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814A -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814A
KR20170002814A KR1020150092616A KR20150092616A KR20170002814A KR 20170002814 A KR20170002814 A KR 20170002814A KR 1020150092616 A KR1020150092616 A KR 1020150092616A KR 20150092616 A KR20150092616 A KR 20150092616A KR 20170002814 A KR20170002814 A KR 20170002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information
payment
stor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0727B1 (ko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주)엑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엑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엑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92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72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3Payments by cards read by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57Cards having a plurality of specified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가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와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포인트 정보 및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MAGNETIC STRIPE INFORMATION}
본 발명은 결제 카드(Transaction cards)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결제 카드 중, 임의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추천 카드의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최근 데이터 통신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술들이 오프라인 매장의 마케팅에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4.0 (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비콘 (Beacon) 기술은, GPS보다 사용자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 오프라인 매장 인근의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프로모션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마케팅에 활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결제 수단이 동전과 지폐 등의 화폐에서 플라스틱 카드로 대체되고, 카드를 이용한 결제 비중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결제 카드를 이용해 오프라인에서 결제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존재할 수 있으나, 카드 번호 등의 정보를 자기띠 (Magnetic stripe) 형태로 인코딩한 마그네틱 방식이 종래의 주류를 형성했다. 이러한 마그네틱 카드는 카드 뒷면의 자기띠를 포스 (POS, Point Of Sales) 단말기에 긁어서 사용해야 하는데, 카드의 자기띠 영역이 손상되면 사용할 수 없고, 위변조에 취약하다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마그네틱 카드의 불편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도들이 존재했다. 예를 들어 IC(Integrated Circuit) 칩, NFC, 바코드 등을 이용한 결제 방식이 그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결제 방식은 종래의 자기띠 방식의 결제 시스템과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결제 방식을 지원하는 포스 단말기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단순히 소비자가 마그네틱 카드에서 IC 칩 내장 카드로 바꾸면 되는 것이 아니라 유통업계 전반적으로 포스 단말기를 해당 결제 방식을 지원하는 것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마그네틱 카드에서 다른 것으로의 전환에는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그 어떤 대체 방식도 쉽게 주류의 자리를 차지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2015년 현재 우리나라의 신용카드 가맹점의 포스 현황을 살펴보면, 마그네틱 방식을 지원하는 포스는 100%인데 반해, IC칩 방식을 지원하는 포스는 47.2%, NFC 방식을 지원하는 포스는 3.2%에 불과하다. 즉, 마그네틱 카드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자기띠를 사용한 결제 방법만이 범용적으로 통용되기 때문에 쉽게 마그네틱 카드를 다른 방식의 카드로 교체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의 마그네틱 방식의 포스 단말기와 호환되면서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드 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결제할 매장에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카드를 추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자 장치가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와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및,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포인트 정보 및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사용자 단말이, 결제 카드를 추천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매장의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와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포인트 정보 및 상기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고,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와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및,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포인트 정보 및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추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결제 카드를 추천하는 사용자 단말은,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고, 매장의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면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포인트 정보 및 상기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자 장치에서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는 기능;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및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표시하는 기능; 및 상기 추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카드를 추천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는 기능; 매장의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기능; 및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및 상기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스마트폰 또는 전자 지갑 등의 휴대 단말에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고, 카드별 목표 실적 금액 및 사용 매장의 이벤트 정보를 고려하여 해당 거래에 가장 적합한 카드를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해당 결제에 가장 적합한 추천 카드의 자기띠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카드 추천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천 결제 카드의 자기띠 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로 표현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요지와 관련이 없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결제 카드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직불카드, 현금카드, 교통카드, 포인트 카드, 무번호 카드 등을 포함하여 온라인, 오프라인 결제에 사용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결제 카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생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매장의 이벤트 정보 및/또는 추천 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소지하는 다수의 카드 중 해당 결제에 가장 적합한 카드의 자기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결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카드 회사들은 카드별로 사용 실적에 따라 혜택을 차등 적용한다. 예를 들어 A카드는 한 달에 10만원을 사용하면 대중 교통 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B카드는 월 20만원을 사용하면 통신비 7천원 할인 혜택을 제공하며, C카드는 3개월 평균 30만원을 사용하면 주유 금액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식이다.
