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935A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935A
KR20170001935A KR1020150163510A KR20150163510A KR20170001935A KR 20170001935 A KR20170001935 A KR 20170001935A KR 1020150163510 A KR1020150163510 A KR 1020150163510A KR 20150163510 A KR20150163510 A KR 20150163510A KR 20170001935 A KR20170001935 A KR 20170001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ouch
openings
senso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864B1 (ko
Inventor
임충열
장미
권도현
이민정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53,56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168844B2/en
Priority to EP16175977.4A priority patent/EP3109742B1/en
Priority to TW105120075A priority patent/TWI736538B/zh
Priority to CN202110419789.4A priority patent/CN113110760B/zh
Priority to JP2016125546A priority patent/JP6823949B2/ja
Priority to CN201610471210.8A priority patent/CN106293197B/zh
Publication of KR2017000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935A/ko
Priority to US16/234,603 priority patent/US10761664B2/en
Priority to US17/007,204 priority patent/US11327616B2/en
Priority to US17/740,237 priority patent/US11614840B2/en
Priority to US18/113,017 priority patent/US1191482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27/323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01L27/3258
    • H01L27/3274
    • H01L51/0097
    • H01L51/5237
    • H01L2227/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의 터치전극들과 절연층들은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대응하는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을 갖는다. 그에따라 표시장치의 플렉서블리티가 향상되고, 터치전극의 크랙이 방지된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는 터치스크린 일체형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과 같은 전자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정보제공을 위해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전자장치들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됨에 따라 표시장치의 형태로 그에 대응하게 변화되고 있다. 기존의 전자장치들은 평판형 표시장치를 구비하였다. 최근에 개발되는 전자장치들은 곡면형, 벤딩형, 롤링형과 같은 플렉서블형 표시장치를 요구한다.
그밖에 수요자들은 슬림화된 전자장치들을 요구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성 부재들이 표시장치에 일체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량률이 감소된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베이스면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제1 도전패턴들, 제1 절연층, 제2 도전패턴들, 및 제2 절연층을 포함한다. 제1 도전패턴들은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한다. 상기 제1 절연층은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패턴들을 커버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이 정의된다. 상기 제2 도전패턴들은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한다. 상기 제2 절연층은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패턴들을 커버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개구부들이 정의된 제2 절연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도전패턴들 및 상기 제2 도전패턴들 각각은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패턴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된 제1 터치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패턴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된 제2 터치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전극들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된 제1 센서부들 및 각각이 상기 제1 센서부들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패턴들은 상기 제1 센서부들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센서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패턴들은 각각이 제2 센서부들 중 상기 제2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센서부들을 상기 제1 절연층을 관통하는 관통홀들을 통해 연결하는 제2 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 소자층, 및 상기 유기발광 소자층을 봉지하는 박막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베이스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유기발광 소자층에 접촉하는 하부 무기 박막,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된 유기 박막들, 상기 유기 박막들과 교번하게 적층된 상부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무기 박막은 적어도 리튬 플로라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번하게 적층된 상기 상부 유기 박막들과 상기 상부 무기 박막들 중 최상측에 배치된 박막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에 대응하는 제3 개구부들 또는 홈부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에 대응하는 제3 개구부들 또는 홈부들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패턴들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제1 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1 터치전극들과 이격된 제1 보조전극들을 포함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패턴들은, 상기 제1 터치전극들과 교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되고, 각각이 상기 제1 보조전극들 중 대응하는 제1 보조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터치전극들 및 각각이 상기 제1 터치전극들 중 대응하는 제1 터치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보조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2 보조전극들 중 대응하는 제2 보조전극들에 중첩하는 제1 센서부들 및 각각이 상기 제1 센서부들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1 보조전극들 중 대응하는 제1 보조전극들에 중첩하는 제2 센서부들 및 각각이 상기 제2 센서부들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응하는 제2 보조전극들과 상기 제1 센서부들은 상기 제1 절연층을 관통하는 보조 관통홀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보조전극들 각각은 메쉬 형상이고, 상기 제2 보조전극들 각각은 메쉬 형상일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베이스면을 제공하고, 상기 베이스면 상에서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절연 개구부들이 정의된 절연층, 절연 교차하는 제1 및 제2 터치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며 소정의 방향으로 나열된 제1 하부 센서부들,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제1 하부 센서부들 중 인접한 2개의 제1 하부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부들 및 상기 제1 하부 센서부들과 상기 하부 연결부들을 커버하는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제1 하부 센서부들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제1 하부 센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상부 센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터치전극들이 메쉬형상을 갖고, 터치전극들에 접촉하는 절연층에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플렉서블리티가 향상된다.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벤딩될 때, 터치전극들에 인가되는 인장 스트레스/압축 스트레스가 감소됨으로써 터치전극들의 크랙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1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2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1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제2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의 단면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도전층들의 평면도들이다.
도 10a는 도 9a의 AA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9b의 BB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9a 및 도 9b의 CC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도전층들의 평면도들이다.
