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146U - 다기능 보조 세면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보조 세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146U
KR20170002146U KR2020150008070U KR20150008070U KR20170002146U KR 20170002146 U KR20170002146 U KR 20170002146U KR 2020150008070 U KR2020150008070 U KR 2020150008070U KR 20150008070 U KR20150008070 U KR 20150008070U KR 20170002146 U KR20170002146 U KR 2017000214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in
water
supporting
receiv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8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사연
Original Assignee
장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사연 filed Critical 장사연
Priority to KR2020150008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146U/ko
Publication of KR201700021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4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47K3/004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 A47K1/05Holding devices for basins or ju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8Sealing between wall and bathtub or shower tr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보조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욕조 테두리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00);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 일측에 체결되어 받쳐주기 위한 제1받침부(200);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 다른 일측에 체결되어 받쳐주기 위한 제2받침부(300); 및 양측이 상기 제1받침부(200)의 내부 공간에 회동하도록 체결되며, 물을 받아 두기 위한 세숫대야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보조 세면대{Assistance Wash Basin}
본 고안은 다기능 보조 세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욕조 테두리에 거치하여 세숫대야를 기울여 용이하게 물을 버리도록 하며, 사용 목적(예를 들어, 발 닦기, 머리 감기 또는 손빨래 등)에 따라 세숫대야의 위치 또는 높이의 세팅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기능 보조 세면대에 관한 것이다.
세숫대야는, 일반적으로 가정집의 욕실 또는 대중목욕탕 등에서 물 등을 담기 위한 그릇의 한 종류이다.
반면,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면대에 머리를 감을 때 높이가 높아 옷을 적시는 경우가 많았고 발을 씻을 경우에는 다리를 높이 올려야 하므로 자세가 매우 불안정하였으며, 손빨래를 할 때에는 세면대 옆에 빨래를 문지를 공간이 없어 불편함이 많았다.
그래서 머리를 감을 때는 욕조를 향해 머리를 숙인 채 한손으로 샤워기를 잡고 나머지 한손으로 머리를 감거나 또는 세숫대야에 물을 받아 욕실 바닥에 쪼그려 앉아 머리를 감아야만 했으며, 발을 씻을 때도 높은 세면기에 발을 올려 불안한 자세로 발을 씻거나 욕조 안으로 들어가 한손에 샤워기를 잡고 나머지 한손으로 발을 닦아야 했고, 빨래를 할 때는 세면기 옆에 빨래를 문지를 공간이 없어 욕실 바닥에 쪼그려 앉아 별도의 빨래판을 이용하여 빨래를 문질러야만 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17506호(2000.09.25.)는 세면대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하여 기존의 욕조위에 받침대를 걸치게 함으로써, 키가 작은 사람의 키높이에 알맞게 하여 세면 시에 옷을 적시지 않게 했으며, 발을 씻을 때 안정된 자세로 씻을 수 있게 하는 욕조에 걸치는 보조세면대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받침대를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욕조의 측면에 가로질러 걸치게 하고, 받침대이탈방지 버팀대와 미끄럼 방지패드에 의해 세면 시 세면대가 움직이지 않게 하며, 분리형 세숫대야가 쉽게 올려 질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고, 비누 케이스를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하고, 세면도구보관실을 설치하고 물이 고이는 곳에 물 빼기용 홈과 투명한 물 비산대책 커버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어린이 등의 체격이 작은 사람 체형에 맞게 설치되어 세면시에나 머리 감을 때 발 씻을 때 등에 옷이 젖는 것을 방지하며, 안전한 자세로 세면 및 발을 씻을 수 있게 되어 욕실 내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8603호(2006.06.05.)는 욕실에 서양식으로 설치되어 있는 세면대에서 주로 어린이들이 세면하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욕조 위에 세숫대야 받침대를 걸쳐서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어린이들은 물론 어른들도 다리를 씻을 때나 머리를 감을 때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세면 시 물이 욕실내로 튀지 않아 욕실내부를 건조한 상태에서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욕조에 걸치는 세숫대야 받침대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욕조 위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후단에 장착된 롤러와, 물 튀김을 방지할 수 있는 물 튀김 방지판과, 세면도구를 안착할 수 있는 안착판과,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망과, 세숫대야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전후 이동이 가능한 걸침봉과, 폭 조절이 가능한 조절봉을 한 쌍의 받침대에 장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면대는, 일반적으로 욕실의 벽에 부착된 서양식의 세면대를 지칭하는 것으로, 성인이 세면을 할 수 있도록 시공되어 체격이 작은 어린아이들이 세면이나 머리를 