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822U -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 Google Patents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22U
KR20170002822U KR2020160000541U KR20160000541U KR20170002822U KR 20170002822 U KR20170002822 U KR 20170002822U KR 2020160000541 U KR2020160000541 U KR 2020160000541U KR 20160000541 U KR20160000541 U KR 20160000541U KR 20170002822 U KR20170002822 U KR 201700028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cap
nozzle
food container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740Y1 (ko
Inventor
이준엽
전연태
Original Assignee
대상 주식회사
전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상 주식회사, 전연태 filed Critical 대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0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74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28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7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 B65D47/203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the element being opened or closed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which causes the deformation, e.g. screw cap closing container sl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93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slide valv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에 관한 것으로, 식품용기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캡과 노즐을 덮고, 상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슬릿캡을 포함하고, 슬릿캡이 가이드부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 노즐에 의해 슬릿이 벌어져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ADAPTER CAP USING FOOD VESSEL}
본 고안은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품의 보관시에는 슬릿이 폐쇄되어 밀폐되고, 사용시 한손으로 간편하게 슬릿을 개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에 관한 것이다.
식품용기는 식품의 보호, 보존을 기본적인 기능으로 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식품용기는 밀폐된 채로 유통이 이루어진다.
밀폐는 식품용기 내부에 음압을 형성한 후 개구부에 필름지 등을 가압 가열 부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한 후에는 필름지를 탈착한다.
필름지의 탈착 후의 밀폐는 개폐가 가능한 캡에 의해 이루어진다. 주로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한 여닫이 캡에 의해 제품을 사용시 열고, 비사용시 닫아 밀폐상태로 보관한다.
하지만 이러한 힌지캡은 밀봉이 완벽하지 못하여 용기의 내부공간으로 수분 등이 침투하여 식품의 보호, 보존 기능을 담당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힌지캡 구조는 개방하려면 두 손을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음식 조리시 개방하려면, 조리를 멈추고 열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63259 호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시 개구부를 압착 폐쇄하여 밀폐를 용이하게 하고, 사용시 한 손으로 간편하게 파지하여 개방할 수 있는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은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품용기에 결합하여 개구부를 폐쇄하는 캡으로서, 식품용기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결합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캡과 노즐을 덮고, 상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슬릿캡을 포함하고, 슬릿캡이 가이드부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 노즐에 의해 슬릿이 벌어져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가이드부에는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는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고, 슬릿캡에는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가 형성되어 있어 로드가 실린더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슬릿캡의 상부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슬릿캡의 상부는 반구형태로 상기 슬릿은 반구의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슬릿캡의 상부는 반타원구형태로 슬릿은 반타원구의 장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은 상하로 이동가능한 슬릿캡의 상부에 형성된 슬릿이 벌어지고, 닫혀져 개폐된다.
슬릿캡의 상부는 반구 또는 반타원구형태로 슬릿은 반지름 또는 장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상시 슬릿은 압착력을 받으며 폐쇄된 상태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밀폐가 가능하다.
또, 노즐캡을 감싸 파지하고, 남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슬릿캡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리시 간편하게 용기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이 식품용기에 결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이 식품용기에 결합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이 식품용기에 결합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이 식품용기에 결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슬릿이 패쇄되어 식품용기가 밀폐된 상태이고, 도 2는 슬릿이 개방되어 식품용기가 개구된 상태이다.
도 1,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캡이 결합된 식품용기는 식품용기와 이에 결합된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은 식품용기(100)에 결합되는 노즐캡(200)과 노즐캡(200)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슬릿캡(300)을 포함한다.
식품용기(100)는 바닥과 바닥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부에 병목부가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형태이다. 개구부 주변의 측벽에는 나사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캡(200)은 결합부(210)와 가이드(220)와 노즐(2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슬릿캡(300)은 하우징(310)과 슬릿캡 상부(320)와 슬릿캡 상부(320)에 형성된 슬릿(321)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캡(300)이 최상측에 있는 경우 슬릿(321)이 폐쇄되어 식품용기(100)는 밀폐되고,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캡(300)이 최하측에 있는 경우 슬릿(321)이 개방되어 노즐(230)이 노출되어 식품용기(100)가 개구된다.
도 3, 4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4는 캡과 식품용기가 결합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로 도 3은 슬릿(321)이 폐쇄된 상태이고, 도 4는 슬릿(321)이 개방된 상태이다.
노즐캡(200)의 결합부(210)는 식품용기(200)의 개구부 주변의 측벽에 형성된 나사패턴과 대응되는 나사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나합에 의해 식품용기와 노즐캡(200)은 결합한다.
가이드(220)는 결합부(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통 형태로 하측 단부에는 하부가이드홈(221)이 상측 단부에는 상부가이드홈(222)이 가이드(220)의 주연을 따라 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노즐(230)은 가이드(2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측으로 갈수록 내리막 경사진 테이퍼 형상이고, 상측 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캡(200)은 식품용기(100)와 식품용기(100)의 개구부를 통해 연통하므로 노즐(230)이 외부로 노출되면, 식품용기(100)의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슬릿캡(300)의 하우징(310)은 중공의 통 형태로, 하측 단부에는 내측으로 걸림쇠(311)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230)을 수용하여 노즐(230)의 측면을 덮는다.
