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41A - 원료 장입 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장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41A
KR20170001041A KR1020150090402A KR20150090402A KR20170001041A KR 20170001041 A KR20170001041 A KR 20170001041A KR 1020150090402 A KR1020150090402 A KR 1020150090402A KR 20150090402 A KR20150090402 A KR 20150090402A KR 20170001041 A KR20170001041 A KR 20170001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support shaft
plate
charging chute
materia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937B1 (ko
Inventor
박종력
김용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9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9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01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33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charging of particulat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2003/0034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 F27D2003/0046Means for moving, conveying, transporting the charge in the furnace or in the charging facilities comprising one or more movable arms, e.g. f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장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저장기에 장입하는 장입 슈트를 포함하는 원료의 장입장치로서, 상기 장입슈트에서 상기 저장기로 원료가 배출되는 단부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제1지지축과, 상기 제1지지축의 사이에 상기 장입슈트의 폭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저장기에 장입된 원료층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고름판을 포함하여, 원료층과의 접촉을 통해 원료층을 조밀화하여, 소결 원료의 용융시 결합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원료층 전 영역에 균일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어 소결 반광의 발생량을 감소시켜 고로로 이송되는 소결광의 회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원료 장입 장치{Charging apparatus for raw material}
본 발명은 원료 장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저장기에 원료를 평탄하게 장입할 수 있는 원료 장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결광 제조 공정은 분철광석과 부원료 및 연료(분코크스, 무연탄) 등을 드럼 믹서에 넣어 혼합 및 조습을 실시한 뒤, 소결원료를 혼합하여 소결대차에 일정 높이로 장입한다. 그리고, 점화로에 의해 표면 점화 후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강제 흡인하면서 소결 배합 원료의 소성이 진행되고 소결광이 제조된다. 이후, 소결이 완료된 소결광은 배광부의 파쇄기(crusher)를 거쳐 냉각기(cooler)에서 냉각되고, 고로 내 장입 및 반응에 용이한 6~50㎜ 입도를 갖는 소결광은 고로로 이송되며, 5㎜ 이하의 크기를 갖는 소결광인 분광은 반광으로 분류되어 소결원료로 다시 사용된다.
이때, 반광의 발생량은 소결 회수율을 결정하며, 소결 회수율은 공급열량, 결합 슬래그의 양, 소결광 강도 및 공극율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그 중에서도 소결대차에 장입된 소결 원료가 형성하는 원료층의 통기성 및 조밀도는 소결광의 회수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즉, 원료층이 점화된 후 공기의 흡입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되어 배광을 제작하는데, 자연낙하에 의해 소결대차로 장입한 소결원료는 불규칙적인 평탄도를 갖고 원료층을 형성한다. 이에, 소결 원료 사이의 불규칙한 공간에 의해 원료층에 고른 통기가 용이하지 않아, 소결 원료가 고루 가열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이한 입자 크기를 갖는 소결 원료에 의해 소결원료 사이의 공간이 발생하고 이는 원료층의 조밀도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소결광을 제조할 경우, 소결광의 냉각시 소결광이 평탄도의 변화에 따라 원료층 사이의 불규칙한 공간이 발생하고, 원료층의 부서지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상기에서 제시한 성품 소결광 입도(6~50㎜)의 회수율을 감소시키고, 반광의 형성을 증가시킨다.
