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020U - 수동형 면도기 - Google Patents

수동형 면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020U
KR20170003020U KR2020160000873U KR20160000873U KR20170003020U KR 20170003020 U KR20170003020 U KR 20170003020U KR 2020160000873 U KR2020160000873 U KR 2020160000873U KR 20160000873 U KR20160000873 U KR 20160000873U KR 20170003020 U KR20170003020 U KR 201700030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zor
blade
handle
sponge
pas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8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오석
Original Assignee
김오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석 filed Critical 김오석
Priority to KR20201600008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3020U/ko
Publication of KR201700030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02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7/00Shaving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2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unchange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52Handles, e.g. tiltable, flexi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동형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면도기를 구성하는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이나 분리작동 버튼 또는 면도날부의 케이스 상면에 면도시 비눗물(거품)이나 각종 면도용 윤활 액체를 발라 사용할 수 있도록 솔이나 스펀지 종류를 구비하여, 별도의 면도용 솔을 휴대하지 않고서도 가정에서, 출장시, 숙박시설 이용시, 여행 휴대시 하나의 면도기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수동형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형 면도기 {Shaver}
본 고안은 수동형 면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면도기를 구성하는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이나 분리작동 버튼 또는 면도날부의 케이스 상면에 면도시 비눗물(거품)이나 각종 면도용 윤활 액체를 발라 사용할 수 있도록 솔이나 스펀지 종류를 구비하여, 별도의 면도용 솔을 휴대하지 않고서도 가정에서, 출장시, 숙박시설 이용시, 여행 휴대시 하나의 면도기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수동형 면도기에 관한 것이다.
면도기의 기본 기능은 면도날(blade)을 사용하여 피부에 자란 털이나 수염과 같은 체모를 절단하여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면도시에 면도할 부위에 비눗물(거품) 혹은 각종 면도용 윤활 액체를 바르는 것은, 면도부위 피부의 보습과 매끄럽게 처리하여 상처방지와 제모를 원활히 처리함과 동시에 면도시 발생할 수 있는 상처에 세균을 소독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면도시 피부에 발라주는 기능인 솔이나 스펀지가 구성되지 않으면 비눗물(거품)이나 면도용 윤활 액체를 직접 손으로 문질러서 비눗물(거품)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수동형 면도기는 손잡이부와 면도날부로 구성되되, 손잡이부와 면도날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일체형이나, 손잡이부와 면도날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 상부에 분리작동 버튼이 구성되어 위로 밀어주면 면도날부만 갈아 끼워줄 수 있는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수동형 면도기는 윤활밴드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몇 번의 사용으로 마모되어 그 기능이 소멸되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솔이나 스펀지 기능이 함께 구성되어 있지 않아 면도시 상기와 같은 편리함과 사용함에 매우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번호 실1999-002752호(공개일자 1999년01월25일)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면도기를 구성하는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이나 분리작동 버튼 또는 면도날부의 케이스 상면에 솔이나 스펀지 같은 수단(기능)을 구비하여 면도용 솔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면도시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수동형 면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는, 면도날부와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수동형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면도날부와 손잡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일체형인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이나 면도날부의 면도날을 고정하는 케이스 상면에 솔이나 스펀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에 끼움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솔이나 스펀지의 하단부를 고정한 체결구에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이나 면도날부의 케이스 상면에 식모나 접착에 의해 솔이나 스펀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는, 면도날부와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수동형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면도날부와 손잡이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에 분리작동 버튼이 형성되는 분리형인 경우, 상기 분리작동 버튼이나 면도날부의 면도날을 고정하는 케이스 상면에 솔이나 스펀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작동 버튼이나 면도날부의 케이스 상면에 식모나 접착에 의해 솔이나 스펀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펀지의 상단부는 올록볼록하게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면도기를 구성하는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이나 분리작동 버튼 또는 면도날부의 케이스 상면에 솔이나 스펀지 같은 수단(기능)을 구비하여 면도용 솔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면도시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면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한 수동형 면도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면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의한 수동형 면도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면도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의한 수동형 면도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면도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한 수동형 면도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제1실시예에서 사람의 얼굴 등에 난 수염이나 털을 깎도록 하는 면도기(1)는 크게 면도날(112)의 외측으로 두른 상태로 면도날(112)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고정 케이스(160)를 구비한 일체형 면도날부(110b), 손잡이부(120), 분리형 스펀지(15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체형 면도날부(110b)와 손잡이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면도기 본체(100)가 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면도기(1)는 대부분 일회용 면도기로 사용되며 면도날의 교체와 손잡이부(120)로부터의 면도날 제거가 불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면도를 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에는 