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570U - Frame structure for door - Google Patents

Frame structure for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570U
KR20170003570U KR2020160001870U KR20160001870U KR20170003570U KR 20170003570 U KR20170003570 U KR 20170003570U KR 2020160001870 U KR2020160001870 U KR 2020160001870U KR 20160001870 U KR20160001870 U KR 20160001870U KR 20170003570 U KR20170003570 U KR 201700035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body
reinforcing
mohair
rigid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8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중식
Original Assignee
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식 filed Critical 안중식
Priority to KR20201600018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570U/en
Publication of KR201700035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57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06Singl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48Wings connected at their edges, e.g. foldab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8Profile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어의 경량화 및 강성을 증대하여 폴딩 도어의 개폐를 편리하게 하고,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중공부를 가지며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몸체와; 손잡이의 역할과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프레임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하는 홈부와;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치형상으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에 형성하는 보강돌기와;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하는 보강패널과; 모헤어가 결합할 수 있도록 프레임몸체 일측에 걸림돌기를 가지며 형성하는 제1모헤어결합홈과; 유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몸체의 일측에 형성하는 유리설치홈과; 유리가 설치되는 유리설치홈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가지며 유리가 설치되는 유리설치홈의 측면에 각각 형성하는 보강블럭과; 제1모헤어결합홈이 형성되는 부분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보강블럭이 형성된 프레임몸체 타측에 중공부와 연결되게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모서리블럭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oor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ollow portion on the inner side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upper panel and the lower panel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lding door by increasing the weight and rigidity of the door, A frame body;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 body so as to reinforce the role and rigidity of the handle; A reinforc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panel and the lower panel in an arch shape so as to increase rigidity; A reinforcing panel formed to connect the upper panel and the lower panel to each other so as to increase rigidity; A first mohair coupl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body and having a locking projection for coupling the mohair; A glass mount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body so that the glass can be installed; A reinforcing block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glass mounting groove, the glass mounting groove having a space for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glass mounting groove on which the glass is installed; And a corner block formed in a square shape to be connected to the hollow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body in which the reinforcing block is form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mohair coupling groove is formed.

Description

도어프레임 구조{Frame structure for door}Frame structure for door < RTI ID = 0.0 >

본 고안은 도어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유리가 설치되는 도어의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frame structure, and relates to a fram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f a door on which a glass is installed.

일반적으로, 벽체의 출입구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를 완전히 개방할 공간이 없는 곳이나, 기타 주변 환경과의 친화력을 도모하기 위하여 출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도록 된 폴딩도어가 근래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In general, a folding door is widely applied in recent years to a door without a space for fully opening a door installed outside a doorway of a wall, or to allow an entrance to be fully opened to achieve affinity with other surrounding environments.

이러한 폴딩도어는 복수의 개별 도어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것은 물론이고, 문틀상에 마련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Such a folding door is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along the rails provided on the door frame, as well as hinged to the plurality of individual doors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따라서 개별 도어들을 일측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도어들이 순차적으로 이동 및 절첩되어 출입구를 개방 또는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doors are sequentially moved and folded by pushing or pulling the individual doors in one direction, thereby opening or closing the door.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폴딩도어에 있어서는, 각각의 문틀에 고정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돌출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절첩 과정에서 손잡이에 의한 간섭이 발생되어 완전한 절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folding do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handle for fixing the door frame is protrud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interference due to the knob is generated during the folding process and the folding is not completed.

이와 같이 개별 도어들이 상호 완전하게 절첩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 개방 공간이 축소될 뿐만 아니라 외관상 보기에 좋지않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individual doors are not completely folded together, the open space is not only reduced but also is not suitable for appearance.

