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672U -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 Google Patents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672U
KR20170001672U KR2020150007135U KR20150007135U KR20170001672U KR 20170001672 U KR20170001672 U KR 20170001672U KR 2020150007135 U KR2020150007135 U KR 2020150007135U KR 20150007135 U KR20150007135 U KR 20150007135U KR 20170001672 U KR20170001672 U KR 201700016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ight emitting
lighting
region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훈
명태식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신플러스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신플러스, 김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신플러스
Priority to KR2020150007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672U/ko
Publication of KR201700016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향기능과 조명기능을 가지는 화분에 관한 것으로, 화분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에 개구가 설치된 몸체, 개구의 덮개로 이용되고, 상부에는 방향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영역을 구비하는 캡 및 캡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조명부의 발열에 의해 수용영역에 수용된 방향제가 확산 된다.

Description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Vase which has a fragrance for lighting}
본 고안은 방향기능 및 조명기능을 가지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점차 밀폐되고 도시화되는 현대공간과 불안전한 환경 변화 속에서 식물은 사람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습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종래의 기술에는 이러한 식물에 특정된 조명을 비추어 주거환경의 미적효과를 두드러지게 하는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또한, 방향제를 주변환경에 확산시키는 디퓨저는 조명과 결합 되어 사람의 휴식 또는 수면을 돕는데 기어 하고 있다.
하지만, 방향제, 조명 및 식물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생활의 질을 개선 시키는 기술은 아직 출시되지 않아, 날로 향상되는 사람들의 생활 수준에 대한 요구를 충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82887(2015.07.16)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향기능 및 조명기능을 가진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에 개구가 설치된 몸체; 상기 개구의 덮개로 이용되고, 상부에는 방향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영역을 구비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의 발열에 의해 상기 수용영역에 수용된 방향제가 확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조명부를 설치하기 위한 실장영역을 구비하는 하부영역과 상면에 수용영역을 구비하는 상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영역이 가지는 폭은 상기 개구가 가지는 폭 보다 작고, 상기 상부영역이 가지는 폭은 상기 개구가 가지는 폭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발광 소자와 직집 접촉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방열판은 중심이 서로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영역에 삽입되고, 금속으로 형성된 방향제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영역과 상기 상부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홀이 형성되는 공기 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은 화분의 캡에 발광수단이 설치되어, 캡 아래에 있는 화초에 빛을 조사하고, 발광수단이 방출한 열이 발광수단의 배면에 설치된 방향제 수용수단을 통하여 방향제에 전달되어 방향효과를 가지면서, 조명장식 효과, 실내 공기 청정효과를 동시에 가지게 된다.
또한, 방열판이 발광수단의 배면에 설치되어 열전도효율이 보다 향상되고, 이에 따라, 방향제의 기화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향제가 수용되는 위치가 발광수단이 방열하는 위치이기도 하므로 공간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의 캡의 하부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의 캡의 상부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캡이 AA'선에 따라 절단된 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의 캡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의 캡의 하부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캡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의 몸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1)은 화분 모양으로 된 몸체(100), 몸체(100)의 상부에 개구를 덮어주는 캡(200), 캡(200)의 아래에 설치된 조명부(3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캡(200)을 지지하는 수단이고, 내부의 중공한 공간에 장식 효과가 있는 식물 및 식물을 재배하는데 필요한 토양을 수용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또한, 몸체(100)는 사용자가 몸체(100) 내부의 식물을 볼 수 있도록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유리 또는 도자기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100)는 화분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으로, 화분(1)의 형태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몸체(100)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캡(200)은 몸체(100)의 개구의 덮개로 사용되고, 하부는 조명부(300)와 캡(200)이 설치되고, 상부는 방향제를 수용하는 수용영역(400)을 구비한다.
조명부(300)는 몸체(100)에 빛을 조사하여 조명기능을 제공하는 발광 소자(310)를 포함하는 발광모듈이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부(300)는 하나의 발광 소자(310)를 구비하고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조명부(300)는 발광 소자(310)를 복수 개 구비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발광 소자(310)는 발광을 할 때 열이 발생 된다. 발생 된 열은 발광 소자의 배면 즉, 캡의 상부면에 위치한 수용영역(400)으로 전달된다.
수용영역(400)은 캡(200)의 상부면에 빈 공간이 형성되면서 생긴 것이고, 액체 또는 고체의 방향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수용영역(400)은 발광 소자가 방출한 열을 전달받아 방향제를 기화시켜 주변으로 확산시킨다.