도 14c는 도 14a 및 도 14b의 CC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d는 도 14c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도전층들의 평면도들이다.
도 16a는 도 15a 및 도 15b의 DD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c 및 도 16d는 도 16a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면에서는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의 스케일을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는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일부 구성요소의 스케일을 과장하거나 축소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유사한 참조 부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어떤 층이 다른 층의 '상에' 형성된다(배치된다)는 것은, 두 층이 접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층 사이에 다른 층이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어떤 층의 일면이 평평하게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평평할 것을 요구하지 않으며, 적층 공정에서 하부층의 표면 형상에 의해 상부층의 표면에 단차가 발생할 수도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1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2 동작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1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제2 동작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IS)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다. 표시면(IS)의 법선 방향, 즉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3,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3,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도 1a 내지 도 2b은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일례로 폴더블 표시장치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렉서블 표시장치(DD)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커브드 플렉서블 표시장치 또는 말려지는 롤러블 플렉서블 표시장치일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플렉서블 표시장치(DD)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과 같은 대형 전자장치를 비롯하여, 휴대 전화, 테블릿, 자동차 네비게이션, 게임기, 스마트 와치 등과 같은 중소형 전자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표시면(IS)은 복수 개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DD)는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영역(DA), 표시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비표시영역(NDA)은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도 1a에는 이미지(IM)의 일 예로 화병을 도시하였다. 일 예로써, 표시영역(DA)은 사각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영역(NDA)은 표시영역(DA)을 에워쌓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표시영역(DA)의 형상과 비표시영역(NDA)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벤딩축(BX)을 따라 벤딩되는 벤딩영역(BA), 비벤딩되는 제1 비벤딩영역(NBA1), 및 제2 비벤딩영역(NBA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비벤딩영역(NBA1)의 표시면(IS)과 제2 비벤딩영역(NBA2)의 표시면(IS)이 마주하도록 내측 벤딩(inner-bending)될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외측 벤딩(outer-bending)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DD)는 복수 개의 벤딩영역(BA)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표시장치(DD)를 조작하는 형태에 대응하게 벤딩영역(BA)이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벤딩영역(BA)은 도 1b와 달리 제1 방향축(DR1)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고, 대각선 방향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벤딩영역(BA)의 면적은 고정되지 않고, 벤딩반경(BR, 도 2a 참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패널(DP), 터치스크린(TS), 및 윈도우 부재(WM)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 터치스크린(TS), 및 윈도우 부재(WM) 각각은 플렉서블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표시장치(DD)는 윈도우 부재(WM)와 결합되어 표시패널(DP) 및 터치스크린(TS)를 보호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윈도우 부재(WM)는 생략되거나, 터치스크린(TS)에 일체화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IM, 도 1a 참조)를 생성한다.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 전기영동 표시패널, 일렉트로웨팅 표시패널 등일 수 있고,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유기발광 표시패널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터치스크린(TS)은 외부입력의 좌표정보를 획득한다. 터치스크린(TS)은 표시패널(DP)이 제공하는 베이스면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터치스크린(TS)은 표시패널과 연속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따라서 터치스크린(TS)과 표시패널(DP) 사이에 배치되는 별도의 접착부재는 생략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TS)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자기 유도 방식과 같이, 2개 타입의 터치전극들을 포함하는 다른 방식의 터치스크린으로 대체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투명 광학 접착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OCA)에 의해 터치스크린(TS)과 결합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M)는 베이스 부재(WM-BS) 및 베젤층(WM-BZ)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WM-BS)는 플라스틱 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층(WM-BZ)은 베이스 부재(WM-BS)에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베젤층(WM-BZ)은 베이스 부재(WM-BS)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장치(DD)의 베젤영역 즉, 비표시영역(NDA, 도 1a 참조)을 정의할 수 있다.
베젤층(WM-BZ)은 유색의 유기층으로써 예컨대,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윈도우 부재(WM)는 베이스 부재(WM-BS)의 전면에 배치된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코팅층은 지문 방지층, 반사 방지층, 및 하드 코팅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패널(DP)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PX)의 등가회로도이다. 이하, 플렉서블 표시패널(DP)은 유기발광 표시패널(DP)로 설명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평면상에서 표시영역(DA)과 비표시영역(NDA)을 포함한다.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은 베젤층(WM-BZ)에 의해 정의되는 표시장치(DD)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영역(NDA)과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고,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구조/디자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표시영역(DA)에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포함한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 개의 화소들(PX)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 개의 화소들(PX)은 비 매트릭스 형태, 예컨대 펜타일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i번째 주사 라인(SLi)과 j번째 소스 라인(DLj)에 접속된 하나의 화소(PXij)의 등가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 개의 화소들(PX)은 동일한 등가회로를 가질 수 있다.