또한, 상기와 같이 절첩이 이루어지는 도어의 경우 도어프레임의 내측에 유리가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유리가 설치되는 프레임은 무게가 많이 나가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무게에 의해 도어를 오픈하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olding door, the glass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frame, and the frame on which the glass is installed has a disadvantage that the weight is large. There is a probl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2007-112359호(2007.11.23. 공개) "폴딩도어"는 도어 사이에 위치되며, 좌,우 양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회동축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 핸들 프레임과;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어 인접된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판상의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의 외측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내부에는 대응되는 핸들 프레임의 회동축에 결합되는 환형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일측단에는 90도 각도 개방부가 형성된 가이더로 이루어진 회동 프레임과; 상기 핸들 프레임의 중심 외측에 90°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며, 내측에는 회동에 의해 핸들 프레임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동되는 캐리어가 결합된 핸들과; 상기 캐리어에 각각 결합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문틀의 걸림홈에 선택적으로 걸림 및 걸림 해제되는 상,하걸림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As a prior ar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folding door" is disclosed in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7-112359 (published on November 23, 2007). The folding door is located between doors.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 handle frame extending from the handle frame; An annular guide groov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end of the plate and coupled to the pivot shaft of the corresponding handle frame is formed at one side A tilt frame formed of a guider having a 90-degree angular opening formed therein; A handle rotatably inserted into an outer side of the center of the handle frame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arrier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handle frame by pivoting; And upper and lower engaging plate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carriers and selectively engaging and disengaging the engaging grooves of the door frame by rotation of the hand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폴딩도어는 다수의 도어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도어프레임과 유리의 무게가 합해져 무거워져 도어를 용이하게 이동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folding door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construct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doors, and the weight of the door frame and the glass is increased, so that the door can not be easily moved.

또한, 도어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핸들의 경우 도어와 도어 사이마다 설치되어 있어 도어프레임에 무게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in the case of the handle provided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fra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is added to the door frame because it is install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제2007-112359호(2007.11.23. 공개)Patent Document: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112359 (published on November 23, 2007)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의 견고성은 유지하면서 도어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측면프레임을 경량화하여 내측에 설치되는 유리의 무게와 도어프레임의 무게가 합해져도 사용자가 도어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도어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ide frame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oor while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door, so that even if the weight of the glass installed inside and the weight of the door frame are combined,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easily.

또한, 본 고안은 도어의 측면프레임을 경량화하면서 기존의 측면프레임보다 강성이 좋은 도어프레임을 제공하여 도어 자체의 무게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는 도어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frame which is lighter than a conventional side frame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side frame of the door, thereby providing a door frame structure in which the door does not swing due to the weight of the door itself.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상부패널 및 하부패널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중공부를 가지며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몸체와; 손잡이의 역할과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프레임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하는 홈부와;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치형상으로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에 형성하는 보강돌기와;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하는 보강패널과; 모헤어가 결합할 수 있도록 프레임몸체 일측에 걸림돌기를 가지며 형성하는 제1모헤어결합홈과; 유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몸체의 일측에 형성하는 유리설치홈과; 유리가 설치되는 유리설치홈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가지며 유리가 설치되는 유리설치홈의 측면에 각각 형성하는 보강블럭과; 제1모헤어결합홈이 형성되는 부분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보강블럭이 형성된 프레임몸체 타측에 중공부와 연결되게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모서리블럭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oor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frame body having a hollow inside and having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engage with an upper panel and a lower panel; A groov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 body so as to reinforce the role and rigidity of the handle; A reinforc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panel and the lower panel in an arch shape so as to increase rigidity; A reinforcing panel formed to connect the upper panel and the lower panel to each other so as to increase rigidity; A first mohair coupl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body and having a locking projection for coupling the mohair; A glass mounting groove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body so that the glass can be installed; A reinforcing block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glass mounting groove, the glass mounting groove having a space for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glass mounting groove on which the glass is installed; And a corner block formed in a square shape to be connected to the hollow por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body in which the reinforcing block is form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mohair coupling groove is formed.

본 고안의 복수의 보강블럭 중 실내 쪽에 위치하는 보강블럭에는, 모헤어가 결합하는 제2모헤어결합홈을 형성하여 도어의 폴딩시 도어와 도어 사이, 도어와 틀 사이로 바람이 빠르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inforcing block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to which the mohair is coupled to prevent the wind from flowing rapidly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and between the door and the frame when the door is folded .

본 고안의 복수로 형성한 모서리블럭은, 보강을 증대하기 위한 경사면이 복수의 모서리블럭 각각에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form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s for increasing the reinforcement ar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or only one of them is formed.

본 고안의 복수로 형성한 모서리블럭은, 보강을 증대하기 위한 곡면이 복수의 모서리블럭 각각에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lurality of corner blocks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a curved surface for enhancing reinforcement is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or only one of them is formed.

본 고안의 복수의 모서리블럭에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만 형성한 경사면은, 보강블럭에 형성한 제2모헤어결합홈이 프레임몸체와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clined surfac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or formed in only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reinforcing block are formed together with the frame body.

본 고안의 복수의 모서리블럭에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만 형성된 곡면은, 보강블럭에 형성한 제2모헤어결합홈이 함께 프레임몸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urved surfaces formed in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formed in either one of them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reinforcing block are formed in the frame body together.