이제, 도 2 내지 4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310)에서 발생한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는 캡(2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의 캡의 하부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의 캡의 상부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표시된 캡이 AA'선에 따라 절단된 단면도 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 예의 캡(200)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하부영역(210)과 상부영역(220)을 구비한다. 하부영역(210)과 상부영역(220)은 서로 맞대어 있고, 하부영역(210)은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하여 실장영역(211)이 형성되어 몸체(100)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3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영역(220)에는 방향제를 수용하는 수용영역(40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캡(200)은 몸체(100)의 개구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진 하부영역(210)과 몸체(100)의 개구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상부영역(220)을 구비한다. 이에 하부영역(210)은 몸체(100)의 개구로 삽입되고, 상부영역(220)은 몸체(100)의 개구에 지지 된다. 즉, 캡(200)은 몸체(100)의 개구에 삽입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부영역(220)은 하부영역(210)과 맞대는 면의 배면인 B표면으로부터 상부영역(220)이 일부제거 되어 형성된 공간인 수용영역(400)을 형성한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수용영역(400)은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다양한 실시 예 중 일 예이다. 본 고안의 수용영역(400)은 세모, 네모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부영역(220)은 조명부(300)에 전기를 공급하는 선을 수용하는 전선을 수용하기 위한 전원선홀(22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영역(220)은 하부영역(210)의 배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부영역(22)에 설치된 수용영역(400)은 하부영역(210)에 설치된 발광 소자(310)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수용영역(400)은 발광 소자(310)의 배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310)의 배면에 수용영역(400)이 직접접촉설치되어 발광 소자(310)에서 발생 된 열이 수용영역(400)으로 더 잘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310)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부영역(220)의 수용영역(400)에 방열판(410)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제 3 실시 예를 도 5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의 캡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제 3 실시 예는 제 2 실시 예의 캡(200)의 구조에 방열판(410)과 방향제 수용부(430)가 더 포함되어 얻어진 실시 예이다.
방열판(410)은 조명부(300)의 배면에 설치되어 발광 소자(310)가 발생한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영역(220)의 수용영역(400)에 방열판(410)이 설치되어 있고, 방열판(410) 위의 공간에 방향제 수용부(430)가 설치된다. 여기서, 방열판(410) 및 방향제 수용부(430)는 열전달 성능이 높은 금속 재료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열판(410)은 발광 소자(310)와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접촉으로 설치되어 발광 소자(310)에서 발생 된 열을 수용영역(400)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310)의 중심은 방열판(410)의 중심과 일치하게 설치되어 열전단 거리를 최소화하여, 발광 소자(310)가 발생한 열을 방열판(410)으로 전달되는 효율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영역(220)에 설치된 수용영역(400)에는 방향제 수용부(430)를 설치하어 방향제 수용역할을 할 수 있다.
방향제 수용부(430)는 탈부착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방향제 수용부(430)를 세척 또는 교체할 때 쉽게 화분(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방향제를 교체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제 4 실시 예는 제 2 및 제 3 실시 예의 캡(200)에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 순환부가 포함되어 얻어진 실시 예이다.
공기 순환부(230)는 상부영역(220)과 하부영역(210)을 관통시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홀(231 내지 234)을 구비한다.
여기서, 공기 순환홀(231 내지 234)은 몸체(100)의 내부의 식물에 필요한 공기를 제공해주고, 발광 소자(310)가 비추는 빛에 의해 발생 된 열을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발광 소자(310)가 비추는 빛에 의해 발생 된 열은 몸체(100) 내부에 재배되는 화초 또는 식물의 성장에 방해가 임으로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의 캡의 하부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캡의 단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하부영역(210)과 상부영역(220)이 겹치는 구역을 빗금으로 표시했다. 그리고, A표면과 수직되는 방향에 따라 상부영역(220)과 하부영역(210)을 관통하여 제 1 공기 순환홀(231 내지 23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공기 순환홀(231 내지 234)이 복수 개 구비되어 제 1 공기 순환부(230)를 형성한다.
몸체(100)의 내부와 외부 간의 원활한 공기 순환을 위하여 몸체(100)에도 공기 순환부를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의 몸체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몸체(100)의 상부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제 2 공기 순환 홀(111 내지 114)로 형성된 제 2 공기 순환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100)의 중간부에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는 복수 개 제 3 공기 순환 홀(121 내지 123)로 형성된 제 3 공기 순환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형성된 제 1 내지 제 3 공기 순환부(230,110,120)는 서로 유기적으로 몸체(100)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킨다.
제 1 및 제 2 공기 순환부(230, 110)는 모두 제 3 공기 순환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는 몸체(100) 내부로 비추어지는 빛에 의해 발생 된 열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열기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몸체(100) 내부의 열기가 제 1 및 제 2 공기 순환부(230, 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몸체(100) 내부의 낮아진 기압은 보충되어야 한다. 이는 제 3 공기 순환부(120)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실현된다.
