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464U - 딸기보관용기 - Google Patents

딸기보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464U
KR20170003464U KR2020160001687U KR20160001687U KR20170003464U KR 20170003464 U KR20170003464 U KR 20170003464U KR 2020160001687 U KR2020160001687 U KR 2020160001687U KR 20160001687 U KR20160001687 U KR 20160001687U KR 20170003464 U KR20170003464 U KR 2017000346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strawberry
strawberry storage
protrusion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6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4939Y1 (ko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20201600016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39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4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4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5Containers with stacking feet or corn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딸기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딸기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딸기보관용기의 상부에 상기 딸기보관용기를 하나 더 구비하여 덮개의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딸기보관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딸기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돌출부와,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돌출부로 구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구성된 딸기보관용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어, 딸기보관용기의 과일을 보관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딸기보관용기를 적층될 수 있도록 하여 딸기보관용기가 구비되는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의 진열대 또는 창고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적층된 딸기보관용기가 외부의 힘에 의해 미끄러져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그로 인해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의 판매자에게 과일의 보관, 진열 및 판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딸기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딸기보관용기{ Strawberry keeping container }
본 고안은 딸기보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딸기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딸기보관용기의 상부에 상기 딸기보관용기를 하나 더 구비하여 덮개의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딸기보관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딸기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에서 사용하는 바구니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의 판매자는 일정량의 과일을 상기 바구니의 내부에 쌓은 후, 상기한 바구니를 하나 더 구비하여 과일이 쌓인 바구니의 상부를 하나 더 구비된 바구니로 덮어서 진열 및 보관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바구니를 1조로 하여 소비자들에게 판매하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의 경우 그 장소가 협소하여 상기한 두 개의 바구니로 1조가 된 바구니를 여러 층으로 적층하여 진열 및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적층된 바구니는 일반적으로 바구니의 하부에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미끄러져 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418220호 (실) 딸기를 수납한 용기 상측에 덮개가 결합되어 딸기를 보관, 운반하는 용기에 있어서, 용기와 덮개를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2개의 용기를 1조로서 딸기보관용기를 구성하며, 용기는 외주연 플랜지부에 결합돌기와 결합공이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되어 2개의 용기를 상하로 마주보고 결합할 시에 마주보는 용기의 결합돌기와 결합공이 상호간 탈착결합되게 하며, 용기의 바닥 저면부에는 상호 부합되는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용기를 상하로 적층할 시에 상하 적층되는 용기가 고정돌기와 돌출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의해 상호간을 끼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딸기를 수납하는 용기는, 상기 용기를 덮는 덮개의 용도로 겸할 수 있도록 동일한 2개의 용기가 1조로서 구성되고, 상기 용기의 바닥 저면부에 고정수단인 고정홈이 형성된 돌출부와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다수의 용기가 상하로 적층될 시에 저면부가 상호 맞닿는 각각의 용기가 상호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용기를 적층할 때마다 일일이 2개의 용기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에 고정돌기를 정확하게 맞춰줘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돌출부와,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돌출부로 구성되는 돌출부를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구성하여 다수의 딸기보관용기가 적층될 시에 적층된 딸기보관용기가 미끄러져 무너지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딸기보관용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과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부(100)가 형성되어 다수의 딸기보관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딸기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0)는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동일한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돌출부(110)와,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돌출부(110)가 형성된 원호와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돌출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딸기보관용기(10)의 하부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100)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보조돌출부(210)와, 