본 고안의 보강패널은, 보강블럭의 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프레임몸체의 강성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inforcing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lock,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frame body.

본 고안은 도어의 측면에 설치되는 프레임몸체를 경량화하면서 강성이 유지되도록 하므로 폴딩 도어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열고 닫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frame bod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oor is lightweight and stiffness is maintained. Therefore, when the folding door is used for a user, the weight is light when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door.

또한, 본 고안의 프레임몸체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성하지 않아도 도어를 열고 닫음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도어의 자체 무게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open and close the door even if a separate handle is not provided on the fram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door itself.

또한, 본 고안의 프레임몸체에 손잡이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도어와 도어가 매우 가깝게 밀착되므로 종래의 폴딩 도어보다 더 넓게 개방됨은 물론 모헤어에 의해 도어와 도어 사이로 바람이 빠르게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바람에 의한 폐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handle is not provided on the fram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and the doo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door is opened more widely than the conventional folding door, There is an effect to prevent harm.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제1실시예.
도 2는 도 1의 도어프레임 구조가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2실시예.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3실시예.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4실시예.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5실시예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6실시예.
도 8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7실시예.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8실시예.
도 10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9실시예.
도 11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9실시예.
도 12는 도 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11실시예.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12실시예.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irst embodiment showing a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frame structure of Fig. 1 is applied to a door. Fig.
Fig. 3 is a second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 Fig.
4 is a third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5 is a four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fth embodiment
Fig. 7 is a six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6. Fig.
8 is a seven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Fig. 9 is an eigh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8. Fig.
10 is a nin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1 is a nin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2 is an eleven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Fig. 13 is a twelf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12;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제1실시예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프레임 구조가 도어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FIG. 1 is a first embodiment showing a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door frame structure of FIG. 1 is applied to a door.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상부패널(101)과, 하부패널(102)과, 제1측면패널(103) 및 제2측면패널(104)을 결합하여 사각형의 프레임몸체(100)를 구성하고, 프레임몸체(100) 내측에는 중공부(105)를 형성하여 경량화한다.1 and 2, a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panel 101, a bottom panel 102, a first side panel 103 and a second side panel 104, A frame body 100 is formed, and a hollow portion 105 is formed inside the frame body 100 to reduce the weight.

상기 프레임몸체(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홈부(110)를 각각 형성하여 도어의 측면에 설치하였을 때,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홈부(110)가 형성된 상부패널(101) 또는 하부패널(102)에는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돌기(120)를 복수로 형성하여 강성을 증대하고, 상기 복수의 보강돌기(120)는 프레임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설 한다. As shown in FIG. 1, the frame body 100 may have grooves 110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to function as a handle when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oor, and the grooves 110 may be formed A plurality of arcuate reinforcing protrusions 120 are formed on the upper panel 101 or the lower panel 102 to increase the rigidity and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protrusions 120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 body 100 do.

또한, 상기 프레임몸체(100)에 형성한 보강돌기(120)가 형성된 상부패널(101)과 하부패널(102)을 연결되도록 하여 프레임몸체(100) 중앙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보강패널(130)을 형성한다. The upper panel 101 and the lower panel 102 formed with the reinforcing protrusions 120 formed on the frame body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reinforcing panel 130 ).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패널(103)에는 프레임몸체(100)가 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틀과 밀착시 밀폐력이 증대되도록 모헤어가 설치되는 제1모헤어결합홈(140-1)을 형성하고, 제1모헤어결합홈(140-1)이 형성된 부분에 복수의 걸림돌기(141)를 형성하여 모헤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e first side panel 103, a first mohair coupling groove 140-1 in which the mohair is installed is formed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when the frame body 100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41 ar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irst mohair coupling groove 140-1 is formed to prevent the mohair from being detached.

상기 제1모헤어결합홈(140-1)이 형성된 프레임몸체(100)의 타측에는 유리가 설치되는 유리설치홈(150)을 형성하고, 상기 유리설치홈(150)에 설치하는 유리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리브(151)를 형성한다.A glass mounting groove 150 in which a glass is installed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body 100 in which the first mohair coupling groove 140-1 is formed and a side surface of the glass provided in the glass mounting groove 150 is supported The reinforcing rib 151 is formed.

상기와 같이 프레임몸체(100)에 홈부(110)와 유리설치홈(150)을 형성하므로 모서리부분에 보강블럭(160)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블럭(160)은 유리설치홈(150)을 중심으로 대향되게 프렘임몸체(100) 일측 상부와 하부에 형성한다.Since the groove portion 110 and the glass mounting groove 150 are formed in the frame body 100 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ing block 160 is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And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frame.

