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021U - 침몰선 인양용 선박 - Google Patents

침몰선 인양용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021U
KR20170003021U KR2020160000875U KR20160000875U KR20170003021U KR 20170003021 U KR20170003021 U KR 20170003021U KR 2020160000875 U KR2020160000875 U KR 2020160000875U KR 20160000875 U KR20160000875 U KR 20160000875U KR 20170003021 U KR20170003021 U KR 201700030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ck
ship
lifting
shipwreck
ballo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크렘 사미르 제이렉
Original Assignee
에크렘 사미르 제이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크렘 사미르 제이렉 filed Critical 에크렘 사미르 제이렉
Priority to KR2020160000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021U/ko
Publication of KR201700030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 B63C7/04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the lifting is done by hauling using ponto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using inflatable floats external 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06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 B63C7/12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in which lifting action is generated in or adjacent to vessels or objects by bringing air or floating bodies or material into vessel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8Refloating stranded vessels
    • B63B2738/02
    • B63B2738/08
    • B63B2738/1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Underground Or Underwater Handling Of Building Material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인양될 난파선의 크기와 용적톤수(tonnage)과 일치되도록 설계된 난파선 인양용 선박은, 크레인(3,4)들이 다른 지점들로부터 난파선에 균형잡힌 힘을 작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U" 형상의 선박(선체)을 가진다. 난파선의 평형 및 난파선에 작용되는데 필요한 부력들은 검사 및 평가 유닛(11)에 의해 산출된다. 난파선이 크레인(3,4)들 및 풍선(9)들에 의해 수면으로 당겨진 후, 인양된 난파선의 일부분들은 난파선 인양용 선박의 선미갑판상의 크레인(4)들에 의해 육지로 예인된다.

