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814A -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 Google Patents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814A
KR20170001814A KR1020150090635A KR20150090635A KR20170001814A KR 20170001814 A KR20170001814 A KR 20170001814A KR 1020150090635 A KR1020150090635 A KR 1020150090635A KR 20150090635 A KR20150090635 A KR 20150090635A KR 20170001814 A KR20170001814 A KR 201700018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soil
coupled
storage part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해룡
장성진
김정숙
장원희
장여원
Original Assignee
장해룡
김정숙
장원희
장성진
장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해룡, 김정숙, 장원희, 장성진, 장여원 filed Critical 장해룡
Priority to KR1020150090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814A/ko
Publication of KR20170001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이 저장된 토양저장부와, 상기 토양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토양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저장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와, 상기 유체저장부의 유체가 상기 토양저장부에 공급될 수 있게 일단이 상기 토양저장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유체저장부에 위치되는 유체공급기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또 다른 몸체가 위치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에 형성된 삽입홈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또 따른 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Apparatus For Automatic Water Supply Prefabricated Planters}
본 발명은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장소 및 공간의 제약없는 간단한 설치로 여러종류의 식물 또는 관상수의 재배가 가능하고, 재배를 위한 물 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구가 밀집한 도시의 대다수 사람들은 농지에서 재배된 채소나 고추 등의 농작물을 유통과정을 통해 거쳐온 것을 마트나 재래시장에서 구입한다.
일부 사람들이 관상용 화분외에 포장상자나 큰 화분 등을 이용해 농작물을 직접 재배하는 경우가 있으나, 다양한 품종의 농작물에 따른 각각의 성장환경 제공 및 이에 따른 재배용기 공급에 어려움이 있어 사실상 실현가능성이 없다.
근래에는 웰빙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고 인터넷 등의 다양한 정보매체를 통해 식물 재배방법 등의 정보공유가 가능해져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성장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비교적 가능해졌다.
이런 추세에 맞춰 재배용기도 많은 개발이 이루어져 시판되고 있으나, 특정식물의 성장에 맞춰 국한되게 제작되는게 대부분이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품종을 재배하기에는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품종의 제작을 위한 맞춤식 재배용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일예로 공개특허 제10-2010-0112370호 "조립식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문헌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호 조립되는 프레임과, 조립된 프레임들의 하부에 결합되는 바닥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때, 프레임은 사각 평판 형상의 벽체부와, 벽체부의 테두리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프레임은 지지부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조립된다.
또한, 바닥부재는 지지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일반인이 자기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할 수 있고,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부재에 의해 화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고, 형상유지부재에 의해 프레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플라스틱으로 제작하여 다양한 형상과 다양한 크기의 화분으로 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식물 성장을 위한 필수요소인 물 공급을 독립된 화분에 맞춰 개별적으로 해야되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조립, 분해 및 설치가 용이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채소, 약초, 관상수 등 다양한 식물(이하, '식물'이라 통침 함)을 간단하게 재배할 수 있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재배용기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한 물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적정량의 물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토양으로 채워져 무거워진 재배용기를 필요에 따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한된 공간에서 효과적인 공간배치가 가능해 활용성이 우수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 운반, 보관시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 물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추운 날씨 등의 환경에서 식물의 원활한 성장을 위한 보온장치의 추가가 가능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이 저장된 토양저장부와, 상기 토양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토양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저장부로 이루어진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와, 상기 유체저장부의 유체가 상기 토양저장부에 공급될 수 있게 일단이 상기 토양저장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유체저장부에 위치되는 유체공급기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또 다른 몸체가 위치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에 형성된 삽입홈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또 따른 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또 다른 