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94U - 선박용 반목 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반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94U
KR20170001094U KR2020150006170U KR20150006170U KR20170001094U KR 20170001094 U KR20170001094 U KR 20170001094U KR 2020150006170 U KR2020150006170 U KR 2020150006170U KR 20150006170 U KR20150006170 U KR 20150006170U KR 20170001094 U KR20170001094 U KR 20170001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dock
head
wat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1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민
이희동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1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094U/ko
Publication of KR20170001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9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5/04Bilge or keel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는, 선박이 건조되는 도크 바닥면에 구비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을 지지하며,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크 바닥면에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반목 장치{SUPPORTING DEVICE FOR SHIPBUILDING}
본 고안은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해상 구조물 등의 건조시에는 선체, 블록 등을 지지하기 위해 반목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목은 건조 과정이나 도크(dock)로부터 진수 또는 재안착시 블록이나 선체의 하부면을 지지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선체나 블록은 대형의 중량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수의 반목을 설치하여 선체 등을 지지하게 된다.
도 11은 종래의 선박용 반목(100)이 도크(300)의 바닥면(D)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선박용 반목(100)은 선박(S)의 건조가 완료되어 진수를 할 때 도크(300)의 내부에 물을 채워서 일정 수위(W) 이상이 되면 선박(S)이 물에 뜨면서 하측의 반목(100)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그런데 건조되는 선박(S)의 선저에는 호스(hose)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과 같은 돌출된 구조물(200)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박(S)의 진수를 위해서는 선박(S)이 물 속에 잠겨있는 깊이와 반목(100)의 높이 및 도크(300)의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선박(S)의 진수를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크(300)에 채워지는 물의 수심이 선박(S)의 물 속에 잠겨있는 깊이와 반목(100)의 전체 높이를 합한 길이보다 일정 길이 이상 더 깊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진수시 선저 하부의 돌출된 구조물(200)과 반목(100)이 부딪힐 위험이 있다. 이런 경우, 선박(S)을 더욱 부양하여 선저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물(200)과 반목이 부딪히지 않도록 추가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지만, 해수면과 도크 바닥면(D)의 높이 방향 위치는 고정되어 있어 대형 선박의 경우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는 진수시 자동으로 넘어져서 선저와 도크 바닥 사이에 추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는, 선박이 건조되는 도크 바닥면에 구비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을 지지하며,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크 바닥면에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는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상면은 개방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면은 폐쇄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하면은 폐쇄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면 가장자리 부위만 상기 도크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의 하면 가장자리 부위만 상기 도크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에는, 상기 헤드부가 상기 도크 바닥면과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1 충격 완화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충격 완화 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도크 바닥면과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2 충격 완화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충격 완화 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에 의해서, 진수시 자동으로 넘어져서 선저와 도크 바닥 사이에 추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반목 장치 내부로 물이 유입됨에 따라 반목 장치가 쉽게 한 쪽으로 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건조하려는 선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반목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선박의 진수시 필요한 물의 수심이 더 깊어질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의 헤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의 선박 건조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의 선박 진수 초기 도크에 물이 채워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서 기울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가 부력에 의해 최대치로 떠올라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가 도크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가 도크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에 충격 완화 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종래의 선박용 반목 장치가 도크의 바닥면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박용 반목 장치(100)는,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상측에 구비되는 헤드부(20), 및 바디부(10)의 하측에 구비되는 지지부(30)를 포함한다.
바디부(10)는 선박이 건조되는 도크 바닥면에 구비된다. 바디부(10)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는 원 기둥 형상 또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부(10)는 도크의 바닥면에 직접 접촉된다.
바디부(10)의 상측 및 하측은 폐쇄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의 하측만 폐쇄되고, 상측은 개방되어 헤드부(20)의 개방된 하측과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10)의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므로, 선박 진수시 도크 내부로 물이 유입됨에 따라 부력이 작용하여, 반목 장치(100)가 선박을 향해 떠올라 쉽게 넘어질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의 상측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헤드부(20)의 개방된 하측과 연결될 수 있는데, 바디부(10)의 내측면에 경사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40)는 도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헤드부(20)의 내부 및 바디부(10)의 내부에 물이 유입되면서 바디부(10)가 한쪽 방향으로 쉽게 넘어지도록 할 수 있다. 경사부(40)는 바디부(10)의 내측면으로부터 바디부(10)의 저면에 걸쳐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바디부(10) 내부에 유입되는 물이 바디부(10) 저면의 한쪽부터 채워지게 됨으로써, 반목 장치(100)의 무게 중심이 물이 채워진 측으로 쏠리게 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바디부(10) 내부에 물이 유입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반목 장치(100)는 한쪽으로 넘어지게 된다.
