라 날개부가 정면몸판과 배면몸판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2개의 날개부가 모두 정면몸판의 하단부에 형성된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의 형태를 도 3에서 예시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은, 정면몸판과 배면몸판의 하단부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가방의 바닥부를 구성하고, 하단부가 날개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측면부와 체결됨으로써, 가방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강도의 견고성을 만족할 수 있다. 특히, 가방의 재료로서 가죽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천연 가죽의 경우 롤의 형태로 제공되는 원단류와는 달리 장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몸판의 디자인을 효율적으로 하여 가죽의 손실을 줄이고, 가방 제작에 필요한 가죽의 소요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가죽을 사용하여 조립식 가방을 제조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바닥부의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가죽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손실과 소요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내용물의 하중을 충분히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가방을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은,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이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펠트,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30)은 단추, 버튼, 클립, 볼트-너트, 리벳, 스냅, 스냅형 리벳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조립수단(30)은 둘 이상의 다른 종류로 선택될 수 있으며, 제조자 또는 소비자가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조립수단(30)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30)은 볼트-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의한 볼트(31) 및 너트(32)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상기 볼트(31)는 머리부(311)와 볼트부(312)로 구성되고, 너트(32)는 머리부(321)와 너트부(32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상기 볼트(31)는 머리의 높이가 낮은 저두볼트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가방의 전체적인 디자인을 고려하여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볼트(31)의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의 조립 과정에서 가방의 내부에 볼트(31)의 머리부(311)가 돌출되는 형태로 체결되기 때문에, 내용물에 부딪히거나 손에 긁히지 않도록 머리부의 높이가 낮고 둥근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볼트(31)의 머리부(311)는 2mm 이하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의 높이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머리부(311)는 너트(32)와의 체결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직경을 갖는 것이 좋으나, 가방의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 가급적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머리부(311)는 3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볼트(31)의 머리부(311)는 소비자가 용이하게 가방을 조립할 수 있도록 일자형 홈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자형 홈부(313)의 너비를 1.5 내지 2.5mm로 구성하면 소비자가 별도의 공구 없이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동전을 사용하여 쉽게 볼트(31)를 돌릴 수 있어 편리하다. 동전 중 가장 두께가 두꺼운 500원 동전(두께 약 1.9mm)으로도 볼트(31)를 돌릴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해서, 상기 일자형 홈부(313)의 너비는 약 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너트(3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머리부(321)가 가방의 외관으로 드러나기 때문에, 가방의 전체적인 미관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너트(32)의 머리부(321)의 외형을 선택함에 있어서 가방의 심미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소비자가 용이하게 볼트와 너트를 체결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공구 없이도 쉽게 너트(32)의 머리부(321)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너트(32)의 머리부(321)는 육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너트(32)의 머리부(321)가 육각형 형태를 갖는 경우, 가방 전체적인 외관에 패셔너블한 느낌을 가미할 수 있고, 소비자가 손으로 너트(32)를 고정하거나 돌리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스패너(70)가 구비된 가방의 경우, 상기 스패너(70)를 사용하여 쉽게 너트(32)를 고정하거나 돌릴 수 있다.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의하면, 소비자가 스패너(70)를 이용하여 너트(32)를 고정하고, 동전으로 볼트(31)를 돌림으로써 볼트-너트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너트(32)의 머리부(321)는 1 내지 7mm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mm의 높이를 갖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높이로 구성함으로써, 소비자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의한 스패너(70)나 손가락을 이용해서 너트를 고정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라, 상기 머리부(321)가 육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경우, 육각형의 중심을 지나는 최장대각선의 길이(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머리부가 원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직경)는 가방 전체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7 내지 12mm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의한 볼트(31)와 너트(32)는 볼트부(312)를 너트부(322)의 체결공 내로 회전삽입함으로써 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너트(32)는 너트부(322)에 형성된 체결공이 머리부(321)까지 진입하지 않거나, 머리부(321)로 진입하더라도 머리부(321)가 완전히 관통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볼트부(312)가 너트(32)의 머리부(321)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볼트부(312) 및 