몸체가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저장부는 상기 토양저장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부에 결합되는 지주보조대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보조대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슬라이드구와, 상기 슬라이드구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홀을 관통한 후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구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이동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공급기는 상기 토양저장부와 상기 유체저장부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 결합되는 밸브와, 상기 유체저장부의 내부에 위치되게 일단이 상기 밸브에 결합되고, 타단에 거름만이 구비된 제1 호스와, 상기 토양저장부의 내부에 위치되게 일단이 상기 밸브에 결합되고, 타단에 분사구가 구비된 제2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외부 바닥면에는 바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몸체에 각각 구비된 유체저장부는 호스가 연결된 삽입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는 상기 몸체로부터 등 거리 이격하여 복수개의 수직바와, 상기 복수개의 수직바에 연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바로 이루어진 보조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는, 조립, 분해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채소, 약초, 관상수 등 다양한 식물(이하, '식물'이라 통침 함)을 간단하게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기재배, 수경재배가 가능해 무공해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재배용기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한 물저장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적정량의 물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양으로 채워져 무거워진 재배용기를 필요에 따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한된 공간에서 효과적인 공간배치가 가능해 활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 운반, 보관시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추운 날씨 등의 환경에서 식물의 원활한 성장을 위한 보온장치의 추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적층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에 지지대연결용끼움구를 결합시킨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복수개로 배치시킨 후 지주보조대를 이용해 지지대연결용끼움구를 결합시킨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가 지주에 의해 복층으로 도시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또 다른 변형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측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또 다른 변형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하나 또는 복수개로 배치시킨 후 보조틀을 설치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적층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에 지지대연결용끼움구를 결합시킨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복수개로 배치시킨 후 지주보조대를 이용해 지지대연결용끼움구를 결합시킨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가 지주에 의해 복층으로 도시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또 다른 변형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측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의 또 다른 변형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를 하나 또는 복수개로 배치시킨 후 보조틀을 설치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100)는 몸체(110), 복수개의 체결부(120), 유체공급기(150), 지주(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10)는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이 저장된 토양저장부(112)와, 토양저장부(112)의 일측에 형성되어 토양저장부(112)에 공급되는 유체가 저장되는 유체저장부(114)로 이루어진다.
이때, 토양저장부(112)와 유체저장부(114) 각각의 바닥면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12a, 114a)가 형성된다.
또한, 토양저장부(112)에는 토양저장부(112)에 저장된 토양으로부터 상부가 돌출되도록 유체분배기(112b)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는 유체공급기(150)의 제2 호스(156)를 통해 분사구(156a)로 배출되는 유체가 토양의 전체에 걸쳐 골고루 공급되게 한다.
몸체(1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토양저장부(112)는 역마름모꼴의 측면을 가지며, 토양저장부(112)를 중심으로 경사진 각각의 양측에는 내부에 유체가 저장되도록 측면의 형상이 역마름모꼴인 유체저장부(114)가 형성된다.
몸체(110)는 상부 또는 하부에 또 다른 몸체가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게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은 즉,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토양저장부(112)와 유체저장부(114)의 사이에는 적치홈(116)이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다.
적치홈(116)은 몸체(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또 다른 몸체가 삽입되어 적층될 때 토양저장부(112)와 유체저장부(114)의 경계에 형성된 격벽(113)이 적치홈(116)에 삽입되게 하여 여러 개의 몸체가 적층 될 수 있게 한다.
토양저장부(112)의 내부에는 재배될 식물에 맞춰 흙, 모래, 자갈, 비료, 배양토 등을 다양하게 넣을 수 있다.
유체저장부(114)는 내부에 식물의 성장을 위한 유체인 물이 저장되며, 만약 토양저장부(112)에서 재배되는 식물이 수경용일 경우 수경재배를 위한 배양액이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유체저장부(114)는 토양저장부(112)에 탈부착가능하게 마련되는 것도 가능한데,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유체저장부(114)를 독립적인 형태로 별도 제작하고 일측면에 토양저장부(112)의 상부 가장자리에 걸 수 있는 걸림고리(114b)를 형성시키거나, 하부쪽 바닥면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절개홈(114c)을 형성시켜 유체저장부(114)를 토양저장부(112)의 가장자리에 안착시키면 된다.