카드 회사가 제공하는 혜택을 누리기 위하여 사용자들은 카드별로 실적을 얼마나 채웠는지 계산하면서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혜택 제공을 위한 실적을 일일이 집계하고 적당한 카드로 결제하는 것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매우 번거로울 수 있다. 실적 집계 기간이 카드 별로, 대금 결제일별로 각각 상이하여 계산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나아가 사용자들은 카드사가 제공하는 혜택을 이용하기 위하여 다수의 카드를 발급받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모두 지갑에 가지고 다니면서 실적을 채우기 위한 카드로 결제하는 것도 쉽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자신 명의의 다수의 카드를 모두 가지고 다니지 않으면서, 동시에 해당 카드의 혜택을 모두 누릴 수 있도록 카드별 목표 실적을 채우고자 하는 니즈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위의 예에서, 사용자가 한 달에 10만원을 사용하면 대중 교통 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A 카드, 월 20만원을 사용하면 통신비 7천원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B카드, 3개월 평균 30만원을 사용하면 주유 금액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C카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카드 자기띠 정보를 에뮬레이션할 수 있는 전자 지갑에 A, B, C 카드를 등록해 놓고, A, B, C 결제 카드의 실물 없이 A, B 또는 C 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결제 시마다 목표 실적과 이용 금액을 고려하여 등록된 카드 중 해당 결제에 사용할 카드를 추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목표 실적이 가장 적은 A 카드는 월초에 추천될 수 있으며, A카드를 10만원 이상 사용한 후에는 B카드, B카드를 20만원 이상 사용한 후에는 C카드가 추천될 수 있다.
한편, 오프라인 매장에서 특정 카드와 관련하여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오프라인 매장이 B카드의 카드사와 연합하여 B카드의 포인트를 두 배로 적립해주는 프로모션을 진행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해당 매장에서는 월 초라도 B카드가 가장 높은 우선 순위로 추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해당 결제에 가장 적합한 추천 카드의 자기띠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의 예에서 사용자 단말은 예를 들어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PC 등일 수 있다. 나아가 전자 장치는 자기띠 에뮬레이터를 구비하여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에뮬레이션 및/또는 복제하여 결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지갑, 전자 카드일 수 있다.
도 1의 단계 110에서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어플리케이션 및/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결제 카드를 등록하거나 및/또는 자기띠 리더기 등의 카드 등록 장치를 통하여 복수의 결제 카드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드 등록 장치에 마그네틱 카드의 자기띠를 긁으면, 사용자 단말은 자기띠의 형태로 결제 카드의 정보를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은 자기띠 정보를 디코딩하여 결제 카드를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등록된 카드를 결제에 사용하기 위한 패스 코드(Pass code) 및/또는 사용자 지문의 입력을 추가로 요청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은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개별적으로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해당 정보의 유효성을 카드 회사에 문의하는 방식으로 결제 카드를 등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은 다른 전자 상거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 카드를 등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카드를 이용하여 모바일 결제를 시도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어플리케이션이 해당 카드를 등록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푸쉬 메시지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동의를 얻는 방식을 이용하여 결제 카드를 등록할 수도 있다.
단계 115에서 사용자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자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과 전자 장치는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를 사용자 단말에서 인증하기 위한 절차는 종래 기술을 따라 진행할 수 있다.
단계 120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단계 120과 단계 125는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지 않고 결제 카드를 등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드 회사로부터 직접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등록할 수도 있다.