상기 제 1보조돌출부(210)가 형성된 원호와 다른 지름을 가지며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보조돌출부(220)로 구성된 보조돌출부(20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보조돌출부(210)와 제 2보조돌출부(220)가 각각 형성된 방향은 제 1돌출부(110)와 제 2돌출부(120)가 각각 형성된 방향과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딸기보관용기에 의하면, 딸기보관용기의 과일을 보관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딸기보관용기를 적층될 수 있도록 하여 딸기보관용기가 구비되는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의 진열대 또는 창고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적층된 딸기보관용기가 외부의 힘에 의해 미끄러져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그로 인해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의 판매자에게 과일의 보관, 진열 및 판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2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3의 ( A ㅡ A’)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본 고안은 딸기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딸기보관용기의 상부에 상기 딸기보관용기를 하나 더 구비하여 덮개의 기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딸기보관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딸기보관용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과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부(100)가 형성되어 다수의 딸기보관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딸기보관용기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0)는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동일한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돌출부(110)와,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돌출부(110)가 형성된 원호와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돌출부(120)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과일을 보관하는데 사용되는 딸기보관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딸기와 같은 과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돌출부(100)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딸기보관용기는 상기 수용공간에 과일을 내부에 쌓은 후, 상기한 딸기보관용기를 하나 더 구비하여 과일이 쌓인 딸기보관용기의 상부를 덮어서 진열 및 보관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딸기보관용기를 사용하는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의 경우 상기 딸기보관용기를 보관 및 진열하는 장소가 협소하여 상기한 두 개의 딸기보관용기가 1조가 된 딸기보관용기를 여러 층으로 적층하여 진열 및 보관하고 있는데, 이러한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미끄러져 넘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근래에는 상기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고정수단의 역할을 수행토록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고정수단인 돌출부(100)는 대체적으로 사용자가 딸기보관용기를 적층할 때마다 일일이 두 개의 딸기보관용기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100)를 정확하게 맞춰줘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고안은 상기한 딸기보관용기(10)에 있어서,
도 1, 2,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00)는 상기 딸기보관용기(1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동일한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돌출부(110)와, 상기 딸기보관용기(1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돌출부(110)가 형성된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원호와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돌출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돌출부(110)가 형성되는 원호의 지름의 크기는 상기 제 2돌출부(120)가 형성되는 원호의 지름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돌출부(110)가 형성되는 원호의 지름의 크기가 상기 제 2돌출부(120)가 형성되는 원호의 지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 1돌출부(110)의 내주는 상기 제 2돌출부(120)의 외주와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원호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고안인 딸기보관용기(10)를 두 개 구비하여 각각의 딸기보관용기(10)의 하부가 상호 맞닿도록 상, 하부에 위치시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상부에 위치된 딸기보관용기(10)의 제 1돌출부(110)의 내주가 상기 하부에 위치된 딸기보관용기(10)의 제 2돌출부(120)의 외주를 감싸게 되고, 상기 하부에 위치된 딸기보관용기(10)의 제 1돌출부(110)의 내주가 상기 상부에 위치된 딸기보관용기(10)의 제 2돌출부(120)의 외주를 감싸게 되어 상기 상, 하부에 위치되어 연결되는 두 개의 딸기보관용기(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제 2돌출부(120)가 형성되는 원호의 지름의 크기가 상기 제 1돌출부(110)가 형성되는 원호의 지름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제 2돌출부(120)의 내주는 상기 제 1돌출부(110)의 외주와 동일한 지름을 가지는 원호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 말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돌출부(110)와 제 2돌출부(120)가 호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의 판매자가 본 고안인 딸기보관용기(10)를 적층할 때마다 일일이 적층되는 딸기보관용기(10)를 정확하게 맞추지 않더라도 손쉽게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으며,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1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과일의 보관, 진열 및 판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딸기보관용기(10)의 하부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100)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동일한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보조돌출부(210)와, 상기 제 1보조돌출부(210)가 