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976A -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 Google Patents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976A
KR20170002976A KR1020150092992A KR20150092992A KR20170002976A KR 20170002976 A KR20170002976 A KR 20170002976A KR 1020150092992 A KR1020150092992 A KR 1020150092992A KR 20150092992 A KR20150092992 A KR 20150092992A KR 20170002976 A KR20170002976 A KR 20170002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line
fixing
ar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77272B1 (ko
Inventor
신동우
이강훈
오현식
윤병주
Original Assignee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빛샘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2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272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접속함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는 내부 공간을 갖는 돔 형상의 케이스; 광케이블 인입을 위한 인입구들을 갖는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베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면에 장착되는 여장판 지지대; 상기 여장판 지지대에 장착되는 복수의 여장판들을 포함하되; 상기 여장판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여장판들이 탈부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들을 통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이 고정되는 인장선 고정모듈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Fiber optic splice closure}
본 발명은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작업 편의성, 효율성 및 가격 경쟁력 등을 도모하기 위한 돔형 구조의 광접속함체에 관한 것이다.
광케이블은 유한한 길이로 제공되기 때문에 전화국과 가입자 빌딩이나 일반 광 가입자 사이의 광 전송선로는 광 접속함을 필요로 하며, 광 접속함을 매개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현장에서 상호 접속된다. 그리고, 광 가입자측의 광 전송 선로에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광 가입자의 전송 장치와 상호 연결되기 위해서는, 광케이블로부터 광섬유가 광 가입자에게 분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광가입자 빌딩의 건물 내외벽이나 전주나 철주 등에 설치되는 광케이블 접속함체를 필요로 한다.
광케이블 접속 함체는, 외부 광 선로와 가입자 전송 장치간의 연결 및 분배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종단장치의 하나로서, 인입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단심의 광 섬유 코드(또는 광 점퍼 코드)의 광섬유와 접속되어 근거리의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분배되며, 광케이블 내의 나머지 광섬유들은 광 접속된 후 광케이블 형태로 다시 인출됨으로써 장거리 광 가입자 전송장치로 분배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광케이블 접속 함체는 광통신 수요자의 변경 또는 추가 등의 이유로 지속적으로 광케이블의 분배작업, 접속작업 또는 여장 정리작업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광케이블 접속함체은 작업자의 작업시 작업 편의성, 효율성 및 가격 경쟁력 등이 보장되어야 한다.
특히, 돔형 광케이블 접속함체는 여장판들을 지지하는 여장판 지지구조물 이외에 광케이블의 인장선을 고정하기 위한 인장선 고정 장치가 필요한데, 인장선 고정장치는 절체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어 무게가 많이 나갈 뿐 아니라 여장판 지지구조물에 조립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 절차 및 공수가 늘어나는 문제점과 각 제품 크기에 따라 공용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4-82441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케이블 인입 작업시 광케이블과 광케이블의 인장선 고정을 위한 장치를 일체화하여 요구 부품 수 및 필요 공간을 줄인 광접속함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 편의성, 효율성 및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광접속함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케이블의 인입구 위치에 따라 중심인장선 고정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광접속함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 공간을 갖는 돔 형상의 케이스; 광케이블 인입을 위한 인입구들을 갖는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베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면에 장착되는 여장판 지지대; 상기 여장판 지지대에 장착되는 복수의 여장판들을 포함하되; 상기 여장판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여장판들이 탈부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들을 통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이 고정되는 인장선 고정모듈들을 포함하는 광접속함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인입구의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면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입구들은 상기 고정 프레임를 중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는 상기 장착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을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는 상기 아암의 성형시 상기 아암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는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너트에 의해 광케이블 중심인장선을 가압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판은 저면에 중심인장선과의 접촉 면적으로 최대화하기 위한 안착홈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는 외주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을 갖고, 상기 누름판은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공; 및 양측단으로는 절곡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들은 상기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에 맞게 위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측면에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은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의 장착구에 볼트 체결을 위한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은 상기 인서트 일측에 중심인장선이 위치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위치한 중심인장선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은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인입구의 중심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광케이블의 루즈튜브를 여장하기 위한 루즈튜브 여장 보호 스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루즈튜브 여장 보호 스풀은 상기 여장판 지지대에 장착되는 복수의 여장판들 중 가장 뒤에 있는 여장판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루즈튜브 여장 보호 스풀은 상기 여장판의 후면 상단에 착되는 상부 스풀과, 상기 여장판의 후면 하단과 상기 여장판 지지대에 함께 장착되는 하부 스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풀과 상기 하부 스풀은 루즈튜브가 