이에 소결 장치의 점화로 점화 후 점화로 후단에 설치한 압하롤을 이용하여 소결 원료의 표층부를 압하하여 표층부 뜨임을 억제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압하롤이 표층부에 지속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표층부를 압하하기 때문에 압하롤과 원료의 마찰에 의해 압하롤의 마모가 발생하고, 점화로에 의해 가열된 소결 원료의 고온에 의해 압하롤에 열변형이 발생하여 압하롤의 교체가 요구된다. 이에, 압하롤의 유지보수로 인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어 공정의 지연이 발생하여, 공정의 생산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0722399 B KR 0507750 B
본 발명은 원료층을 조밀화 시키고, 원료층의 표층부를 균일하게 압하할 수 있는 원료 장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결대차 내 원료층의 통기성을 향상시켜 원료층을 균일하게 용융시킬 수 있는 원료 장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소결 반광의 발생량을 감소시켜 소결광 제조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원료 장입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는,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저장기에 장입하는 장입 슈트를 포함하는 원료의 장입장치로서, 상기 장입슈트에서 상기 저장기로 원료가 배출되는 단부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제1지지축과, 상기 제1지지축의 사이에 상기 장입슈트의 폭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저장기에 장입된 원료층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고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입 슈트는 상기 원료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입 슈트는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원료의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입 슈트는 복수의 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롤타입이거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타입일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축은 상기 저장기로 원료가 배출되는 상기 장입슈트의 끝단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축과 상기 고름판은 상기 저장기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축과 상기 고름판을 경사지게 유지하는 제2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축은 일단이 상기 장입슈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지지축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축은 상기 저장기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지지축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축은 상기 제2지지축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축은 상기 제1지지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름판은 상기 제1지지축에 상기 제1지지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름판은 평판형 플레이트 형상 또는 곡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에 의하면, 장입슈트에 구비되는 압하부를 이용하여 소결대차 내 원료층의 조밀도를 증가시켜, 소결 원료의 용융시 결합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원료층 전 영역에 균일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어 소결 반광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결대차 내에 원료가 장입됨과 동시에 원료층을 1차적으로 압하하고, 기존에 구비되는 표면고름판으로 압하된 원료층을 2차적으로 압하함으로써 원료층의 표층부 들뜸 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하부는 장입슈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별도의 설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압하부에서 원료층과 접촉하는 압하판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원료층과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한 마모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결광 제조 설비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구성하는 압하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압하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층을 평탄화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소결대차 내 원료층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결광 제조 설비의 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구성하는 압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압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결광 제조 설비는, 폐루프를 형성하는 이동경로(55)와, 이동경로(55)를 따라 무한궤도방식으로 이동하는 소결대차(50)와, 이동경로(55) 상에 배치되어 이동하는 소결대차(50) 내에 소결 원료를 장입하는 원료공급부(20)와, 소결대차(50) 내 원료의 표층에 화염을 분사하여 점화시키는 점화로(30) 및 소결대차(50) 내부를 흡인하는 복수의 윈드 박스(70)를 포함한다.
먼저, 원료공급부(20)는 소결광의 원료로 사용되는 소결 원료를 소결대차(50) 내에 공급한다. 원료공급부(20)는 소결대차(50)의 저면에 장입되는 상부광이 저장된 상부광 호퍼(21), 상부광의 상부에 장입되며 철광석 원료와 고체 연료로 사용되는 코크스가 혼합된 후에 조립된 배합 원료가 저장되는 써지 호퍼(22)와, 써지 호퍼(22)에서 배출되는 배합 원료를 소결대차(50)에 장입하는 장입기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소결 원료는 상부광과 배합 원료를 의미한다.
상부광 호퍼(21)는 소결대차(50)의 상부측 이동경로(55)의 일측 상부에 구비되며, 소결대차(50)의 바닥에 형성되는 그레이트 바로 배합 원료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광을 장입한다. 상부광은 성품 소결광 중 8 내지 15㎜ 정도의 입도를 갖는 소결광을 선별한 것을 의미한다.
써지 호퍼(22)는 상부광 호퍼(21)의 전방, 즉 소결대차(50)의 이동경로(55)에 대해서 전방에 구비되어, 소결광을 제조하기 위한 배합 원료를 저장한다. 써지 호퍼(22)에는 장입기가 연결되고, 써지 호퍼(22)의 하부에 구비되는 게이트(23)를 통해 배출되는 배합 원료를 소결대차(50)에 장입한다. 장입기는 소결대차(50)의 폭방향으로는 배합 원료를 입도 편석 없이 고르게 장입하고 소결대차(50)의 깊이 방향으로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입도가 작아지도록 입도 편석시켜 장입한다. 장입기는 배합 원료가 수직 및 수평편석되도록 소결대차(50)에 장입하며, 주로 써지 호퍼(22)에서 배출되는 배합 원료를 혼합하는 드럼 피더(24)와, 배합원료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장입슈트(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입슈트(25)는 경사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롤(250)을 나란하게 배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장입슈트(25)는 직선 형태의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고, 곡선 형태의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후자의 경우 배합 원료의 수직 편석이 용이한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태의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장입슈트(25)가 복수의 롤(250)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롤타입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원료공급부(20)의 구조는 공지된 기술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원료공급부(20)의 전방에는 소결대차(50) 내 장입된 원료층의 표층부를 압하하는 표면 고름부(40)가 구비되고, 표면 고름부(40) 전방에는 원료층의 표층을 점화하기 위한 점화로(30)가 구비된다. 이때, 표면 고름부(40)는 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원료공급부(20)에 원료층의 표층부를 평탄화시키기 위한 압하부(100)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원료층의 표층부를 적어도 2차례에 걸쳐 압하함으로써 원료층의 표층부를 효과적으로 평탄화시킬 수 있다. 압하부(100)는 원료공급부(20)를 구성하는 장입슈트(25)에 구비되며, 원료층의 표층부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압하부(1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점화로(30)는 소결대차(50)의 이동경로(55) 상부에 구비되며, 원료공급부(20)의 일측, 예컨대 소결대차(50)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구비되어, 소결대차(50) 내부에 장입된 원료의 표층에 화염을 분사하여 점화시킨다. 이에 소결대차(50)가 이동경로(55)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복수의 윈드 박스(70)에 의해 소결대차(50) 내부가 흡인되면, 외부로부터 공기가 소결대차(50) 내의 원료 공급되어 소결대차(50) 내의 원료가 연소된다.
