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1026A -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 Google Patents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1026A
KR20170001026A KR1020150090357A KR20150090357A KR20170001026A KR 20170001026 A KR20170001026 A KR 20170001026A KR 1020150090357 A KR1020150090357 A KR 1020150090357A KR 20150090357 A KR20150090357 A KR 20150090357A KR 20170001026 A KR20170001026 A KR 20170001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diffusion
polarizing plate
sensitive adhesive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기환
정병선
정진석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0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1026A/en
Publication of KR2017000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0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arizing plate with a structure where a prism sheet, a first adhesive layer, a protection film, a diffusion adhesive layer, a polariz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are successively laminate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structure improves visibi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y suppressing a moire fringe generation phenomenon caused in the prism sheet and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brightness and the degree of polarization and implements slimness.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프리즘 시트로 인해 발생하는 모아레 무늬의 발생을 억제하여 액정표시장치에 도입시 우수한 시인성을 구현할 수 있는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슬림화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suppressing occurrence of a moire pattern generated by a prism sheet and realizing excellent visibility when introduced into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slim liquid crystal display equipped with the polarizing plate.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전력 소모가 적고 평면적으로 얇게 제조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평판디스플레이 중 현재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다.Liquid crystal displays (LCDs) are used in various fields because they can be manufactured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thinner in a planar manner, and the market share of the flat panel displays is the highest.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셀과 상기 액정셀의 양측에 적층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패널과,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including a liquid crystal cell including a liquid crystal, a polarizing plate stack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and a backlight unit for provid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빛을 균일하게 하고, 휘도 및 광의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는 스스로 빛을 낼 수 없는 비자발광 디스플레이인 LCD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핵심부품이다. The backlight unit is intended to make the light of the light source uniform,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utilization of the luminance and light, which is a core part that is indispensable for an LCD which is a non-luminous display that can not emit light by itself.

구체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은 선과 같이 가는 형광등 빛을 LCD 구석구석까지 동일한 밝기로 유지시켜 면광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 광원이 배치되는 방식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과 에지형(edge type)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라 반사판, 백라이트 광원, 도광판, 광확산 부재(확산판,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등으로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backlight unit converts the fluorescent light such as a line into a flat light by maintaining the same brightness to every corner of the LCD. Such a backlight unit is divided into a direct type and an edge type according to the manner in which the light emission source is disposed. The backlight unit is divided into a reflection plate, a backlight light source, a light guide plate, a light diffusion member (diffusion plate, diffusion sheet) .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의 바로 밑에 기기의 전면을 향하도록 광원을 배치된 점광원 구조이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반사판 및 확산판에 의해 반사, 확산된다. 이러한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고휘도, 경량화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박막화가 어렵고, 직진성이 강한 빛이 직접적으로 사용자의 시야에 들어오게 되므로 눈부심 및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The direct type backlight unit has a point light source structure in which a light source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front of the device directly below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is reflected and diffused by the reflection plate and the diffusion plate. Such a direct-type backlight unit has advantages such as high luminance and light weight,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thin film, and light with a strong directivity enters the user's field of view directly, thereby causing glare and fatigue.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의 한 측면 혹은 양 측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출사된 빛이 패널의 측단에서 입사되어 반사판 및 도광판에 의해 전체 면적으로 확산·산란되는 면광원 구조이다. 이러한 에지형 백하이트 유닛은 직하형과 비교하면 경량화에 불리한 반면, 휘도, 광지향 방향 조절이 용이하고, 박막화에 유리하며, 내구 수명도 긴 장점이 있다.The edge type backlight unit is a planar light source structure in which light emitted from one side or both sides of a liquid crystal panel is incident on the side of the panel and diffused and scattered over the entire area by a reflection plate and a light guide plate. Such an edge type backlight un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lighter in weight than the direct type, but is easy to adjust the luminance and direction of light directing, is advantageous for thinning, and has a long service life.

구체적으로, LCD에서의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은 도광판에 입사하고, 도광판의 출광면(액정셀 측면)과 이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전파한다. 도광판 내를 전파하는 빛의 일부는 도광판의 이면 등에 형성된 광 산란체 등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바뀌어 출광면으로부터 도광판 외로 출사한다. 도광판의 출광면으로부터 출사한 빛은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휘도 향상 필름 등의 각종 광학시트에 의해 확산·집광된 후,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판이 배치된 액정 표시 패널에 입사한다. 액정 셀의 액정층의 액정 분자는 화소마다 구동되어, 입사된 빛의 투과 및 흡수를 제어함에 따라 화상이 표시된다. Specifically, the edge type backlight unit in the LCD enters the light guide plate wit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propagates while repeating total reflection on the light exit surface (liquid crystal cell side surfac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A part of the light propagating in the light guide plate is emitt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by the light scattering body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or the lik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is diffused and condensed by various optical sheets such as a diffusion sheet, a prism sheet, and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nd then enter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polarizing plate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of the liquid crystal cell are driven for each pixel, and an image is displayed by controlling transmission and absorption of incident light.

앞서 설명한 백라이트 유닛에서 사용되는 프리즘 시트는 확산 시트 또는 확산판을 통과한 빛의 휘도 저하를 보상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장치의 케이싱에 끼워넣어져, 도광판의 출사면에 근접하여 형성된다.The prism sheet used in the above-described backlight unit is used to compensate for a decrease in luminanc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sheet or the diffusion plate. Generally, it is fitted into the casing of the apparatus and is formed close to the exi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이와 같은 백라이트 유닛을 사용한 액정표시장치에서 프리즘 시트는 설치할 때나, 실사용 환경 하에 있어서 프리즘 시트에 의해 도광판이 문질러져 도광판이 흠집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리즘 시트를 광원측 편광판에 일체화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프리즘 시트가 일체화된 편광판을 사용한 액정 표시 장치는, 정면 휘도가 불충분하여 어둡다는 문제가 있다.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uch a backlight unit, the light guide plate may be rubbed by the prism sheet under installation or in a practical use environment, and scratches may occur in the light guide plat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technique of integrating the prism sheet with the light source side polarizing plate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plate in which such a prism sheet is integrated has a problem that the front luminance is insufficient and dark.