걸림쇠(311)는 환형의 돌출부로 이에 의해 노즐캡(200)의 가이드(220) 부분이 압박되어 슬릿캡(300)과 노즐캡(200)은 억지결합한다.
걸림쇠(311)는 가이드(220)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며, 가이드홈(221, 222)에 걸려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측으로 이동하다 상부 가이드홈(222)에 걸리면,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 한다.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여 더 이상 상측으로 이동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슬릿캡(300)의 상사점은 상부 가이드홈(222)이다.(도 3 참조)
하측으로 이동하다 하부 가이드홈(221)에 걸리면,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하지 못 한다.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여 더 이상 하측으로 이동시키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슬릿캡(300)의 하사점은 하부 가이드홈(221)이다.(도 4 참조)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슬릿캡(300)은 가이드(22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노즐캡(200)과 결합된다.
하우징(310)에는 하우징(310) 상부 외주연을 따라 손가락 걸림턱(3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에 손가락이 걸리고, 손가락을 구부렸다 폈다하며 슬릿캡(300)을 상하로 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슬릿캡 상부(320)는 하우징(31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원반구 형태로, 상측 단부에는 타원의 장축 방향으로 슬릿(321)이 형성되어 있고, 노즐(230)의 상측을 덮는다.
슬릿캡(30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슬릿(321)이 노즐(230)에 밀려 벌려지거나 닫혀지므로 슬릿캡 상부(320)는 탄성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캡(300)이 하사점로 이동하여 노즐(230)에 밀려 슬릿(321)이 벌어져 개방되면, 노즐(230)이 노출되어 노즐(230)의 개구를 통해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도 4 참조)
반대로 슬릿캡(300)이 상사점으로 이동하면, 노즐(230)의 영향을 받지 않아 탄성재의 복원력에 의해 슬릿(321)이 닫힌다. 이 경우, 노즐(230)이 노출되지 않아 내용물을 토출할 수 없다.(도 3 참조)
슬릿캡 상부(320)는 어떠한 형상이든 상관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중공의 반원구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슬릿은 반원구의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된다. 반원구 형태인 경우, 여타 평면 등인 경우보다 탄성재의 복원력이 강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슬릿(321)이 닫힐 때, 복원력에 의해 압착력이 작용하여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와 같이 중공의 반타원구형태일 수 있다. 반원구 형태와 비교하여, 편평도가 높아 개방시 노즐에 밀려 연직외력을 받을 때, 이에 대항하는 수직응력이 발생하는 부분이 작아 쉽게 개방된다. 반대로 폐쇄시 수평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하는 부분이 많아 슬릿(321)에 압착력이 더 크게 작용하여 완전한 밀폐가 가능하다.
사용자는 식품용기(100)의 병목부분이나 노즐캡(200)을 손으로 감싼 상태로 손가락 걸림턱(312)에 손가락을 걸치고, 구부렸다 피며 슬릿캡(300)을 간편하게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한 손만으로 가능한 작동이므로, 조리시 편하게 개폐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가이드부(220)에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기술적 특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이 식품용기에 결합한 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부(220)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중공의 통 형태이지만, 내부에는 2개의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내부에는 스프링(224)이 배치된다.
슬릿캡(300)의 하우징(310)의 하부에는 실린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2개의 로드(31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노즐캡(200)과 슬릿캡(300)은 실린더와 실린더 내부에 수용되는 로드(314)에 의해 결합한다.
로드(314)의 하부에는 실린더의 상부 개구부보다 직경이 큰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는 스프링(224)에 의해 지지된다.
평상시 로드(314)는 스프링(224)의 탄성력에 의해 실린더의 최상측에 위치하고, 지지대에 의해 실린더 외부로 이탈하지 않는다. 로드(314)가 실린더의 최상측에 위치하는 경우,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321)이 개방되지 않고, 슬릿캡(300)에 의해 노즐(230)이 폐쇄된다. 따라서 식품용기(100)를 밀폐하여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하지만 식품용기(100)에 상하로 진동이 가해지면, 로드(314)에도 진동이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로드(314)는 반복적으로 스프링(224)에 압축력을 전달한다.
스프링(224)에 압축력이 전달되는 경우, 스프링(224)은 압축되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로드(314)는 아래로 이동하고, 이와 일체로 슬릿캡(300)도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슬릿캡(300)이 아래로 이동하면, 노즐(230)이 슬릿(321)을 밀어 개방한다. 따라서 노즐(230)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식품용기(100)의 내용물이 토출될 수 있다.
