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269U -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 - Google Patents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269U
KR20170002269U KR2020150008326U KR20150008326U KR20170002269U KR 20170002269 U KR20170002269 U KR 20170002269U KR 2020150008326 U KR2020150008326 U KR 2020150008326U KR 20150008326 U KR20150008326 U KR 20150008326U KR 20170002269 U KR20170002269 U KR 201700022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bulb
embossed
optimism
embo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3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보
Original Assignee
심종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종보 filed Critical 심종보
Priority to KR20201500083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269U/ko
Publication of KR20170002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2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Abstract

본 고안은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무판에 글씨나 그림 등을 끌이나 창칼을 이용하여 양각으로 새긴 후, 글이나 그림 등의 일측에 작가 자신의 작품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새김질 되는 낙관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여 표면으로 새김질하지 않고, 낙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낙관의 표면을 경사지게 새김질하여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나무판(10)에 글씨나 그림(20)을 양각으로 새김질 하고, 상기 양각으로 형성되는 글씨나 그림(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낙관(30)의 높낮이를 다르게 새김질하여 낙관(30)의 표면(31)이 경사지게 형성되게 하여 입체적인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Seogak works engraved structure of the oviduct}
본 고안은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나무판에 글씨나 그림 등을 끌이나 창칼을 이용하여 양각으로 새긴 후, 글이나 그림 등의 일측에 작가 자신의 작품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새김질 되는 낙관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여 표면으로 새김질하지 않고, 낙관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낙관의 표면을 경사지게 새김질하여 입체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시작한 역사는 대략 6000년 정도로 추정된다. 문자로써 지금까지 발굴된 유물 가운데 최초의 것은 중국 은상(殷商) 시대의 갑골문자이다. 그러나 서각의 뿌리를 찾아 거슬러 올라가면 선사시대에 이미 새김질의 문화는 시작되었다(대한민국서각인 연감, 2004).
이 시대에는 문자가 발달되기 이전이므로 새기는 대상이 주로 생활 및 주술적 행위를 나타내는 그림이나 기호 등이었는데, 이것이 발전되어 문자의 원류로 이어진다. 이때는 새김질의 재료가 대부분 돌이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경상남도 울주군 언양면 대곡리와 천전리 강가에서 발견된 반구대 암각화이다. 이 반구대 암각화를 살펴보면, 이때도 이미 음각, 양각 기법을 동시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후 청동기 및 철기시대를 거쳐 오면서 다뉴세문경 및 농경문청동기와 같이 종교의식에 쓰이는 도구에다 새김질을 하였다.
이후,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시대에는 불교문화의 유입으로 이전과는 달리 문자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됨에 따라 문자와 결합한 형태로 변화하여 주로 돌에다 비문을 새기거나 불상, 탑, 종, 사리용구 등에 새김질을 하였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서각작품으로 광개토대왕비와 남한산성비를 꼽을 수 있다.
고려시대의 서각을 살펴보면, 이전의 금석문뿐만이 아니라 불교경전 및 문집의 출판 등으로까지 이어지는 새김질 문화가 확산되어갔음을 알 수 있다. 이 시대의 대표적 서각작품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는 해인사고려대장경판을 들 수 있다.
조선시대로 넘어가서는 숭유 억물 정책으로 인하여 불교에 관련된 새김질 문화는 쇠퇴하고 주로 유교와 관련된 문집용 목판과 궁궐, 향교, 서원, 누대, 정자 등의 현판, 주련을 제작하는 새김질 문화가 발달되었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5대문(경복궁, 창경궁, 덕수궁, 경희궁, 창덕궁)의 현판을 들 수 있다.
근대에 와서 새김질 문화는 금속 활자의 목활자 발명의 영향을 입어 주로 문집 출판용으로 발전되어 갔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훈민정음 목판본과 대동여지도, 수선전도 등의 목판본이 있다.
그런데 현대에 와서는 새김질 문화에 사용되는 서각용 재료는 돌과 나무에 국한되지 않고 나무, 돌, 쇠, 폴리코트, 테라코타, 지점토, 석고, 우드락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작품의 다양성과 특색있는 도흔(刀痕)의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목적도 있지만, 작품제작이 용이한 나무재료의 구입이 쉽지 않고, 특히 광폭의 재료는 더더욱 얻기가 어려워진 탓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길이가 짧거나 폭이 좁은 판재를 이용하여 횡이나 종으로 접합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현대의 새김질 문화는 종전까지의 단순한 기능의 차원을 벗어나서 하나의 예술로서의 가치부여를 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해온 시기이기도 하다.