상기 보강블럭(160)에는 도어의 상부프레임(200) 및 하부프레임(300)과 결합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결합리브(162)를 돌출되게 형성한다. The reinforcing block 16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frame 200 and the lower frame 300 so as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upper frame 200 and the lower frame 300 from each other.

상기 보강리브(151)와 결합리브(162)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로 형성하여 결합하는 상부프레임(200), 하부프레임(300) 및 유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결합의 위치를 정확히 잡아주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einforcing ribs 151 and the engaging ribs 162 prevent the glas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frame 200, the lower frame 300, It has the advantage of acting as a guide to catch exactly.

상기 보강블럭(160)은 유리설치홈(150)에 결합하는 유리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일측에 밀착되는 도어의 상부프레임(200)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작용한다. The reinforcing block 160 not only firmly fixes the glass to the glass mounting groove 150 but also facilitates the connection with the upper frame 200 of the doo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상기 보강블럭(160)이 형성된 타측에는 보강블럭(160)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모서리블럭(170)이 형성되고, 상기 모서리블럭(170)은 프레임몸체(100)의 중공부(105)와 공간이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A corner block 170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reinforcing block 16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where the reinforcing block 160 is formed and the corner block 170 is formed to have a space with the hollow portion 105 of the frame body 100 .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프레임몸체(100)를 도어의 측면에 설치하면, 도어 전체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프레임몸체(100)와 결합하는 상부프레임(200) 및 하부프레임(300)과의 결합이 용이한 것은 물론 유리설치홈(150)에 설치되는 유리 또한 견고하게 고정하는 장점이 있다. If the fram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the weight of the door as a whole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upper frame 200 and the lower frame 300, which are coupled to the frame body 100, are easily coupled with each other, and the glass provided in the glass mounting groove 150 is also firmly fixed.

본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3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shown in Figs. 1 and 2, bu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2실시예이다.FIG. 3 is a second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에 구성한 구성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하며, 다만, 복수로 형성한 보강블럭(160) 중 어느 하나에 모헤어가 결합되는 제2모헤어결합홈(140-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struction of FIGS. 1 and 2, except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blocks 160 are formed on a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상기 제2모헤어결합홈(140-2)에는 모헤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어의 측면에 프레임몸체(100)를 설치하면, 상기 제2모헤어결합홈(140-2)에 설치한 모헤어는 실내 쪽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When the frame body 100 is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in a state where the mohair is coupled to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the mohair installed in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Respectively.

상기 제2모헤어결합홈(140-2)에 모헤어가 결합한 도어를 오픈하면, 상기 도어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때 회전한 도어의 제2모헤어결합홈(140-2)에 설치한 모헤어는 다른 도어의 측면 또는 도어가 설치되는 틀에 밀착되어 도어와 도어 사이 또는 도어와 틀 사이에 위치되어 좁은 틈으로 외부의 공기가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이 유지되도록 한다.When the door in which the mohair is engaged is opened in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the mohair installed in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of the rotated door rotates about one side of the door, And is position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or between the door and the frame so as to prevent the outside air from moving quickly through the narrow gap, thereby maintaining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즉, 도어와 도어 사이 또는 도어와 프레임 사이의 좁은 틈으로 바람이 이동하는 경우 바람이 좁은 공간을 지나면서 공기의 흐름이 빠르게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바람에 의한 피해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That is, when the wind moves in a narrow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or between the door and the frame, it prevents the air flow from occurring rapidly through the narrow space, thereby preventing damage caused by the wind.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4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3실시예이다.The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3, bu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Fig. 4 is a third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성은 도 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하고, 다만, 복수의 모서리블럭(170)의 형상을 다르게 구성한다. 복수로 이루어진 모서리블럭(170)의 모서리 부분을 각각 경사지게 경사면(171)을 형성하여 프레임몸체(100)의 강성을 더욱 강화해 도어 측면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figuration of FIG. 1 except that a plurality of corner blocks 170 have different shapes. The inclined surfaces 171 are formed so that the corner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170 are inclined so that the rigidity of the frame body 100 is further strengthened so that the door side is firmly formed.

상기와 같이 모서리 부분에 경사면(171)을 형성하므로 프레임몸체(100)를 구성하기 위한 원료가 모서리블럭(170)이 사각형태로 이루어질 때보다 덜 투입되므로 프레임몸체(100)에 설치되는 프레임몸체(100) 전체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ince the inclined surface 171 is formed at the corner portion as described above, the raw material for constructing the frame body 100 is less charged than when the corner block 17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refore, the frame body 100 installed in the frame body 100 100)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overall weight.

