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194U - 식기 건조대 - Google Patents

식기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194U
KR20170003194U KR2020160001164U KR20160001164U KR20170003194U KR 20170003194 U KR20170003194 U KR 20170003194U KR 2020160001164 U KR2020160001164 U KR 2020160001164U KR 20160001164 U KR20160001164 U KR 20160001164U KR 20170003194 U KR20170003194 U KR 201700031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ing frame
attached
water
hoo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1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5924Y1 (ko
Inventor
황명순
김학기
Original Assignee
황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순 filed Critical 황명순
Priority to KR20201600011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92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1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9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9/00Drying devic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tea-cloth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20Grids, racks or other supports removably mounted in, on or over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고안고안척이 끝난 식기를 재치하여 물이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식기가 건조되도록 하되, 걸이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포장과 보관 및 운송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본체와 걸이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걸이부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가 종횡으로 배치되어 건조대상 식기가 재치되는 본체(10)와;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재(20);를 포함하는 식기 건조대에 있어서, 걸이부재(20)가 힌지 구멍을 통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본체(10)가 일측이 상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식기 받침대(11)와, 상측에 식기 받침대(11)의 선단부가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 고정틀(12)과, 식기 받침대(11)의 절곡부가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후방 고정틀(13)과, 식기 받침대(11)의 후방 끝단이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후방 고정틀(13)로부터 일정 정도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 고정틀(14)과,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방 고정틀(12)과 후방 고정틀(13) 및 상단 고정틀(14)의 끝단부가 각각 모서리 내측에 부착되도록 하는 좌우 고정틀(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 건조대{Tableware Dryer}
본 고안은 세척이 끝난 식기를 재치하여 물이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식기가 건조되도록 하는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걸이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포장과 보관 및 운송의 편의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본체와 걸이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걸이부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식기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식기 건조대는 밥그릇이나 접시 등의 식기류를 재치하여 식기류에 부착된 물을 자연 낙하시킴으로써 식기류가 건조되도록 하는 주방용품으로서, 보통 싱크대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납장의 하부 또는 싱크대의 개수구 주변의 벽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하여 사용기도 한다.
이러한 식기 건조대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보통 와이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제조하고 있으며, 식기류를 재치할 수 있도록 와이어를 종횡으로 배치하여 일체화시킨 본체와, 싱크대 상부의 수납장 하부 또는 벽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본체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 식기류로부터 자연낙하하는 물을 모으기 위한 물받이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통상적인 식기 건조대는 본체에 걸이부재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어 전체적인 부피가 크고, 그로 인해 포장과 운송 및 보관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본체와 걸이부재를 분리하여 조립식 구조로 형성되거나 본체에 걸이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포장 및 보관시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걸이부재가 본체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이사 또는 설치 위치의 변경을 위하여 걸이부재와 본체를 분리하여 운반하는 과정에서 걸이부재를 분실할 수 있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접시를 꽂을 수 있는 M자형상의 접시받침대와 그릇을 받칠 수 있는 그릇받침대가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상태의 하측 테두리와 중앙에 테두리연결대와 중앙부연결대가 부착형성되고, 상기 테두리연결대와 중앙부연결대의 길이방향 양측 사이사이에 연결지지대가 부착형성되며, 상기 테두리연결대와 중앙부연결대의 길이방향 하부 양측에 고리형상의 주방걸이구가 체결된 걸이대가 걸이고정구에 의해 부착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대에 끼워져 높이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공이 다수 관통형성된 U자 형상의 천정연결대 상측에 천정고정공이 관통형성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포장 및 운반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설치를 누구나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사각으로 공간활용이 어려운 싱크대벽장의 하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협소한 주방의 공간을 극대화하여 활용할 수 있고 다수의 컵이나 주방구를 건조보관할 수 있도록 한, 현가식 식기건조대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내측에 각각 식기건조선반 걸이부를 갖는 전방틀과 후방틀, 내측에 각각 물받이 걸이부를 갖는 두개의 측방틀 그리고 각 틀들을 연결하는 네개의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사각형의 동체부재, 전방틀과 후방틀의 식기건조선반 걸이부에 안치되는 식기건조선반, 측방틀의 물받이 걸이부에 걸려지는 물받이, 및 한쪽은 동체부재에 부착되며 다른 쪽은 수납장 하측벽에 부착되어서 동체부재를 수납장 하측벽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어서 각 구성부분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고, 설치가 