제 1 내지 제 3 공기 순환부(230, 110, 120)가 각각 배치된 위치에 의해,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1)의 외부에 있는 공기가 제 3 공기 순환부(120)로부터 몸체(100) 내부로 유입되고,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1)내부의 열기는 상부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공기 순환부(230, 110)로 이동하여 몸체(100)외부로 방출된다. 즉, 몸체(100) 내부에서는 아래로부터 위로 이동하는 기류가 성형된다.
이에 따라,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1)은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이 되어 발광 소자(310)가 방출한 빛에 의해 발생 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몸체(100)의 외부로 방출한다.
결론적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1)은 캡(200)에 조명부(300)가 설치되고, 캡(200) 아래에 있는 화초에 빛을 조사할 수 있어, 심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310)의 배면에 설치된 방향제 수용수단(230)은 발광 소자(310)에서 방출한 열을 이용하여 방향제를 기화시켜 주변 환경에 향기가 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1)은 발광 소자(310)가 빛의 형태로 발생한 열을 몸체(100) 외부로 효율적으로 방출할 수 있어 몸체(100) 내부에 있는 식물의 성장에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1 : 화분 100 : 몸체
110 : 제 2 공기 순환부
111 내지 114 : 제 2 공기 순환홀
120 : 제 3 공기 순환부
121 내지 123 : 제 3 공기 순환홀
200 : 캡 210 : 하부영역 211 : 실장영역
220 : 상부영역 221 : 전원선홀
230 : 제 1 공기 순환부
231 내지 234 : 제 1공기 순환홀
300: 조명부 310 : 발광 소자
400 : 수용영역 410 : 방열판 420 : 방향제 수용부

Claims (7)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구비하고, 상단에 개구가 설치된 몸체;
    상기 개구의 덮개로 이용되고, 상부에는 방향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영역을 구비하는 캡; 및
    상기 캡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의 발열에 의해 상기 수용영역에 수용된 방향제가 확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조명부를 설치하기 위한 실장영역을 구비하는 하부영역과 상기 수용영역을 구비하는 상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영역이 가지는 폭은 상기 개구가 가지는 폭보다 작고, 상기 상부영역이 가지는 폭은 상기 개구가 가지는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조명부에서 발생 되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발광 소자와 직집 접촉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방열판은 중심이 서로 일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영역에 삽입되고, 금속으로 형성된 방향제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영역과 상기 상부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순환홀이 형성 된 공기 순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KR2020150007135U 2015-11-03 2015-11-03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KR201700016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35U KR20170001672U (ko) 2015-11-03 2015-11-03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135U KR20170001672U (ko) 2015-11-03 2015-11-03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72U true KR20170001672U (ko) 2017-05-15

Family

ID=58716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135U KR20170001672U (ko) 2015-11-03 2015-11-03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67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992A (ko) 2018-04-14 2019-10-23 이민호 화력발전충전 그릴
KR20190122396A (ko) 2018-04-20 2019-10-30 김경태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일체형 무드등
KR20240094704A (ko) 2022-12-16 2024-06-25 곽해신 디퓨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887A (ko) 2014-01-08 2015-07-16 도철용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2887A (ko) 2014-01-08 2015-07-16 도철용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992A (ko) 2018-04-14 2019-10-23 이민호 화력발전충전 그릴
KR20190122396A (ko) 2018-04-20 2019-10-30 김경태 가열 증발식 전기발향기 일체형 무드등
KR20240094704A (ko) 2022-12-16 2024-06-25 곽해신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7348B1 (en) Lighting device and luminaire
JP2009034064A (ja) 水耕栽培装置
US20090122516A1 (en) Aroma lamp
WO2012024048A3 (en) Flameless candle with fragrance diffusion
WO2015075986A1 (ja) Led照明管及び植物栽培用照明装置
KR20170001672U (ko) 방향기능을 가지는 조명용 화분
JP2011103275A (ja) 発光ダイオード照明器具
KR101767510B1 (ko) 조명 장치
KR102024814B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테라리움
JP2012033452A (ja) 高天井照明
JP6055217B2 (ja) 植物栽培装置
CN212961049U (zh) 一种多功能装饰灯具
KR200434013Y1 (ko) 가습기가 부설된 조명용 스탠드
KR20120133302A (ko) 화분의 탑재가 가능한 공기정화기
US20090136390A1 (en) Incandescent aroma lamp
KR200490586Y1 (ko) 피톤치드를 발산시키는 조명등
CN112050102A (zh) 一种多功能装饰灯具
KR200203546Y1 (ko) 장식용 조명등
KR20090006869U (ko) 방향제 기능을 갖는 장식용 조명구
KR20200010966A (ko) 화분의탑재가가능한공기청청정화기
KR101743020B1 (ko) 거치식 기능성 장식틀체가 결합된 조명등
US20070081328A1 (en) Illuminating device for plants
CN210319569U (zh) 具有组合式壳体的装饰灯
JP2014147323A (ja) 植物育成容器
KR20180052299A (ko) 전구열을 이용한 온풍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