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71A -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71A
KR20170001971A KR1020150091756A KR20150091756A KR20170001971A KR 20170001971 A KR20170001971 A KR 20170001971A KR 1020150091756 A KR1020150091756 A KR 1020150091756A KR 20150091756 A KR20150091756 A KR 20150091756A KR 20170001971 A KR20170001971 A KR 20170001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ing
aircraft
aircraft wing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9061B1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1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0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00Wings
    • B64C3/38Adjustment of complete wings or parts thereof
    • B64C3/56Folding or collapsing to reduce overall dimensions of aircraft
    • B64C2700/6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익 항공기의 날개를 접거나, 펴는 기계장치로 일반적인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기 또는 펴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공기 동체에 구비되며, 항공기 날개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항공기 날개를 접거나 펴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에 있어서, 접이몸체(100); 상기 접이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공구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회전력을 상기 항공기 날개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00); 상기 항공기 날개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항공기 날개가 회전되도록 구동하는 힌지부(300); 및 상기 동력전달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피스톤 운동을 통해 돌출 또는 삽입되어, 상기 항공기 날개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APPARATUS FOR FOLDING BLADE OF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익 항공기(비행기)의 날개를 접거나, 펴는 기계장치로 일반적인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접기 또는 펴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기는 고정익 항공기(비행기)와 회전익 항공기(헬리콥터)로 나뉜다. 그중에서 회적인 항공기는 수직이착륙이 가능하여 선박 및 도서산간 지역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날개가 고정되어 있어, 계류 및 격납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적익 항공기는 날개를 접거나 펴는 자동식 접기/펴기 구동기가 구비되어 있다. 자동식 접기/펴기 구동기는 구동기, 제어기, 제어패널, 전원장치 및 지원장치 등 다수의 장비로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4-0044952호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저가형 고속 무인 항공기", 공개일 2014.04.16., 이하 '선행기술')는 날개를 접기 또는 펴기 위한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 역시 날개를 접기 또는 펴기 위한 장치가 다수의 장비로 구성되어 있어 항공기의 중량과 체적을 증가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자동식 접기/펴기 구동기는 일련의 제어 및 정보교환의 유기적 작동과정 필요로 인한 단일 구성품의 고장이 전체의 고장으로 확산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자동식 접기/펴기 구동기가 구비되지 않은 항공기의 경우, 항공기 날개가 단순히 힌지 결합되어 있어, 사람들이 일일이 항공기 날개를 밀어 접거나 폈다. 이때, 인력이 많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항공기 날개의 접기/펴기 장치는 다수의 장비들이 구성되지 않으면서, 간단하게 날개를 접거나 펼 수 있는 장치에 대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44952호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저가형 고속 무인 항공기", 공개일 2014.04.1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기계적인 구성으로 항공기 날개를 접거나 폄으로써, 생산비용 및 운용비용을 줄일 수 있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항공기 동체에 구비되며, 항공기 날개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항공기 날개를 접거나 펴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이몸체(100); 상기 접이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공구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회전력을 상기 항공기 날개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00); 상기 항공기 날개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항공기 날개가 회전되도록 구동하는 힌지부(300); 및 상기 동력전달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피스톤 운동을 통해 돌출 또는 삽입되어, 상기 항공기 날개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200)는 상부 및 하부가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가 공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구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부(220);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22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고, 허용하중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슬립되면서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부(230); 및 상기 클러치부(2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부(23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기어부(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는 상단에 상기 공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연결홈(221)과,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판(222), 및 상기 연결판(222)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핑거(223)를 포함하는 연결몸체(220a); 및 상기 연결판(222)의 하단에 구비되며,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몸체(224)와, 상기 플레이트몸체(224)의 각 면의 일부가 돌출 형성되는 플레이트 암(225)과, 상기 하우징(210)과 플레이트몸체(224)의 각 모서리를 잇는 일직선 상에 상기 핑거(223)가 구비되고, 상기 일직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226), 및 상기 플레이트몸체(224)의 하단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판(227)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부(2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230)는 상기 연결부(22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231); 상기 중심축(231)의 둘레면 일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판(232); 상기 중심판(232)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클러치판(233); 상기 연결부(220)의 하단과 상기 클러치판(233)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234); 상기 중심판(232)과 상기 클러치판(233)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볼베어링(235); 및 상기 중심판(23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볼의 하부가 일부 삽입되는 클러치홈(23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부(240)는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 천공부를 밀폐하는 밀폐판(241); 및 상기 