너트부(322)는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의 체결홀을 관통하여 서로 체결되어야 하기 때문에, 체결된 볼트부(312) 및 너트부(322)의 길이가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을 겹친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볼트부(312) 및 너트부(322)는 덮개부(40), 배면몸판(10) 및 속주머니(50)의 체결홀을 관통하여 서로 체결되기 위하여, 체결된 볼트부(312) 및 너트부(322)의 길이가 관통할 가죽들을 겹친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기 위해서, 상기 너트부(322)의 길이는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을 겹친 두께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볼트부(312)의 길이는 본 고안의 구현예에 의해 최대로 중첩될 가죽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짧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 만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상기 볼트부(312)가 체결홀들을 관통하고 남는 부분이 너트(32)의 머리부(321) 내까지 진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몸판들이 헐겁게 조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정면몸판(10), 배면몸판(20) 등은 천연 또는 인조 가죽으로 구성되므로, 너트부(322)의 길이는 1.5 내지 4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mm인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볼트부(312)의 길이는 4 내지 7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 내지 6mm인 것이 좋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관통하는 체결홀의 개수에 따라 볼트부(312) 및 너트부(322)의 길이를 다르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볼트부(312)는 1.5 내지 3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고, 너트부(322)는 3 내지 6mm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너트부(322)에 형성된 체결공은 볼트부(312)에 형성된 나사산과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내경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부(322)의 외경은 체결홀의 직경과 대응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체결홀을 볼트(31)-너트(32)에 의해 체결하였을 때 볼트-너트가 가방과 헐겁게 체결되거나 가죽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30)은 스냅형 리벳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스냅형 리벳"이란 암리벳과 수리벳으로 구성되는 리벳으로서, 암리벳과 수리벳이 스냅과 같은 방식으로 서로 체결되는 리벳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구현예에 따라 사용가능한 스냅형 리벳들을 도 5에서 도시하였다.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냅형 리벳은 암리벳 및 수리벳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암리벳과 수리벳은 머리부와 몸통부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암리벳과 수리벳의 머리부는 가방의 조립 후 가방의 외관으로 드러날 수 있기 때문에, 가방의 전체 디자인을 고려하여 심미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암리벳과 수리벳의 머리부는 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암리벳과 수리벳은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서 둘 중 어느 쪽이든 가방의 외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머리부의 형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암리벳과 수리벳의 머리부의 형태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고, 또는 암리벳과 수리벳의 머리부의 형태를 다르게 설정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형태의 머리부를 가방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는, 암리벳과 수리벳의 머리부 중 하나를 가방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가방의 외부에 위치하도록 설정하여 머리부의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방의 내부에 위치되는 머리부는 내용물에 부딪히거나 손에 긁히지 않도록 높이가 낮고 둥근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리벳과 수리벳의 몸통부는 스냅과 같이 서로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의 체결홀을 통과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리벳과 수리벳의 몸통부는 본 고안의 구현예에 따라 덮개부(40), 배면몸판(20) 및 속주머니(50)의 체결홀을 통과하여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통부의 길이는 통과될 체결홀의 개수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암리벳과 수리벳의 체결된 몸통부의 길이가 이들이 통과하여 체결될 몸판들의 두께와 같거나 이보다 작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스냅형 리벳은 암수가 체결된 몸통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디자인을 갖는 스냅형 리벳을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의 모든 체결홀을 체결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현예에 따른 스냅형 리벳의 형태를 도 5에서 도시하였지만, 이와 같이 도시된 스냅형 리벳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도 5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형태를 갖는 스냅형 리벳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방은 덮개부(40), 속주머니(50) 및 손잡이부(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40)는 배면몸판(20) 또는 정면몸판(10)의 상부에서 조립되어 소비자가 가방을 여닫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6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40)는 다수개의 체결홀(41)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41)이 상기 배면몸판(20)에 형성된 체결홀(27)과 서로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41)은 가방 전체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개수 및 패턴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몸판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40)에 형성된 체결홀(41)의 개수와 패턴을 설정하면, 이에 따라 몸판에 형성된 체결홀(27)의 개수와 패턴도 정해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0)는 정면몸판(10)과의 탈착을 위한 제1 결속부재(42)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정면몸판(10)은 상기 제1 결속부재(42)와 