단계 125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면서 결제 카드를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단계 127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결제 이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결제 카드의 카드사 및/또는 은행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등록한 결제 카드의 결제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은 다른 전자 상거래 결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의 결제 이력을 획득하거나 카드사에 문의하여 사용자의 결제 이력을 획득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직접 입력을 통해 결제 이력을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등록한 결제 카드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제 이력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상기 결제 정보를 획득하면, 상기 결제 정보를 카드별, 사용 카테고리, 할부 여부, 실적 제외 항목 여부, 해외 사용 여부, 가족 카드 여부 및/또는 법인 카드 여부 등 복수의 범주로 분류하여 인덱싱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사용자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이 생성할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이 카드사의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는 디바이스인 경우, 서비스 서버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결제 이력을 획득하여 분석하고, 데이터베이스로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고, 임의의 주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서비스 서버는 오프라인 매장들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130)
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식별 정보, 프로모션 정보, 할인 정보 및/또는 쿠폰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나아가 서비스 서버는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특정 결제 카드가 연계하는 이벤트 정보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결제를 A 카드의 적립 포인트로 대체할 수 있는 방식의 이벤트, 평일 점심시간에는 B 카드의 포인트 적립을 2배로 하는 방식의 이벤트, 또는 C카드로 결제하면 결제 금액을 할인하는 방식 등의 이벤트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정보는 해당 오프라인 매장 및/또는 광고 대행 업체를 통하여 수집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는 수집된 이벤트 관련 정보들을 그룹핑 및/또는 인덱싱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서버는 출시되거나 단종된 결제 카드들의 혜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카드의 관리 코드, 카드사 또는 은행 정보, 카드사 혜택, 협력사 제공 혜택, 혜택의 카테고리 정보, 복수의 혜택 중 메인 혜택, 카드별 및/또는 혜택별 최소 요구 실적, 상기 실적의 집계 기준, 집계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단계 135)
도 1에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상기 카드 혜택 정보는 사용자 단말에게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카드 혜택 정보를 업데이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단계 140에서 사용자 단말은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개별 설정을 통하여 카드사 혜택 목표 실적 도달을 제 1 우선순위로 고려하여 추천하도록 설정하거나, 또는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특정 카드와 관련된 이벤트를 제공하는 경우 이벤트 제공 카드를 제 2 우선 순위로 고려하여 결제 카드를 추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개별 설정을 통하여 특정 카드의 적립 포인트 소멸 시기가 도래하는 순서를 제 3 우선 순위로 고려하여 결제 카드를 추천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는 카드사 혜택을 제공받기 위한 목표 실적 계산과 관련하여 상기 개별 설정을 통하여 목표 실적 계산 기준일, 집계 기간, 집계 방식, 최소 이용 기간 조건, 최소 이용 금액 등의 세부 기준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을 진행하는 구체적인 예시는 첨부된 도 2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 장치는 특정 오프라인 매장의 프로모션 범위 내에 진입하면,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발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통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150)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예에서 오프라인 매장은 블루투스 4.0 BLE(Bluetooth Low Energy) 프로토콜 기반의 신호를 생성하는 칩셋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 장치는 통신 범위 내에 진입하면 상기 칩셋이 생성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블루투스 신호의 블루투스 UUID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필드는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식별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전자 장치에서 표시하기 위한 트리거로 사용될 수 있다.