Description

침몰선 인양용 선박{A SHIP FOR TAKING OUT SUNKEN}
본 고안은 침몰 선박들을 인양하고 이들을 육지로 예인하는 작동들을 하는데 이용될 선박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crane), 캡스턴(capstan)(수동식 권양기(manual windlass)) 등에 의해 난파선을 기계적으로 들어올리는 것이 알려진 기술 수준에서 이용되는 가장 통상적인 방법이다. 잠수부(diver)들에 의해 로프(rope)들로 묶여있는 난파선은 기어(gear)의 도움으로 상측으로 들어올려진다.
알려진 기술 수준에 있어서, 해저 진흙에 고착된 난파선들의 인양 방법에서는, 구조 선박 상의 발전기(dynamo)로부터 나오는 케이블(cable)들의 양(+) 및 음(-) 팁(tip)들을 난파선의 대향하는 양 측면들에 묶음으로써 양(+) 및 음(-) 전극(electrode)들이 형성된다. 발전기로부터 나오는 케이블들에 전기가 전송될 때, 양(+) 및 음(-) 전극들 사이의 물이 전도성(conductibility)으로 되어 전기분해(electrolyze)를 일으키고, 물은 수소(hydrogen) 및 산소(oxygen)와 같은 그의 성분들로 분해된다. 수소 기포(hydrogen bubble)들이 선체에 부착됨으로써 진흙으로부터 난파선이 구조될 수 있게 한다. 그 이후, 잠수부들에 의해 크레인 후크(hook)들이 난파선에 묶여지고, 난파선은 크레인들에 의해 기계적으로 들어올려진다.
알려진 기술 수준에 있어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성분들은 잠수부들에 의해 난파선 가까이 위치된 믹서(mixer)에 투입된다. 비등점(boiling point)이 낮은 다른 물질은 이러한 믹서에 이송되고, 모든 물질들을 혼합함에 의해 획득된 혼합물(mixture)은 압축 질소(pressurized nitrogen)와 함께 분사(spray)된다. 순간적으로 압력을 강하시키면, 비등점이 낮은 그 물질은 기화되고, 폴리우레탄 기포(polyurethane bubble)들이 난파선 내측에 발생한다. 이들 기포들은 동결(freezing)되어 물보다 가벼운 고체형 셀룰러 구조(solid and cellular structure)를 형성한다. 물이 동결 폴리우레탄 기포들에 작용하는 부력의 도움으로, 난파선은 수면상으로 들어올려진다.
본 고안의 목적은, 풍선(balloon)들과 크레인(crane)들의 도움에 의해 난파선을 인양하고 육지로 예인할 수 있는 선박을 구축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난파선 인양용으로 구축된 선박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다.
도 1은 난파선 인양용 선박의 전체도이다.
도 2는 난파선 인양용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난파선 인양용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4a는 갑판 상에 설치된 크레인의 입체도이다.
도 4b는 선미갑판 상에 설치된 크레인의 입체도이다.
도 5는 압축기 및 풍선 박스에 위치되는 접혀진 풍선의 입체도이다.
난파선 인양용 선박은 "U" 형상의 선박(1)을 가지고, 8개의 크레인(3)들은 갑판(2)상의 대향하는 위치들에 탑재되며, 난파선을 인양하는데, 그리고 일부분이 인양된 난파선이 고정되도록 유지하는데 이용될 것이고,
크레인들 중 2개의 크레인은, 보다 큰 크기(size)들을 가지고, 선미갑판(quarterdeck)상에 위치되어 갑판(2)상에 탑재되고, 난파선을 인양하는데, 그리고 일부분이 인양된 난파선이 고정되도록 유지하며 난파선을 육지로 예인하는데 이용될 것이고,
풍선 박스(10)들은, 접혀진 풍선(folded balloon)(9)들을 가지며 그 풍선(9)들이 압축기(6)들에 의해 팽창된다는 사실의 결과로 용이하게 개방됨으로써 풀려날 수 있고,
4개의 압축기(6)는 풍선(9)들을 팽창시킬 수 있고,
2개의 펌프(8)는, 일부분이 인양되어 수면상에 있는 난파선의 일부 상에 존재하는 저장고(store)들이 호스(hose)에 의해 비워지도록 할 수 있고,
검사 및 평가 유닛(testing and evaluation unit)은,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data processing hardware and software)를 가지고, 크레인(3,4)들이 어느 정도의 힘을 난파선의 어느 지점들에 작용시킬 것인지, 얼마나 많은 풍선(9)들을 팽창시킬 것인지, 풍선(9)들 내의 공기압, 어느 시간 슬롯(time slot)들(간격)로 풍선(9)들 내의 얼마나 많은 양이 감소될 것인지, 수면상에 있는 난파선의 저장고들로부터 펌프에 의해 비워진 물의 양 및 물이 난파선에 작용할 부력을 산출한다.
난파선을 인양하는데 필요한 힘은, 크레인들이 대향하는 위치들에 배치되게 하며 난파선 인양용 선박이 "U" 형상의 선박을 갖도록 함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난파선을 인양하는데 있어서, 3개의 힘들이 유효할 것이다.