또한, 모서리부분을 직각 형태로 구성하지 않고 경사지게 형성하기 때문에 모서리블럭(170)을 사각으로 형성할 때보다 절곡 부분이 더 형성되기 때문에 휨에 대한 강성이 보강되는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rner portions are formed to be inclined rather than the right angle, bending portions are formed more than when the corner blocks 170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igidity against bending is reinforced.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4실시예이다.The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4, bu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FIG. 5 is a four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구성은 도 4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다만, 복수의 보강블럭(160) 중 하나에, 도 3에 구성한 제2모헤어결합홈(140-2)을 형성한다. 상기 제2모헤어결합홈(140-2)은 도 3에 구성한 모헤어와 같은 작용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at of FIG. 4 except that a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see FIG. 3) is form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locks 160 do.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mohair formed in FIG. 3, and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6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5실시예이다.The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5, but can be implemented as shown in Fig. FIG. 6 is a fif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 4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상하고, 다만, 상기 모서리블럭(170)의 모서리를 라운드 지게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도 모서리블럭(170) 내측으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present inven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nstruction of FIG. 4 except that the edge of the corner block 170 is rounded so that even if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corner block 170, It is possible to prevent warping.

다시 설명하면, 모서리블럭(170)의 모서리 부분을 라운드 지게 곡면(172) 형상으로 구성하므로 인위적인 충격이 가해져도 곡면(172)으로 형성한 부분이 모서리블럭(17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도어의 측면에 설치한 프레임몸체(100)가 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인해 외부의 충격에 강한 도어프레임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The edge portion of the corner block 170 is configured to be rounded to have a curved surface 172 so that the portion formed by the curved surface 172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edge block 170 even if an artificial impact is applied Thereby preventing the frame body 100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from being bent. This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 door frame resistant to external impacts.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7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6실시예이다.The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6, bu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FIG. 7 is a six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어프레임 구성은 도 6과 같이 동일하게 구성하고, 다만, 보강블럭(160)에 모헤가 결합하는 제2모헤어결합홈(140-2)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door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6, except that a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is formed in the reinforcing block 160 to couple the mohair thereto.

상기 제2모헤어결합홈(140-2)에 모헤어를 결합하여 발생하는 작용은 도 3의 구성과 같은 작용이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action generated by coupling the mohair to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occur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3,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8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7실시예이다. The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7, bu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FIG. 8 is a seven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프레임몸체는 도 6의 구성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다만, 복수로 이루어진 모서리블럭(170) 중 하나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태의 곡면(17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fram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at of FIG. 6, except that one of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170 has a square shape, and the other has a rounded curved surface (172) is formed.

상기 모서리블럭(170)의 형상을 각기 다르게 형성하는 것은 내부에서 도어를 볼 때와 외부에서 도어를 볼 때 심미감이 다르게 나타나도록 한다.The shapes of the corner blocks 17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aesthetics are different when the door is viewed from the inside and when the door is viewed from the outside.

또한, 모서리블럭(170)이 사각형태로 이루어진 부분이 실내 쪽에 위치되므로 내부에서 도어와 도어가 밀착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된 상태로 보이기 때문에 도어와 도어가 연결된 부분이 깔끔하게 보이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rner block 170 has a rectangular shape, the door and the doo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oor and the do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외부에 모서리블럭(170)의 모서리부분이 곡면(172)으로 형성되므로 도어와 도어가 연결된 부분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도어를 90°로 폴딩할 때 도어의 측면을 잡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Since the corner portion of the corner block 170 is formed on the outside by the curved surface 172, the portion where the door and the door are connected can be clearly grasped, and the advantage of easily grasping the side of the door when folding the door by 90 degrees .

또한, 도 8에 도시한 프레임몸체(100)에 형성한 보강패널(130)을 보강블럭(160)의 측면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보강블럭(160)이 더욱 견고하게 구성되도록 한다. The reinforcing panel 130 formed on the frame body 100 shown in FIG. 8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lock 160, so that the reinforcing block 160 is more firmly constructed.