여장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위해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펜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광접속함체의 베이스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여장판들이 탈부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들을 통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이 고정되는 인장선 고정모듈들을 포함하는 여장판 지지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는 상기 장착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성형시 상기 아암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설치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을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는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너트에 의해 광케이블 중심인장선을 가압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판은 저면에 중심인장선과의 접촉 면적으로 최대화하기 위한 안착홈을 갖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너트는 외주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을 갖고 상기 누름판은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공; 및 양측단으로는 절곡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는 측면에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의 장착구에 볼트 체결을 위한 관통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암은 상기 인서트 일측에 중심인장선이 위치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위치한 중심인장선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요구 부품 수 및 필요 공간을 줄인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 편의성, 효율성 및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케이블의 인입구 위치에 따라 중심인장선 고정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도시된 광접속함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케이스가 제외된 상태의 광접속함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6은 인장선 고정모듈의 위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인장선 고정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중신인장선이 인장선 고정모듈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인장선 고정모듈의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는 인장선 고정모듈의 제2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인장선 고정모듈의 제3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 예를 들어, '포함', '포함하는', '포함하고', '포함하며' 등은 언급된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조성, 성분,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나열된 구성들 각각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접속함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접속함체(10)은 케이스(100), 베이스(200), 여장판 지지대(400), 여장판(300)들 그리고 루즈튜브 여장 보호 스풀(500)을 포함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광접속함체(10)은 가설 모듈에 의해 가공 지선(GW, Ground Wire;)에 고정되고, 광접속함체(10)에는 광케이블(OC, Optical Cable;20)이 인입된다. 가설 모듈은, 광접속함체(10)가 공중에 가설되도록 광접속함체(10)를 가공 지선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광접속함체(10) 상단의 복수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여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케이스(100)는 적절한 적절한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케이스(100)는 외주면에 강도보강을 위한 강도보강 리브(1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외주면에는 강도보강을 위하여 수직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강도 보강 리브(110)들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는 케이스(100)의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도록 케이스(10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재에 의해 커버(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커버(200)를 비롯하여 수용공간에 구비된 각종 구성요소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광접속함(100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기 위하여 도 1에서 커버(200)가 제외된 상태의 광접속함(1000)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200)는 케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용공간을 차폐하게 된다. 베이스(200)는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포트(210)들을 구비한다. 베이스(200)와 케이스(100)의 연결부위는 별도의 밀봉용 클램프(290)에 의해 완벽하게 차폐될 수 있다. 베이스(200)는 상면에 여장판 지지대(400)가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22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장판(300)들은 여장판 지지대(400)에 장착된다. 여장판(300)들은 케이스(100) 내부의 수용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여장판 지지대(400)에 적층되어 장착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작업자가 광접속 작업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여장판(300)은 여장판 지지대(4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여장판(300)은 하단에 형성된 힌지축(320)을 포함하며, 여장판 지지대(400)는 장착부에 힌지축이 끼워지는 축공을 포함한다.
여장판 지지대(400)는 지지부(410), 장착부(420) 그리고 인장선 고정모듈(430)들을 포함한다.
지지부(410)는 베이스(20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 프레임(220)에 끼워진 후 체결부재들에 의해 고정된다. 장착부(420)는 지지부(410)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420)에는 복수의 여장판(300)들이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420)는 여장판(300)들이 소정의 단차를 갖고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420)에는 여장판(300)의 힌지축(도 2 도시됨, 3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소정 간격으로 축공(422)들이 형성된다.
인장선 고정모듈(430)들은 장착부(420)의 측면들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인장선 고정모듈(430)은 장착부(420)의 전면을 제외한 양측면과 후면으로부터 각각 2개씩 총 6개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인장선 고정모듈에는 인입구들을 통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도 7에 표시됨)(CSM, Central StrengthMember)이 고정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인장선 고정모듈의 위치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인입구 위에 각각 위치됨을 알 수 있다.
도 7은 인장선 고정모듈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중신인장선이 인장선 고정모듈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인장선 고정모듈(430)은 아암(432), 나사부(436) 그리고 고정너트(438)를 포함할 수 있다.