오프라인 매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서비스 서버에게 해당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단계 155)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오프라인 매장으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서비스 서버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해당 매장의 이벤트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매장 이벤트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165)
한편 오프라인 매장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게 결제 카드의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170)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 매장의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 모드에서 활성모드로 전환되면서 (단계 160),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하는 방식으로 해당 매장의 결제에 사용할 카드의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170)
다만 도 1의 예시에서는 단계 150과 단계 160 이후에 단계 170 이 진행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전자 장치는 오프라인 매장의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도 사용자 단말에게 카드 추천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버튼, 센서 및/또는 터치 패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결제 진행 및/또는 카드 추천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에게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결제에 사용될 카드의 추천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은 전자 장치와는 별개로 오프라인 매장의 블루투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로부터 카드 추천을 요청받은 시점에 인근에 위치한 오프라인 매장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계 175에서 사용자 단말은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중,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 사용할 추천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등록된 카드 각각의 결제 정보, 카드 각각의 혜택 정보, 카드 각각의 포인트 정보 및 오프라인 매장의 이벤트 정보를 고려하여 추천 카드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결제에 사용할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예시는 첨부된 도 2 및 도 3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카드 추천에 대한 사용자 설정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전자 장치는 서로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고, 상기 복수의 결제 카드 중 특정 결제에 사용할 카드를 추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도 2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설정 화면의 예시이다.
도 2의 예에서, 사용자는 카드 추천 메뉴(205)의 활성화를 선택(206)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카드 추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카드를 추천하는 우선 순위를 보다 세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사 혜택 목표 실적 충족 여부 (210), 카드 포인트 사용 가능 여부(230), 카드사 프로모션 존재 여부 (240), 및 무이자 할부 가능여부 (245) 등 카드 추천 시 고려할 사항들의 우선 순위를 개별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211, 252, 253, 254)
A, B, C 카드를 사용자 단말에 등록한 앞의 예에서, 카드 추천 시 고려할 우선수위를 도 2와 같이 설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카드사 혜택 목표 실적 충족 여부를 최우선 순위로 고려하여 목표 실적이 채워지지 않은 카드를 추천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등록된 모든 카드가 목적 실적이 채워진 경우, 카드 포인트를 가장 크게 사용할 수 있는 카드를 추천하게 될 것이다. 또한 등록된 카드 중 카드 포인트를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카드가 없는 경우,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특별 프로모션을 받을 수 있는 카드를 추천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특별 프로모션을 받을 수 있는 카드도 없는 경우 무이자 할부를 제공받을 수 있는 카드를 추천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우선순위를 사용자가 동일하게 지정하거나 별로도 지정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해당 시점까지의 사용자 성향을 고려하여 해당 매장의 해당 결제에 적절한 카드를 추천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카드 적립 포인트의 소멸 기간 도래 여부를 카드 추천시 고려할 사항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카드의 적립 포인트가 카드 추천 시점으로부터 1월 내에 소멸 예정인 경우, 해당 카드를 우선적으로 추천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카드 추천에 고려되는 소멸 예정 기간의 범위는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카드별 혜택 정보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B, C 카드를 사용자 단말에 등록한 앞의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카드사가 제공하는 카드 A, B, C의 혜택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2의 예에서 카드 A의 혜택을 받기 위한 최소 이용 금액 (217)은 10만원이며, 이용 금액 집계의 기준이 되는 기간(218)은 1개월이고, 금액 집계 방식(219, 220)은 월단위로 직전 1개월의 합계 금액임을 설정 메뉴의 초기값으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금액 집계 기준이 되는 이용 기준일 (215) 및/또는 대금 결제일 (216)도 카드사가 제공하는 초기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도 2에 예시된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혜택 정보들 즉, 이용 기준일, 대금 결제일, 최소 이용금액, 이용 기간 조건, 집계 방식, 집계 가긴 방식 등을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예에서, 사용자가 A 카드의 대금 결제일을 20일에서 14일로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는 설정 메뉴 255에서 14를 선택하여 대금 결제일을 변경할 수 있다. A 카드가 대금 결제일에 따라 이용 기준일이 변경되는 카드인 경우 255가 변경되면 258도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의 단계 310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결제 카드의 혜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결제 카드의 관리 코드, 카드사 또는 은행 정보, 카드사 혜택, 협력사 제공 혜택, 혜택의 카테고리 정보, 복수의 혜택 중 메인 혜택, 카드별 및/또는 혜택별 최소 요구 실적, 상기 실적의 집계 기준, 집계 기간, 카드 적립 포인트 생성 및/또는 소멸 기준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혜택 정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서비스 서버에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가공되고,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 및/또는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3은 단계 320에서 사용자 단말은 인접하거나 결제 절차가 시작되고 있는 오프라인 매장의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오프라인 매장의 식별정보를 제공하면서 서비스 서버에게 해당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요청하고, 서비스 서버로부터 가공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상기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오프라인 매장의 이벤트 정보는 임의의 프로모션 정보, 할인 정보 및/또는 쿠폰 정보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오프라인 매장과 특정 카드사가 연계하는 이벤트일 수 있다.