화소(PXij)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TR1, TR2),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Cap), 및 유기발광 소자(OLE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트랜지스터들(TR1, TR2) 및 하나의 커패시터(Cap)를 포함하는 화소 구동회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화소 구동회로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기발광 소자(OLED)의 애노드는 제2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전원라인(PL)으로 인가된 제1 전원전압(ELVDD)을 수신한다. 유기발광 소자(OLED)의 캐소드는 제2 전원전압(ELVSS)을 수신한다. 제1 트랜지스터(TR1)는 i번째 주사 라인(SLi)에 인가된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j번째 소스 라인(DLj)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커패시터(Cap)는 제1 트랜지스터(TR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커패시터(Cap)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여 유기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5는 표시영역(DA, 도 3 참조)의 일부를 도시하였다. 도 6a은 도 4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1 트랜지스터(TR1) 및 커패시터(Cap)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고,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등가회로의 제2 트랜지스터(TR2) 및 유기발광 소자(OLED)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제1 방향축(DR1)과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평면 상에서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과 비발광영역(NPXA)으로 구분된다. 도 5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에는 3개의 서로 다른 컬러들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소자들이 각각 배치된다.
3개 타입의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은 서로 다른 컬러의 광들을 방출한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을 에워쌓는 제1 비발광영역들(NPXA-1) 및 제1 비발광영역들(NPXA-1) 사이에 배치된 제2 비발광영역(NPX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비발광영역들(NPXA-1)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화소의 구동회로, 예컨대 트랜지스터들(TR1, TR2, 도 4 참조) 또는 커패시터(Cap, 도 4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비발광영역(NPXA-2)에 신호 라인들, 예컨대 주사 라인(SLi, 도 4 참조), 소스 라인(DLj, 도 4 참조), 전원 라인(PL, 도 4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비발광영역들(NPXA-1)과 제2 비발광영역(NPXA-2)은 서로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 각각은 마름모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복적으로 배치된 4개 타입의 발광영역들에 4개의 서로 다른 컬러들을 발광하는 유기발광 소자들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광영역에서 소정의 컬러의 광을 방출한다"는 것은 대응하는 발광소자에서 생성된 광을 그대로 방출하는 것뿐만 아니라, 대응하는 발광소자에서 생성된 광의 컬러를 변환시켜서 방출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기발광 표시패널(DP)은 베이스 기판(SUB), 회로층(DP-CL), 유기발광 소자층(DP-OLED), 및 박막 봉지층(TFE)을 포함한다. 회로층(DP-CL)은 복수 개의 도전층과 복수 개의 절연층을 포함하고, 유기발광 소자층(DP-OLED)은 복수 개의 도전층과 복수 개의 기능성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은 플렉서블한 기판으로 폴리 이미드와 같은 플라스틱 기판, 유리 기판, 메탈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 상에 제1 트랜지스터(TR1)의 반도체 패턴(AL1: 이하, 제1 반도체 패턴) 및 제2 트랜지스터(TR2)의 반도체 패턴(AL2, 이하 제2 반도체 패턴)이 배치된다.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는 저온에서 형성되는 아몰포스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 기판(SUB)의 일면 상에 기능층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기능층들은 배리어층 또는 버퍼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은 배리어층 또는 버퍼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SUB) 상에 제1 반도체 패턴(AL1) 및 제2 반도체 패턴(AL2)을 커버하는 제1 절연층(12)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12)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1 절연층(12)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상에 제1 트랜지스터(TR1)의 제어전극(GE1: 이하, 제1 제어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R2)의 제어전극(GE2, 이하, 제2 제어전극)이 배치된다. 제1 절연층(12) 상에 커패시터(Cap)의 제1 전극(E1)이 배치된다. 제1 제어전극(GE1), 제2 제어전극(GE2), 및 제1 전극(E1)은 주사 라인(SLi, 도 4 참조)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전극(E1)은 주사 라인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2) 상에 제1 제어전극(GE1) 및 제2 제어전극(GE2) 및 제1 전극(E1)을 커버하는 제2 절연층(14)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14)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2 절연층(14)은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무기 박막들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 및 실리콘 옥사이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소스 라인(DLj, 도 4 참조) 및 전원 라인(PL, 도 4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제1 트랜지스터(TR1)의 입력전극(SE1: 이하, 제1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1: 이하, 제1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제2 절연층(14) 상에 제2 트랜지스터(TR2)의 입력전극(SE2: 이하, 제2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DE2: 이하, 제2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제1 입력전극(SE1)은 소스 라인(DLj)으로부터 분기된다. 제2 입력전극(SE2)은 전원 라인(PL)으로부터 분기된다.