밀폐판(241)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동력전달기어(2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접이몸체(100)의 일측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고정홀(410); 상기 고정홀(410)과 마주보는 접이몸체(100)의 내벽과 상기 고정홀(410)을 연결하는 고정지지대(420); 상기 고정지지대(4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410)을 관통하는 고정몸체(430); 및 외측이 상기 동력전달부(200)와 연결되며, 내측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430)의 외측과 밀착되는 고정기어(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430)는 끝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4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항공기 날개를 접거나 펴기를 수행함으로써, 항공기의 중량과 체적을 감소시켜, 운용비용을 절감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는 간소한 기계장치로 구성되어 신뢰도가 높고 단일품의 고장이 전체적으로 전파되지 않아 항공기 운용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는 간소한 기계장치로 구성되어, 종래의 자동식 접기/펴기 구동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 및 운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항공기 동체 및 날개 사이에 구비되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투명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내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1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2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동력전달부의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고정부의 개념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항공기 동체 및 날개 사이에 구비되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투명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내부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1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2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의 동력전달부의 횡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10)는 항공기 동체의 슬리브(20)와 결합되며, 항공기 날개(30)와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10)는 일반적인 공구를 이용하여 항공기 날개(30)를 접거나 펴는 접이 장치이다.
도2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는 접이몸체(100), 동력전달부(200), 힌지부(300) 및 고정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접이몸체(100)는 내부에 동력전달부(200), 감속기(110) 및 고정부(400)가 구비되며, 외측에 힌지부(300)가 구비된다.
동력전달부(200)는 상기 접이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일반적인 공구(드라이버, 전동드릴 등)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력은 감속기(110)로 전달되어, 항공기 날개를 접거나 편다.
힌지부(300)는 상기 접이몸체(100)의 외부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항공기 날개와 힌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힌지부(300)는 상기 동력전달부(200) 및 감속기(1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항공기 날개를 접거나 펴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400)는 접이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0) 또는 감속기(110)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부(400)는 항공기 날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여 동력전달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동력전달부(200)는 하우징(210), 연결부(220), 클러치부(230) 및 기어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210)은 상부 및 하부가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내부의 연결부(220) 및 클러치부(2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200)는 상기 연결부(220)와 하우징(210) 사이에 연결베어링(250)이 더 구비된다.
연결부(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공구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의 일측은 공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구에 의해 회전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는 연결몸체(220a) 및 플레이트부(220b)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몸체(220a)는 연결홈(221), 연결판(222) 및 핑거(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홈(221)은 상기 연결몸체(220a)의 상단에 상기 공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홈(221)은 공구와 연결되어, 상기 공구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연결판(222)은 상기 연결몸체(220a)의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결판(222)은 하부에 다수개의 상기 핑거(223)가 구비된다.
상기 핑거(223)는 상기 연결판(222) 하부에 돌출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220b)는 플레이트몸체(224), 플레이트 암(225), 롤러(226) 및 플레이트판(2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몸체(224)는 상기 연결판(222)의 하단에 구비되며, 다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암(225)은 상기 플레이트몸체(224)의 각 면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롤러(226)는 상기 하우징(210)과 플레이트몸체(224) 사이에 상기 핑거(223)가 구비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핑거(223)는 플레이트몸체(224)의 각 모서리에서 하우징(210)을 연결하는 가상의 일직선 상에 구비되며, 상기 롤러(226)는 상기 일직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구동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핑거(223)는 연결부(220)에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연결부(220)가 공구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핑거(223)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핑거(223)는 롤러(226)를 밀어, 연결부(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롤러(226) 또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상기 롤러(226)는 상기 플레이트 암(225)을 밀어, 연결부(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플레이트부(220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기 플레이트부(220b)는 클러치부(230)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항공기 날개를 접거나 편다.
반대로, 항공기 날개가 외력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이 되면, 상기 회전력이 플레이트부(220b)로 전달된다. 이러한 상기 플레이트부(220b)는 상기 회전력에 의해 시계반대방향(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외력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몸체(224)가 시계반대방향(또는 시계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기 플레이트 암(225)은 상기 롤러(226)를 상기 플레이트몸체(224)와 동일한 방향으로 밀게 된다. 하지만, 상기 롤러(226)가 상기 플레이트몸체(224)의 모서리와 하우징(210) 사이에 구비되기 때문에, 플레이트몸체(224)와 하우징(210)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플레이트부(220b)의 움직임을 감쇄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플레이트판(227)은 상기 플레이트몸체(224)의 하단에 구비된다.