1) 물이 난파선에 작용할 부력
2) 물이 풍선(9)들에 작용할 부력
3) 크레인(3,4)들이 난파선에 작용할 부력
난파선의 위치가 결정된 후, 잠수부들은 잠수하여 카메라들에 의해 다른 각도들로 난파선을 감시할 것이며, 난파선을 인양하는 스태프(staff)가 이들 비디오(video)들을 검사한 후, 크레인 후크(5)들을 난파선의 어느 지점들에 묶을 것인지 그리고 풍선 박스들을 난파선의 어느 부분에 위치시킬 것인지가 결정될 것이다.
이전에 결정된 난파선 위치에서 난파선이 인양될 지점상에서, 난파선 인양용 선박은 난파선 인양용 선박의 양 측면상의 앵커(anchor)(12)들에 의한 정박으로 고정될 것이다.
풍선 박스(10)들을 운반하는 로프(14)들에 묶여 있는 풍선 박스(10)들은, 그들을 물에 놓음으로써 가라앉게 될 것이다. 가라앉은 풍선 박스들은, 잠수부들에 의해 미리 결정된 난파선의 일부분들 상에 위치될 것이다. 그 이후, 균형잡힌(안정된, 동일한) 부력을 난파선에 작용시키기 위해, 잠수부들은 크레인(3,4)들의 후크(5)들을 난파선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묶을 것이다.
풍선 박스(10)들을 난파선에 위치시키고 크레인 후크(5)들을 난파선에 묶는 프로세스(process)들 이후에, 검사 및 평가 유닛(11)은, 풍선들에 영향을 미치는 액체 압력에 따라 풍선(9)들을 팽창시키는데 얼마나 많은 압축기(6)들이 필요한지 및 난파선 인양용 선박의 균형(balance)에 따라 어느 크레인(3,4)이 얼마나 많은 부력을 작용하는 데에 필요한지를 산출할 것이다.
검사 및 평가 유닛(11)에 의해 구축된 산출결과들에 따라, 난파선에 위치된 풍선 박스(10)들 내의 접혀진 풍선(9)들이 팽창될 것이며, 풍선들의 증가하는 용적(volume)의 영향에 의해 풍선 박스(10)들은 용이하게 개방되어 풀려나게 될 것이다. 풀려난 풍선 박스(10)들은 풍선 박스들을 운반하는 로프(14)들에 의한 난파선으로의 당김에 의해 재사용(reuse)되도록 준비될 것이다. 이후, 균형잡힌 동력(power)을 난파선에 작용시키고 난파선의 균형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검사 및 평가 유닛(11)에 의해 산출된 동력(power)들을 작용시킴으로써, 크레인(3,4)들은, 압축기(6)들에 의해 팽창된 풍선(9)들에 물이 작용할 부력 및 난파선에 물이 작용할 부력의 도움으로, 난파선을 수면으로 당기기 시작할 것이다.
검사 및 평가 유닛(11)은, 풍선(9)들이 난파선에 작용할 부력 및 물이 난파선에 작용할 부력을 산출할 것이고, 난파선의 전체 또는 추정된 중량으로부터 이들 수치들을 감산함으로써 얼마나 많은 동력을 난파선의 어느 지점들에 작용시킬 것인지를 산출할 것이다. 풍선들이 보다 적은 장소(place)들을 점유하는 것을 목표로, 그리고 그에 따라 물이 풍선에 보다 작은 부력을 작용시키는 것을 목표로, 풍선(9)들은 그들 내부의 공기를 비움으로써 접혀져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풍선(9)들은, 압축기 호스(7)에 의해 압축기(6)와 접속되어 공급되면서, 풍선 박스(10)들 내에 위치된다.
난파선이 수면으로 당겨지는 동안, 난파선의 파손(exploding)을 방지하기 위해, 감소하는 액체 압력에 기인한 풍선(9)들 내의 공기량의 증가하는 용적(volume)은, 검사 및 평가 유닛(11)의 계산에 따라 특정 시기간(time period)들에 있어서 압축기(6)들에 의해 감소하게 될 것이다.
난파선이 수면으로 인양된 후, 크레인(3,4)들을 정지시킴으로서 고정된(균형잡인) 위치에서의 난파선의 체류는, 물의 부력, 물이 풍선(9)들에 작용할 부력 및 크레인(3,4)들이 난파선에 작용할 부력의 도움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펌프(8)들이 수면상에 있는 난파선의 일부분들에서의 물을 비워내는 결과로, 난파선의 전체 또는 추정된 중량은 감소하게 될 것이다. 일부분들이 인양된 난파선으로부터 펌프(8)들에 의해 비워진 물의 양은 검사 및 평가 유닛(11)에 의해 산출될 것이며, 일부분들이 수면상으로 인양된 난파선을 고정하는데 필요한 힘들은 재산출될 것이다. 그 이후, 선미갑판상의 크레인(4)들에 의해 인양된 난파선이 예인되면서 난파선을 인양하는 프로세스가 완료될 것이다.
도면에서의 구성요소들이 열거되며, 이들 숫자들의 의미들(참조들)은 아래에 주어진다.
1: 선박 (선체)
2: 갑판(deck)
3: 갑판 상의 크레인
4: 선미갑판(quarterdeck) 상의 크레인
5: 크레인 후크(hook)
6: 압축기(compressor)
7: 압축기 호스(hose)
8: 펌프(pump)
9: 풍선(balloon)
10: 풍선 박스(box)
11: 검사 및 평가 유닛(testing and evaluation unit)
12: 앵커(anchor)
13: 크레인 로프
14: 풍선 박스 운반용 로프