제2 절연층(14) 상에 커패시터(Cap)의 제2 전극(E2)이 배치된다. 제2 전극(E2)은 소스 라인(DLj) 및 전원 라인(PL)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입력전극(SE1)과 제1 출력전극(DE1)은 제1 절연층(12) 및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제1 반도체 패턴(AL1)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출력전극(DE1)은 제1 전극(E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출력전극(DE1)은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관통홀(미 도시)을 통해 제1 전극(E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입력전극(SE2)과 제2 출력전극(DE2)은 제1 절연층(12) 및 제2 절연층(14)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과 제4 관통홀(CH4)을 통해 제2 반도체 패턴(AL2)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TR1)와 제2 트랜지스터(TR2)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4) 상에 제1 입력전극(SE1), 제1 출력전극(DE1), 제2 입력전극(SE2), 및 제2 출력전극(DE2)을 커버하는 제3 절연층(16)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16)은 유기층 및/또는 무기층을 포함한다. 특히, 제3 절연층(16)은 평탄면을 제공하기 위해서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6) 상에 화소정의막(PXL) 및 유기발광 소자(OLED)가 배치된다. 화소정의막(PXL)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된다. 화소정의막(PXL)은 또 하나의 절연층과 같다. 도 6b의 개구부(OP)는 도 5의 개구부들(OP-R, OP-G, OP-B)에 대응할 수 있다.
애노드(AE)는 제3 절연층(16)을 관통하는 제5 관통홀(CH5)을 통해 제2 출력전극(DE2)에 연결된다. 화소정의막(PXL)의 개구부(OP)는 애노드(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 도 5 참조)과 비발광영역(NPXA, 도 5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유기 발광층(EML), 전자 제어층(ECL)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이후, 캐소드(CE)를 발광영역들(PXA-R, PXA-G, PXA-B)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캐소드(CE)의 층구조에 따라 증착 또는 스퍼터링 방식의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캐소드(CE) 상에 유기발광 소자층(DP-OLED)을 봉지하는 박막 봉지층(TFE)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TFE)은 수분 및 이물질로부터 유기발광 소자(OLED)를 보호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봉지층들(TFE1, TFE2, TFE3)의 단면도들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박막 봉지층들(TFE1, TFE2, TFE3)을 설명한다.
박막 봉지층는 적어도 2개의 무기 박막들과 그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박막을 포함한다. 무기 박막들은 수분으로부터 유기발광 소자(OLED)를 보호하고, 유기 박막은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유기발광 소자(OLED)를 보호한다.
도 7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1)는 캐소드(CE, 도 6b 참조)에 접촉하는 첫번째 무기 박막(IOL1)을 포함하여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을 포함할 수 있다. 첫번째 무기 박막(IOL1)은 하부 무기 박막으로 정의되고,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 중 첫번째 무기 박막(IOL1) 이외의 무기 박막들은 상부 무기 박막들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1)는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을 포함하고,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은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과 교번하게 배치될 수 있다. 최상층에 배치된 층은 유기층 또는 무기층일 수 있다.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은 평균적으로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 각각은 1개의 물질을 포함하는 단층이거나, 각각이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복층을 가질 수 있다.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 각각은 유기 모노머들을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모노머들은 아크릴계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 중 어느 하나는 컬러필터들을 포함하는 컬러필터층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는 블랙 매트리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 중 어느 하나는 컬러필터들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블랙 매트리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유기 박막들은 평탄화층 일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2)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 박막(IOL1), 제1 유기 박막(OL1), 제2 무기 박막(IOL2), 제2 유기 박막(OL2), 및 제3 무기 박막(IOL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에는 상기 층들의 두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었다.
제1 무기 박막(IOL1)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층(S1)은 리튬 플로라이드층일 수 있고, 제2 서브층(S2)은 알루미늄 옥사이드층일 수 있다. 제1 유기 박막(OL1)은 제1 유기 모노머층이고, 제2 무기 박막(IOL2)은 제1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이고, 제2 유기 박막(OL2)은 제2 유기 모노머층이고, 제3 무기 박막(IOL3)은 제2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일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3)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무기 박막(IOL10), 제1 유기 박막(OL1), 제2 무기 박막(IOL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무기 박막(IOL10)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층(S10)은 리튬 플로라이드층일 수 있고, 제2 서브층(S20)은 실리콘 옥사이드층일 수 있다. 제1 유기 박막(OL1)은 유기 모노머층이고, 제2 무기 박막(IOL20)은 2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무기 박막(IOL20)은 서로 다른 증착 환경에서 증착된 제1 서브층(S100)과 제2 서브층(S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층(S100)은 저전원 조건에서 증착되고 제2 서브층(S200)은 고전원 조건에서 증착될 수 있다. 제1 서브층(S100)과 제2 서브층(S200) 각각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층일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들이다. 표시패널들(Dp, DP-1)은 간략히 도시하였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스크린(TS)은 제1 도전층(TS-CL1), 제1 절연층(TS-IL1), 제2 도전층(TS-CL2), 및 제2 절연층(TS-IL2)을 포함한다.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 각각은 단층구조를 갖거나, 제3 방향축(DR3)을 따라 적층된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층구조의 도전층은 투명 도전층과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도전층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ZnO(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PEDOT, 금속 나노 와이어, 그라핀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층은 몰리브덴, 은,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TS-CL1) 및 제2 도전층(TS-CL2) 각각은 복수 개의 패턴들을 포함한다. 이하, 제1 도전층(TS-CL1)은 제1 도전패턴들을 포함하고, 제2 도전층(TS-CL2)은 제2 도전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1 도전패턴들과 제2 도전패턴들은 터치전극들 및 터치 신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TS-IL1) 및 제2 절연층(TS-IL2) 각각은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물은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유기물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전층(TS-CL1)은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박막 봉지층(TFE)이 터치스크린(TS)이 배치되는 베이스면(BS)을 제공한다.