다수의 끼움홈(122)이 예를 들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형 스펀지(150a)는 체결구(152)로 스펀지의 하단부를 고정한 것으로, 상기 체결구(152)에는 끼움홈(122)과 대응되는 다수의 체결돌기(154)가 돌출 형성되되, 끼움홈(122)과 같거나 끼움홈(122)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끼움홈(122)에 끼워진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형 스펀지(150a)의 상단부는 민자가 아니고 올록볼록하게 요철을 주어 비눗물(거품)이나 면도용 윤활 액체의 흡수와 배수가 잘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스펀지(150a)를 이용하여 면도시에 비눗물(거품)이나 면도용 윤활 액체를 필요한 신체 부위(예를 들어 턱 부위)에 용이하게 칠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면도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의한 수동형 면도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서 사람의 얼굴 등에 난 수염이나 털을 깎도록 하는 면도기(1)는 크게 면도날(미도시)의 외측으로 두른 상태로 면도날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고정 케이스(160)를 구비한 일체형 면도날부(110b), 손잡이부(120), 분리형 솔(140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체형 면도날부(110b)와 손잡이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면도기 본체(100)가 된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면도기(1)는 대부분 일회용 면도기로 사용되며 면도날의 교체와 손잡이부(120)로부터의 면도날 제거가 불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면도를 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에는 다수의 끼움홈(122)이 예를 들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분리형 솔(140a)은 체결구(142)로 다수 가닥의 솔의 하단부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 것으로, 상기 체결구(142)에는 끼움홈(122)과 대응되는 다수의 체결돌기(144)가 돌출 형성되되, 끼움홈(122)과 같거나 끼움홈(122)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끼움홈(122)에 끼워진 후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솔(140a)를 이용하여 면도시에 비눗물(거품)이나 면도용 윤활 액체를 필요한 신체 부위(예를 들어 턱 부위)에 용이하게 칠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제3실시예에서 사람의 얼굴 등에 난 수염이나 털을 깎도록 하는 면도기(1)는 크게 면도날(미도시)의 외측으로 두른 상태로 면도날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고정 케이스(160)를 구비한 일체형 면도날부(110b), 손잡이부(120), 일체형 스펀지(150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체형 면도날부(110b)와 손잡이부(120)가 일체로 형성되어 면도기 본체(100)가 된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 적용되는 면도기는 대부분 일회용 면도기로 사용되며, 면도날의 교체와 손잡이부(120)로부터의 면도날 제거가 불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면도를 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일체형 스펀지(150b)는 스펀지의 하단부를 일체형 면도날부(110b)의 케이스(160) 상면에 식모하거나 접착하여 일체형 면도날부(110b)의 케이스(160)와 일체가 되게 부착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으로 부착한 것을 예를 들었으나 기타 다양한 모양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스펀지(150b)의 상단부는 민자가 아니고 올록볼록하게 요철을 주어 비눗물(거품)이나 면도용 윤활 액체의 흡수와 배수가 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면도널부(110b)의 케이스(160)에 일체로 부착되는 일체형 스펀지(150b)를 이용하여 면도시에 비눗물(거품)이나 면도용 윤활 액체를 필요한 신체 부위(예를 들어 턱 부위)에 용이하게 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도날부(110b)의 케이스(160) 상면에 상기 스펀지 대신 솔을 일체로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면도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의한 수동형 면도기의 조립 사시도이다.
제4실시예에서 사람의 얼굴 등에 난 수염이나 털을 깎도록 하는 면도기(1)는 크게 면도날(미도시)의 외측으로 두른 상태로 면도날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고정 케이스(160)를 구비한 분리형 면도날부(110a), 손잡이부(120), 일체형 솔(140b) 및 분리작동 버튼(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면도날부(110a)와 손잡이부(120)가 분리작동 버튼(130)의 작동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면도기 본체(100)가 된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 적용되는 면도기(1)는 면도날의 교체가 가능하고 손잡이부(120)로부터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면도를 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손잡이부(120)의 상부에는 배면에 분리작동 버튼(130)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작동 버튼(130)을 위로 밀어주면 분리형 면도날부(110a)를 갈아 끼워줄 수 있다.
상기 일체형 솔(140b)은 분리작동 버튼(130)에 다수의 가닥을 식모하거나 접착하여 분리작동 버튼(130)과 일체가 되게 부착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으로 부착한 것을 예를 들었으나 기타 다양한 모양으로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작동 버튼(130)에 일체로 부착되는 일체형 솔(140b)를 이용하여 면도시에 비눗물(거품)이나 면도용 윤활 액체를 필요한 신체 부위(예를 들어 턱 부위)에 용이하게 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작동 버튼(130)에 솔 대신 스펀지를 일체로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수동형 면도기의 사시도이다.
제5실시예에서 사람의 얼굴 등에 난 수염이나 털을 깎도록 하는 면도기(1)는 크게 면도날(미도시)의 외측으로 두른 상태로 면도날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고정 케이스(160)를 구비한 분리형 면도날부(110a), 손잡이부(120), 일체형 스펀지(150b) 및 분리작동 버튼(1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분리형 면도날부(110a)와 손잡이부(120)가 분리작동 버튼(130)의 작동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면도기 본체(100)가 된다.
따라서 제5실시예에 적용되는 면도기(1)는 면도날의 교체가 가능하고 손잡이부(120)로부터 제거가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120)는 면도를 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그 손잡이부(120)의 상부에는 배면에 분리작동 버튼(130)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작동 버튼(130)을 위로 밀어주면 분리형 면도날부(110a)를 갈아 끼워줄 수 있다.
상기 일체형 스펀지(150b)는 스펀지의 하단부를 분리형 면도날부(110a)의 케이스(160) 상면에 식모하거나 접착하여 분리형 면도날부(110a)의 케이스(160)와 일체가 되게 부착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직사각형으로 부착한 것을 예를 들었으나 기타 다양한 모양으로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일체형 스펀지(150b)의 상단부는 민자가 아니고 올록볼록하게 요철을 주어 비눗물(거품)이나 면도용 윤활 액체의 흡수와 배수가 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면도날부(110b)의 케이스(160)에 일체로 부착되는 일체형 스펀지(150b)를 이용하여 면도시에 비눗물(거품)이나 면도용 윤활 액체를 필요한 신체 부위(예를 들어 턱 부위)에 용이하게 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도날부(110b)의 케이스(160)에 스펀지 대신 솔을 일체로 부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 면도기 100: 면도기 본체
110a,110b: 면도날부 120: 손잡이
122: 끼움홈 130: 분리작동 버튼
140a,140b: 솔 142,152: 체결구
150a,150b; 스펀지 160: 케이스