또한, 현대에는 서각작품의 세계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서각의 종합적 예술성이 부각됨으로써 이제는 장르의 구분 없이 서예뿐만 아니라 회화 등도 응용한 다양한 작품들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현대는 서각가들이 어떤 장르이든지 간에 구분하지 않고 조형의 재구성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는 시기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새김질 작업을 할 때, 서각용 주재료인 나무를 이용하는 경우, 단순히 외관적 아름다움만을 활용하는데서 벗어나 목재 조직 내부구조의 신비성과 아름다움을 형상화하여 밖으로 표출시키는 새김질을 통해 인테리어적인 부분과 예술적인 부분들을 향상시킨 서각을 제작하여 널리 보급하기 위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 등록특허 제10-1008950호의 서각작품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었으나, 상기 서각작품으로 공개된 등록특허의 도 13a,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각작품 완성 후 작품의 일측에 새겨지는 낙관을 살펴보면, 낙관의 높이를 사방에서 동일하게 하여 낙관의 표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새겨져 있다.
따라서 평면으로 새겨진 낙관은 입체적인 감각을 느낄 수 없음은 물론 단지 자신의 작품을 표시하는 낙관(도장)에 불과한 것이었다.
(KR) 등록특허 제10-1008950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나무판에 글씨나 그림 등을 양각으로 새김질하고, 글씨나 그림 등의 일측에 새겨지는 낙관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지 않고, 높낮이를 달리 새김질하여 낙관의 표면이 경사지게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낙관이 입체적인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나무판(10)에 글씨나 그림(20)을 양각으로 새김질하고, 상기 양각으로 형성되는 글씨나 그림(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낙관(30)의 높낮이를 다르게 새김질하여 낙관(30)의 표면(31)이 경사지게 형성되게 하여 입체적인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나무판에 양각으로 새김질 되는 글씨나 그림 등의 일측에 형성되는 낙관의 평면이 경사지게 새김질 됨으로써 낙관이 입체적이어서 나무판에 새김질 되는 글씨나 그림과 어울려 조화롭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나무판에 새겨지는 낙관이 입체적이기 때문에, 낙관 자체도 아름다운 작품을 형성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서각 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서각 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평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나무판(10)과, 상기 나무판(10)의 내부에 양각으로 새김질 되는 글씨나 그림(20)과, 상기 글씨나 그림(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낙관(30)과, 상기 낙관(30)의 높낮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경사지게 낙관(30)의 표면(31)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글씨나 그림(20) 등을 양각으로 새김질 되는 서각작품(10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무판(10)에 형성되는 글씨나 그림(20)의 주변을 창칼이나 끌로 파내어 양각으로 새겨진다. 그리고 글씨나 그림(20)의 주변에 형성되는 낙관(30)도 낙관(30)의 주변을 파내어 양각으로 형성한다. 이때 낙관(30)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기 때문에, 낙관(30)의 표면(31)이 수평면으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낙관(30)은 단지 작가의 작품이라는 의미만을 부여할 뿐, 낙관(30)의 예술적 가치를 찾을 수는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도 2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는 나무판(10)은 두께가 3~6Cm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두께보다 두껍거나 더 좁을 수 있어도 부당하다. 즉, 양각으로 새김질할 수 있는 나무판(10)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나무판(10)의 상부면에 새김질하기 위한 글씨나 그림(20) 등을 직접 그리거나, 그려진 종이를 붙여서 글씨나 그림(20)을 양각으로 새긴다. 이때 글씨나 그림(20)을 양각으로 새김질할 때에는 글씨나 그림(20)의 주변을 창칼이나 끌로 오목하게 파내어 새김질하게 되면, 글씨나 그림(20)은 양각으로 튀어나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글씨나 그림(20)의 주변에 작가의 작품이라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날인된 낙관(30)을 새김질하되, 상기 낙관(30)을 양각으로 새김질하기 위해서는 낙관(30)의 주변을 창칼이나 끌로 오목하게 파내어 새김질하게 되면 양각으로 형성이 된다.
이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낙관(30)의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지 않고, 본 고안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낙관(30)의 높이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여 낙관(30)의 표면(31)이 경사지게 새김질 하는 것이다.
즉,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낙관(30)의 일측면을 낮게 형성하고, 타측면은 높게 형성하여 낙관(30)의 표면(31)이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게 새김질하는 것이다.
따라서 낙관(30)의 표면(31)이 경사지게 새김질 되기 때문에, 낙관(30)은 입체적이어서 나무판(10)에 새김질 되는 글씨나 그림(20)과 서로 조화롭게 어울려 서각작품을 더 승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서각작품(100)에 새김질되는 낙관(30)은 작가의 작품을 나타내는 형식적인 낙관(30)이 아니라, 낙관(30) 자체도 나무판(10)에 새김질 되는 글씨나 그림(20)과 서로 조화롭게 잘 어울려서 서각작품의 가치를 더욱 승화시킬 수 있게 새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기술사상을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나무판 20. 글씨나 그림
30. 낙관 31. 표면
100. 서각작품