클러치부(230)는 상기 하우징(2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220)와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클러치부(230)는 상기 연결부(22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230)는 허용하중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슬립되면서 회전력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클러치부(230)는 중심축(231), 중심판(232), 클러치판(233), 스프링(234), 볼베어링(235) 및 클러치홈(23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축(231)은 상기 연결부(220)의 중심을 관통한다.
상기 중심판(232)은 상기 중심축(231)의 둘레면 일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클러치판(233)은 상기 중심판(232)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234)은 상기 연결부(220)의 하단과 상기 클러치판(233)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볼베어링(235)은 상기 중심판(232)과 상기 클러치판(233) 사이에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홈(236)은 상기 중심판(23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볼베어링(235)의 하부가 일부 삽입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230)는 상기 중심판(232)과 기어부(240) 사이에 베어링(237)이 더 구비된다.
기어부(240)는 상기 클러치부(2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부(230)의 회전력을 전달 받는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어부(240)는 밀폐판(241) 및 동력전달기어(242)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판(241)은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 천공부를 밀폐한다.
상기 동력전달기어(242)는 상기 밀폐판(241)의 하부에 다수개 구비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기어(242)는 동력전달부(200)의 외측에 구비되어, 공구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감속기(110), 힌지부(300) 또는 고정부(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3 및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부(400)는 고정홀(410), 고정지지대(420), 고정몸체(430) 및 고정기어(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홀(410)은 상기 접이몸체(100)의 일측에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지지대(420)는 상기 고정홀(410)과 마주보는 접이몸체(100)의 내벽 및 상기 고정홀(410)을 연결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몸체(430)는 상기 고정지지대(4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430)는 상기 고정홀(410)을 관통하여 접이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몸체(430)는 상기 접이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항공기 날개의 고정한다. 반대로, 상기 고정몸체(430)가 상기 접이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면, 항공기 날개의 고정을 해제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기어(440)는 외측이 상기 동력전달부(200) 또는 감속기(110)와 연결되며,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430)의 외측과 밀착된다. 이러한, 상기 고정기어(440)는 상기 동력전달부(200) 또는 감속기(11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몸체(430)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고정몸체(430)는 상기 고정지지대(420)를 따라 접이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고정몸체(430)는 상기 접이몸체(100) 내부 방향의 끝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431)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431)는 상기 고정몸체(430)가 접이몸체(100) 외부로 돌출될 때, 상기 고정기어(440)에 걸려 상기 고정몸체(430)가 상기 접이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접이몸체
200 : 동력전달부
210 : 하우징
220 : 연결부
220a : 연결몸체
220b : 플레이트부
221 : 연결홈
222 : 연결판
223 : 핑거
224 : 플레이트몸체
225 : 플레이트 암
226 : 롤러
227 : 플레이트판
230 : 클러치부
231 : 중심축
232 : 중심판
233 : 클러치판
234 : 스프링
235 : 볼베어링
236 : 클러치홈
240 : 기어부
241 : 밀폐판
242 : 동력전달기어
300 : 힌지부
400 : 고정부
410 : 고정홀
420 : 고정지지대
430 : 고정몸체
431 : 걸림부
440 : 고정기어

Claims (7)

  1. 항공기 동체에 구비되며, 항공기 날개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항공기 날개를 접거나 펴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에 있어서,
    접이몸체(100);
    상기 접이몸체(1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공구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되고, 상기 회전력을 상기 항공기 날개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00);
    상기 항공기 날개와 힌지 결합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항공기 날개가 회전되도록 구동하는 힌지부(300); 및
    상기 동력전달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 받아 피스톤 운동을 통해 돌출 또는 삽입되어, 상기 항공기 날개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200)는
    상부 및 하부가 천공되어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부(20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상부에 구비되며, 상부가 공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구에 의해 회전하는 연결부(220);
    상기 하우징(21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22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고, 허용하중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슬립되면서 회전력을 차단하는 클러치부(230); 및