스프링(224)에 압축력이 전달되지 않는 경우, 스프링(224)의 복원력에 의해 로드(314)는 위로 이동하고, 이와 일체로 슬릿캡(300)도 위로 이동한다.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321)이 개방되지 않고, 슬릿캡(300)에 의해 노즐(230)이 폐쇄되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식품용기(100)나 노즐캡(200)을 파지하고, 흔들어 진동을 발생시키면, 반복적으로 스프링(224)에 압축력이 전달되고, 슬릿(320)은 개폐를 교번하며, 반복적으로 내용물이 토출된다.
이러한 방식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형태보다 좀 더 편리한 토출방식이고, 사용자는 흔드는 횟수를 조절하여 토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식품용기 200 : 노즐캡
210 : 결합부 220 : 가이드부
221 : 하부가이드홈 222 : 상부가이드홈
224 : 스프링
230 : 노즐 300 : 슬릿캡
310 : 하우징 311 : 걸림쇠
312 : 손가락 걸림턱 314 : 로드
320 : 슬릿캡 상부 321 : 슬릿
1000 : 캡이 결합된 식품용기

Claims (5)

  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식품용기에 결합하여 개구부를 폐쇄하는 캡으로서,
    식품용기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노즐이 형성되어 있는 노즐캡;
    상기 노즐을 덮고, 상부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슬릿캡을 포함하고,
    상기 슬릿캡이 상기 가이드부를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노즐에 의해 상기 슬릿이 벌어져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에는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는 실린더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슬릿캡에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로드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로드가 상기 실린더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용 어댑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캡의 상부는 탄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4.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캡의 상부는 반구형태로 상기 슬릿은 반구의 반지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5.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캡의 상부는 반타원구형태로 상기 슬릿은 반타원구의 장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KR2020160000541U 2016-01-29 2016-01-29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KR200486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41U KR200486740Y1 (ko) 2016-01-29 2016-01-29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541U KR200486740Y1 (ko) 2016-01-29 2016-01-29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22U true KR20170002822U (ko) 2017-08-08
KR200486740Y1 KR200486740Y1 (ko) 2018-06-29

Family

ID=6062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541U KR200486740Y1 (ko) 2016-01-29 2016-01-29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74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230A (ja) * 1997-12-10 1999-06-29 Lion Corp 揮発性液体製品
JP2007526181A (ja) * 2004-03-05 2007-09-13 セアクイスト―レッフラー クンストシュトフヴェルク ゲーエムベーハー 流動物を保持する容器の閉塞体
KR101063259B1 (ko) 2010-11-24 2011-09-22 하현탁 액상 식품용 용기 캡
JP2012030835A (ja) * 2010-07-30 2012-02-16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キャップ
KR20150093486A (ko) * 2014-02-07 2015-08-18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내용물 배출용기의 개폐형 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230A (ja) * 1997-12-10 1999-06-29 Lion Corp 揮発性液体製品
JP2007526181A (ja) * 2004-03-05 2007-09-13 セアクイスト―レッフラー クンストシュトフヴェルク ゲーエムベーハー 流動物を保持する容器の閉塞体
JP2012030835A (ja) * 2010-07-30 2012-02-16 Yoshino Kogyosho Co Ltd 吐出キャップ
KR101063259B1 (ko) 2010-11-24 2011-09-22 하현탁 액상 식품용 용기 캡
KR20150093486A (ko) * 2014-02-07 2015-08-18 주식회사 우경아이앤아이 내용물 배출용기의 개폐형 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740Y1 (ko)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4329B1 (en) Cosmetics case
US20160167845A1 (en) Child Resistant Lid and Packaging
KR200440663Y1 (ko) 복수의 내용물이 수용가능한 회전식 화장품용기
CN104603019A (zh) 用于自动填充和固定量分配的注射器式容器盖
CN105639989B (zh) 真空泵化妆品容器
WO2016092721A1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CN109229744A (zh) 一种密封防菌的胶囊内窥镜包装装置
KR200486740Y1 (ko) 식품용기용 어댑터 캡
JP4504370B2 (ja) ワンタッチ式の栓及びワンタッチ式の栓を有する容器
KR20140022330A (ko) 연질의 접철부가 있는 이종물질 수용장치
KR20110041713A (ko) 휴대용 알약 보관용기
CN108382718A (zh) 用于存储可滴流的食品的散装容器
KR200464638Y1 (ko) 화장품 용기
KR200469107Y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0483448Y1 (ko) 화장품 용기
JP6366500B2 (ja) 塗布容器
KR20160081290A (ko) 컴팩트타입 화장품 용기
KR102249852B1 (ko) 수증기 밀폐용기
KR20160133081A (ko) 밀폐용기
KR101210955B1 (ko) 압축 용기용 이중 마개
KR200491315Y1 (ko) 누수 방지용 화장품 용기
JP6531001B2 (ja) 外容器を減容変形させた状態に維持できる二重容器
KR102046541B1 (ko) 밀폐 패킹을 구비한 보관용기
JP7301482B2 (ja) 容器用キャップ
CN209796264U (zh) 一种可储物瓶盖及使用该瓶盖的瓶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