또한, 바디부(10)의 하면은 폐쇄되고 바디부(10)의 하면 가장자리 부위만 도크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10)의 하면 가장자리 부위만 도크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형성하면, 도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바디부(10) 하면에 부력이 더 작용하여 반목 장치(100)를 쉽게 떠오르면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헤드부(20)는 바디부(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선박에 접촉하여 지지한다. 헤드부(20)의 상측 및 하측은 폐쇄되어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헤드부(20)의 상측만 폐쇄되고, 하측은 개방되어 바디부(10)의 개방된 상측과 연결될 수 있다. 헤드부(20)의 상측은 선박의 저면을 넓은 범위로 접촉하도록 헤드부(20)의 상측이 하측보다 넓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헤드부(20)는 상면을 구비하며, 헤드부(2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22)가 형성될 수 있다(도 3 참조). 도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 헤드부(20)의 개구(22)를 통해 헤드부(20)에 물이 유입되고, 개방된 헤드부(20) 하측과 연결된 개방된 바디부(10) 상측으로 물이 유입되어 바디부(10) 내부에 물이 유입되게 된다. 바디부(10) 내부에 물이 유입되면서 반목 장치(100)는 도크 바닥면으로 낙하한다. 바디부(10) 상측이 폐쇄된 구조인 경우, 바디부(10) 상면에도 개구(22)가 형성되어 개방된 헤드부(20) 하측과 바디부(10) 상면의 개구(22)를 통해 바디부(10) 내부에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지지부(30)는 바디부(10)의 하측에 구비되어 도크 바닥면에 접촉한다. 지지부(30)는 선박 건조시 바디부(10)와 헤드부(20)가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부(30)는 바디부(10)의 측부와 도크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바디부(10)를 지지하며,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지지부(30)의 바닥면 가장자리 부위만 도크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지지부(30)의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진수를 위해 도크에 물이 유입될 때 지지부(30)의 하면으로부터 부력이 더 작용하여 반목 장치(100)가 쉽게 넘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 헤드부(20), 및 지지부(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의 헤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20)는 상면을 구비하며, 헤드부(20)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22)가 형성된다. 개구(22)는 도크에 물이 유입될 때 반목 장치(100) 외부로부터 헤드부(20) 내부 및 바디부(10) 내부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개구(22)는 헤드부(20)의 모서리 부위에 각각 하나씩 구비될 수 있다. 개구(22)의 위치, 크기, 모양 및 개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선박 건조시 및 선박 진수시 선박용 반목 장치의 상태 변화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의 선박 건조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의 선박 진수 초기 도크에 물이 채워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가 부력에 의해 떠오르면서 기울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가 부력에 의해 최대치로 떠올라 기울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가 도크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가 도크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박용 반목 장치는 선박 건조시 직립되어 있는 상태이고, 반목 장치는 헤드부(20)와 바디부(10)의 상측에 의해 선박(S)의 저면을 지지하며, 지지부(30)와 바디부(10)의 하측에 의해 도크의 바닥면(D)을 지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박(S) 건조가 완료된 후, 진수를 위해 도크 내부에 물을 채우게 되고, 일정 수위(W) 이상이 되면,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바디부(10)와 헤드부(20)에는 부력이 작용되고, 이 부력에 의해 반목 장치의 무게 중심은 상승하게 되어 넘어지기 쉬운 상태로 된다. 이 때, 바디부(10), 헤드부(20), 및 지지부(30)를 포함하는 반목 장치의 하중은 반목 장치에 가해지는 부력보다 커서 반목 장치가 직립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크 내부에 물이 채워짐에 따라 헤드부(20)가 물에 잠기고, 헤드부(20) 상면에 형성된 개구(22)를 통해, 헤드부(20)와 바디부(10)에 물이 유입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정 시간 도크 내부에 물이 채워지면, 반목 장치에 가해지는 부력이 반목 장치의 하중보다 커지게 되어, 반목 장치는 선박(S)의 저면에 닿은 채로 위로 뜨게 된다. 동시에, 헤드부(20)와 바디부(10)에는 물이 유입되게 된다. 바디부(10) 내측면에는 경사부(40)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디부(10) 내부에 유입된 물은 경사부(40)의 형상에 대응하여 바디부(10) 한쪽 내측으로 몰린 상태가 되어, 바디부(10)의 무게 중심은 한 쪽으로 쏠리게 된다. 따라서, 반목 장치는 위로 뜨면서 한 쪽으로 쉽게 기울어지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목 장치는 부력에 의해 최대치로 떠오르게 되고, 한 쪽으로 기울어져 선박(S)의 저면에 최대로 가까워지게 된다. 이 후, 헤드부(20)의 개구(22)를 통해 물이 헤드부(20)와 바디부(10) 내부로 계속 유입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목 장치에 가해지는 부력이 약해져서 반목 장치는 선박(S)의 저면으로부터 도크의 바닥면(D)을 향해 낙하하게 된다. 