탈착이 가능한 제2 결속부재(1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결속부재(42,19)는 소비자가 용이하게 가방을 여닫을 수 있으면서도 소비자의 의사에 반하여 가방이 쉽게 개방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로 부착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결속부재(19,42)로서는, 가방 제조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결속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석, 클립, 단추, 고리, 스냅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은,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속주머니(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속주머니(50)는 가방의 내부에 결합되어 추가적인 수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속주머니(50)는 정면몸판(10) 또는 배면몸판(20)과의 결합을 위한 다수개의 체결홀(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홀(51)을 정면몸판(10) 또는 배면몸판(20)에 형성된 체결홀과 중첩시킨 후 조립부재(30)를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속주머니(50)를 가방 내부에 결합할 수 있다. 정면몸판(10) 또는 배면몸판(20)에 상기 속주머니(50)의 체결홀(51)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속주머니(50)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배면몸판(20)과 덮개부(40)의 연결을 위해 형성된 체결홀(27)을 이용하는 경우 별도의 체결홀을 추가하지 않고도 속주머니(50)를 조립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상기 속주머니(50)의 체결홀(51) 및 정면몸판(10) 또는 배면몸판(20)의 체결홀은 가방 전체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개수 및 패턴을 설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른 구현예에서, 둘 이상의 속주머니를 포함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상기 둘 이상의 속주머니는 가방 전체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형성한 후 본 고안에 따른 가방에 결합시킬 수 있고, 종래 기술에 의한 연결방법을 사용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방과 결합시키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은,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60)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할 때 2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60)는 다수개의 체결홀(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면몸판(10) 및/또는 배면몸판(20)에 상기 체결홀(61)과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8,28)을 추가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60)의 체결홀(61)은 상기 정면몸판(10) 및/또는 배면몸판(20)의 체결홀(18,28)과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60)의 체결홀(61)과 정면몸판(10) 및/또는 배면몸판(20)의 체결홀(18,28)은 가방 전체의 디자인과 손잡이의 견고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 및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손잡이부(60)는 양 말단부에 각각 두 개의 체결홀(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40), 속주머니(50) 및 손잡이부(60)는 가방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에서, 상기 덮개부(40), 속주머니(50) 및 손잡이부(60)는 천연 또는 인조 가죽, 펠트 및 합성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천연 또는 인조 가죽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 조립식 가방은 스패너(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패너(70)는 너트(32)의 머리부(321)를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패너(70)는 가방의 외부에 부착되거나, 금속 체인 등과 같은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손잡이부(60)에 거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방 전체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패너(70)는 가방의 외관을 장식하는 악세서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덮개부(40), 속주머니부(50) 및 손잡이부(60)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식 가방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지만, 필요에 따라 어깨끈부, 펜홀더부, 바깥주머니부, 몸판 끝단 싸개부 등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방이 다수개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하면몸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의 체결홀과 하면몸판의 체결홀이 중첩되어 조립수단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배면몸판(20)의 체결홀과 하면몸판의 체결홀이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이 하면몸판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조립식 가방은 처음에 정면몸판, 배면몸판 및 하면몸판이 제공되고, 소비자가 각 몸판에 형성된 체결홀을 조립수단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방의 몸체를 구성하는 몸판을 삼등분하여 제공함으로써, 가방의 재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대량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정면몸판, 배면몸판 및 하면몸판의 구조는 가방 전체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심미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체결홀의 위치 및 조립수단의 종류 또한 가방 전체의 디자인을 고려하여 선택함으로써 가방의 최종적인 조립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몸판(10), 배면몸판(20), 다수개의 볼트(31), 다수개의 너트(32), 덮개부(40), 속주머니(50), 손잡이부(60) 및 스패너(70)를 포함하는 개별적인 부품의 형태로 소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패너(70)는 악세서리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현예에 따라서 생략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조립식 가방을 조립하기 위해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의 하단부(12,22)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구성한 다음 상기 하단부(12,22)에 형성된 체결홀(15,25)이 서로 중첩도록 하여, 볼트(31) 및 너트(32)가 체결홀(15,25)들을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가방의 바닥부를 조립한다.