Claims (1)

  1.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나무판(10)에 글씨나 그림(20)을 양각으로 새김질 하고, 상기 양각으로 형성되는 글씨나 그림(20)의 일측에 형성되는 낙관(30)의 높낮이를 다르게 새김질하여 낙관(30)의 표면(31)이 경사지게 형성되게 하여 입체적인 감각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
KR2020150008326U 2015-12-16 2015-12-16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 KR201700022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26U KR20170002269U (ko) 2015-12-16 2015-12-16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326U KR20170002269U (ko) 2015-12-16 2015-12-16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269U true KR20170002269U (ko) 2017-06-26

Family

ID=5924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326U KR20170002269U (ko) 2015-12-16 2015-12-16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26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950B1 (ko) 2008-11-27 2011-01-1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목재의 미세조직구조를 이용한 서각작품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950B1 (ko) 2008-11-27 2011-01-17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목재의 미세조직구조를 이용한 서각작품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2269U (ko) 서각작품에 새겨지는 낙관의 구조
CN201031483Y (zh) 一种艺术仿古地板
KR101008950B1 (ko) 목재의 미세조직구조를 이용한 서각작품 제작방법
CN106013682A (zh) 一种彩玉石镶嵌陶瓷装饰板
CN201171409Y (zh) 具有个性化的首饰
CN204845321U (zh) 一种残古瓷镶嵌饰品
CN205686047U (zh) 图像装饰板
CN206380824U (zh) 一种新型饰品挂件
CN106004212A (zh) 一种北红玛瑙镶嵌方形壁灯饰面
KR100647200B1 (ko) 인장 장식부를 갖는 장식재 및 이를 활용한 액자
KR20150053037A (ko) 가구용 목재 장식판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목재 장식판
CN203142247U (zh) 一种浮雕彩石画
CN105856948A (zh) 一种琉璃镶嵌铜版画
Antonaras A special group of early Christian glass ‘gems’ from Greece
Prag An Unpublished Funerary Inscription with Bichrome Painted Relief Lettering from Hellenistic Syracuse (" I. Sicily" 3387)
CN105996618A (zh) 一种镶嵌彩色岫玉屏风装饰板
CN105835602A (zh) 一种彩玉石嵌层装饰挂画
CN105839829A (zh) 一种彩色岫玉镶嵌天花饰面
CN105856949A (zh) 一种彩玉石镶嵌瓷板画
CN105971220A (zh) 一种彩玉石嵌层石材
CN201597369U (zh) 一种金属锁具的装饰结构
TWM343836U (en) Structure of watch lens
CN105882298A (zh) 一种缠丝玛瑙镶嵌书柜饰面
CN105835593A (zh) 一种戈壁玉镶嵌桌饰
KR200426584Y1 (ko) 행운의열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