감을 때 높이가 높아 옷을 적시는 경우가 많았고 발을 씻을 경우에는 자세가 매우 불안정하여 일반 세숫대야를 바닥에 놓고 사용하거나 욕조에 들어가 한손으로 사워기를 잡고 나머지 한손으로 머리를 감거나 발을 닦아야 할 뿐 아니라, 세숫대야를 바닥에 놓고 머리를 감거나 발을 닦을 경우에는 사워기를 들고 세숫대야에 물이 찰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머리 감기 또는 발 닦기가 끝난 후 세숫대야를 통째로 들어 올려 변기 또는 욕조 안으로 물을 버려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0-001750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8603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욕조 테두리에 거치하여 세숫대야를 기울여 용이하게 물을 버리도록 하며, 사용 목적(예를 들어, 발 닦기, 머리 감기 또는 손빨래 등)에 따라 세숫대야의 위치 또는 높이의 세팅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기능 보조 세면대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욕조 테두리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00);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 일측에 체결되어 받쳐주기 위한 제1받침부(200);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 다른 일측에 체결되어 받쳐주기 위한 제2받침부(300); 및 양측이 상기 제1받침부(200)의 내부 공간에 회동하도록 체결되며, 물을 받아 두기 위한 세숫대야부(400)를 포함하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받침부(200)는. 내측에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세숫대야부(400)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재(210); 및 상기 받침부재(210)의 내측 공간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양측을 체결하여 회동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제1회동체결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회동체결부재(220)는,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를 지탱해 주기 위한 지탱수단(221); 상기 지탱수단(221)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를 삽입 체결하여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홈수단(222); 및 상기 지탱수단(2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숫대야부(40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수단(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숫대야부(400)는, 물을 받아 두기 위한 세숫대야부재(410); 및 상기 세숫대야부재(410)의 양측에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홈수단(222)에 회동하도록 체결되기 위한 두 개의 제2회동체결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회동체결부재(420)는, 상기 세숫대야부재(410)의 양측에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홈수단(222)에 회동하도록 체결되기 위한 회동바수단(421); 및 상기 회동바수단(42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수단(22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숫대야부재(41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수단(4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받침부(200)는, 상기 공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샤워기를 체결하기 위한 제1샤워기체결홈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세숫대야부(400)는, 일측에 형성되어 샤워기를 체결하기 위한 제2샤워기체결홈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거치부(100)는, 상부 일측에 상기 제2받침부(300)를 체결하고, 상부 다른 일측에 제1받침부(200)를 체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받침부(300)는, 상부에 상기 세숫대야부(400)를 거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받침부(300)는,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부재(3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욕조 테두리에 거치하여 세숫대야를 기울여 용이하게 물을 버리도록 하며, 사용 목적(예를 들어, 발 닦기, 머리 감기 또는 손빨래 등)에 따라 세숫대야의 위치 또는 높이의 세팅이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기능 보조 세면대를 제공함으로써, 성인뿐만 아니라 체격이 작은 어린아이들이 세면이나 머리를 감을 때도 적당한 높이로 인해 옷을 적시는 경우를 줄일 수 있으며, 발을 씻을 경우에도 안정적인 자세가 가능해 일반 세숫대야를 바닥에 놓고 사용하거나 높이 조절식 세면대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세숫대야에 담겨진 오수를 화장실 수챗구멍대신 욕조의 배수구로 배출함으로써, 세면대에서 어른들이 세면이나 머리를 감을 때 물이 욕실 내부로 튀어 욕실 바닥을 적시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머리를 감을 때 머리에서 빠지는 머리카락이 배수되면서 배수구를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조 세면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제1받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제1회동체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세숫대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조 세면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세숫대야부의 사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조 세면대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조 세면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기능 보조 세면대(10)는, 거치부(100), 제1받침부(200), 제2받침부(300) 및 세숫대야부(400)를 포함한다.