    상기 클러치부(2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클러치부(230)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는 기어부(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20)는
    상단에 상기 공구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연결홈(221)과,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판(222), 및 상기 연결판(222)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핑거(223)를 포함하는 연결몸체(220a); 및
    상기 연결판(222)의 하단에 구비되며, 다각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몸체(224)와, 상기 플레이트몸체(224)의 각 면의 일부가 돌출 형성되는 플레이트 암(225)과, 상기 하우징(210)과 플레이트몸체(224)의 각 모서리를 잇는 일직선 상에 상기 핑거(223)가 구비되고, 상기 일직선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226), 및 상기 플레이트몸체(224)의 하단에 구비되는 플레이트판(227)을 포함하는 플레이트부(22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230)는
    상기 연결부(220)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축(231);
    상기 중심축(231)의 둘레면 일부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중심판(232);
    상기 중심판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클러치판(233);
    상기 연결부(220)의 하단과 상기 클러치판(233) 사이에 구비되는 스프링(234);
    상기 중심판(232)과 상기 클러치판(233)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볼베어링(235); 및
    상기 중심판(232)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볼의 하부가 일부 삽입되는 클러치홈(23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240)는
    상기 하우징(210)의 하부 천공부를 밀폐하는 밀폐판(241); 및
    상기 밀폐판(241)의 하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동력전달기어(2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0)는
    상기 접이몸체(100)의 일측에 천공되어 형성되는 고정홀(410);
    상기 고정홀(410)과 마주보는 접이몸체(100)의 내벽과 상기 고정홀(410)을 연결하는 고정지지대(420);
    상기 고정지지대(420)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410)을 관통하는 고정몸체(430); 및
    외측이 상기 동력전달부(200)와 연결되며, 내측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몸체(430)의 외측과 밀착되는 고정기어(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430)는
    끝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부(4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KR1020150091756A 2015-06-29 2015-06-29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KR101739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756A KR101739061B1 (ko) 2015-06-29 2015-06-29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756A KR101739061B1 (ko) 2015-06-29 2015-06-29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71A true KR20170001971A (ko) 2017-01-06
KR101739061B1 KR101739061B1 (ko) 2017-05-25

Family

ID=5783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756A KR101739061B1 (ko) 2015-06-29 2015-06-29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5868A (zh) * 2017-08-15 2018-02-13 浙江大学 一种高亚音速隐身无人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952A (ko) 2012-07-12 2014-04-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저가형 고속 무인 항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952A (ko) 2012-07-12 2014-04-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접이식 날개를 구비한 저가형 고속 무인 항공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85868A (zh) * 2017-08-15 2018-02-13 浙江大学 一种高亚音速隐身无人机
CN107685868B (zh) * 2017-08-15 2023-12-12 浙江大学 一种高亚音速隐身无人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9061B1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8898B (zh) 气动泄压致动器
US10710696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with linkage foldable arms
CN103963958B (zh) 无人机机翼折叠机构
WO2018228033A1 (zh) 无人机及其起落架
CN108190049B (zh) 一种可重复折展机构及卫星太阳翼
EP3409959B1 (en) Foldable deployment mechanism
CN105109666A (zh) 具有折叠臂的飞行器
KR101739061B1 (ko) 항공기 날개 접이 장치
CN104619589A (zh) 具有抗阻断装置的机电致动器
CN101537979A (zh) 一种锁定销插拨装置及带有该锁定销插拨装置的起重机
BR102015011994B1 (pt) Conjunto de acionamento seletivamente desconectável e reconectável, e, atuador rotativo
JP6093313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N104859836A (zh) 无人飞行器
CN106494644B (zh) 一种折叠舵面的折叠装置
CN111003170B (zh) 一种自适应展开共轴旋翼系统
CN104743132B (zh) 航拍装置
JP2008104599A (ja) ランディング・ギア・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飛行機玩具
CN103387049A (zh) 传动螺杆组件及具有其的起落架组件
CN104309819B (zh) 一种内置铰链式空间舱门展收机构
CN203767065U (zh) 无人机机翼折叠机构
CN107054637B (zh) 一种多旋翼直升机折叠系统
CN110871886B (zh) 用于飞行器的可折叠展开机翼及具有飞行器
CN205044941U (zh) 具有折叠臂的飞行器
CN108015798A (zh) 一种可释放和锁紧的空间机械臂关节
CN109606661B (zh) 一种可折叠的四旋翼无人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