이후,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의 양 측면부(11,21)에 형성된 체결홀(14,24)들이 서로 중첩되도록 하여 볼트(31) 및 너트(32)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가방의 측벽을 형성한다. 그 다음, 정면몸판(10) 및/또는 배면몸판(20)의 하단부(12,22)에 형성된 날개부(13,23)를 접어올려 날개부(13,23)에 형성된 체결홀(16,26)이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의 측면부(11,21)의 하단에 형성된 체결홀(14,24)과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가방이 보다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있어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라서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의 측면부(11,21)가 접히는 구조로 표현하였지만, 가방의 제조자나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서 측면부(11,21)가 접히지 않고 곡면을 형성하도록 구현하는 것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덮개부(40) 및 속주머니부(50) 포함하는 경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부(40) 및 속주머니부(50)에 형성된 체결홀(41, 51)을 배면몸판(20)의 체결홀(27)과 중첩되도록 한 후, 볼트(31) 및 너트(32)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덮개부(40), 속주머니부(50) 및 배면몸판(20)을 조립하는 볼트(31) 및 너트(32)는 볼트부(312) 및 너트부(322)의 길이를 다른 부분에 사용되는 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손잡이부(60)를 포함하는 경우,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60)에 형성된 체결홀(61)을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에 형성된 체결홀(18,28)과 중첩되도록 한 후, 볼트(31) 및 너트(31)를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손잡이부를 가방에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조립이 완성된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조립식 가방을 실제로 구현한 모습을 도 11에 나타내었다.
이상 본 고안의 일부 구현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현 형태에 대해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정면몸판
10'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의한 정면몸판
11 측면부 12 하단부
13 날개부 14,15,16,18 체결홀
19 제2 결속부재
20 배면몸판
20' 본 고안의 다른 구현예에 의한 배면몸판
21 측면부 22 하단부
23 날개부 24,25,26,27,28 체결홀
30 조립수단
31 볼트 311 머리부
312 볼트부 313 일자형 홈부
32 너트 321 머리부
322 너트부
40 덮개부
41 체결홀 42 제1 결속부재
50 속주머니 51 체결홀
60 손잡이부 61 체결홀
70 스패너

Claims (19)

  1.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을 포함하는 조립식 가방에 있어서,
    상기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의 양 측면부(11,21) 및 하단부(12,22)가 다수개의 체결홀(14,15,24,25)을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의 체결홀(14,15)과 배면몸판(20)의 체결홀(24,25)이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정면몸판(10)의 양 측면부(11) 및 하단부(12)가 배면몸판(20)의 양 측면부(21) 및 하단부(22)와 각각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와 배면몸판(20)의 하단부(22)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몸판(10)의 하단부(12) 및 배면몸판(20)의 하단부(22) 중 하나 이상이 날개부(13,23)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13,23)가 하나 이상의 체결홀(16,26)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홀(16,26)이 정면몸판(10)의 측면부(11)에 형성된 체결홀(14), 배면몸판(20)의 측면부(21)에 형성된 체결홀(24), 또는 둘 다와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몸판(10)과 배면몸판(20)이 인조 또는 천연 가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30)이 단추, 버튼, 클립, 볼트-너트, 리벳, 스냅 및 스냅형 리벳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30)이 볼트(31)-너트(32)이고,
    상기 볼트(31)는 머리부(311)와 볼트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32)는 머리부(321)와 너트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32)의 머리부(321)가 육각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1)의 머리부(311)의 높이가 2mm 이하이고,
    상기 너트(32)의 머리부(321)의 높이가 1 내지 7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312)의 길이가 4 내지 7mm이고,
    상기 너트부(322)의 길이가 1.5 내지 4mm이며,
    상기 볼트부(312)의 직경이 1.5 내지 3mm이고,
    상기 너트부(322)의 외경이 3 내지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31)의 머리부(311)가 일자형 홈부(313)를 포함하고,
    상기 일자형 홈부(313)의 너비가 1.5 내지 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수단(30)이 스냅형 리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방이 다수개의 체결홀(41)을 갖는 덮개부(4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배면몸판(20)이 다수개의 체결홀(27)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40)의 체결홀(41)이 배면몸판(20)의 체결홀(27)과 서로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0)가 제1 결속부재(42)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이 상기 제1 결속부재(42)와 탈착 가능한 제2 결속부재(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부재(42) 및 제2 결속부재(19)가 자석, 클립, 단추, 고리 및 스냅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방이 다수개의 체결홀(51)을 갖는 속주머니(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속주머니(50)의 체결홀(51)이 배면몸판(20)의 체결홀(27) 및 덮개부(40)의 체결홀(41)과 서로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16.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방이 다수개의 체결홀(51)을 갖는 속주머니(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 또는 배면몸판(20)이 다수개의 체결홀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속주머니(50)의 체결홀(51)이 정면몸판(10) 또는 배면몸판(20)의 체결홀과 서로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방이 다수개의 체결홀(61)을 갖는 손잡이부(6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 배면몸판(20), 또는 둘 다가 체결홀(18,28)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60)의 체결홀(61)이 정면몸판(10), 배면몸판(20) 또는 둘 다의 체결홀(18,28)과 서로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18. 제 6 항에 있어서,
    스패너(70)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립식 가방.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가방이 다수개의 체결홀을 포함하는 하면몸판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정면몸판(10)의 체결홀과 하면몸판의 체결홀이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배면몸판(20)의 체결홀과 하면몸판의 체결홀이 중첩되어 조립수단(3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정면몸판(10) 및 배면몸판(20)이 하면몸판과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가방.