거치부(100)는, 상부 일측에 제1받침부(200)가 체결되며, 상부 다른 일측에 제2받침부(300)가 체결 되며, 욕조 테두리에 거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100)는, 거치되는 욕조 테두리에 대응하여 그 길이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거치부(100)는, 욕조 테두리에 안정적으로 거치되기 위해서 사각형의 프레임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받침부(200)는, 내측에 세숫대야부(400)를 삽입 체결하기 위해 공간을 형성하며, 거치부(100)의 상부 일측에 체결되어 세숫대야부(400)를 받쳐 준다.
제2받침부(300)는, 거치부(100)의 상부 다른 일측에 체결되어 세숫대야부(400)를 받쳐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받침부(300)는, 상부에 빨래판과 같은 형태의 요철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세숫대야부(400)를 받쳐 주거나, 사용자들이 상부에서 빨래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받침부(300)는, 상부로 세숫대야부(400)를 받쳐 주기 위해 제1받침부(200)와는 달리 내측이 막혀있는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세숫대야부(400)는, 양측이 제1받침부(200)의 내부 공간에 회동하도록 체결되며, 물을 받아 둔다.
일 실시 예에서, 세숫대야부(400)는, 제1받침부(200)의 내부 공간에 회동하여 받아 둔 물을 욕조로 버릴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10)는, 욕조 테두리에 거치하여 세숫대야부(400)를 기울여 용이하게 물을 버리도록 하며, 사용 목적(예를 들어, 발 닦기, 머리 감기 또는 손빨래 등)에 따라 세숫대야부(400)의 위치 또는 높이의 세팅이 가능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성인뿐만 아니라 체격이 작은 어린아이들이 세면이나 머리를 감을 때도 적당한 높이로 인해 옷을 적시는 경우를 줄일 수 있으며, 발을 씻을 경우에도 사워기를 꽂아 놓고 양손을 사용하여 안정적인 자세가 가능해 일반 세숫대야를 바닥에 놓고 사용하거나 한 손으로 샤워기를 들고 한손으로 머리를 감거나 발을 닦지 않아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10)는, 세숫대야에 담겨진 오수를 화장실 수챗구멍대신 욕조의 배수구로 배출함으로써, 세면대에서 어른들이 세면이나 머리를 감을 때 물이 욕실 내부로 튀어 욕실 바닥을 적시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제1받침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받침부(200)는. 받침부재(210) 및 두 개의 제1회동체결부재(220)를 포함한다.
받침부재(210)는, 내측에 세숫대야부(400)의 하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여 세숫대야부(400)를 받쳐 준다.
제1회동체결부재(220)는, 받침부재(210)의 내측 공간 양측에 형성되며, 세숫대야부(400)의 양측을 체결하여 회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받침부(200)는. 제1샤워기체결홈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샤워기체결홈부재(230)는, 받침부재(210)의 공간 일측에 형성되어 샤워기를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샤워기체결홈부재(230)는, 상용자가 세숫대야부(400) 쪽으로 머리를 향한 후 이게 체결된 샤워기에서 나오는 물을 이용하여 머리를 감거나 발을 씻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제1회동체결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회동체결부재(220)는, 지탱수단(221), 회동홈수단(222) 및 걸림턱수단(223)을 포함한다.
지탱수단(221)은, 세숫대야부(400)의 하부를 지탱해 줌으로써 세숫대야부(400)가 평행을 유지하도록 지탱한다.
회동홈수단(222)은, 지탱수단(221)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좀 더 상세하게는 회동바수단(421))를 삽입 체결하여 회동시켜 준다.
