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2047U -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2047U
KR20170002047U KR2020150007875U KR20150007875U KR20170002047U KR 20170002047 U KR20170002047 U KR 20170002047U KR 2020150007875 U KR2020150007875 U KR 2020150007875U KR 20150007875 U KR20150007875 U KR 20150007875U KR 20170002047 U KR20170002047 U KR 201700020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button
main body
led
ear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8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복귀
Original Assignee
정복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복귀 filed Critical 정복귀
Priority to KR2020150007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2047U/ko
Publication of KR201700020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4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는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형 이어폰과, 볼륨버튼과, 전원 온오프버튼으로 동작되는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 LED랜턴, LED랜턴의 온오프 버튼, 및 USB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신체에 부착함과 동시에 분실의 염려가 없고, 단순히 귀에 부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조명(랜턴)과 음성통화, 음악감상 및 조난 혹은 위급상황시 본인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조명신호기능을 모두 탑재하였기 때문에 편리하고 쾌적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MULTIPLE DEVICE FOR BLUETOOTH}
본 고안은 블루투스용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혹은 조명을 요구하는 작업 혹은 활동중 양손을 자유롭게 쓰면서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용 복합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귀, 목, 또는 머리에 장착할 수 있게 설계된 소형 스피커로서, MP3나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음악이나 통화음을 들을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이러한 이어폰은 선의 유무에 따라 유선 이어폰과 무선 이어폰으로 구분된다. 무선 이어폰은 일반적으로 무선 전송기인 블루투스가 장착되어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으로 데이터 교환이 가능하다. 나아가, 무선 이어폰에 마이크까지 장착된다면 휴대폰 사용시 핸즈프리(hands-free; 사용자가 휴대폰을 들지 않고 통화할 수 있는 상태)구현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어폰은 장착 형태에 따라, 귀에 거는 이어 타입 이어폰과, 목에 거는 넥 타입 이어폰과, 머리에 거는 헤드 타입 이어폰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이어폰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발신된 음성신호를 블루투스가 수신하게 되고, 수신된 음성신호는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파로 바뀌어 동작한다.
이러한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어폰은 무선이라는 장점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다.
한편, 현재 조명용으로 사용하는 LED(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각종 LED모듈이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는 전력소모가 적고 효율이 뛰어나며 내구성이 좋아 휴대용 랜턴으로도 많이 소지하고 다니고 있다.
이러한 블루트스 이어폰과 LED랜턴은 장점이 있으면서도 각각 분리하여 소지하여 다니기 때문에 보관이 불편하고, 각각의 전원을 별도로 관리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KR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3-0000875호(2013.02.06)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이어폰과 LED랜턴 기능을 복합적으로 구비한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조명(랜턴)과 음성통화, 음악감상 및 조난 혹은 위급상황시 본인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조명신호기능을 탑재한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분리된 배터리를 사용한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동작감지센서를 채용하여 배터리를 관리할 수 있는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4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는 음성통화기능과 음악감상기능 그리고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형 이어폰과,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은 본체의 옆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볼륨버튼과, 상기 이어폰이 형성된 면의 배면에 형성되고 시그널 LED로 동작되는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과, 상기 본체의 장축 일단에 구비된 LED랜턴, 상기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이 형성된 면에 구비된 상기 LED랜턴의 온오프 버튼, 및 상기 본체의 장축 타단에 구비된 USB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을 귀에 착용 시 블루투스 온오프버튼, LED버튼 그리고 LED랜턴을 본체의 상부에서부터 순서대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하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상기 볼륨버튼, 상기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 그리고 상기 LED랜턴의 온오프 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 및 상기 키입력부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이어폰의 볼륨을 업다운하거나 블루투스용 복합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하여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하고 또는 LED랜턴을 온오프제어하는 본체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탑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블루투스용 복합기기는 본체의 내부에 상기 USB접촉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는 제1 및 제2 배터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제1 배터리는 상기 시그널 LED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 배터리부는 상기 LED랜턴부와 상기 이어폰, 상기 볼륨버튼,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그리고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4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블루투스용 복합기기는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본체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온오프버튼이 눌러진 다음, 동작감지센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한 경우에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에 의하면, 국내외 캠핑, 낚시, 아웃도어, 