즉, 보강패널(130)과 보강블럭(160)의 측면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하므로 보강블럭(160)이 외측으로 벌어지려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reinforcing panel 13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lock 160 are form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lin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inforcing block 160 from being widened to the outside, Can be fixed.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9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8실시예이다. The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8, bu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FIG. 9 is an eigh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프레임몸체(100)는 도 8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다만, 도 3에 형성한 제2모헤어결합홈(140-2)을 복수의 보강블럭(160) 중 어느 하나에 형성한다. 상기 모헤어는 가급적 복수의 보강블럭(160) 중 실내 쪽에 형성되는 보강블럭(160)에 제2모헤어결합홈(140-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the fram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FIG. 8 except that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formed in FIG. 3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inforcing blocks 160, As shown in FIG. Preferably, the mohair is formed with a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in a reinforcing block 16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locks 160. [

즉, 도어를 폴딩한 상태에서 도어 사이에 틈새를 막으므로 빠르게 이동하는 바람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바람에 의한 피해를 미연에 막을 수 있도록 한다. In other words, since the gap between the doors is closed in the state where the door is folded, a fast moving wind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oom, thereby preventing the damage caused by the wind.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0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0은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9실시예이다.The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9, bu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FIG. 10 is a nin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프레임몸체(100)의 구성은 도 1 및 4의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하고, 다만, 복수로 이루어진 모서리블럭(160) 중 어느 하나에 모서리 부분을 경사지게 경사면(171)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면(171)은 가급적 실내 쪽에 위치하는 모서리블럭(170)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the frame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struction as that of FIGS. 1 and 4 except that a corn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160 has an inclined surface 171 ).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urface 171 is formed in the corner block 170 located on the indoor side as much as possible.

상기 모서리블럭(170)의 경사면(171)이 실내 쪽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프레임몸체(100)의 내측 강성을 보강하기 위함이다.The inclined surface 171 of the corner block 170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body 100 to reinforce the inner rigidity of the frame body 100.

그리고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모서리블럭(170)은 실외 쪽에 위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다른 도어와 밀착되었을 때 도어와 도어 사이의 간격이 최소한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외부의 먼지, 이물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corner block 170, which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s located on the outdoor side. When the door is closely contacted with the other door,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is minimized to prevent foreign dust or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room .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1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10실시예이다.The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10, bu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11 is a ten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1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프레임몸체(100)는 도 10에 구성한 프레임몸체(100)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다만, 도어를 오픈하였을 때 도어와 도어 사이에 모헤어가 위치되도록 보강블럭(160)에 제2모헤어결합홈(140-2)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fram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rame body 100 shown in FIG. 10, except that when the door is opened, the reinforcing block 160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is formed.

상기 보강블럭(160)에 형성하는 제2모헤어결합홈(140-2)에 모헤어가 결합한 상태에서 도어가 90°로 폴딩되어 밀착이 이루어지고, 밀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어의 틈으로 바람이 빠르게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바람에 의해 발생하는 소리, 도어에 묻은 먼지 등에 의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 door is folded at an angle of 90 ° in a state where the mohair is engaged with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formed in the reinforcing block 160,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due to noise generated by the wind or dust on the door.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2와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11실시예이다.The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shown in Fig. 11, bu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FIG. 12 is an eleven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프레임몸체(100)는 도 10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다만, 복수로 이루어지는 모서리블럭(170)에 경사면(171)을 형성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frame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at of FIG. 10 except that an inclined surface 171 is formed in a plurality of corner blocks 170.

상기 모서리블럭(170)에 경사면(171)을 형성한 구성은 도 4의 구성과 유사하게 구성되나, 실질적으로 도 4에 형성한 경사면보다 짧게 구성하여 프레임몸체(100)의 모서리블럭(170)에 강성이 증가되게 한다. 4, but may be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shorter than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FIG. 4, and may be formed on the corner block 170 of the frame body 100 in such a manner that the inclined surface 171 is formed on the corner block 170. [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본 고안에 의한 도어프레임 구조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13과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제12실시예이다. The door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as shown in Fig. 12, but can be implemented differently as shown in Fig. 13 is a twelfth embodimen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프레임몸체(100)의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하고, 다만, 복수로 이루어지는 보강블럭(160) 중 하나에 모헤어를 결합할 수 있도록 제3모헤어결합홈(140-3)을 형성하고, 제3모헤어결합홈(140-3)의 일측에 복수의 이탈방지돌기(142)를 형성하여 모헤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Referring to FIG. 13,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rame bod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except that the third mohair coupling grooves 140- 3, and a plurality of detent protrusions 142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third mohair coupling groove 140-3 to prevent the mohair from being detached.