간편하며 또한 적은 인력으로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식기건조대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전/후방프레임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본체; 상기 본체 하부에 결합되는 물받이판; 상기 본체 상부에 안치되는 식기재치대; 및 상기 본체의 측면프레임들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고정공을 갖는 수직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제1설치부재와, 벽면에 설치되는 브라켓들과, 상기 측면프레임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브라켓에 체결되는 장착부를 갖는 지지프레임들로 이루어진 제2설치부재로 구성되는 설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싱크대의 상부 수납장의 바닥면 또는 주방의 벽면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구조의 주방 어느 곳에나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설치 가능하며, 설치 작업이 쉽고, 설치 후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식기건조대의 탈락으로 인한 식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식기 건조대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브라켓에 의해 하부 테두리와이어에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됨으로써 걸이를 선반부에 대해 거의 수평하게 접을 수 있고, 걸이가 기립하여 있을 때 그 기립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상부 테두리와이어에는 기립된 걸이가 수용되어 위치되는 만곡부가 형성되고, 이 만곡부에는 수용된 걸이가 만곡부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한 식기건조대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20-0294273 Y1 KR 20-2010-0004389 U KR 10-2015-0065346 A KR 20-2015-0003370 U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에 걸이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켜 포장과 운송 및 보관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걸이부재의 분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건조대상 식기가 안정적으로 재치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식기는 물론 접시까지도 건조할 수 있는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식기의 건조 과정에서 흘러내린 물을 모아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싱크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모여진 물을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물받이를 분할 형성하여 물받이의 취급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물받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건조대상 식기가 본체의 앞쪽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이탈방지판이 본체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은 걸이부재가 본체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본체와 걸이부재의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한 식기 건조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와이어가 종횡으로 배치되어 건조대상 식기가 재치되는 본체와;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식기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일측에 형성된 힌지 구멍을 통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일측이 상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절곡부가 뒤쪽에 위치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식기 받침대와, 상측에 상기 식기 받침대의 선단부가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 고정틀과, 상기 식기 받침대의 절곡부가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후방 고정틀과, 상기 식기 받침대의 후방 끝단이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후방 고정틀로부터 일정 정도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 고정틀과,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고정틀과 후방 고정틀 및 상단 고정틀의 끝단부가 각각 모서리 내측에 부착되도록 하는 좌우 고정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식기 받침대의 하부에 부착됨과 아울러 양단이 상기 걸이부재의 안쪽 부분에서 상기 좌우 고정틀에 대칭되게 부착되어 상기 식기 받침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하부 고정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식기 받침대의 일부가 상향 만곡되어 접시 받침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조대상 식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모이는 물받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턱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에 상기 물받이의 턱부를 지지하는 물받이 선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물받이는 좌측 물받이와 우측 물받이로 구분되고, 상기 물받이 선반은 좌측 물받이와 우측 물받이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후방 하측에 상기 좌측 물받이와 우측 물받이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2개의 차단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물받이 선반은 상기 식기 받침대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좌우 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그 양단에서 각각 하향 절곡된 후 안쪽 방향으로 수평 절곡되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물받이의 턱부를 지지하는 받침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 재치된 식기가 앞쪽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의 앞쪽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방 고정틀의 상측에서 상기 좌우 고정틀의 상단 모서리에 부착되어 상기 이탈방지판을 지지하는 좌우 방향의 지지틀이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판은 상단측에 상기 지지틀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측이 수평 절곡되어 상기 후방 고정틀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걸이부재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와, 결합 구멍이 형성되도록 납작한 구멍 형성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단이 수평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수평 연결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이 경사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좌우 고정틀이 삽입되는 힌지 구멍이 형성되도록 납작한 구멍 형성부가 구비된 경사 연결부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경사 연결부를 연결하는 