단계 330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결제 카드의 카드사 및/또는 은행으로부터 수신한 메시지를 분석하거나 또는 카드사에 문의하여 사용자의 결제 이력을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획득한 결제 정보를 카드별, 사용 카테고리, 할부 여부, 실적 제외 항목 여부, 해외 사용 여부, 가족 카드 여부 및/또는 법인 카드 여부 등 복수의 범주로 분류하여 인덱싱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사용자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단말이 생성할 수 있지만, 사용자 단말이 서비스 서버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수신 및/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단계 310, 320 및 330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단계 310 내지 단계 330은 순서와 무관하게 단계 350 이전에 진행되면 충분하다.
도 3의 단계 340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카드 추천의 우선 순위를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카드 추천의 고려 사항으로는 카드사 혜택 목표 충족 여부, 카드 적립 포인트 사용 가능 여부, 카드 적립 포인트 소멸 기간 도래 여부, 카드사의 할인 또는 포인트 더블 적립 등의 특별 프로모션 여부, 무이자 할부 가능 여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고려 사항에 대해 사용자가 우선 순위를 설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이에 따라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단계 350)
예를 들어 사용자가 카드사 특별 프로모션을 우선 순위 1, 카드 적립 포인트 소멸 기간 도래 여부를 우선 순위 2, 카드사 혜택 목표 충족 여부를 우선 순위 3, 무이자 할부 가능 여부를 우선 순위 4, 카드사 포인트 사용 가능 여부를 우선 순위 5로 설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카드사 특별 프로모션을 받을 수 있는 카드를 해당 결제에 대해 최우선으로 추천하게 될 것이다.
특별 프로모션이 걸려있는 카드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카드 적립 포인트 소멸 기간이 예를 들어 1개월 이내인 카드를 다음 우선 순위로 추천하게 될 것이다. 이때 소멸 기준 기간은 사용자 설정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카드 포인트가 임의의 기간 내에 소멸할 카드가 없는 경우, 목표 실적이 채워지지 않은 카드를 다음 우선 순위로 추천하게 될 것이다. 등록된 카드 중 복수의 카드에 대해 목표 실적이 태워지지 않은 경우, 목표 실적이 가장 적은 카드부터 추천할 수도 있다.
등록된 모든 결제 카드가 목표 실적이 태워진 경우라면 무이자 할부가 가능한 카드를 다음 우선순위로 추천할 수 있다. 나아가 무이자 할부가 가능한 카드가 없는 경우, 카드사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카드를 다음 우선 순위로 추천하게 될 것이다. 등록된 카드 중 복수의 카드에 대해 포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포인트가 가장 많이 누적되어 있는 카드 또는 포인트 사용률이 가장 높은 카드를 추천할 수 있다.