상기 보강블럭(160)에 형성한 제3모헤어결합홈(140-3) 또한, 상기의 도 11에 도시한 제2모헤어결합홈(140-2)과 같이 폴딩이 이루어진 도어와 도어 사이의 틈을 막아 도어와 도어 사이에 바람이 빠르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third mohair coupling groove 140-3 formed in the reinforcing block 160 is also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shown in FIG. Prevents the wind from moving quickly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공안은 도 1 내지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도어의 측면에 설치되는 프레임몸체(100)를 경량화하면서 강성이 유지되도록 하므로 다수의 도어를 절첩하여 사용하는 폴딩도어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도어를 열거나 닫을 때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기존의 폴딩도어를 열고 닫을 때 보다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1 to 13, and the rigidity of the frame body 10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oor can be reduced while maintaining the rigidity of the frame body 100. Accordingly, When the folding door is used, the user can move the folding door more easily than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folding door because the weight is light when the user opens or closes the door.

또한, 프레임몸체(100)에 별도의 손잡이를 구성하지 않아도 도어를 열고 닫음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도어의 자체 무게를 줄일 수 이는 장점도 있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easily open and close the door without reducing the size of the door, and also to reduce the weight of the door itself without forming a separate handle on the frame body 100.

100: 프레임몸체 101: 상부패널
102: 하부패널 103: 제1측면패널
104: 제2측면패널 105: 중공부
110: 홈부 120: 보강돌기
130: 보강패널 140-1: 제1모헤어결합홈
140-2: 제2모헤어결합홈 140-3: 제3모헤어결합홈
141: 걸림돌기 142: 이탈방지돌기
150: 유리설치홈 151: 보강리브
160: 보강블럭 161: 공간부
162: 결합리브 170: 모서리블럭
171: 경사면 172: 곡면
200: 상부프레임 300: 하부프레임
100: frame body 101: upper panel
102: lower panel 103: first side panel
104: second side panel 105: hollow part
110: groove portion 120: reinforcing projection
130: reinforcing panel 140-1: first mohair coupling groove
140-2: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3: third mohair coupling groove
141: locking projection 142: separation preventing projection
150: glass mounting groove 151: reinforcing rib
160: reinforcing block 161:
162: engaging rib 170: edge block
171: slope surface 172: curved surface
200: upper frame 300: lower frame

Claims (7)

도어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부패널(101) 및 하부패널(102)과 결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중공부(105)를 가지며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몸체(100)와;
손잡이의 역할과 강성을 보강할 수 있도록 프레임몸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하는 홈부(110)와;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아치형상으로 상부패널(101)과 하부패널(102)에 형성하는 보강돌기(120)와;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부패널(101)과 하부패널(102)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하는 보강패널(130)과;
모헤어가 결합할 수 있도록 프레임몸체(100) 일측에 걸림돌기(141)를 가지며 형성하는 제1모헤어결합홈(140)과;
유리가 설치될 수 있도록 프레임몸체(100)의 일측에 형성하는 유리설치홈(150)과;
유리가 설치되는 유리설치홈(150)과 프레임몸체(100)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공간부(161)를 가지며 유리가 설치되는 유리설치홈(150)의 측면에 각각 형성하는 보강블럭(160)과;
제1모헤어결합홈(140)이 형성되는 부분의 강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보강블럭(160)이 형성된 프레임몸체(100) 타측에 중공부(105)와 연결되게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모서리블럭(170);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구조.
In the door frame structure,
A frame body (100) having a hollow portion (105) on the inner side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upper panel (101) and the lower panel (102) and being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 groove 110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ame body 100 so as to reinforce the role and rigidity of the handle;
A reinforcing protrusion 120 formed in the upper panel 101 and the lower panel 102 in an arch shape so as to increase rigidity;
A reinforcing panel 130 formed to connect the upper panel 101 and the lower panel 102 so as to increase rigidity;
A first mohair coupling groove 140 having a locking protrusion 141 formed on one side of the frame body 100 so that the mohair can be engaged;
A glass mounting groove 150 formed at one side of the frame body 100 so that the glass can be installed;
A reinforcing block 160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glass mounting groove 150 having a space portion 161 and capable of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glass mounting groove 150 in which the glass is installed and the frame body 100, )and;
A corner block 17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rame body 100 in which the reinforcing block 160 is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hollow portion 105 in order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portion where the first mohair coupling groove 140 is formed. );
Wherein the door frame structure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강블럭(160) 중 실내 쪽에 위치하는 보강블럭(160)에는,
모헤어가 결합하는 제2모헤어결합홈(140-2)을 형성하여 도어의 폴딩시 도어와 도어 사이, 도어와 틀 사이로 바람이 빠르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프레임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reinforcing block 160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locks 160,
And a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to which the mohair is coupled to form a door frame structure that prevents wind from flowing rapidly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when the door is folded, and between the door and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로 형성한 모서리블럭(170)은
프레임몸체(100)의 보강을 증대하기 위한 경사면(171)이 복수의 모서리블럭(170)에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170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171) for increasing the reinforcement of the frame body (100) is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170), or formed on only one of the corner blocks (1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로 형성한 모서리블럭(170)은,
프레임몸체(100)의 보강을 증대하기 위한 곡면이 복수의 모서리블럭(170)에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170)
Wherein a curved surface for increasing the reinforcement of the frame body (100) is form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170), or is formed on only one of the corner blocks (17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서리블럭(170)에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만 형성한 경사면(171)은,
보강블럭(160)에 형성한 제2모헤어결합홈(140-1)이 프레임몸체(100)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clined surfaces 171 formed on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170 or formed on only one of the corner blocks 170,
And a second body frame (100) is formed together with the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1) formed in the reinforcing block (16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서리블럭에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하나에만 형성된 곡면(172)은,
보강블럭(160)에 형성한 제2모헤어결합홈(140-2)이 함께 프레임몸체(10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rved surface 172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rner blocks or formed in either one of the corner blocks,
And a second mohair coupling groove (140-2) formed in the reinforcing block (160) are formed on the frame body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패널(140)은,
보강블럭(160)의 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프레임몸체(100)의 강성을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프레임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inforcing panel (140)
And the reinforcing block (160) is formed to be in line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block (160),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frame body (100).
KR2020160001870U 2016-04-06 2016-04-06 Frame structure for door KR2017000357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70U KR20170003570U (en) 2016-04-06 2016-04-06 Frame structure for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870U KR20170003570U (en) 2016-04-06 2016-04-06 Frame structure for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570U true KR20170003570U (en) 2017-10-16