이동경로(55)는 소결대차(50)가 무한궤도방식으로 회전하도록 폐루프를 형성하며, 상부측 이동경로(55)는 소결광이 제조되는 구간이고, 하부측 이동경로(55)는 제조가 완료된 소결광을 배광한 빈 소결대차(50)가 소결광 제조를 위해 상부측 이동경로(55)로 이동하기 위한 회차 구간이다.
상부측 이동경로(55)의 상부에는 상부광 호퍼(21), 써지 호퍼(22), 장입기, 표면 고름부(40) 및 점화로(30)가 구비되고, 상부측 이동경로(55)의 하부에는 윈드 박스(70)가 연결되어 상부측 이동경로(55)를 따라 이동하는 소결대차(50) 내부를 흡인한다. 이에 상부측 이동경로(55)에서는 소결광 제조를 위한 원료의 공급과, 점화가 이루어지고, 점화된 이후 소결광이 제조되는 소결구간과, 제조된 소결광을 냉각시키는 냉각구간이 구비되어 실질적인 소결광 제조는 상부측 이동경로(55)에서 모두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부측 이동경로(55)의 타측, 냉각구간이 끝나고 하부측 이동경로(55)로 방향이 변경되는 부분에서는 소결대차(50) 내의 소결광이 배광되는 배광부가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압하부(100)는 장입슈트(25)에 원료층의 표층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압하부(100)는 장입슈트(25)의 하부, 즉 원료가 배출되는 장입슈트(25)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압하부(100)가 복수의 롤(250)으로 형성되는 장입슈트(25)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경사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장입슈트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장입슈트(25)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입슈트(25)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롤(250)은 고정롤(250a)과 고정롤(250a)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회전롤(250b)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롤(250a)은 회전롤(250b)을 지지하며 회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회전롤(250b)은 고정롤(250a)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에 원료가 장입슈트(25)의 상부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원료의 이동 속도 및 하중에 의해 회전롤(250ab)이 회전하게 된다.
압하부(100)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장입슈트(25)에 연결되며, 회전하지 않는 고정롤(250a)에 연결될 수 있다.
압하부(100)는 장입슈트(25)를 구성하는 롤(250)의 양쪽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되는 제1지지축(110)과, 제1지지축(110) 사이에 구비되는 고름판(140) 및 일측은 롤(25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지지축(110)에 연결되는 제2지지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축(110)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바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예컨대 상부가 롤(2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축(110)은 회전하지 않는 고정롤(250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축(110)의 타측, 예컨대 하부는 하측의 소결대차(50) 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축(110)은 한 쌍이 롤(250)의 양쪽에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제1지지축(110) 사이에는 롤(250)의 길이 방향, 예컨대 장입슈트(25)의 폭방향 길이 또는 소결대차(50)의 폭방향 길이 정도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축(110)은 소결대차(50) 내 원료층의 표층부와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축(110) 사이에는 장입슈트(25)의 폭방향으로 고름판(140)이 연결될 수 있다. 고름판(140)은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예컨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름판(140)은 양쪽 가장자리가 제1지지축(11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부 가장자리는 롤(250)의 외주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가장자리는 제1지지축(110)의 하부보다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소결대차(50) 내 원료층의 표층부와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름판(140)은 제1지지축(110)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으나, 제1지지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는 고름판(140)이 원료층과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경우 원료층의 표층부를 평탄화시키기 어려우므로 고름판(140)을 하부측, 예컨대 소결대차(50) 측으로 이동시켜 원료층의 표층부에 접촉시켜 압하하기 위함이다.
도 4에는 고름판(140a)의 변형 예가 도시되어 있다. 고름판(140a)은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결대차(50)의 이동방향으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고름판(140a)과 소결대차(50) 내 원료층 간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원료층을 효율적으로 평탄화시킬 수 있다.