형성된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원호와 다른 지름을 가지며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보조돌출부(220)로 구성된 보조돌출부(200)가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보조돌출부(200)는 상기 돌출부(1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보조돌출부(200)는 상기 돌출부(1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보조돌출부(200)를 상기 딸기보관용기(10)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딸기보관용기(10)가 적층되어 보관 및 진열되고, 상기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10)에 외부의 힘이 가해질 시, 상기 돌출부(100)와 보조돌출부(200)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10)의 상호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보조돌출부(210)와 제 2보조돌출부(220)가 각각 형성된 방향은 제 1돌출부(110)와 제 2돌출부(120)가 각각 형성된 방향과 동일하게 또는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돌출부(200)의 제 1보조돌출부(210)와 제 2보조돌출부(220)가 각각 형성되는 방향은 상기 돌출부(100)의 제 1돌출부(110)와 제 2돌출부(120)가 각각 형성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적층되는 다수의 딸기보관용기(10)에 제 1돌출부(110)와 제 2돌출부(120)가 형성된 방향뿐만 아니라 상이한 방향으로 외부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1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상호간의 고정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딸기보관용기에 의하면, 딸기보관용기의 과일을 보관하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다수의 딸기보관용기를 적층될 수 있도록 하여 딸기보관용기가 구비되는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의 진열대 또는 창고의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어 적층된 딸기보관용기가 외부의 힘에 의해 미끄러져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적층된 다수의 딸기보관용기를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그로 인해 재래시장이나 과일가게의 판매자에게 과일의 보관, 진열 및 판매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10 : 딸기보관용기
100 : 돌출부
110 : 제 1돌출부 120 : 제 2돌출부
200 : 보조돌출부
210 : 제 1 보조돌출부 220 : 제 2보조돌출부

Claims (2)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과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하부에 돌출부(100)가 형성되어 다수의 딸기보관용기가 적층될 수 있도록 하는 딸기보관용기(1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0)는,
    상기 딸기보관용기(1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동일한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돌출부(110)와,
    상기 딸기보관용기(10)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 1돌출부(110)가 형성된 원호와 다른 지름을 가지는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돌출부(1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보관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딸기보관용기(10)의 하부에는 돌출되어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100)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보조돌출부(210)와, 상기 제 1보조돌출부(210)가 형성된 원호와 다른 지름을 가지며 원호 상의 일 측에 호형의 형상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2보조돌출부(220)로 구성된 보조돌출부(200)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보관용기.
KR2020160001687U 2016-03-30 2016-03-30 딸기보관용기 KR200484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87U KR200484939Y1 (ko) 2016-03-30 2016-03-30 딸기보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687U KR200484939Y1 (ko) 2016-03-30 2016-03-30 딸기보관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464U true KR20170003464U (ko) 2017-10-12
KR200484939Y1 KR200484939Y1 (ko) 2017-11-09

Family

ID=60407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687U KR200484939Y1 (ko) 2016-03-30 2016-03-30 딸기보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39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341Y1 (ko) * 2002-06-26 2002-10-19 장맹환 적층식 딸기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341Y1 (ko) * 2002-06-26 2002-10-19 장맹환 적층식 딸기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939Y1 (ko)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8961A (en) Trays for holding a forest of bottles and stacking the same in layers
US20060243627A1 (en) Bottle carrier
KR101838914B1 (ko) 과일보관용기
CA2835778C (en) Nestable can tray
JP2005510427A (ja) 大型収納体
US9889965B2 (en) Leak-proof, interlocking, stackable, food, spice, and liquid travel
KR20150015573A (ko) 개폐 구조를 개선한 용기
KR20180085257A (ko) 딸기 포장용기
KR200484939Y1 (ko) 딸기보관용기
US20110240660A1 (en) Crate
US6581771B2 (en) Stack and nest bail container
KR101522323B1 (ko) 실린더형 제품, 특히 사탕의 튜브를 위한 모듈 전시 장치 및, 그것의 구성 요소들을 위한 모듈 요소
CA2917506A1 (en) Beverage crate with handle
KR102087231B1 (ko) 딸기 포장용기
US9629505B2 (en) Food container organizer
JPH05503487A (ja) 多経路梱包材
EP1746031B1 (en) Multiple package
WO2011120888A1 (en) Crate
KR101928906B1 (ko) 커버가 구비된 딸기보관용기
KR101731727B1 (ko) 과일 바구니
JP3197139U (ja) 二段嵌合式食品容器
JP2006188283A (ja) 品物の包装容器におけるコンパクトディスクの収納構造
JP2000255672A (ja) 光ディスクの収納体
KR20180000876A (ko) 바닥면 돌출부의 크기가 상이한 딸기보관용기
JP2018070221A (ja) 集合包装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