하단 연결부를 포함하고,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좌우 고정틀은 하부측이 상기 걸이부재의 경사 연결부에 구비된 구멍 형성부의 힌지 구멍에 삽입되되,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상기 구멍 형성부의 힌지 구멍에 삽입된 후 접합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좌우 고정틀은 상기 걸이부재의 수직부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만곡된 2개의 홈 형성부가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수직부에는 상기 좌우 고정틀의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가 세워졌을 때 상기 걸이부재의 수직부가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홈 형성부의 상측에 마찰 결합되는 고정돌기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상기 좌우 고정틀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걸이부재의 수직부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홈 형성부 외측에 각각 상기 좌우 고정틀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연결하는 수직 보강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는 식기가 거치되는 본체에 걸이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걸이부재를 접어 부피를 줄일 수 있으므로 포장이나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 본체와 걸이부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걸이부재의 분실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와이어가 종횡으로 배치한 후 서로 접합하여 본체를 형성하되 본체의 좌우측 가장자리가 사각 형상의 좌우 고정틀로 고정됨에 따라 본체의 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식기 받침대의 일부가 접시 받침대로 형성됨에 따라 사발 형태의 그릇은 물론 접시의 건조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물받이가 좌우 독립 구조로 형성되어 물받이를 삽입하거나 인출하기가 용이하고 물받이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바닥으로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좌우 고정틀에 만곡된 홈 형성부가 구비되어 걸이부재의 수직부가 좌우 고정틀의 홈에 삽입됨과 아울러 걸이부재의 수직부에 구비된 고정돌기가 좌우 고정틀의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걸이부재가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걸이부재에 구비된 고정돌기가 좌우 고정틀의 홈 형성부 상측에 마찰 결합됨에 따라 걸이부재의 수직부가 세워진 상태에서 본체를 바닥에 세우더라도 걸이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따르면, 좌우 고정틀의 홈 형성부 외측에 수직 보강대가 각각 설치됨에 따라, 걸이부재가 좌우 고정틀에 고정되지 않고 누워 있는 상태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되고, 그로 인해 사용자가 좌우 고정틀의 홈 형성부 위치에 맞추지 않고 걸이부재를 세우는 것만으로도 걸이부재의 고정돌기를 좌우 고정틀의 홈 형성부에 끼워 고정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좌우 고정틀의 지지 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식기 건조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물받이가 분리된 식기 건조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식기 건조대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식기 건조대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식기 건조대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요부인 걸이부재를 펼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요부인 걸이부재를 접은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식기 건조대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가 종횡으로 배치되어 건조대상 식기가 재치되는 본체(10)와;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재(20)와;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조대상 식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모이는 물받이(30)와; 상기 본체(10)에 재치된 건조대상 식기가 앞쪽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걸이부재(20)는 일측에 형성된 힌지 구멍을 통해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일측이 상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절곡부가 뒤쪽에 위치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식기 받침대(11)와, 상측에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선단부가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 고정틀(12)과,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절곡부가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후방 고정틀(13)과,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후방 끝단이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후방 고정틀(13)로부터 일정 정도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 고정틀(14)과,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고정틀(12)과 후방 고정틀(13) 및 상단 고정틀(14)의 끝단부가 각각 모서리 내측에 부착되도록 하는 좌우 고정틀(15)과,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하부에 부착됨과 아울러 양단이 상기 걸이부재(20)의 안쪽 부분에서 상기 좌우 고정틀(15)에 대칭되게 부착되어 상기 식기 받침대(1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한 쌍의 하부 고정틀(1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일부가 상향 만곡되어 접시 받침대(11')를 형성하며, 경우에 따라 컵이 삽입될 수 있는 컵 받침대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30)는 좌측 물받이(31)와 우측 물받이(32)로 구분됨과 아울러, 물받이(3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턱부(31')(32')가 형성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물받이(30)의 턱부(31')(32')를 지지하는 물받이 선반(17)이 설치되는데, 상기 물받이 선반(17)은 좌측 물받이(31)와 우측 물받이(32)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방 하측에 상기 좌측 물받이(31)와 우측 물받이(3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2개의 차단틀(19)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받이 선반(17)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는 일정 정도 이격되고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하향 절곡되고, 그 하단부가 안쪽 방향으로 수평 절곡된 후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물받이(30)의 턱부(31',32')를 지지하는 받침부(17')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전방 고정틀(13)의 상측에서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상단 모서리에 부착되어 상기 이탈방지판(40)을 지지하는 좌우 방향의 