압하부(100)는 이동경로(55)를 따라 이동하는 소결대차(50)에 장입된 원료층을 압하하므로 압하부(100)가 소결대차(50) 내 원료층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원료층과 접촉에 의한 저항을 많이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압하부(100)를 소결대차(50)의 이동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배치하여 소결대차(50)의 이동에 의해 받을 수 있는 저항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에 압하부(100)는 제1지지축(110) 및 고름판(140)을 경자지게 배치시키기 위한 제2지지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축(120)의 일측은 장입슈트(25)의 롤(250)에 연결되고, 타측은 제1지지축(110)에 연결되어 제1지지축(110) 및 고름판(140)이 소결대차(50)의 이동방향을 따라 기울어지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1지지축(110)은 장입슈트(25)의 가장 끝단에 구비되는 롤(250X, 이하, 제1롤(250X)이라 함)에 연결될 수 있고, 제2지지축(120)은 가장 끝단에 구비되는 롤(250X)의 일측, 예컨대 소결대차(50)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전방에 구비되는 롤(250Y, 이하, 제2롤(2450Y)이라 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2지지축(120)이 소결대차(50)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제1롤(250X)의 바로 전방에 구비되는 제2롤(250Y)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지지축(110) 및 고름판(140)을 소결대차(50)의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유지시킬 수 있다면, 제2롤(250Y)은 제1롤(250X) 전방에 구비되는 복수의 롤 중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제2지지축(120)은 바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상의 몸체(120a)와, 몸체(120a)의 길이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지지축(120)에 탄성부재(120b)를 형성함으로써 원료층과 고름판(140)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이 롤(250)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지지축(120)은 일단은 제2롤(250Y)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지지축(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지지축(120)의 타단은 고정부재(130)에 의해 제1지지축(110)에 연결되며, 제1지지축(110)과 제2지지축(120)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역시 소결대차(50) 내 원료층과 고름판(140)과의 접촉에 의한 저항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이동하는 소결대차(50)에 원료를 장입한 후 원료층의 표층부를 압하하여 평탄화시킴으로써 원료층 내부 밀도를 조밀화시켜 점화시 발생하는 풍량에 의해 표층부의 뜨임 현상이나 크랙을 억제할 수 있고, 배합 원료의 용융시 배합 원료가 큰 덩어리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결대차(50) 내 원료층의 수평 편석을 조장하여 소결대차(50)의 폭방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열량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소결광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장입 장치를 이용하여 원료층을 평탄화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소결대차 내 원료층의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결광 제조 방법은, 원료를 마련하는 과정과, 배합 원료를 소결대차(50)에 장입하여 원료층을 형성하는 과정과, 소결대차(50)를 진동시켜 원료층을 조밀화하는 과정과, 원료층의 표층을 점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우선, 상부광을 마련하여 상부광 호퍼(21)에 공급하고 철광석 및 고체 원료를 포함하는 배합 원료를 마련하여 써지 호퍼(22)에 공급하여 소결광 제조를 위한 원료를 마련한다.
이후 복수의 소결대차(50)를 상부광 호퍼(21) 및 써지 호퍼(22)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복수의 소결대차(50) 각각에 상부광과 배합 원료를 장입하여 원료층을 형성한다.
소결대차(50)에 원료가 장입되면, 소결대차(50)는 이동경로(55)를 따라 이동하면서 장입슈트(25)의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장입슈트(25)에 구비되는 압하부(100)의 고름판(140)이 원료층의 표층부와 접촉하여 원료층의 표층부가 1차적으로 평탄화된다.
이어서 소결대차(50)는 이동경로(55)를 따라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표면 고름부(40)를 통과하면서 원료층의 표층부가 2차적으로 평탄화된다. 원료층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결대차(50)의 중심부의 원료층이 소결대차(50)의 양쪽 가장자리측으로 이동하여 소결대차(50)의 폭방향으로 평탄화, 즉 수평편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복수의 소결대차(50)는 점화로(30) 하측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원료층의 표층에 화염이 착화되고 각 소결대차(50)는 소결구간을 거쳐 배광부로 이동한다. 소결대차(50)가 소결구간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결구간 내 윈드 박스(70)의 흡인력에 의해 원료층 내의 고체 연료가 연소되면서 소결광이 제조된다. 이때, 윈드 박스(70)의 흡인력에 의해 표층의 화염이 소결대차(50)의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원료층 내의 고체 연료를 연소시킨다.