도 8b에 도시된 표시패널(DP-1)은 도 8a에 도시된 표시패널(DP) 대비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된 버퍼층(BF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이 베이스면(BS)을 제공한다. 버퍼층(BFL)은 유기층으로, 그 목적에 따라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은 굴절률 매칭을 위한 유기층/무기층이거나, 외부광 반사를 감소시키기 위한 컬러필터층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TS)의 도전층들(TS-CL1, TS-CL2)의 평면도들이다. 도 10a는 도 9a의 AA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9b의 BB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9a 및 도 9b의 CC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b, 도 11b, 및 도 12b에서 유기발광 소자층(DP-OLED)은 간략히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2층형(2-layer)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2층형(2-layer) 정전용량식 터치패널은 셀프캡(self capacitance) 방식 또는 뮤추얼 캡(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좌표 정보 획득을 위한 터치스크린의 구동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전패턴들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TE1-3)과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에는 3개의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TE1-3)과 그에 연결된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되고,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이다. 메쉬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센서부들(SP1)과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를 포함한다. 제1 센서부들(SP1)은 제1 방향(DR1)으로 나열된다. 제1 연결부들(CP1) 각각은 제1 센서부들(SP1)은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 센서부들(SP1)을 연결한다.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 역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동일한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도전패턴들은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TE2-3)과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b에는 3개의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TE2-3)과 그에 연결된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절연 교차한다.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이다.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 각각은 복수 개의 제2 센서부들(SP2)과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를 포함한다. 제2 센서부들(SP2)은 제2 방향(DR2)으로 나열된다. 제2 연결부들(CP2) 각각은 제2 센서부들(SP2)은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 센서부들(SP2)을 연결한다.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 역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은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과 동일한 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은 정전결합된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에 터치 감지 신호들이 인가됨에 따라 제1 센서부들(SP1)과 제2 센서부들(SP2) 사이에 커패시터들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센서부와 연결부를 포함하는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의 형상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부는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이 교차하는 부분으로 정의되면 충분하고, 센서부는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이 비중첩하는 부분으로 정의되면 충분하다. 예컨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 각각은 일정한 너비를 갖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센서부(SP1)는 발광영역들(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한다. 제1 센서부(SP1)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세로부들(SP1-C)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1 가로부들(SP1-L)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제1 세로부들(SP1-C)과 상기 복수 개의 제1 가로부들(SP1-L)은 메쉬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메쉬선의 선폭은 수 마이크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세로부들(SP1-C)과 복수 개의 제1 가로부들(SP1-L)은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TS-OP)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1 센서부(SP1)는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TS-OP)을 구비한 메쉬 형상을 갖는다. 터치 개구부들(TS-OP)이 발광영역들(PXA)에 일대일 대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하나의 터치 개구부(TS-OP)는 2 이상의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절연층(TS-IL1)은 베이스면(BS) 상에 배치되어 제1 센서부(SP1), 즉 제1 가로부(SP1-L)를 커버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절연층(TS-IL1)은 제1 연결부(CP1) 및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면(BS)은 박막 봉지층(TFE)이 제공한다. 제1 절연층(TS-IL1)은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한다. 제1 절연층(TS-IL1)에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이 정의된다.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과 복수 개의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의 평면상 형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절연층(TS-IL1)은 비발광영역(NPX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예컨대 제1 절연층(TS-IL1)은 비발광영역(NPXA)과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서 동일한 너비들을 가짐)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PXA)과 복수 개의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2 절연층(TS-IL2)은 제1 절연층(TS-IL1) 상에 배치된다. 제2 절연층(TS-IL2)에 복수 개의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절연 개구부들(IL2-OP)이 정의된다. 복수 개의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이 정의된 제1 절연층(TS-IL1)과 복수 개의 제2 절연 개구부들(IL2-OP)이 정의된 제2 절연층(TS-IL2)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절연층(TS-IL1)과 제2 절연층(TS-IL2)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한번의 공정을 통해서 대응하는 제1 절연 개구부(IL1-OP)와 제2 절연 개구부(IL2-OP)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센서부(SP2)는 비발광영역(NPXA)에 중첩한다. 제2 센서부(SP2)는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2 세로부들(SP2-C)과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제2 가로부들(SP2-L)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제2 세로부들(SP2-C)과 복수 개의 제2 가로부들(SP2-L)은 서로 연결되어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TS-OP)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 제2 센서부(SP2)는 메쉬 형상을 갖는다. 제2 절연층(TS-IL2)은 제1 절연층(TS-IL1) 상에 배치되어 제2 센서부(SP2)를 커버한다.