지지틀(18)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판(40)은 상단측에 상기 지지틀(18)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41)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측이 수평 절곡되어 상기 전방 고정틀(13)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부(4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부재(2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21)와, 결합 구멍이 형성되도록 납작한 구멍 형성부(22')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부(22)와, 상기 수직부(21)의 상단이 수평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수평 연결부(26)와, 상기 수직부(21)의 하단이 경사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좌우 고정틀(15)이 삽입되는 힌지 구멍이 형성되도록 납작한 구멍 형성부(24')가 구비된 경사 연결부(24)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경사 연결부(24)를 연결하는 하단 연결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좌우 고정틀(15)은 하부측이 상기 걸이부재(20)의 경사 연결부(24)에 구비된 구멍 형성부(24')의 힌지 구멍에 삽입되되,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상기 구멍 형성부(24')의 힌지 구멍에 삽입된 후 접합되어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 고정틀(15)은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만곡된 2개의 홈 형성부(15')가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에는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가 세워졌을 때 상기 걸이부재(10)의 수직부(21)가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홈 형성부(15)에 마찰 결합되는 고정돌기(25)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가 기립하여 상기 좌우 고정틀(15)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경우, 상기 수직부(21)에 구비된 고정돌기(25)가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홈 형성부(15')의 윗면과 비교적 강하게 마찰된 상태로 끼워지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가 바닥에 세워지더라도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가 중력방향으로 떨어지지 않고 고정돌기(25)와 홈 형성부(15`) 윗면 간의 마찰로 인해 고정틀(15)과 수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걸이부재(20)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2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홈 형성부(15')의 외측에서 각각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연결하는 수직 보강대(15")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홈 형성부(15')의 외측에 수직 보강대(15")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20)가 좌우 고정틀(15)에 고정되지 않고 누워 있는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홈 형성부(15') 위치에 맞추지 않고 단지 상기 걸이부재(20)를 세우는 것만으로도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에 구비된 고정돌기(25)가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홈 형성부(15')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식기 건조대는 걸이부재가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포장이나 보관 및 운반시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고, 걸이부재가 본체에 일체로 결합되어 걸이부재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수직부(21)와 수평 연결부(26), 구멍 형성부(22')가 구비된 고정부(22), 수직부(21), 구멍 형성부(24')가 구비된 경사 연결부(24), 하단 연결부(23), 구멍 형성부(24')가 구비된 경사 연결부(24)의 순서로 배치되어 일체화된 걸이부재(20)를 준비한 후, 본체(10)를 제작한다.
본체(10)의 제작시에는 일측이 절곡된 식기 받침대(11)를 절곡된 부분이 뒤쪽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복수의 식기 받침대(11)를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배치한다. 이어,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앞쪽 끝단 하부에 전방 고정틀(12)을 부착하고,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절곡된 부분 뒤쪽과 그 끝단에 후방 고정틀(13)과 상단 고정틀을 각각 부착한다. 이때, 상기 식기 받침대(11) 중 일부를 상측으로 만곡 형성하여 접시 받침대(11')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하부에 하나 이상의 하부 받침대(16)를 부착하여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전방 고정틀(12)의 좌우측 끝단에 각각 사각 형상의 좌우 고정틀(15)을 부착하여 본체(10)를 완성한다. 이때, 상기 좌우 고정틀(15)은 하부측이 분할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상측에는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도록 만곡시킴으로써, 한 쌍의 홈 형성부(15')가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홈 형성부(15') 외측에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연결하는 수직 보강대(15")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수직 보강대(15")는 상기 걸이부재(20)가 좌우 고정틀(15)에 고정되지 않고 누워 있는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를 좌우로 이동시켜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홈 형성부(15') 위치에 맞추지 않고 단지 상기 걸이부재(20)를 세우는 것만으로도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에 구비된 고정돌기(25)가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홈 형성부(15')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고정틀(15)은 본체(10)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걸이부재(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좌우 고정틀(15)은 분할된 하부측을 상기 걸이부재(20)의 경사 연결부(24)에 구비된 구멍 형성부(24')의 힌지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걸이부재(20)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걸이부재(20)의 결합이 완료된 후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분할된 부분을 접합하여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20)는 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본체(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하부에 물받이(30)를 지지하는 물받이 선반(17)을 부착하되, 좌우 양측에 각각 물받이 선반(17)을 독립적으로 설치하여 본체(10)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물받이(31)(32)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주부 등의 사용자가 물받이(31)(32)를 취급하기가 용이해진다.