다시 도 2에 대한 설명으로 복귀하면, 단계 180에서 사용자 단말은 등록된 복수의 카드 중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할 것을 추천하는 추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단계 190에서 사용자 단말은 추천 카드에 대한 세부 정보 및/또는 해당 오프라인 매장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푸쉬 알림, 팝업 메시지, 미리 연동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메시지 등의 형태로 이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등록된 카드 중 특정 카드를 해당 결제에 사용할 것을 추천한 이유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추천에 고려한 우선 순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자 장치는 등록된 복수의 카드 중 해당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185)
나아가 사용자가 추천 카드로 결제할 것을 선택하면, 전자 장치는 해당 오프라인 매장의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추천 카드의 자기띠를 에뮬레이션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결제 시스템 중 하나인 자기띠 리더기에 자기띠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결제를 진행할 수 있다. (단계 192) 상기 단계는 별도의 보안 모듈, 자기띠, IC칩, NFC, 바코드, 비콘 등을 이용한 결제 방식과 결합하여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결제 요청을 인증하기 위해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패스 코드 및/또는 지문 입력을 추가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와 단말이 블루투스 연결이 유지되는 것을 조건으로, 미리 저장된 패스 코드를 인증 키(key)로 이용하여 암호화한 카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도 1에 별도로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패스 코드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의 분실에 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와 사용자 단말의 거리가 10미터 이상 벌어져서 블루투스 통신이 단절된 경우, 전자 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패스 코드를 즉시 삭제하면서 내부의 타이머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스 코드는 무번호 카드의 암호화된 고유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등록된 특정 카드에 대한 결제를 요청한 경우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이라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패스 코드를 문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패스 코드를 입력하면, 전자 장치는 패스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결제 카드의 카드 정보를 복호화하고, 자기장 신호를 발생시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타이머가 종료된 후에 결제를 요청했거나 타이머 종료 전에 결제를 요청했어도 패스 코드를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입력하지 못하면 전자 장치는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면서 결제 진행 불능을 알릴 수 있다.
한편 단계 194에서 오프라인 매장의 결제 장치는 해당 카드 결제에 대한 승인을 카드 회사에게 요청하고 결제를 승인할 수 있다. (단계 194) 결제 승인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에게 SMS 형태로 전송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단계 196)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의 전자 장치로 결제 카드의 규격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전자 카드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종래의 자기띠 카드 표준이 자기띠 위치로 지정한 영역에 자기장 에뮬레이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자 지갑의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결제 카드의 규격과는 무관한 형태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자 장치는 표시부 (410), 입력부 (420), 자기 신호 생성부 (430), 전원부 (440), 제어부 (450) 및 통신부 (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표시부 (410)는 e- ink 방식이나 LED 매트릭스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에 등록된 카드를 표시하고, 배터리 잔량을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표시부 (41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또는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표시부는, 등록된 복수의 카드 중 인접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추천 카드를 초기값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입력부 (420)은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추천 카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입력부 (420)는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overlay), 압력식 저항막 방식(resistive overlay), 적외선 감지 방식(infrared beam) 등의 터치 감지 센서로 구성되거나, 압력 감지 센서(pressure senso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자기 신호 생성부 (430)는 코일을 포함하며, 제어부 (450)의 신호를 받아 추천 카드의 자기장 신호를 에뮬레이션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부 (440)는 전자 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 (460)는 사용자 단말 및/또는 오프라인 매장과 블루투스 통신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 (460)는 사용자 단말과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별도로 도시된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자 장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는 전자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저장부는 복수의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암호화한 상태로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암호화한 자기띠 정보의 복호화에 필요한 패스 코드, 사용자 지문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 (450)는 전자 장치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제어부 (450)는 사용자 단말과 통신부(460)를 통해 연결하여 복수의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부에 저장하고, 등록된 결제 카드 각각의 목표 실적, 결제 히스토리 및/또는 결제 매장의 이벤트 정보 등을 고려하여 추천카드를 표시하고, 추천 카드의 결제 정보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게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게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410 : 전자장치의 표시부
420 : 전자장치의 입력부
430 : 전자장치의 자기신호 생성부
440 : 전자장치의 전원부
450 : 전자장치의 제어부
460 : 전자장치의 통신부

Claims (10)

  1. 전자 장치가,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와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포인트 정보 및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매장에서 결제에 사용할 추천 카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띠 정보 생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단계;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중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카드의 추천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카드사 혜택을 위한 최소 사용 금액 충족 여부, 카드 포인트의 소멸 기간 도래 여부, 상기 카드 포인트의 사용 가능 여부, 상기 카드사의 특별 프로모션 여부 및 무이자 할부 가능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결정한 추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띠 정보 생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에 대한 정보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무선 통신이 단절되면, 상기 코드 정보를 삭제하고, 타이머를 동작하는 단계;
    상기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에 상기 코드 정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띠 정보 생성 방법.