도 12a는 도 10a와 도 10b가 겹쳐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연결부(CP1)는 박막 봉지층(TFE) 상에 배치된 제3 세로부들(CP1-C1, CP1-C2) 및 제3 세로부들(CP1-C1, CP1-C2)을 연결하는 제3 가로부들(CP1-L)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3 세로부들(CP1-C1, CP1-C2)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연결부(CP2)는 제1 절연층(TS-IL1) 상에 배치된 제4 가로부들(CP2-L1, CP2-L2) 및 제4 가로부들(CP2-L1, CP2-L2)을 연결하는 제4 세로부들(CP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CP1)는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연결부(CP2) 또한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및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이 메쉬 형상을 갖고, 제1 및 제2 절연층들(TS-IL1, TS-IL2)에 복수 개의 제1 및 제2 절연 개구부들(IL1-OP, IL2-OP)이 정의됨으로써 플렉서블 표시장치(DD)의 플렉서블리티가 향상된다. 도 1b 및 도 2b와 같이 플렉서블 표시장치(DD)가 벤딩될 때,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및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에 인가되는 인장 스트레스/압축 스트레스가 감소됨으로써 그것들의 크랙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절연 개구부들(IL1-OP, IL2-OP)이 정의됨으로써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및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에 인가되는 인장 스트레스/압축 스트레스가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도 10b에 대응하는 단면을 도시하였다. 도 13a에서 박막 봉지층(TFE1-1) 이하의 구성은 미도시되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박막 봉지층(TFE1-1)은 첫번째 무기 박막(IOL1)을 포함하여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1)는 n개의 무기 박막들(IOL1 내지 IOLn)과 교번하게 배치되는 n개의 유기 박막들(OL1 내지 OLn)을 포함한다.
적어도 최상측에 배치된 박막은 복수 개의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에 대응하는 봉지 개구부들(TFE-OP) 또는 봉지 홈부들(TFE-G)이 정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최상측에 배치된 박막은 n번째 유기 박막(OLn)일 수 있다. 봉지 홈부들(TFE-G)은 도 13a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었으며, 최상측 박막의 일부가 제3 방향(DR3)으로 제거되어 형성된다.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퍼층(BFL-1)에 복수 개의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에 대응하는 버퍼 개구부들(BFL-OP) 또는 버퍼 홈부들(BFL-G)이 정의될 수 있다. 버퍼 홈부들(BFL-G)은 도 13b에서 점선으로 표시되었으며, 버퍼층(BFL-1)의 일부가 제3 방향(DR3)으로 제거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봉지 개구부들(TFE-OP), 봉지 홈부들(TFE-G), 버퍼 개구부들(BFL-OP) 및 버퍼 홈부들(BFL-G)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플렉서블리티를 더욱 향상시킨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TS-1)의 도전층들의 평면도들이다. 도 14c는 도 14a 및 도 14b의 CC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4d는 도 14c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1층형(1-layer) 정전용량식 터치스크린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셀프캡(self capacitance)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좌표 정보 획득을 위한 터치스크린의 구동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1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전패턴들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TE1-3), 제1 터치 신호라인들(SL1-1 내지 SL1-3),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의 제2 센서부들(SP2), 및 제2 터치 신호라인들(SL2-1 내지 SL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센서부들(SP1)과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를 포함한다.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도전패턴들은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의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를 포함한다. 제2 연결부들(CP2)은 브릿지 기능을 갖는다.
도 10a 내지 도 12b를 참조하여 설명한 터치스크린(TS)의 제1 절연층(TS-IL1)이 표시영역(DA)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었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의 제1 절연층(TS-IL1)은 표시영역(DA)에 부분적으로 중첩한다. 도 1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제1 절연층(TS-IL1)은 복수 개의 절연패턴들(IL-P)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절연패턴들(IL-P)은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과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을 절연시킨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절연층(TS-IL1)은 표시영역(DA)에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연결부(CP2)는 절연패턴(IL-P)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TS-CH1)과 제2 관통홀(TS-CH2)을 통해 제2 센서부들(SP2) 중 제2 방향(DR2)에서 인접한 2개의 제2 센서부들(SP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 개의 절연패턴들(IL-P) 각각은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절연 개구부들(IL1-OP)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TS-2)의 도전층들의 평면도들이다. 도 16a는 도 15a 및 도 15b의 DD영역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c 및 도 16d는 도 16a의 부분 단면도들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도전패턴들은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TE1-3)과 제1 보조 전극들(SE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 TE1-3)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센서부들(SP1)과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를 포함한다. 제2 도전패턴들은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TE2-3)과 제2 보조 전극들(SE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 각각은 복수 개의 제2 센서부들(SP2)과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를 포함한다.
제1 보조 전극들(SE1) 각각은 복수 개의 제2 센서부들(SP2) 중 대응하는 제2 센서부에 중첩하고, 제2 보조 전극들(SE2) 각각은 복수 개의 제1 센서부들(SP1) 중 대응하는 제1 센서부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보조 전극들(SE1)과 제2 보조 전극들(SE2)은 메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보조 전극들(SE1) 각각은 대응하는 제2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보조 전극들(SE2) 각각은 대응하는 제1 센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제1 터치전극들(TE1-1 내지TE1-3)과 제2 터치전극들(TE2-1 내지 TE2-3)의 저항이 낮아지고 터치감도가 향상된다.