등산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용자들에게 매우 유용하고, 실내외 기계 내부 작업현장 및 산업현장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에 의하면, 신체에 부착함과 동시에 분실의 염려가 없고, 단순히 귀에 부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조명(랜턴)과 음성통화, 음악감상 및 조난 혹은 위급상황시 본인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조명신호기능을 모두 탑재하였기 때문에 편리하고 쾌적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에 의하면, 2개의 배터리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전원관리를 할 수 있어 보다 지속적으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에 의하면, 동작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의 기기 사용상태와 준비상태를 판단하여 기기를 작동하기 때문에 손실없이 기기를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대한 전원 사용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으로 배터리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용 복합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기기의 일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용 복합기기의 주요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용 복합기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기기의 배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복합기기의 일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블루투스(bluetooth)용 복합기기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구성되는 LED랜턴(140)과, 돌출형 이어폰(160), 그리고 시그널 LED(122)를 구비하고, 볼륨을 제어하는 볼륨업다운버튼(131),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133), 그리고 LED랜턴 온오프 버튼(132)으로 각각의 구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00)는 발열과 내구도를 목적으로 한 특수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하고, 통상의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이 음성통화기능과 음악감상기능 그리고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하고, 그 내부에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각 구성요소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본체 내부에는 볼륨버튼(131), LED랜턴의 온오프 버튼(132), 그리고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133)을 구비한 키입력부(130)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150), 키입력부(130)의 키입력에 따라 이어폰(160)으로 출력되는 볼륨을 업다운하거나 블루투스용 복합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하여 블루투스모듈(150)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하고 또는 LED랜턴(140)을 온오프제어하는 본체 제어부(11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된다.
블루투스모듈(150)은 저전력환경에서 근거리 기기간 소규모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문선 통신 규격으로, 4.0이상으로 구성하여 전력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어폰(160)은 신체에 부착함과 동시에 본체의 분실 염려가 없도록 본체(100)의 일면에 돌출형으로 형성한다.
키입력부(130)는 본체의 외부에 각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온오프 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되는 키에 대한 데이터를 본체 제어부(110)로 전송하여 해당 키에 대한 기능이 동작되도록 한다.
이러한 키입력부에는 볼륨업다운버튼(131), LED랜턴온오프버튼(132),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133)등을 포함하여 통화키를 포함한 통상의 블루투스 이어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볼륨버튼(131)은 이어폰(160)이 형성되지 않은 본체의 옆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하되, 업다운 버튼 2개로 구성하여 신호처리부(170)에서 이어폰(160)으로 출력되는 음의 볼륨을 업다운제어할 수 있도록 동작된다.
아울러 신호처리부(170)는 USB단자(19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이어폰(160)으로 출력하도록 동작되고, 음성폰의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호처리나 통화음 처리를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133)은 이어폰(160)이 형성된 면의 배면에 형성되고 전원버튼으로 동작된다.
즉,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133)에 의하여 본체 내부의 각 구성요소의 전원을 온오프제어함과 동시에 블루투스모듈(150)을 제어하여 블루투스 기능이 온오프제어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133)에 의하여 전화, 메신저 앱을 통한 통화나 음악을 재생하고 멈출 수 있다.
LED랜턴(140)은 본체의 장축 일단에 구비하고 LED온오프버튼(132)에 의하여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동작하고, 본체의 장축 타단에는 USB 단자(190)를 구비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의 복합기기를 귀에 착용 시 USB단자는 상단에 위치하고 LED랜턴(140)은 하단에 위치하도록 구비한다.
또한, 본체의 내부에는 USB단자(19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는 고성능 리튬배터로 구성된 제1 배터리(124)와 제2 배터리(18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배터리(124)는 시그널 LED(122)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배터리(180)는 시그널 LED(122)를 제외한 타 구성요소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LED랜턴(140)과 이어폰(160), 키입력부(130), 블루투스 모듈(150)과 신호처리부(170)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도록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2개의 배터리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전원관리를 할 수 있어 보다 지속적으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시그널 LED(122)는 조난 혹은 위급 상황시에 사용할 조명신호기능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복합기기가 동작중 즉 블루투스 기능으로 페어링된 경우에는 일정 시간 주기로 점멸하여 본 기기가 동작중임을 알릴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시그널 LED(122)가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133)을 둥근 원형으로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시그널 LED(122)가 일정 주기로 점멸하므로, 시그널 LED(122)의 중앙에 위치한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133)을 온오프함으로써, 시그널 LED(122)의 점멸을 온오프함으로써, 복합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한다는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시그널 LED(122)는 중공부를 갖는 띠 형상의 다이얼 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중공부에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133)을 삽설하여 토글(toggle)식으로 동작되게 구성한다.