Claims (6)

  1. 면도날부와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수동형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면도날부와 손잡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는 일체형인 경우,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이나 면도날부의 면도날을 고정하는 케이스 상면에 솔이나 스펀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면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에 끼움홈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솔이나 스펀지의 하단부를 고정한 체결구에 상기 끼움홈에 대응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면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이나 면도날부의 케이스 상면에 식모나 접착에 의해 솔이나 스펀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면도기.
  4. 면도날부와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는 수동형 면도기에 있어서;
    상기 면도날부와 손잡이부를 분리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의 상부 배면에 분리작동 버튼이 형성되는 분리형인 경우, 상기 분리작동 버튼이나 면도날부의 면도날을 고정하는 케이스 상면에 솔이나 스펀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면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작동 버튼이나 면도날부의 케이스 상면에 식모나 접착에 의해 솔이나 스펀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면도기.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의 상단부는 올록볼록하게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형 면도기.
KR2020160000873U 2016-02-19 2016-02-19 수동형 면도기 KR201700030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73U KR20170003020U (ko) 2016-02-19 2016-02-19 수동형 면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873U KR20170003020U (ko) 2016-02-19 2016-02-19 수동형 면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020U true KR20170003020U (ko) 2017-08-29

Family

ID=60628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873U KR20170003020U (ko) 2016-02-19 2016-02-19 수동형 면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302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4081B2 (en) Shaving device with razor and applicator heads
US6722039B2 (en) Manual safety straight razor having doubled-sided blades
RU2691430C2 (ru) Узел лезвий для бритья, содержащий блок лезвий и контактирующий с кожей элемент, и бритва, содержащая ручку и такой узел лезвий для бритья
US20160151924A1 (en) Razor in cup-shaped configuration
JP5318951B2 (ja) ハイブリッド除毛装置
US20200139566A1 (en) Travel razor
US20160151925A1 (en) Razor with a resilient holder
US20080172816A1 (en) Manual body rubbing device
WO2012156827A2 (en) Shaving device with dual cutting elements
US1270536A (en) Cleaning device.
US9738001B2 (en) Fingertip shaving device
KR20170003020U (ko) 수동형 면도기
US10245720B2 (en) Elastic vibrating appliance handle
US9999982B2 (en) Razor having a brush or bristle head
KR101022248B1 (ko) 면도기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면도기
KR20130139508A (ko) 탄성 면도기 카트리지
JP3219054U (ja) 振動体装着具
RU2664071C2 (ru) Безопасная бритва
KR20110083190A (ko) 두피케어용 빗
KR200422004Y1 (ko) 손톱 소제구
KR100762284B1 (ko) 연마재의 교환사용이 가능한 각질제거기구
KR200447916Y1 (ko) 1회용 피부 연마용 줄
KR102300869B1 (ko) 반려동물용 브러쉬를 포함하는 글러브
CN213647622U (zh) 一种护肤剃刀
KR200416307Y1 (ko) 칫솔 겸용 면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