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466U - 투구 연습용 야구공 - Google Patents

투구 연습용 야구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466U
KR20170001466U KR2020150006757U KR20150006757U KR20170001466U KR 20170001466 U KR20170001466 U KR 20170001466U KR 2020150006757 U KR2020150006757 U KR 2020150006757U KR 20150006757 U KR20150006757 U KR 20150006757U KR 20170001466 U KR20170001466 U KR 201700014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pitching
baseball
measur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7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정
Original Assignee
김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정 filed Critical 김소정
Priority to KR20201500067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466U/ko
Publication of KR20170001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46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pi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20Distances or displacements
    • A63B2220/24Angular displac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30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40Accel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Gyrosc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구 연습 시 사용되는 야구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 센서 구성체 및 보호체로 구성된 움직임 측정 코어부를 공의 중심부에 내장하여 투구 시 공의 속도 변화, 회전 및 궤적 변화 등 공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고 연동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송을 통해 관련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함으로써 투구 연습 시 직감에 의존하던 기존의 투구 연습 방식이 아닌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투구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투수는 본 고안을 이용한 투구 연습을 통해 전반적인 투구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새로운 구종의 습득 시에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단은 투수 육성 및 관리 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경기 전 투수의 투구 컨디션을 확인하여 경기 중 투수 운용 시에도 활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투구 연습용 야구공 {Pitching training ball for baseball}
본 고안은 투구 연습 시 사용되는 야구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 센서부 구성체 및 보호체로 구성된 코어부를 공의 중심부에 내장하여 투구 시 공의 속도 변화, 회전 및 궤적 변화 등 공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하고 연동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송을 통해 관련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투구 연습 시 직감에 의존하던 기존의 투구 연습 방식이 아닌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투구 연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야구공은 크게 경식 야구공 또는 연식 야구공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공인된 경기에서 사용되는 경식 야구공의 중량은 141.7~148.8g(5∼5와 1/4온스) 둘레는 22.9~23.5cm(9∼9와 1/4온스)이어야 한다.
경식 야구공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코르크 심 위에 고무를 덧씌워 청회색과 흰색의 모사(毛絲)를 감아 다시 그 위에 면사를 감은 다음 여기에 흰색 말가죽이나 쇠가죽 또는 인공재질의 커버 두 쪽으로 감싸듯 배치한 후 적색사로 108번 바느질을 하여 두 쪽을 잇는 공정이 이어진다.
연식용 공은 고무로 만든 것으로 L·B·A·C의 4종류가 있으며 이는 각각의 지름, 중량, 반발력에 따라 구분된다.
B 호는 속이 비지 않은 일반용으로 사회인 야구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지름은 71.5mm ~ 72.5mm, 중량은 140.7g ~ 144.3g이다.
A, C, L 호는 속이 빈공이며 A, C 호는 유소년용으로 사용된다.
투수는 타자를 혼란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다양한 구종을 연습하며 이때의 구질을 토대로 실제 경기에서의 사용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구종은 속구, 변화구, 체인지업 등 투구의 종류를 말하며 구질은 투수의 피칭 메커니즘이나, 체격에 의해 결정되는 일종의 속성(properties)이라 할 수 있다.
투수는 후천적인 훈련을 통해 다양한 구종을 습득하여 구사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신체 조건 및 투구 메커니즘에 의해 공의 움직임 과 궤도의 개성있는 구질을 구사 할 수 있다.
현재 레이저 추적기술을 이용하여 투구 시 공의 속도, 회전수, 궤도 등 여러 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이 대형 야구장에 설치되어 운영 중으로 TV중계 중 투구 속도, 궤적, 회전수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타격 시 공의 위치를 추적하여 비거리 및 타구 속도 등의 정보를 제공 함으로써, 경기 종료 후 각 선수들의 능력치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는 레이저 추적시스템이 설치된 경기장 내에서만 가능하며 시스템이 설치되지 않은 별도의 장소에서는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실제 경기에서 투구 능력을 보여주기 직전에 선수 컨디션에 따른 각 구종과 구질에 대한 정보를 즉시 확인 하여 실제 경기에서 효과적인 전략을 구상할 수 있어야 하나 현재는 사람의 직감으로만 확인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대부분의 투수는 실제 경기가 이루어지는 경기장 외의 장소에서 연습을 하고 있으며 특히 시즌이 종료된 후 전지훈련을 위해 따뜻한 지역으로 이동하여 시즌 준비를 하게 되는데 이때 각 투수들은 구사 가능한 구종의 연습과 함께 새로운 구종을 개발하기 위한 훈련을 한다. 하지만 이 역시도 직감에 의존하는 한계가 있다.
사용자는 보다 효과적인 훈련을 위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공의 속도 변화, 궤적 변화, 회전 방향, 회전 수 및 상하좌우 움직임 등에 대한 야구공의 정보를 데이터화 하여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야구공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전자 센서부 구성체와 보호체로 구성된 코어부를 공의 중심부에 내장하여 투구 시 공의 속도변화, 궤적 변화, 회전 정보 및 위치변화 등 공의 움직임에 관한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연동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활용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투구시 공의 움직임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식 야구공 또는 연식 야구공 등 야구를 위해 사용되는 공의 중심부에 움직임 측정 코어부가 배치되며 투구시 얻어지는 공의 움직임 데이터를 연동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코어부는 공의 속도 변화, 진행 방향, 회전 방향, 회전 수 및 상·하·좌·우 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전자 센서부, 연산처리를 위한 제어부, 전원을 공급을 위한 베터리부,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센서부 구성체와 이를 보호하기 위한 탄성 소재의 보호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구 시 공의 속도 변화, 궤도 변화, 회전 방향, 회전 수 및 상·하·좌·우 움직임 변화 등의 공의 움직임 데이터를 측정하고 연동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전송을 통해 관련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각 구종 및 구질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투수는, 반복적인 연습을 통해 구종 단련 및 새로운 구종 습득을 위한 연습 시에 활용할 수 있으며 누적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확한 투구 능력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선수 기량 변화에 따른 투구 능력의 변화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구단은, 투수들의 투구 연습 데이터를 활용하여 선수 육성 및 관리를 할 수 있으며 경기 전 투구 컨디션을 확인하여 경기 중 투수운용시 참고 할 수 있게 되어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도1. 움직임 측정 코어부를 포함하여 제작된 경식 야구공의 절단면 및 개념도
도2. 움직임 측정 코어부를 포함하여 제작된 연식 야구공의 절단면
도3. 투구 연습용 야구공의 움직임 정보 획득 및 전송 방법 도식화
투구 연습용 야구공 제작 시 기존의 야구공 중심부에 위치한 코르크와 고무 소재로 된 중심부를 대신하여 공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의 전자 센서, 연산처리를 위한 제어부, 소형 배터리 또는 무선충전을 위한 코일이 내장된 전력수신기와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부 및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로 구성된 전자 센서부 구성체(102)와 이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체(101)를 포함하여 구성된 움직임 측정 코어부(100)를 일반 야구공 제작 시 사용되는 면실(201)로 감고 가죽 또는 인공 재질의 커버(202)를 씌운 후 적색 실로 꿰매어 만들며 이 때 꿰맨 자국인 솔기(203)가 형성된다.
경식 야구공 규정에 맞도록 무게는 141.7 ~ 148.8g 이어야 하며 둘레는 22.9 ~ 23.5cm 이어야 한다.
연식공으로 제작 시 센서부 구성체(100)가 고무 또는 탄력이 있는 소재의 몸체(300)로 구성된 공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하며 무게는 연식 야구공 규정에 따라 제작되어야 한다.
투구 연습용 야구공의 움직임 데이터를 획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측정을 활성화하는 단계(S1); 중심부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의 전자 센서를 통해 공의 움직임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하는 단계(S2); 포수를 향해 이동하며 변화되는 속도, 회전수, 회전방향 및 상하좌우 이동변화를 측정하는 단계(S3); 공이 포수의 글러브에 도달하여 움직임이 정지되거나 바닥에 튕겨 그 충격데이터를 감지하는 단계(S4); 공의 움직임 정지 또는 충격 등으로 급격하게 움직임 데이터가 변화할 때 공과 연동된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과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의 움직임 데이터가 무선 전송되는 단계(S5); 및 측정 종료 단계(S6); 그리고 계속 사용하기 위한 움직임을 측정하는 단계(S7)가 있으며 측정 활성화 단계(S1) 없이 포수가 투수에게 송구하는 경우 데이터는 측정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공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며 연동된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투구 연습 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100: 움직임 측정 코어부 101: 전자 센서부 보호체
102: 전자 센서부 201: 면실
202: 커버(외피) 203: 적색사 솔기부
300: 고무 또는 탄력 재질의 몸체 S1~S7: 데이터 측정 단계