한편,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유체저장부(114)가 분리형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유체저장부(114)는 복수개의 연결몸체(214)와 복수개의 연결몸체(214)의 사이에 개재되어 복수개의 연결몸체(214)와 연통되는 복수개의 연결관(216)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연결몸체(214)의 상부면에는 유체가 공급되는 공급홀(214a)이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복수개의 연결몸체(214)가 토양저장부(112)에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턱(214b)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후술되는 유체공급기(150)가 설치된다. 이때, 걸림턱(214b)의 일측에는 유체공급기(150)의 밸브(152)가 결합된다.
복수개의 연결관(216)은 인접되게 위치된 복수개의 연결몸체(214)에 일단과 타단이 연통되게 결합되어 유체저장부(114)를 형성시킨다. 이때, 복수개의 연결관(216)은 접었다 펼 수 있는 재질(일명, '자바라호스'로 통칭 됨)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10)가 복수개로 마련된 경우, 몸체(110)의 각각에 구비된 유체저장부(114)는 호스(119)가 연결된 삽입구(118)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어느 하나의 유체저장부(114)에 유체를 공급할 경우 공급된 유체가 나머지 다른 유체저장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몸체(110)의 유체저장부(114)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114a)에는 밸브(11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복수개로 마련된 몸체(110)가 편평한 지면이 아닌 경사진 지면에 설치될 경우, 경사면의 최상부에 위치된 몸체의 유체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하여 공급된 유체가 호스(119)가 연결된 삽입구(118)를 통해 최하부에 위치된 몸체의 유체저장부부터 순차적으로 유체를 채운 후 밸브(115)를 닫은 다음 경사면의 최상부에 위치된 몸체의 유체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함과 동시에 각각의 몸체의 유체저장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114a)에 구비된 밸브(115)를 개방하게 되면 전체 유체저장부에 저장된 유체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삽입구(118)는 "ㅗ"자 형상 즉, 유체저장부(114)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114a)에 결합되는 수직부(118a)와, 수직부(118a)의 하부에 형성되어 그 단부에 호스(119)가 결합되는 수평부(118b)로 이루어지나 "ㄴ"자, "Y"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구(118)는 각각의 몸체(110)의 유체저장부(114)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114a)에 결합되지 않은 수평부(118b)가 상호 호스(119)로 연결되어 어느 하나의 유체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하면 다른 하나의 유체저장부에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호스(119)는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구(118)의 수평부(118b)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억지끼움으로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삽입구(118)의 형상이 "T"자, "Y"자와 같이 단부가 둘 이상으로 나뉠 경우 별도로 마련된 마개(118c)를 결합시켜 개방된 단부를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10)에는 후술하는 복수개의 체결부(120)에 결합되는 지주보조대(130)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주보조대(130)는 복수개의 체결부(12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132a)이 형성된 플레이트(132)와, 플레이트(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되게 플레이트(132)에 삽입되고, 하부에는 지면에 단부가 지지되는 지지구(134a)가 구비된 슬라이드구(134)와, 슬라이드구(134)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홀(134b)을 관통한 후 복수개의 관통홀(132a)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슬라이드구(134)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구(136)로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32)는 판상의 바(bar) 타입으로 마련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132a)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홀(132a)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오각형으로 형성되는게 바람직하나 삼각, 사각, 육각 등의 다각형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물론, 원형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슬라이드구(134)는 그 단면이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양측을 통해 플레이트(13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구(134a)는 슬라이드구(134)의 하부면에 막대형상으로 구비되어 슬라이드구(134)를 지면에 대해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구(134a)의 단부에는 브라켓(133)이 나사결합되어 안정성을 확보함이 바람직하다.
고정구(136)는 플레이트(13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슬라이드구(134)를 플레이트(132)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나사결합된다.
한편, 몸체(110)의 바닥면에는 바퀴(111)가 결합되는데, 이 바퀴(111)는 몸체(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바퀴삽입홈(110a)에 삽입되는 지지축(111a)의 양단에 결합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된다.
바퀴(111)는 토양저장부(112)에 식재된 토양과 식물 등의 무게로 몸체(110)의 이동이 쉽지않을 때 밀거나 당김을 용이하게 하여 몸체(110)의 위치이동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지지축(111a)은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봉상으로 마련되는게 바람직하며, 이는 몸체(110)의 이동시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지지축(111a)이 삽입홈(110a)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지지축(111a)은 볼트(B)를 이용해 바퀴(111)와 나사결합된다.