Claims (5)

  1. 난파선 인양용 선박으로서,
    상기 난파선 인양용 선박은, 크레인들이 대향하는 위치들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균형잡힌 동력을 난파선에 작용시키기 위해, "U" 형상의 선박(선체)(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파선 인양용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크레인(4)이 갑판(2)상의 상기 크레인들에 비해 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8개의 크레인이 선미갑판상의 대향하는 양 측면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파선 인양용 선박.
  3. 난파선 인양용 선박으로서,
    상기 난파선 인양용 선박은, 압축기 호스(7)에 의해 압축기(6)에 묶여있고 난파선의 저장고들에 위치될 접혀진 풍선(9)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파선 인양용 선박.
  4. 난파선 인양용 선박으로서,
    상기 난파선 인양용 선박은, 풍선(9)들을 포함하고 상기 풍선들이 압축기(6)들에 의해 팽창됨으써 증가하는 풍선 용적의 영향으로 용이하게 개방되어 풀려날 수 있게 되는 풍선 박스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파선 인양용 선박.
  5. 난파선 인양용 선박으로서,
    상기 난파선 인양용 선박은, 검사 및 평가 유닛이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상기 검사 및 평가 유닛은,
    풍선 박스(10)들이 난파선에 배치되고 크레인 후크(5)들이 난파선에 묶여진 후, 난파선에 균형잡힌 부력을 작용시키고 상기 난파선의 균형을 제공하기 위해,
    크레인(3,4)들이 상기 난파선의 어느 지점에 어느 정도의 힘을 작용시킬 것인지,
    얼마나 많은 압축기(6)들이 풍선(9)들을 팽창시켜야 하는지,
    물이 상기 풍선(9)들에 작용할 부력,
    상기 풍선(9)들 내의 공기 압력,
    상기 난파선이 수면으로 당겨지는 동안, 어느 시간 슬롯(time slot)들(간격)로 풍선(9)들 내의 얼마나 많은 양이 감소될 것인지,
    인양된 상기 난파선의 저장고들로부터 펌프(8)들에 의해 비워진 물의 양,
    및 물이 상기 난파선에 작용할 부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파선 인양용 선박.
KR2020160000875U 2016-02-19 2016-02-19 침몰선 인양용 선박 KR201700030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75U KR20170003021U (ko) 2016-02-19 2016-02-19 침몰선 인양용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75U KR20170003021U (ko) 2016-02-19 2016-02-19 침몰선 인양용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21U true KR20170003021U (ko) 2017-08-29

Family

ID=6062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75U KR20170003021U (ko) 2016-02-19 2016-02-19 침몰선 인양용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0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273A (zh) * 2019-05-23 2019-08-23 大连海事大学 立式双驳抬撬钢绞线液压同步提升沉船打捞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5273A (zh) * 2019-05-23 2019-08-23 大连海事大学 立式双驳抬撬钢绞线液压同步提升沉船打捞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7078B (zh) 一种船舶和钻井平台助浮系统及施工方法
CN104044712A (zh) 一种采用橡胶气囊进行沉船打捞的方法
CN100408427C (zh) 漂浮物打捞设备
CN106882345B (zh) 一种在浮动船台或者载运驳船甲板上下水船舶的方法
CN103738477A (zh) 系泊锚腿上锚缆的更换方法
RU2390460C1 (ru)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CN212388514U (zh) 一种采用气囊助浮对钢架进行自浮下潜定位安装装置
KR20170003021U (ko) 침몰선 인양용 선박
CN102424101A (zh) 船舶利用气囊下水的工艺
CN104229100B (zh) 一种沉船打捞方法及装置
CN210083497U (zh) 一种移动式救生平台
RU2417921C2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объектов
US5094181A (en) Emergency float system for water craft
GB2144375A (en) Floating dock
RU125548U1 (ru) Суд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пуска и подъема подводных аппаратов
CN102248990A (zh) 一种沉船打捞设备及打捞沉船的方法
US5666898A (en) Equipment for raising sunken vessels
US3500785A (en) System for salvaging submerged objects
US4333414A (en) Submersible twin-hull watercraft
CN210712334U (zh) 充气增浮绳
CN107933841B (zh) 一种可收放与存储小艇的船艇及小艇收集和登艇出海方法
CN108974269B (zh) 托船筏
RU2479460C1 (ru) Способ подъема затонувшего судна и комплекс для подъема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затонувших подводных лодок и других судов
CN111809591A (zh) 一种采用气囊助浮对钢架进行自浮下潜定位安装装置及施工方法
CN2546327Y (zh) 船艇快速打捞救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