제1 센서부들(SP1),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 및 제2 보조 전극들(SE2)의 조합이 제1 터치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센서부들(SP1)은 제1 터치전극의 하부 센서부에 해당하고, 복수 개의 제1 연결부들(CP1)은 하부 연결부들에 해당하며, 제2 보조 전극들(SE2)은 상부 센서부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센서부들(SP2), 복수 개의 제2 연결부들(CP2), 및 제1 보조 전극들(SE1)의 조합이 제2 터치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에는 제2 보조 전극(SE2)과 제1 센서부(SP1)의 연결관계를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제1 센서부(SP1)는 점선으로, 제2 보조 전극(SE2)은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제2 보조 전극(SE2)의 선폭이 제1 센서부(SP1)의 선폭보다 크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보조 전극(SE2)과 제1 센서부(SP1)의 선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보조 전극(SE2)은 제1 센서부(SP1)에 중첩하고 제1 연결부(CP1)에 비중첩할 수 있다.
도 16c 및 도 1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보조 전극(SE2)과 제1 센서부(SP1)는 복수 개의 보조 관통홀들(SCH)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박막 봉지층(TFE)이 평탄한 베이스면(BS)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버퍼층과 같은 또 다른 층이 베이스면(BS)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WM: 윈도우 부재 WM-BS: 베이스부재
WM-BM: 베젤층 TS: 터치스크린
DP: 표시패널

Claims (20)

  1. 베이스면을 제공하고,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하는 제1 도전패턴들;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도전패턴들을 커버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이 정의된 제1 절연층;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비발광영역에 중첩하는 제2 도전패턴들; 및
    상기 제1 절연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패턴들을 커버하며,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2 개구부들이 정의된 제2 절연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패턴들 및 상기 제2 도전패턴들 각각은 복수 개의 개구부들이 정의된 메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패턴들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나열된 제1 터치전극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패턴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된 제2 터치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전극들 각각은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나열된 제1 센서부들 및 각각이 상기 제1 센서부들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패턴들은 상기 제1 센서부들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센서부들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전패턴들은 각각이 제2 센서부들 중 상기 제2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제2 센서부들을 상기 제1 절연층을 관통하는 관통홀들을 통해 연결하는 제2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 상에 배치된 회로층;
    상기 회로층 상에 배치된 유기발광 소자층; 및
    상기 유기발광 소자층을 봉지하는 박막 봉지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유기발광 소자층에 접촉하는 하부 무기 박막;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된 유기 박막들;
    상기 유기 박막들과 교번하게 적층된 상부 무기 박막들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무기 박막은 적어도 리튬 플로라이드층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교번하게 적층된 상기 상부 유기 박막들과 상기 상부 무기 박막들 중 최상측에 배치된 박막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에 대응하는 제3 개구부들 또는 홈부들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상기 베이스면을 제공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에 대응하는 제3 개구부들 또는 홈부들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패턴들은,
    상기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제1 터치전극들; 및
    상기 제1 터치전극들과 이격된 제1 보조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패턴들은,
    상기 제1 터치전극들과 교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개구부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되고, 각각이 상기 제1 보조전극들 중 대응하는 제1 보조전극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터치전극들; 및
    각각이 상기 제1 터치전극들 중 대응하는 제1 터치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보조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2 보조전극들 중 대응하는 제2 보조전극들에 중첩하는 제1 센서부들 및 각각이 상기 제1 센서부들 중 인접하는 2개의 제1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1 보조전극들 중 대응하는 제1 보조전극들에 중첩하는 제2 센서부들 및 각각이 상기 제2 센서부들 중 인접하는 2개의 제2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제2 보조전극들과 상기 제1 센서부들은 상기 제1 절연층을 관통하는 보조 관통홀들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렉서블 표시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전극들 각각은 메쉬 형상이고, 상기 제2 보조전극들 각각은 메쉬 형상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18. 베이스면을 제공하고, 상기 베이스면 상에서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과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인접한 비발광영역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 개의 발광영역들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절연 개구부들이 정의된 절연층, 절연 교차하는 제1 및 제2 터치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며 소정의 방향으로 나열된 제1 하부 센서부들;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제1 하부 센서부들 중 인접한 2개의 제1 하부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하부 연결부들; 및
    상기 제1 하부 센서부들과 상기 하부 연결부들을 커버하는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제1 하부 센서부들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1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제1 하부 센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상부 센서부들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 센서부들, 상기 하부 연결부들, 및 상기 제1 상부 센서부들 각각은 상기 절연 개구부들에 대응하는 터치 개구부들이 정의된 플렉서블 표시장치.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전극들 각각은,
    상기 베이스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 하부 센서부들 및 상기 하부 연결부들에 이격된 제2 하부 센서들;
    상기 절연층 상에 상기 제2 하부 센서부들에 대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절연층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제2 관통홀들을 통해 상기 제2 하부 센서부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상부 센서부들; 및
    상기 절연층 상에 배치되며, 각각이 상기 제2 상부 센서부들 중 인접한 2개의 제2 상부 센서부들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들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150163510A 2015-06-26 2015-11-20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6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53,568 US10168844B2 (en) 2015-06-26 2016-05-12 Flexible display device
EP16175977.4A EP3109742B1 (en) 2015-06-26 2016-06-23 Flexible display device
CN202110419789.4A CN113110760B (zh) 2015-06-26 2016-06-24 柔性显示装置
JP2016125546A JP6823949B2 (ja) 2015-06-26 2016-06-24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TW105120075A TWI736538B (zh) 2015-06-26 2016-06-24 可撓性顯示裝置
CN201610471210.8A CN106293197B (zh) 2015-06-26 2016-06-24 柔性显示装置