아암(432)은 장착부(420)의 측면으로부터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아암(432)의 단부에는 중심인장선이 위치되는 고정홈(433)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홈(433) 일측에는 고정홈(433)에 위치한 중심인장선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돌기(434)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는 아암의 단부에 설치된다. 나사부는 아암 성형시 아암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고정너트는 나사부에 체결되어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을 고정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장선 고정모듈(430)은 아암의 단부에 고정너트가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설치되고, 그 고정 너트에 볼트가 체결되는 구조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광접속함체는 여장판 지지대가 인장선 고정모듈들을 구비하고 있어 조립 절차 및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기존 철제 부품을 공용 사용이 가능한 사출 부품으로 구현하여 제품 무게를 최소화하고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루즈튜브 여장 보호 스풀(500)은 여장판(300)에서 분기,접속 등으로 사용되지 않은 여유분의 루즈튜브들을 여장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루즈튜브 여장 보호 스풀(500)은 여장판 지지대(400)에 장착되는 복수의 여장판(500)들 중 가장 뒤에 있는 여장판(300)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루즈튜브 여장 보호 스풀(500)은 여장판(300)의 후면 상단에 착되는 상부 스풀(500a)과, 여장판(300)의 후면 하단과 여장판 지지대(400)의 수직 지지판(470)에 함께 장착되는 하부 스풀(500b)을 포함하며, 이들은 플라스틱 사출 성형으로 제작된다. 상부 스풀(500a)과 하부 스풀(500b)은 루즈튜브가 여장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위해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펜스(510)들을 포함한다.
도 9는 인장선 고정모듈의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장선 고정모듈(430a)은 도 7에 도시된 인장선 고정모듈(430)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인장선 고정모듈(430a)은 나사부(436)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고정너트(438)에 의해 광케이블 중심인장선을 가압하는 누름판(439)을 갖는다는데 그 차이점이 있다.
도 10는 인장선 고정모듈의 제2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서와 같이, 인장선 고정모듈(430b)은 도 9에 도시된 인장선 고정모듈(430a)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인장선 고정모듈(430b)은 고정너트(438)의 외주면에 원주를 따라 끼움홈(438a)이 형성되고, 누름판(439)은 양측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끼움홈(438a)에 끼워지는 끼움편(439a)을 갖는다는데 그 차이점이 있다. 즉, 누름판(439)은 고정너트(438)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너트(438)와 함께 나사부(436)에 장착되어 광케이블 중심인장선을 가압하게 된다.
도 11은 인장선 고정모듈의 제3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인장선 고정모듈(460)은 아암(462), 나사부(466) 그리고 고정너트(468)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들은 도 7에 도시된 인장선 고정모듈(430)의 아암(432), 나사부(436) 그리고 고정너트(438)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인장선 고정모듈(460)은 필요에 따라서는 그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장착부(420)의 측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착부(420)의 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장착구(428)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인장선 고정모듈(460)은 아암(462)의 하단에 장착구(428)에 삽입되는 핀부(461)와 핀부(461)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장착부(420)의 장착구(428) 옆에 형성된 나사홀에 볼트 체결을 위한 관통공(463)들을 갖는다.
이와 같이, 여장판 지지대는 베이스의 인입구들 위치가 변경된 경우 인장선 고정모듈이 인입구들 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장착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인장선 고정모듈을 갖는 여장판 지지대는 다양한 크기 및 모델의 광접속함체에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0 : 여장판 지지대 410 : 지지부
420 : 장착부 430 : 인장선 고정모듈

Claims (21)

  1. 내부 공간을 갖는 돔 형상의 케이스;
    광케이블 인입을 위한 인입구들을 갖는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을 차폐하는 베이스;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되도록 상기 베이스 상면에 장착되는 여장판 지지대;
    상기 여장판 지지대에 장착되는 복수의 여장판들을 포함하되;
    상기 여장판 지지대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여장판들이 탈부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들을 통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이 고정되는 인장선 고정모듈들을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인입구의 선상에 배치되는 광접속함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면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가 장착되는 고정 프레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입구들은 상기 고정 프레임를 중심으로 배치되는 광접속함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는
    상기 장착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단부에 설치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을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는 상기 아암의 성형시 상기 아암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설치되는 광접속함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는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너트에 의해 광케이블 중심인장선을 가압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저면에 중심인장선과의 접촉 면적으로 최대화하기 위한 안착홈을 갖는 광접속함체.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는
    외주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을 갖고
    상기 누름판은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공; 및 양측단으로는 절곡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편을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들은
    상기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에 맞게 위치 이동이 가능한 광접속함체.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측면에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구들을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의 장착구에 볼트 체결을 위한 관통공들을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인서트 일측에 중심인장선이 위치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위치한 중심인장선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인입구의 중심선상에 위치되는 광접속함체.