Claims (4)

  1. 야구를 위해 사용되는 공의 중심부에 내장되어 공의 속도 변화, 회전 변화 등의 움직임 데이터를 획득 할 수 있는 전자 센서부; 연산처리를 위한 제어부; 무선 데이터 송수신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투구 연습용 야구공.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전자 센서부는 공의 속도, 회전 방향, 회전 수 및 궤도변화 정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투구 연습용 야구공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베터리부는 베터리셀(Cell); 무선 충전패드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를 수신하는 코일이 내장된 전력수신기; 를 포함하여 구성된 투구 연습용 야구공.
  4.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공의 속도, 회전수 등의 움직임 정보를 측정 및 전송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다.
    데이터 측정을 활성화하는 단계; 공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공의 움직임 데이터를 측정 및 저장하는 단계; 포구로 인한 움직임의 정지 또는 외부충격을 감지하는 단계; 연동된 외부장치로의 데이터 무선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투구 연습용 야구공
KR2020150006757U 2015-10-15 2015-10-15 투구 연습용 야구공 KR201700014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57U KR20170001466U (ko) 2015-10-15 2015-10-15 투구 연습용 야구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757U KR20170001466U (ko) 2015-10-15 2015-10-15 투구 연습용 야구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466U true KR20170001466U (ko) 2017-04-25

Family

ID=58669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757U KR20170001466U (ko) 2015-10-15 2015-10-15 투구 연습용 야구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46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0071B2 (en) Methods of determin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individuals and sports objects
US11931624B2 (en) Wearable athletic activity 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US11839489B2 (en) Wearable athletic activity monitoring systems
JP6244487B2 (ja) スポーツボールの運動をモニタ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3372298B (zh) 体育活动监测方法和系统
KR20180104119A (ko) 센서를 내장한 볼을 포함하는 시스템
US9526951B1 (en) Sports ball system for monitoring ball and body characteristics and method therefor
CN208193548U (zh) 一种智能足球
KR20170114452A (ko) 스마트 밴드 및 스마트 공을 이용한 스포츠 트레이닝 시스템
KR20170001466U (ko) 투구 연습용 야구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