US16/234,603 US10761664B2 (en) 2015-06-26 2018-12-28 Flexible display device
US17/007,204 US11327616B2 (en) 2015-06-26 2020-08-31 Flexible display device
US17/740,237 US11614840B2 (en) 2015-06-26 2022-05-09 Flexible display device
US18/113,017 US11914825B2 (en) 2015-06-26 2023-02-22 Flexible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392 2015-06-26
KR20150091392 2015-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935A true KR20170001935A (ko) 2017-01-05
KR102568864B1 KR102568864B1 (ko) 2023-08-23

Family

ID=57835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510A KR102568864B1 (ko) 2015-06-26 2015-11-20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864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198A (ko) * 2017-04-24 2018-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26108A (ko) * 2017-05-16 2018-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09147A (ko) * 2017-07-18 2019-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18120A (ko) * 2017-08-11 2019-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18591A (ko) * 2017-08-14 2019-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43655A (ko) * 2017-10-18 2019-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522782B2 (en) 2016-10-27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window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0080864A1 (ko) * 2018-10-18 2020-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128014A (zh) * 2018-10-31 2020-05-08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WO2020122376A1 (ko) * 2018-12-13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2037651A (zh) * 2020-08-20 2020-12-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制程方法及显示装置
US10998521B2 (en) 2017-09-22 2021-05-0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74103A (ko) * 2017-08-28 2023-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0980A (ja) * 2008-12-10 2010-06-24 Sony Corp 機能性有機物素子及び機能性有機物装置
JP2011243525A (ja) * 2010-05-21 2011-12-0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150020929A (ko) * 2013-08-19 2015-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50048999A (ko) * 2013-10-29 2015-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0980A (ja) * 2008-12-10 2010-06-24 Sony Corp 機能性有機物素子及び機能性有機物装置
JP2011243525A (ja) * 2010-05-21 2011-12-01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20150020929A (ko) * 2013-08-19 2015-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50048999A (ko) * 2013-10-29 2015-05-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2782B2 (en) 2016-10-27 2019-12-31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window and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8735783B (zh) * 2017-04-24 2023-10-2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210124141A (ko) * 2017-04-24 2021-10-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264434B2 (en) 2017-04-24 2022-03-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119198A (ko) * 2017-04-24 2018-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735783A (zh) * 2017-04-24 2018-11-02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80126108A (ko) * 2017-05-16 2018-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70179A (ko) * 2017-07-18 2022-05-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90009147A (ko) * 2017-07-18 2019-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10093211A (ko) * 2017-07-18 2021-07-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615369B2 (en) 2017-08-11 2020-04-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comprising module hole and blocking groove in display area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90018120A (ko) * 2017-08-11 2019-02-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18591A (ko) * 2017-08-14 2019-02-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30074103A (ko) * 2017-08-28 2023-05-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998521B2 (en) 2017-09-22 2021-05-04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nic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90043655A (ko) * 2017-10-18 2019-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2956044A (zh) * 2018-10-18 2021-06-11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20080864A1 (ko) * 2018-10-18 2020-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128014A (zh) * 2018-10-31 2020-05-08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N111128014B (zh) * 2018-10-31 2023-09-26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N113207312A (zh) * 2018-12-13 2021-08-03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设备
WO2020122376A1 (ko) * 2018-12-13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2037651A (zh) * 2020-08-20 2020-12-0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制程方法及显示装置
CN112037651B (zh) * 2020-08-20 2022-07-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制程方法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864B1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86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51480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62528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528166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823949B2 (ja)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US20230337504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modul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1599212B2 (en) Display module including touch sensing electrodes of different sizes
KR102443918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1691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38934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56931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428711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04282B1 (ko) 표시장치
TWI736538B (zh) 可撓性顯示裝置
KR20180074880A (ko) 표시장치
KR102078175B1 (ko) 표시모듈
KR102636503B1 (ko) 표시모듈
US20160306476A1 (en) Display device
KR20200018535A (ko) 표시모듈
CN112447794A (zh) 显示装置
US11809650B2 (en) Display device
KR102668136B1 (ko) 표시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