걸림턱수단(223)은, 지탱수단(221)의 일측에 형성되며, 도 4에서 후술할 걸림홈수단(422)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세숫대야부(40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걸림턱수단(223)은, 세숫대야부(400)에 담긴 물을 흘려보내기 위해 회동시킬 시 일정 각도(예를 들어, 90ㅀ 등)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세숫대야부(400)가 제1받침부(2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은 도 1에 있는 세숫대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세숫대야부(400)는, 세숫대야부재(410) 및 두 개의 제2회동체결부재(420)를 포함한다.
세숫대야부재(410)는, 양측 하부에 제2회동체결부재(420)가 형성되며, 1받침부(200)의 내부 공간에 회동하도록 물을 받아 둔다.
제2회동체결부재(420)는, 세숫대야부재(410)의 양측에 하부에 형성되며, 회동홈수단(222)에 회동하도록 체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회동체결부재(420)는, 회동바수단(421) 및 걸림홈수단(422)을 포함한다.
회동바수단(421)은, 세숫대야부재(410)의 양측에 하부에 형성되며, 회동홈수단(222)에 회동하도록 체결된다.
걸림홈수단(422)은, 회동바수단(421)의 일측에 형성되며, 걸림턱수단(22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숫대야부재(41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숫대야부(400)는, 제2샤워기체결홈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샤워기체결홈부재(430)는, 일측에 형성되어 샤워기를 체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샤워기체결홈부재(430)는, 상용자가 세숫대야부(400) 쪽으로 머리를 향한 후 이게 체결된 샤워기에서 나오는 물을 이용하여 머리를 감거나 발을 씻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숫대야부(400)는, 제2회동체결부재(420)이 회동하는 쪽으로 치우쳐 형성됨으로써, 세숫대야부재(410)의 내부에 물이 담겨 있는 경우에 균형을 잃어 회동하여 내부에 담겨 있는 물이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숫대야부(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숫대야부(400)를 용이하게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세숫대야부(400)의 내부에 담김 물 등을 쏟아내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보조 세면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기능 보조 세면대(20)는, 거치부(100), 제1받침부(200), 제2받침부(300) 및 세숫대야부(400)를 포함한다.
거치부(100)는, 상부 일측에 제2받침부(300)를 체결하고, 상부 다른 일측에 제1받침부(200)를 체결하며, 욕조 테두리에 거치한다.
제2받침부(300)는, 거치부(100)의 상부 일측에 체결되며, 상부에 세숫대야부(400)를 거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받침부(300)는, 고정홈부재(3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부재(310)는, 제2받침부(3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세숫대야부(400)의 하부를 삽입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머리를 감는 등의 행위 시에 세숫대야부(400)가 밀려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20)는, 빨래판홈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도 6을 참조)
빨래판홈부재(320)는, 제2받침부(300)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빨래판과 같은 형태의 요철 모양을 형성함으로써, 세숫대야부(400)를 받쳐 주거나, 사용자들이 제2받침부(300)의 상부에서 빨래를 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20)는, 도 5의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세숫대야부(400)를 이용하여 머리를 감을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손빨래를 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20)는, 도 1에서 전술한 실시예와는 달리 제1받침부(200)와 제2받침부(300)의 체결 위치를 바꿔 사용하는 경우로서, 제1받침부(200)에 세숫대야부(400)를 체결하는 것보다 제2받침부(300)의 상부에 세숫대야부(400)를 거치하여 세숫대야부(400)의 위치를 높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목적(예를 들어, 머리를 감는 경우에는 높게 사용하는 등)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거치부
200: 제1받침부
210: 받침부재
220: 제1회동체결부재
221: 지탱수단
222: 회동홈수단
223: 걸림턱수단
230: 제1샤워기체결홈부재
300: 제2받침부
310: 고정홈부재
320: 빨래판홈부재
400: 세숫대야부
410: 세숫대야부재
420: 제2회동체결부재
421: 회동바수단
422: 걸림홈수단
430: 제2샤워기체결홈부재

Claims (8)

  1. 욕조 테두리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100);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 일측에 체결되어 받쳐주기 위한 제1받침부(200);
    상기 거치부(100)의 상부 다른 일측에 체결되어 받쳐주기 위한 제2받침부(300); 및
    양측이 상기 제1받침부(200)의 내부 공간에 회동하도록 체결되며, 물을 받아 두기 위한 세숫대야부(400)를 포함하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100)는,
    상부 일측에 상기 제2받침부(300)를 체결하고, 상부 다른 일측에 제1받침부(20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부(200)는.