이와 같이 소결대차(50) 내 원료층의 조밀도를 향상시키면 원료층의 표층부 들뜸으로 인한 결합도 저하를 억제하고, 원료층 전 영역에 걸쳐 균일한 통기성을 부여할 수 있어 소결 반광의 발생량을 감소시켜 성품 소결광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압하부(100)를 통해 원료층의 표층부를 1차적으로 평탄화시킨 후 표면 고름부(40)를 통해 평탄화된 원료층의 표층부를 2차적으로 평탄화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압하부(100)를 통해 원료층을 효과적으로 평탄화시킬 수 있다면 표면 고름부(40)의 구성을 배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20: 원료공급부 25: 장입슈트
100: 압하부 110: 제1지지축
120: 제2지지축 130: 고정부재
140: 고름판 250: 롤

Claims (13)

  1. 원료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와, 상기 원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료를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저장기에 장입하는 장입 슈트를 포함하는 원료의 장입장치로서,
    상기 장입슈트에서 상기 저장기로 원료가 배출되는 단부의 양쪽에 각각 구비되는 제1지지축과,
    상기 제1지지축의 사이에 상기 장입슈트의 폭방향으로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저장기에 장입된 원료층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고름판을 포함하는 원료 장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입 슈트는 상기 원료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직선형 또는 곡선형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원료 장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입 슈트는 사이클로이드 곡선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는 원료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원료 장입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입 슈트는 복수의 롤이 나란하게 배치되어 형성되는 롤타입이거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타입인 원료 장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은 상기 저장기로 원료가 배출되는 상기 장입슈트의 끝단에 연결되는 원료 장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과 상기 고름판은 상기 저장기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원료 장입 장치.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과 상기 고름판을 경사지게 유지하는 제2지지축을 포함하는 원료 장입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축은 일단이 상기 장입슈트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지지축에 연결되는 원료 장입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축은 상기 저장기의 이동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1지지축의 전방에 구비되는 원료 장입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축은 상기 제2지지축의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원료 장입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축은 상기 제1지지축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원료 장입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름판은 상기 제1지지축에 상기 제1지지축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원료 장입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고름판은 평판형 플레이트 형상 또는 곡면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원료 장입 장치.
KR1020150090402A 2015-06-25 2015-06-25 원료 장입 장치 KR101767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402A KR101767937B1 (ko) 2015-06-25 2015-06-25 원료 장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402A KR101767937B1 (ko) 2015-06-25 2015-06-25 원료 장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41A true KR20170001041A (ko) 2017-01-04
KR101767937B1 KR101767937B1 (ko) 2017-08-14

Family

ID=57831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402A KR101767937B1 (ko) 2015-06-25 2015-06-25 원료 장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79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750B1 (ko) 2003-04-11 2005-08-10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원료의 공급장치
KR100722399B1 (ko) 2005-12-26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원료 장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750B1 (ko) 2003-04-11 2005-08-10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원료의 공급장치
KR100722399B1 (ko) 2005-12-26 2007-05-28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원료 장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7937B1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2549B1 (ko) 원료 장입 장치,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101841961B1 (ko) 소결 장치 및 방법
KR101287881B1 (ko) 통기성 향상을 위한 소결광 및 그 제조방법
KR101767937B1 (ko) 원료 장입 장치
KR101751286B1 (ko) 원료 장입장치
KR101974429B1 (ko) 소결광의 제조 방법
KR101908482B1 (ko) 소결광 제조방법
JP2012112003A (ja) 焼結鉱の製造方法
KR101622286B1 (ko) 소결광 제조 설비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KR101749079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방법
KR101618303B1 (ko) 소결 장치 및 소결광 제조 방법
KR101779551B1 (ko) 가스 공급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결광 제조 장치
KR101723447B1 (ko) 표면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원료처리설비
KR101908487B1 (ko) 원료 장입 장치 및 원료 장입 방법
KR101463357B1 (ko) 소결광 분산기능을 갖는 소결쿨러용 소결광 공급장치
KR20160095889A (ko) 소결 장치
KR100564991B1 (ko) 상부광 공급장치
KR20190049185A (ko) 소결광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12577321B (zh) 一种烧结气流倾斜向下的带式抽风烧结工艺
KR20040042543A (ko) 소결표층부 열원첨가를 위한 장입장치
TWI568858B (zh) Sintering of the manufacturing method
JP7119936B2 (ja) 焼結機
KR101841963B1 (ko) 소결광 제조방법
KR101962383B1 (ko)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결광 제조 방법
JP2018021250A (ja) 原料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