  4. 사용자 단말이, 결제 카드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는 단계;
    매장의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와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포인트 정보 및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 추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상기 카드사 혜택을 위한 요구 조건에 대한 정보,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결제 이력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 추천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정보는
    상기 매장의 식별 정보, 프로모션 정보, 할인 정보, 쿠폰 정보, 포인트 적립 정보 및 상기 매장과 특정 카드사가 연계하는 프로모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 추천 방법.
  7.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연결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고,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와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포인트 정보 및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추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띠 정보 생성 장치.
  8. 결제 카드를 추천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와 연결하는 통신부; 및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고, 매장의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면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와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상기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포인트 정보 및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전자 장치에서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는 기능;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및 결제할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표시하는 기능; 및
    상기 추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띠 정보 생성 컴퓨터 프로그램.
  10. 사용자 단말에서 결제 카드를 추천하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사용자의 복수의 결제 카드를 등록하는 기능;
    매장의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으로 수신하는 기능; 및
    등록된 복수의 결제 카드 각각의 단위 기간 당 목표 사용 금액 정보, 상기 단위 기간에 결제에 사용한 금액 정보 및 상기 매장의 이벤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매장에서 사용할 추천 카드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카드 추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092616A 2015-06-30 2015-06-30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40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16A KR101740727B1 (ko) 2015-06-30 2015-06-30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616A KR101740727B1 (ko) 2015-06-30 2015-06-30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182A Division KR101802925B1 (ko) 2017-05-22 2017-05-22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814A true KR20170002814A (ko) 2017-01-09
KR101740727B1 KR101740727B1 (ko) 2017-05-26

Family

ID=57810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616A KR101740727B1 (ko) 2015-06-30 2015-06-30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07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0727B1 (ko) 201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073B1 (ko) 스케쥴링 방식으로 모바일 결제를 수행 및 지원하기 위한 방법, 카드사 서버 및 애플리케이션
US202000510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oken-based payments
US9373111B2 (en) Payment card with integrated chip
GB2518277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ecure payment transactions
WO2014103046A1 (ja) 電子マネーサーバ、電子マネー送金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160110707A1 (en) Retail card application
KR101663168B1 (ko) 멀티 카드 생성 방법, 멀티 카드 사용 방법 및 멀티 카드 시스템
KR20160111286A (ko) 결제 부가 서비스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10084865A (ko) 모바일 아이디와 접촉/비접촉식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방법 및 장치
AU2014100037A4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memory card module for conducting electronic transactions
KR101307035B1 (ko) 대표 카드를 이용한 카드 결제 방법
CN114926171A (zh) 用于更新现有动态交易卡的系统、方法和设备
CA293434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offers from tokenized contactless payments
KR20130082703A (ko) 결제 방법 및 그를 위한 결제 서버
KR101631609B1 (ko) 사용자 자동 인증 전자지갑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4016745A (ja) 電子取引システム、および電子取引方法
KR20120020804A (ko) 카드 결제 방법, 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를 위한 이동 단말기
KR102010013B1 (ko) 가상결제정보를 이용한 비대면 거래 및 정산 방법, 관리 서버
CN104641388A (zh) Nfc交易处理系统和方法
KR20200142661A (ko) 스마트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자판기 상품 구매 시스템
KR20180025305A (ko) 단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방법 및 결제 서비스 서버
KR101802925B1 (ko)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06446A (ko) 결제자의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740727B1 (ko) 결제 카드의 자기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24596A (ko) 단일 카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방법 및 결제 서비스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