또,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하부에 한 쌍의 하부 고정틀(16)를 부착하여 상기 식기 받침대(11)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 고정틀(16)의 양단은 상기 걸이부재(20)의 안쪽 부분에서 상기 좌우 고정틀(15)에 대칭되게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고정틀(16)은 상기 수직 보강대(15")와 함께 상기 걸이부재(20)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앞쪽 상단 모서리 내측에 지지틀(18)을 부착하고, 상기 지지틀(18)과 전방 고정틀(12)에 이탈방지판(40)을 결합시킨다. 즉, 상기 지지틀(18)에 이탈방지판(40)의 끼움부(41)를 먼저 결합시킨 후, 상기 전방 고정틀(12)에 상기 이탈방지판(40)의 탄성부(42)를 탄성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이탈방지판(40)을 본체(10)에 결합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10)에 거치된 식기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됨은 물론 식기 받침대(11)의 끝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미감이 향상되고 식기 받침대(11)의 끝단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식기 고정대를 싱크대의 장식장 하부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부재(20)를 세워서 수직부(21)가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홈 형성부(15') 내의 홈에 삽입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수직부(21)의 고정돌기(25)가 좌우 고정틀(15)의 홈 형성부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걸이부재(20)가 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어, 상기 걸이부재(20)의 고정부(22)에 구비된 구멍 형성부(22')의 결합 구멍으로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관통시켜 장식장 하부에 고정한다.
하지만, 최초 포장시나 보관시는 물론 이사 등으로 인해 설치 위치를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걸이부재(20)의 기립상태를 해소하고 상기 걸이부재(20)를 본체(10)의 안쪽 방향으로 접어둠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 상단측을 본체(10)의 안쪽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걸이부재(20)의 고정돌기(25)가 좌우 고정틀(15)의 홈 형성부(15')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후, 상기 걸이부재(20)를 본체(10)의 안쪽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어 둠으로써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본체
11...식기 받침대
11'...접시 받침대
12...전방 고정틀
13...후방 고정틀
14...상단 고정틀
15...좌우 고정틀
15'.홈 형성부
15"...수직 보강대
16...하부 고정틀
17...물받이 선반
17'...받침부
18...지지틀
19...차단틀
20...걸이부재
21...수직부
22...고정부
22'...구멍 형성부
23...하단 연결부
24....경사 연결부
24'...구멍 형성부
25...고정돌기
26...수평 연결부
30...물받이
31...좌측 물받이
31'...턱부
32...우측 물받이
32'...턱부
40....이탈방지판
41...끼움부
42...탄성부

Claims (12)

  1. 와이어가 종횡으로 배치되어 건조대상 식기가 재치되는 본체(10)와;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이부재(20);를 포함하는 식기 건조대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20)는 일측에 형성된 힌지 구멍을 통해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일측이 상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절곡부가 뒤쪽에 위치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식기 받침대(11)와, 상측에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선단부가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 고정틀(12)과,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절곡부가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후방 고정틀(13)과,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후방 끝단이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후방 고정틀(13)로부터 일정 정도 상측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단 고정틀(14)과,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고정틀(12)과 후방 고정틀(13) 및 상단 고정틀(14)의 끝단부가 각각 모서리 내측에 부착되도록 하는 좌우 고정틀(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하부에 부착됨과 아울러 양단이 상기 걸이부재(20)의 안쪽 부분에서 상기 좌우 고정틀(15)에 대칭되게 부착되어 상기 식기 받침대(11)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하부 고정틀(1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일부가 상향 만곡되어 접시 받침대(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조대상 식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모이는 물받이(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30)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턱부(31')(3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에 상기 물받이(30)의 턱부(31')(32')를 지지하는 물받이 선반(1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30)는 좌측 물받이(31)와 우측 물받이(32)로 구분되고, 상기 물받이 선반(17)은 좌측 물받이(31)와 우측 물받이(32)를 각각 독립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10)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후방 하측에 상기 좌측 물받이(31)와 우측 물받이(3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2개의 차단틀(1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 선반(17)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식기 받침대(11)의 저면에 부착되며,
    상기 본체(10)의 전후 방향으로는 일정 정도 이격되고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하향 절곡되고, 그 하단부가 안쪽 방향으로 수평 절곡된 후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상기 물받이(30)의 턱부(31',32')를 지지하는 받침부(17')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에 재치된 건조대상 식기가 앞쪽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10)의 앞쪽에 설치되는 이탈방지판(4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방 고정틀(13)의 상측에서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상단 모서리에 부착되어 상기 이탈방지판(40)을 지지하는 좌우 방향의 지지틀(18)이 설치되며,
    상기 이탈방지판(40)은 상단측에 상기 지지틀(18)이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41)가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측이 수평 절곡되어 상기 전방 고정틀(13)에 탄성 결합되는 탄성부(4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2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21)와, 결합 구멍이 형성되도록 납작한 구멍 형성부(22')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부(22)와, 상기 수직부(21)의 상단이 수평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22)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수평 연결부(26)와, 상기 수직부(21)의 하단이 경사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좌우 고정틀(15)이 삽입되는 힌지 구멍이 형성되도록 납작한 구멍 형성부(24')가 구비된 경사 연결부(24)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경사 연결부(24)를 연결하는 하단 연결부(23)를 포함하고, 전체가 하나로 연결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고정틀(15)은 하부측이 상기 걸이부재(20)의 경사 연결부(24)에 구비된 구멍 형성부(24')의 힌지 구멍에 삽입되되,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상기 구멍 형성부(24')의 힌지 구멍에 삽입된 후 접합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고정틀(15)은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도록 외측으로 만곡된 2개의 홈 형성부(15')가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20)의 수직부(21)에는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가 세워졌을 때 상기 걸이부재(10)의 수직부(21)가 하강하지 않도록 상기 홈 형성부(15)에 마찰 결합되는 고정돌기(25)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지지 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걸이부재(20)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직부(21)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상기 홈 형성부(15')의 외측에서 각각 상기 좌우 고정틀(15)의 상부측과 하부측을 연결하는 수직 보강대(15")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건조대.