KR2020160002188U 2016-04-22 2016-04-22 조립식 가방 KR2004849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188U KR200484928Y1 (ko) 2016-04-22 2016-04-22 조립식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188U KR200484928Y1 (ko) 2016-04-22 2016-04-22 조립식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763U true KR20170003763U (ko) 2017-11-01
KR200484928Y1 KR200484928Y1 (ko) 2017-11-07

Family

ID=60408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188U KR200484928Y1 (ko) 2016-04-22 2016-04-22 조립식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77Y1 (ko) * 2018-02-27 2019-08-07 주식회사 토이트론 조립식 가방 완구
IT201900001415A1 (it) * 2019-01-31 2020-07-31 Liberty Of Creation S R L Kit per fare borse, zaini e simil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909A (ja) * 1994-06-01 1995-12-12 Mutou Kaban Seisakusho:Kk 手提鞄
KR20040082369A (ko) * 2004-09-07 2004-09-24 주식회사니코 커버 착탈식 가방
JP2015217138A (ja) * 2014-05-19 2015-12-07 レリップ株式会社 組立式携帯用袋状体部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組立式携帯用袋状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909A (ja) * 1994-06-01 1995-12-12 Mutou Kaban Seisakusho:Kk 手提鞄
KR20040082369A (ko) * 2004-09-07 2004-09-24 주식회사니코 커버 착탈식 가방
JP2015217138A (ja) * 2014-05-19 2015-12-07 レリップ株式会社 組立式携帯用袋状体部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組立式携帯用袋状体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777Y1 (ko) * 2018-02-27 2019-08-07 주식회사 토이트론 조립식 가방 완구
IT201900001415A1 (it) * 2019-01-31 2020-07-31 Liberty Of Creation S R L Kit per fare borse, zaini e simi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928Y1 (ko) 201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2641B2 (en) Handbag articles
US10575613B2 (en) Interchangeable handbag carry system
US7628187B2 (en) Carrying bag with overskirt
US8312816B2 (en) Carrying case with selective object positioning
US9138036B2 (en) Modular zipper bag
US20060174984A1 (en) Dress your purse
US8637133B2 (en) Placemat having an integrated napkin ring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40261933A1 (en) Modular handbag
US20060032875A1 (en) Bag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WO2010097670A1 (en) Modular bag structure
KR200484928Y1 (ko) 조립식 가방
EP3131427A1 (en) A modular bag system
US20170224073A1 (en) Multiple Exterior Reversible Tote-Bag
JP2018525178A (ja) 変更可能なかばん
CN201409541Y (zh) 鞋包装饰花、卡扣环以及带鞋包装饰花的鞋或包
US20170202325A1 (en) Reversible Handbag
CN107713224A (zh) 一种手工自由组合多变手袋及其实现方法
EP3534747A1 (en) Handbag customization and personalization using interchangeable and/or removable components
US20070157575A1 (en) Package kit of bra straps
JP3234693U (ja) 装飾体
KR101824447B1 (ko) 조립식 가방용 조립유닛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가방
JP3197300U (ja) ランドセル用の帯片
CN207411676U (zh) 一种手工自由组合多变手袋
CN201341534Y (zh) 一种礼服衣帽箱
US20080142128A1 (en) Flower-shaped ba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