복수개의 체결부(120)는 몸체(110)의 둘레면을 따라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체결부(120)의 내부에는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형상을 갖는 삽입홈(122)이 형성된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몸체(110)에 식재된 식물의 촉성재배(促成栽培) 또는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비닐필름을 덮기 위해 뼈대역할을 하는 지지대연결용끼움구(140)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대연결용끼움구(140)는 복수개의 관통홀(132a)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몸체(110)가 하나 또는 복수개로 마련되었을 때, 몸체(110)의 둘레면에는 몸체(110)로부터 등 거리 이격하여 보조틀(170)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보조틀(170)은 복수개의 수직바(172)와 , 복수개의 수직바(172)에 연결구(174)를 통해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바(176)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구(174)에는 세 개의 삽입부(174a)가 형성되는데, 이 세 개의 입부(174a) 중 두 개의 삽입부에는 수직바(172)와 수평바(176)의 각각의 일단이 삽입되고, 나머지 삽입부에는 보조틀(170)과 지지대연결용끼움구(14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바(178)의 일단이 삽입된다.
여기서, 지지대연결용끼움구(140)의 소정 위치에는 연결바(178)의 타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부(142a)가 형성된 연결구(142)가 마련된다.
유체공급기(150)는 유체저장부(114)의 유체가 토양저장부에 공급될 수 있게 일단이 토양저장부(112)의 내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유체저장부(114)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유체공급기(150)는 토양저장부(112)와 유체저장부(114) 사이에 형성된 격벽(113)에 결합되는 밸브(152)와, 유체저장부(114)의 내부에 위치되게 일단이 밸브(152)에 결합되고, 타단에 거름망(154a)이 구비된 제1 호스(154)와, 토양저장부(112)의 내부에 위치되게 일단이 밸브(152)에 결합되고, 타단에 분사구(156a)가 구비된 제2 호스(15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호스(154)는 격벽(113)의 일측에 설치된 고정클립(113a)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유체의 유동 또는 외력으로 인한 제1 호스(154)의 흔들림이 방지하기 위함이다.
거름망(154a)은 제1 호스(154)를 통해 토양저장부(112)로 공급되는 유체저장부(114)의 유체를 걸러주어 유체공급기(150)의 막힘 등을 방지한다.
제2 호스(156)는 자유롭게 휘어지는 소재('자바라호스'로 통칭 됨)로 마련되는게 바람직하다.
밸브(152)는 제1 호스(154)와 제2 호스(156)를 통해 유체저장부(114)에서 토양저장부(112)로 공급되는 유체의 흐름 양을 조절한다.
여기서, 제2 호스(156)의 단부는 유체저장부(114)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는게 바람직한데,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의 제2 호스(156)에서 유체가 배출되면 높이 차이에 의해 유체저장부(114) 내부의 유체가 자동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주(160)는 복수개의 체결부(120)에 형성된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몸체(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또 다른 몸체가 위치되도록 한다.
지주(160)는 삽입홈(122)에 대응되는 단면을 가진 봉상으로 마련되어 몸체(110)를 지면에 지지하거나, 몸체(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는 또 다른 몸체에 각각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어 몸체(110)가 복층구조로 배치될 수 있게 한다.