    내측에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세숫대야부(400)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부재(210);
    상기 받침부재(210)의 내측 공간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양측을 체결하여 회동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제1회동체결부재(220); 및
    상기 공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샤워기를 체결하기 위한 제1샤워기체결홈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
  4. 제3항 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체결부재(220)는,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를 지탱해 주기 위한 지탱수단(221);
    상기 지탱수단(221)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를 삽입 체결하여 회동시켜 주기 위한 회동홈수단(222); 및
    상기 지탱수단(2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세숫대야부(40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수단(2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부(300)는,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세숫대야부(400)의 하부를 삽입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부재(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부(300)는,
    상부에 형성되며, 상부에 빨래판 형태의 요철 모양을 형성하는 빨래판홈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숫대야부(400)는,
    물을 받아 두기 위한 세숫대야부재(410);
    상기 세숫대야부재(410)의 양측에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홈수단(222)에 회동하도록 체결되기 위한 두 개의 제2회동체결부재(420); 및
    일측에 형성되어 샤워기를 체결하기 위한 제2샤워기체결홈부재(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체결부재(420)는,
    상기 세숫대야부재(410)의 양측에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홈수단(222)에 회동하도록 체결되기 위한 회동바수단(421); 및
    상기 회동바수단(421)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수단(223)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세숫대야부재(410)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수단(4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보조 세면대.
KR2020150008070U 2015-12-09 2015-12-09 다기능 보조 세면대 KR2017000214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70U KR20170002146U (ko) 2015-12-09 2015-12-09 다기능 보조 세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8070U KR20170002146U (ko) 2015-12-09 2015-12-09 다기능 보조 세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46U true KR20170002146U (ko) 2017-06-19

Family

ID=5924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8070U KR20170002146U (ko) 2015-12-09 2015-12-09 다기능 보조 세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146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506A (ko) 1998-08-26 2000-03-25 윌리엄 더블유. 하벨트 룸 공조기용 제어 박스
KR20040018603A (ko) 2002-08-23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506A (ko) 1998-08-26 2000-03-25 윌리엄 더블유. 하벨트 룸 공조기용 제어 박스
KR20040018603A (ko) 2002-08-23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259B1 (en) Collapsible infant tub
US9642499B2 (en) Bathtub insert for children
KR200464868Y1 (ko) 유동방지샤워기
KR20170002146U (ko) 다기능 보조 세면대
KR102028070B1 (ko) 유아용 목욕지지대
KR20130138164A (ko) 유아용 욕조
JP2006218066A (ja) 浴室用椅子
KR101475728B1 (ko) 샤워기 헤드 홀더
KR200233490Y1 (ko) 스텐드 구조의 샤워헤드 걸이대
KR100972250B1 (ko) 좌식 빨래통
KR200173721Y1 (ko) 유아용 욕조
JP7255776B2 (ja) 浴室トイレ
CN217517193U (zh) 一种多功能洗脸盆
KR200432920Y1 (ko) 발 세척 겸용 세탁장치
KR200418603Y1 (ko) 욕조에 걸치는 세숫대야 받침대
JPH0739673U (ja) シャワー使用の際腰掛として利用できる浴槽の蓋
KR20000017506U (ko) 욕조에 걸치는 보조세면대
FI89234C (fi) Anordning foer att utraetta aotgaerder pao wc-bassaengen
JP2515846Y2 (ja) シャワー使用の際腰掛として利用できる浴槽の蓋
FR3132724A1 (fr) Cuvette de lavabo suspendu multifonction
KR200305342Y1 (ko) 세면대
JP3005700U (ja) 家庭用幼児洗髪器
JP3506075B2 (ja) 股間洗浄装置
JP3012947U (ja) 浴槽用腰掛
FI124985B (fi) Pesutel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