Family

ID=60408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870U KR20170003570U (en) 2016-04-06 2016-04-06 Frame structure for do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570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80Y1 (en) * 2017-05-15 2018-06-20 강윤구 Folding door
KR102249341B1 (en) * 2019-11-26 2021-05-07 주식회사 네이첸 3 linkage door of structure door and frame
KR102311436B1 (en) * 2021-01-25 2021-10-08 김형도 Door forame for fire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359A (en) 2007-11-05 2007-11-23 김영미 A folding do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359A (en) 2007-11-05 2007-11-23 김영미 A folding do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80Y1 (en) * 2017-05-15 2018-06-20 강윤구 Folding door
KR102249341B1 (en) * 2019-11-26 2021-05-07 주식회사 네이첸 3 linkage door of structure door and frame
KR102311436B1 (en) * 2021-01-25 2021-10-08 김형도 Door forame for fire 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2656B2 (en) Sliding window installation structure including door guide frame having separable segment structure
KR20170003570U (en) Frame structure for door
KR101581312B1 (en) Complex System Window
JP2016531225A (en) Sliding insect repellent window mounting structure including rail frame with separable and removable segment structure
JP7470725B2 (en) Fittings
KR102043814B1 (en) Flat window system and folding door therefor
JP2004003337A (en) Apparatus for folding
US9133655B2 (en) Multistage lock
CN105874142B (en) Operation and ventilation assembly and including framework, sash and the window of the operation and ventilation assembly
KR20100100308A (en) Cresent for reinforcing wind pressure resistance and sliding window with the cresent
KR101467244B1 (en) Multiple Fittings for Building
KR100928956B1 (en) Opening and shutting structure of system windows and doors
JP4860943B2 (en) Door device
KR200486677Y1 (en) A sliding window combinated pull-down window
KR101266844B1 (en) System windows having double doors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fully open
JPH11200731A (en) Fixture for airtight material in window
KR101410505B1 (en) Sliding complex window structure
KR101127636B1 (en) Finishing device for frame joint of window
KR101589520B1 (en) Sliding windows with enhanced hermeticity
JP6815077B2 (en) Joinery
KR102249341B1 (en) 3 linkage door of structure door and frame
KR102494469B1 (en) Finger protecting safety door
KR102044162B1 (en) Fittings system for mixing a sash window and sliding window
KR102499418B1 (en) Windows secured of both heat insulation and durability by using frames of different materials
KR102174414B1 (en) A window frame buffer member with a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