시간이 더 흘러 헤드부(20)와 바디부(10) 내부에 물이 모두 채워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목 장치는 도크의 바닥면(D)에 안착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에 충격 완화 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목 장치의 헤드부(20)와 지지부(30)에는 충격 완화 부재(24, 3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헤드부(20)에는 헤드부(20)가 도크 바닥면(D)과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1 충격 완화 부재(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충격 완화 부재(24)는 헤드부(20)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충격 완화 부재(24)는 반목 장치가 부력으로 인하여 떠올라 선박(S)의 저면에 충돌하는 경우 반목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30)에는 지지부(30)가 도크 바닥면(D)과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2 충격 완화 부재(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2 충격 완화 부재(34)는 지지부(30)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충격 완화 부재(34)는 반목 장치가 부력으로 인하여 떠올라 선박(S)의 저면에 충돌하는 경우 반목 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충격 완화 부재는 헤드부(20), 및 지지부(30) 뿐만 아니라 바디부(10)에도 구비될 수 있으며, 반목 장치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반목 장치가 선박(S) 저면에 형성된 돌출 구조물에 부딪힐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할 수도 있으며, 반목 장치들 간에 충돌에 의한 충격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반목 장치에 의해서, 진수시 자동으로 넘어져서 선저와 도크 바닥 사이에 추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반목 장치 내부로 물이 유입됨에 따라 반목 장치가 쉽게 한 쪽으로 넘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건조하려는 선박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물의 높이에 따라 반목의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선박의 진수시 필요한 물의 수심이 더 깊어질 필요가 없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선박용 반목 장치 10: 바디부
20: 헤드부 22: 개구
24: 제1 충격 완화 부재 30: 지지부
34: 제2 충격 완화 부재 40: 경사부
S: 선박 D: 도크 바닥면
W: 수위

Claims (6)

  1. 선박이 건조되는 도크 바닥면에 구비되고,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선박을 지지하며,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도크 바닥면에 접촉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반목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면을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형성되는 선박용 반목 장치.
  3. 제 1 항에서,
    상기 바디부의 하면은 폐쇄되고, 상기 바디부의 하면 가장자리 부위만 상기 도크 바닥면에 접촉되는 선박용 반목 장치.
  4. 제 1 항에서,
    상기 바디부, 상기 헤드부, 및 상기 지지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선박용 반목 장치.
  5. 제 1 항에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헤드부가 상기 도크 바닥면과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1 충격 완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충격 완화 부재는,
    상기 헤드부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선박용 반목 장치.
  6. 제 1 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도크 바닥면과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제2 충격 완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충격 완화 부재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선박용 반목 장치.
KR2020150006170U 2015-09-15 2015-09-15 선박용 반목 장치 KR201700010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70U KR20170001094U (ko) 2015-09-15 2015-09-15 선박용 반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170U KR20170001094U (ko) 2015-09-15 2015-09-15 선박용 반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94U true KR20170001094U (ko) 2017-03-23

Family

ID=5849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170U KR20170001094U (ko) 2015-09-15 2015-09-15 선박용 반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09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5211A (zh) * 2018-11-14 2019-04-1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水压可调型坞墩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5211A (zh) * 2018-11-14 2019-04-16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水压可调型坞墩系统
CN109625211B (zh) * 2018-11-14 2024-02-20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水压可调型坞墩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556B1 (ko) 선박의 부가부력 진수공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ES2969260T3 (es) Buque equipado con una instalación de puesta a flote y recuperación de artefactos
KR101195609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20060136301A (ko) 선박의 부가부력 진수공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KR20170001094U (ko) 선박용 반목 장치
KR101739571B1 (ko) 선박의 탱크용 에어벤트
KR101533780B1 (ko) 측면 슬로싱 저감장치
KR101815709B1 (ko) 선박의 앵커 격납 확인장치
KR20120065176A (ko) 선박의 횡동요 감쇠장치
KR101285011B1 (ko) 가스충전용 구조물
KR20170001014U (ko) 선박용 반목 장치
KR101488341B1 (ko) 이동식 선박용 완충장치
KR20170106853A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용 계류장치
KR102050798B1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US20150211602A1 (en) Attachment flange for buoys and marine fenders
KR20140144555A (ko) 선박의 횡동요 억제 장치
KR200444898Y1 (ko) 공기관의 자동 폐쇄 장치의 개폐 구조
KR101562140B1 (ko) 출렁임 완화장치가 결합된 수상구조물용 플로트
KR20150081469A (ko) 선박 거치용 부유식 선대
KR101672436B1 (ko) 부착식 플로팅 크레인
KR101863790B1 (ko) 진동감쇠장치
KR101873450B1 (ko) 기울기보상장치
KR102006913B1 (ko) 슬로싱 발생 억제 장치
KR102594823B1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KR101894298B1 (ko) 계류장치 및 계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