본 고안의 블루투스 복합기기는 이어폰(160)을 귀에 착용 시 블루투스 온오프버튼(133), LED온오프버튼(132) 그리고 LED랜턴(140)이 본체의 상부에서부터 순서대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 내부에는 본체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는 동작감지센서(200)를 더 구비하고, 본체 제어부(110)는 블루투스 온오프버튼(133)이 눌러진 다음, 동작감지센서(200)의 위치 이동을 감지한 경우에 블루투스 모듈(150)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하도록 제어한다.
이는 블루투스 기능을 온한 후에 실제 귀에다 이어폰을 꼽는 시간이 경우에 따라서는 긴 시간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전원을 절약하기 위하여 동작감지센서가 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결국 사용자가 이어폰을 귀에 꼽았다고 판단하여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고안에서는 동작감지센서(200)에 따라 블루투스 모듈(150)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하지 않고, 신호처리부(170),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음의 출력, 블루투스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체 제어부(110)는 LED온오프버튼(132)의 동작에 의하여 LED랜턴(140)이 온된 경우에도 신호처리부(170), 이어폰으로 출력되는 음의 출력, 블루투스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비활성화시켜 배터리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도 LED랜턴을 사용한다는 것은 귀에서 복합기기를 이격시킨다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블루투스 관련 기능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이 배터리의 절약에 도움이 된다.
본 고안은 복합기기를 귀에 착용하였을 때 기준으로 상광하협의 테이퍼진 형상으로 구성하여 외관적인 이미지제고와 LED랜턴으로 사용할 경우 손에 파지감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우측에서 좌측으로 테이퍼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의 작동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 단말기와 페어링하기 위해서 본 복합기기의 블루투스 온오프버튼(133)을 온시키면, 본체제어부(110)는 블루투스모듈(150)을 활성화시킨다.
페어링이 완료되면, 블루투스 모듈(150)에서 수신되는 신호음을 신호처리부(170)에서 처리하여 이어폰(160)으로 출력하도록 하여 음성통화나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그널 LED(122)를 소정 주기로 점멸시켜 복합기기가 동작중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동작감지센서(200)의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블루투스 온오프버튼(133)이 온 된 후 동작감지센서(200)에서 복합기기가 위치 이동이 되었다는 감지신호를 감지하면 본체 제어부(110)는 블투투스 모듈(150)을 비롯한 타 구성요소를 활성화시켜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기기의 이어폰을 귀에 꼽고 사용하다가, 블루투스 온오프버튼(133)이 오프되면, 본체 제어부(110)는 블루투스 모듈을 비롯한 타 구성요소를 비활성화시켜 복합기기가 오프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한편, 복합기기를 사용 중에 사용자가 LED랜턴(140)을 사용하기 위하여 귀에서 탈거하면 동작감지센서(200)가 이를 감지하고, 본체 제어부(110)로 감지신호를 출력하면, 본체 제어부(110)는 복합기기가 귀에서 탈거되었다는 것을 감지하고, 블루투스 모듈을 비롯한 타 구성요소를 비활성화시켜 복합기기가 오프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복합기기를 손에 파지한 상태에서 또는 귀에 삽입한 상태에서 LED온오프버튼(132)이 동작되면, 본체 제어부(110)는 LED랜턴(140)이 온되거나 오프되도록 제어한다.