지주(160)는 지면에 맞닿은 단부쪽에 안정성을 제공하는 받침대(162)가 억지끼움되고, 상부쪽 길이방향 소정 위치에는 지지편(164)이 마련되어 상부에 위치된 몸체(110)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아울러, 지주(160)는 지지대연결용끼움구(140)와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관통홀(132a) 중 어느 하나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0; 몸체 120; 복수개의 체결부 164; 지지편
110a; 삽입홈 122; 삽입홈 170; 보조틀
111; 바퀴 130; 지주보조대 172; 수직바
111a; 지지축 132; 플레이트 174; 연결구
112; 토양저장부 132a; 복수개의 관통홀 176; 수평바
112a; 배출구 134; 슬라이드구 178: 연결바
113; 격벽 134a; 지지구
113a; 고정클립 133; 브라켓
114; 유체저장부 134b; 삽입홀
114a; 배출구 136; 고정구
114b; 걸림고리 140; 지지대연결끼움구
114c; 절개홈 150; 유체공급기
115; 밸브 152; 밸브
116; 적치홈 154; 제1 호스
118; 삽입구 154a; 거름망
118a; 수직부 156; 제2 호스
118b; 수평부 156a; 분사구
118c; 마개 160; 지주
119; 호스 162; 받침대

Claims (8)

  1.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이 저장된 토양저장부와, 상기 토양저장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토양저장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저장부로 이루어진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등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
    상기 유체저장부의 유체가 상기 토양저장부에 공급될 수 있게 일단이 상기 토양저장부에 위치되고, 타단이 상기 유체저장부에 위치되는 유체공급기; 및,
    상기 몸체의 상부에 또 다른 몸체가 위치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에 형성된 삽입홈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또 따른 몸체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상부 또는 하부에 또 다른 몸체가 삽입되어 적층될 수 있도록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저장부는 상기 토양저장부에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부에 결합되는 지주보조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주보조대는 상기 복수개의 체결부에 결합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되는 슬라이드구와, 상기 슬라이드구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홀을 관통한 후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드구를 고정하는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단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지면에 지지되는 이동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기는,
    상기 토양저장부와 상기 유체저장부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 결합되는 밸브와, 상기 유체저장부의 내부에 위치되게 일단이 상기 밸브에 결합되고, 타단에 거름만이 구비된 제1 호스와, 상기 토양저장부의 내부에 위치되게 일단이 상기 밸브에 결합되고, 타단에 분사구가 구비된 제2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부 바닥면에는 바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의 몸체에 각각 구비된 유체저장부는 호스가 연결된 삽입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나 또는 복수개로 마련되되, 상기 몸체의 둘레면에는 상기 몸체로부터 등 거리 이격하여 복수개의 수직바와, 상기 복수개의 수직바에 연결구를 통해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바로 이루어진 보조틀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KR1020150090635A 2015-06-25 2015-06-25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KR201700018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635A KR20170001814A (ko) 2015-06-25 2015-06-25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635A KR20170001814A (ko) 2015-06-25 2015-06-25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14A true KR20170001814A (ko) 2017-01-05

Family

ID=5783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635A KR20170001814A (ko) 2015-06-25 2015-06-25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8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0283B2 (en) Column elements for a device for the vertical cultivation of plants
US10772270B2 (en) Aeroponic column
US8919040B2 (en) Spiral garden
US5276997A (en) Planter with built-in water distribution system
US5826375A (en) Modular planter system
US5555676A (en) Vertical planter apparatus and method
KR100943394B1 (ko) 다층구조 기구를 이용한 딸기 및 소형 엽채류의 재배장치
US9185853B1 (en) Double-walled nested plant pot assembly for hydroponic irrigation system
US9420768B2 (en) Aquaponics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180220606A1 (en) Combination tiered modular kit assembly including hydroponic basket for growing plants in a bucket
JP2017538405A (ja) 垂直な水耕栽培タワー・アレイ固定システム
CN102665392A (zh) 级联式植物栽培系统和植物栽培托盘
JP6834009B2 (ja) 水耕栽培ユニット
US20160353674A1 (en) Stackable planting system layer quarter section
US2012018615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KR101317939B1 (ko) 다단조립식 화분
US6442895B1 (en) Plant container assembly
CN206821576U (zh) 新型无土栽培装置
US20130333281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growing plants
KR101028771B1 (ko) 급수수단을 구비한 다중 화분
KR200485275Y1 (ko) 식물재배기구
WO2009041991A1 (en) Expandable plant growing frame tray and pots
WO2019086242A1 (en) Vertical growing system and use thereof
KR20170001814A (ko) 자동 물 공급 조립식 재배용기
JP2004154084A (ja) 植物栽培方法と植物栽培装置と植物展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