KR2020160001164U 2016-03-04 2016-03-04 식기 건조대 KR200485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64U KR200485924Y1 (ko) 2016-03-04 2016-03-04 식기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164U KR200485924Y1 (ko) 2016-03-04 2016-03-04 식기 건조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194U true KR20170003194U (ko) 2017-09-13
KR200485924Y1 KR200485924Y1 (ko) 2018-03-13

Family

ID=60571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164U KR200485924Y1 (ko) 2016-03-04 2016-03-04 식기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92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34Y1 (ko) 2018-03-15 2019-02-15 황명순 식기 건조대
KR20190129346A (ko) * 2018-05-10 2019-11-20 (주)카라한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KR200496538Y1 (ko) * 2022-02-15 2023-02-21 추교완 선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93Y1 (ko) 2023-05-31 2023-11-24 김학중 행거식 식기건조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273Y1 (ko) 2002-07-25 2002-11-07 주식회사 스타픽스 현가식 식기건조대
KR20100004389U (ko) 2008-10-21 2010-04-29 곽승구 조립식 식기건조대
KR101525688B1 (ko) * 2013-10-31 2015-06-03 김영철 씽크대용 주방선반
KR20150065346A (ko) 2013-12-05 2015-06-15 남동희 설치가 용이한 식기 건조대
KR20150003370U (ko) 2014-03-03 2015-09-14 곽승구 식기건조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4273Y1 (ko) 2002-07-25 2002-11-07 주식회사 스타픽스 현가식 식기건조대
KR20100004389U (ko) 2008-10-21 2010-04-29 곽승구 조립식 식기건조대
KR101525688B1 (ko) * 2013-10-31 2015-06-03 김영철 씽크대용 주방선반
KR20150065346A (ko) 2013-12-05 2015-06-15 남동희 설치가 용이한 식기 건조대
KR20150003370U (ko) 2014-03-03 2015-09-14 곽승구 식기건조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34Y1 (ko) 2018-03-15 2019-02-15 황명순 식기 건조대
KR20190129346A (ko) * 2018-05-10 2019-11-20 (주)카라한 건조 행거 및 이를 가진 식기 건조대
KR200496538Y1 (ko) * 2022-02-15 2023-02-21 추교완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924Y1 (ko)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924Y1 (ko) 식기 건조대
US7909181B2 (en) Article holders
US8714371B2 (en) Dishwasher basket with a cup support
US20070039904A1 (en) Brackets for supporting article holders
US20190038110A1 (en) Hanging Bottle Drying Rack
US20130057132A1 (en) Basket Assembly For Dishwasher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KR20090131473A (ko) 식기건조대
US20040099617A1 (en) Over-the-sink organizer
KR200475324Y1 (ko) 주방용 선반
KR200491625Y1 (ko) 식기건조대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US20160088967A1 (en) Storage Device for Sinks
KR102137569B1 (ko) 수직형 프라이팬 거치대
KR200488534Y1 (ko) 식기 건조대
KR101818835B1 (ko) 식기선반
KR102003127B1 (ko) 주방용 선반
KR200484814Y1 (ko) 식기건조대
CN211961405U (zh) 一种柜内拉篮
KR20220061653A (ko) 식기건조대
KR102112326B1 (ko) 수평형 프라이팬 거치대
KR101900703B1 (ko) 주방용 식기 건조대
KR101935489B1 (ko) 식기 건조판
KR200497493Y1 (ko) 행거식 식기건조대
KR20150001767U (ko) 다기능 식기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