본 고안의 복합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손에 파지한 상태에서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고안의 복합기기의 LED랜턴(140)이 소정 방향을 향하도록 귀에 꼽은 상태에서 LED랜턴(140)을 온한 경우에는 해당 방향에 조명을 비추는 조명기기로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에 의하면, 신체에 부착함과 동시에 분실의 염려가 없고, 단순히 귀에 부착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조명(랜턴)과 음성통화, 음악감상 및 조난 혹은 위급상황시 본인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조명신호기능을 모두 탑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본체 122 : 시그널 LED
124 : 제1 배터리 130 : 키입력부
131 : 볼륨업다운버튼 132 : LED랜턴 온오프 버튼
133 :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 140 : LED랜턴
150 : 블루투스모듈 160 : 이어폰
170 : 신호처리부 190 : USB단자
180 : 제2 배터리

Claims (6)

  1. 음성통화기능과 음악감상기능 그리고 블루투스 기능을 탑재한 본체;
    상기 본체의 일면에 형성된 돌출형 이어폰;
    상기 이어폰이 연결되지 않은 본체의 옆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볼륨버튼;
    상기 이어폰이 형성된 면의 배면에 형성되고 전원 온오프버튼으로 동작되는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
    상기 본체의 장축 일단에 구비된 LED랜턴;
    상기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이 형성된 면에 구비된 상기 LED랜턴의 온오프 버튼;및
    상기 본체의 장축 타단에 구비된 USB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이어폰을 귀에 착용 시 블루투스 온오프버튼, LED버튼 그리고 LED랜턴을 본체의 상부에서부터 순서대로 서로 이격되도록 구비한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볼륨버튼, 상기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 그리고 상기 LED랜턴의 온오프 버튼을 포함하는 키입력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블루투스모듈;및
    상기 키입력부의 키입력에 따라 상기 이어폰의 볼륨을 업다운하거나 블루투스용 복합기기의 전원을 온오프하여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하고 또는 LED랜턴을 온오프제어하는 본체 제어부;
    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탑재된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USB접촉단자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충전되는 제1 및 제2 배터리;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시그널 LED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2 배터리부는 상기 LED랜턴부와 상기 이어폰, 상기 볼륨버튼,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그리고 블루투스 온/오프 버튼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의 위치 이동을 인식하는 동작감지센서;
    를 더 구비하고,
    본체 제어부는
    상기 블루투스 온오프버튼이 눌러진 다음, 동작감지센서의 위치 이동을 감지한 경우에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하는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제어부는
    상기 LED렌턴의 온오프버튼의 동작에 의하여 LED랜턴이 온된 경우에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비활성화시키는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KR2020150007875U 2015-12-02 2015-12-02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KR201700020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75U KR20170002047U (ko) 2015-12-02 2015-12-02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75U KR20170002047U (ko) 2015-12-02 2015-12-02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47U true KR20170002047U (ko) 2017-06-12

Family

ID=5909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875U KR20170002047U (ko) 2015-12-02 2015-12-02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2047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875U (ko) 2011-07-28 2013-02-06 최형근 스마트폰 블루투스 원격제어 엘이디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0875U (ko) 2011-07-28 2013-02-06 최형근 스마트폰 블루투스 원격제어 엘이디 컨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37197B (zh) 双耳无线耳机及其通信控制方法
US200502668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mote incoming call notification for cellular phones
CN203233523U (zh) 一种多功能蓝牙耳机结构
TW200625153A (en) Operating unit,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terminal device
CN204519586U (zh) 一体成型五金智能手环
CN103763647A (zh) 蓝牙通讯装置
CN203868715U (zh) 一种多功能应急手电筒
CN204635295U (zh) 可接听电话的耳饰
CN2884722Y (zh) 一种指环手机无线耳机
KR20170002047U (ko) 블루투스용 복합 기기
KR100392464B1 (ko) 안경 착탈용 헤드셋
CN202059553U (zh) 耳挂式led蓝牙耳机
CN103654041A (zh) 一种遥控蓝牙抱枕
CN104839951A (zh) 可接听电话的耳饰
CN203399261U (zh) 一种蓝牙耳机
CN203775375U (zh) 蓝牙通讯装置
CN203537030U (zh) 具备蓝牙麦克风功能的无线听筒充电座
CN202931533U (zh) 一种集成照明装置的多功能蓝牙耳机
CN210745140U (zh) 一种颈环对讲机弹性颈环骨架
KR100883104B1 (ko) 헤드셋 시스템 및 이의 리셋 운용 방법
KR101777718B1 (ko) 헬멧용 라이트 스위칭 장치
CN204158904U (zh) 蓝牙防尘口罩
CN210745135U (zh) 一种颈环对讲机
CN214481204U (zh) 一种可左右耳佩戴耳挂式蓝牙耳机
CN203301569U (zh) 一种手机保护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