  14. 제1항에 있어서,
    광케이블의 루즈튜브를 여장하기 위한 루즈튜브 여장 보호 스풀을 더 포함하되;
    상기 루즈튜브 여장 보호 스풀은
    상기 여장판 지지대에 장착되는 복수의 여장판들 중 가장 뒤에 있는 여장판의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광접속함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루즈튜브 여장 보호 스풀은
    상기 여장판의 후면 상단에 착되는 상부 스풀과, 상기 여장판의 후면 하단과 상기 여장판 지지대에 함께 장착되는 하부 스풀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스풀과 상기 하부 스풀은 루즈튜브가 여장될 수 있는 공간 확보를 위해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펜스들을 포함하는 광접속함체.
  16. 여장판 지지대에 있어서,
    광접속함체의 베이스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복수의 여장판들이 탈부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들을 통해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이 고정되는 인장선 고정모듈들을 포함하는 여장판 지지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는
    상기 장착부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아암;
    상기 아암의 성형시 상기 아암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 성형으로 설치되는 나사부; 및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어 광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을 고정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여장판 지지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는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너트에 의해 광케이블 중심인장선을 가압하는 누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누름판은 저면에 중심인장선과의 접촉 면적으로 최대화하기 위한 안착홈을 갖는 여장판 지지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너트는
    외주면에 원주를 따라 형성된 끼움홈을 갖고
    상기 누름판은
    상기 나사부에 삽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공; 및 양측단으로는 절곡되어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편을 포함하는 여장판 지지대.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측면에 상기 인장선 고정모듈가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장착구들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은
    상기 장착구에 삽입되는 핀부; 및
    상기 핀부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장착부의 장착구에 볼트 체결을 위한 관통공들을 포함하는 여장판 지지대.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인서트 일측에 중심인장선이 위치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홈에 위치한 중심인장선의 이탈 방지를 위한 이탈방지돌기를 포함하는 여장판 지지대.
KR1020150092992A 2015-06-30 2015-06-30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KR101777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992A KR101777272B1 (ko) 2015-06-30 2015-06-30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992A KR101777272B1 (ko) 2015-06-30 2015-06-30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976A true KR20170002976A (ko) 2017-01-09
KR101777272B1 KR101777272B1 (ko) 2017-09-13

Family

ID=5781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992A KR101777272B1 (ko) 2015-06-30 2015-06-30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2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486B1 (ko) * 2023-07-19 2023-10-30 주식회사 더아울 설치를 간소화한 광케이블 접속함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2441A1 (en) 2012-09-19 2014-03-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3d tap and scan port architectur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510B1 (ko) * 2011-06-24 2011-10-05 (자) 삼우전자통신 통신 및 전기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2441A1 (en) 2012-09-19 2014-03-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3d tap and scan port architec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486B1 (ko) * 2023-07-19 2023-10-30 주식회사 더아울 설치를 간소화한 광케이블 접속함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272B1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613B2 (en) Fiber optic cable with flexible conduit
US8903216B2 (en) Cable strain relief clamp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6721484B1 (en) Fiber optic network interface device
US7936962B2 (en) High density optical fiber distribution enclosure
US8873924B2 (en) Fiber optic cabinet
PT2772778E (pt) Ficha de fibra ótica
RU2007131469A (ru) Модульная кабель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х линий связи
KR200409251Y1 (ko) 광케이블 단자함
US20120256526A1 (en) Fiber optic cabinet
KR20080093969A (ko) 광 섬유 분기 케이블, 그 배선 방법, 및 그 제공 방법
KR200396499Y1 (ko) 광단자함
KR101777272B1 (ko)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KR200426037Y1 (ko) 광케이블 단자함
RU170466U1 (ru) Оптоволоконный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терминал
JP2004061713A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KR200294692Y1 (ko) 광단자함
KR20190000727U (ko) 중심인장선 고정 장치 및 이를 갖는 광접속함체
KR20080047268A (ko) 광접속함체용 트레이
KR100289932B1 (ko) 광섬유 분배 장치의 광섬유 분배/절체용 트레이
US20100104247A1 (en) Optical access network system
KR102641861B1 (ko) 광접속함체 및 광접속함체 고정대
KR200237992Y1 (ko) 광케이블이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슬리브가 본체의외측면에 부착된 광단자함
KR0168885B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20230103502A (ko) 어댑터 구조 및 가공용 광탭
KR100904709B1 (ko) 광케이블 지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