또한, 프리즘 시트는 확산 시트 또는 확산판을 통과한 빛을 굴절 및 집광시켜 휘도를 향상시키는데 사용되고 있으나 프리즘 시트의 규칙적 구조로 인해 간섭 현상인 모아레 무늬(moire fringe)를 발생시킨다. 발생한 모아레 무늬는 액정표시장치의 시인성과 같은 표시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In addition, the prism sheet is used to improve the brightness by refracting and condens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sheet or the diffusion plate, but generates a moire fringe which is an interference phenomenon due to the regular structure of the prism sheet. The generated moire pattern causes the display quality such as the visibi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 deteriorate.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리즘 시트에 광 확산층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모아레를 해소할 정도의 강한 광 확산성을 갖는 광 확산층을 사용하면, 액정표시장치의 휘도가 저하된다는 문제가 생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has been proposed to form a light diffusion layer on a prism sheet. However, when a light-diffusing layer having strong light-diffusing property enough to overcome moiré is used,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luminan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lowered.

이에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123476호에서는 편광 필름의 일측면에 광 확산성을 나타내는 점착제가 적층되고, 다른 일측면에는 프리즘 형상을 갖는 시트 부재가 적층된 편광판이 개시되어 있다.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123476 discloses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exhibiting light diffusing properties is laminated on one side of a polarizing film and a sheet member having a prismatic shape is laminated on the other side.

또한, 국제공개(WO) 제2009/108003호에서는 액정표시장치의 액정패널과 매치되는 광학시트의 배열이 일부는 평행하고 일부는 평행하지 않도록 적절히 매칭하여 모아레 무늬 발생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Further, WO 2009/108003 discloses a technique for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moire patterns by properly matching the arrangement of the optical sheets matched with the liquid crystal panel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so that some of them are parallel and some of them are not parallel .

이들 특허들에 의해 모아레 무늬 발생의 억제를 꾀하고 있으나 액정표시장치의 편광도 및 휘도가 저하될 뿐 아니라 그 효과 또한 충분치 않다. Although these patents limit the generation of moire patterns, the polarization and brightnes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re not only degraded but also their effects are not sufficient.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123476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123476 국제공개(WO) 제2009/108003호International Publication (WO) No. 2009/108003

이에 프리즘 시트와 액정패널로부터 야기되는 모아레 무늬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한 결과, 본 출원인은 편광자, 보호필름 및 프리즘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편광자와 보호필름의 접착을 위해 종래 PVA와 같은 접착제가 아닌 확산접착제층을 사용하고, 추가로 보호필름과 프리즘 시트 사이의 점착을 위해 확산점착제를 사용함과 동시에 프리즘 시트의 에어갭 비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As a result of various studies in order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moire patterns caused by the prism sheet and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present applicant has found that a polarizer, a protective film and a prism sheet are provided, and an adhesive such as PVA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bove problem can be solved by using a diffusion adhesive layer for adhesion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rism sheet and by keeping the air gap ratio of the prism sheet at a certain level or more. Thereby completing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확산시트를 구비하는 대신 확산접착제층 및 확산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에어갭 비율의 조절을 통해 프리즘 시트로 인한 모아레 무늬 발생이 억제되며 휘도 및 내구성이 개선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diffusing adhesive layer and a diffusion adhesive layer are formed instead of a separate diffusion sheet and the generation of moire fringes due to the prism sheet is suppressed through adjustment of the air gap ratio and brightness and durability are improved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the polarizing pl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리즘 시트, 제1점착제층, 보호필름, 접착제층, 편광자 및 제2점착제층의 순서로 적층되고, 상기 접착제층이 확산접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a prism sheet,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otective film, an adhesive layer, a polarizer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laminated in this order, to provide.

상기 확산접착제층의 헤이즈 수치는 30 내지 99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aze value of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is in the range of 30 to 99%.

이때 상기 확산접착제층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 범위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includes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0.1 to 10 mu m.

또한, 상기 확산접착제층의 두께는 0.5 내지 2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is in the range of 0.5 to 20 mu m.

상기 프리즘 시트와 제1점착제층의 접합면에서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에어갭(airgap) 비율은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irgap ratio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ism sheet and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50% or more.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H 및 h는 명세서 내 설명한 바와 같다)(In the above formula (1), H and h are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또한, 상기 편광판은 추가로 제1점착제층이 확산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larizing plate is furt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s a diffu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 확산점착제층의 헤이즈 수치는 30 내지 99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aze value of the diffu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n the range of 30 to 99%.

이때 상기 확산점착제층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20 ㎛ 범위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includes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0.1 to 20 mu m.

또한, 상기 확산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5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n the range of 5 to 50 mu m.

또한, 상기 편광판은 추가로 편광자와 제2점착제층 사이에 접착제층 및 보호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adhesive layer and a protective film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이에 더해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plate.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모아레 방지를 위해 별도의 확산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편광판을 구성하는 보호필름과 편광자의 접합에 확산접착제층을 사용하여 프리즘 시트로부터 야기되는 모아레 무늬 발생을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더해서 프리즘 시트와 이와 접합하는 점착제층 간의 에어갭 비율을 일정 수준으로 조절하고 기존의 점착제 대신 확산점착제층을 구비함으로써 모아레 무늬 발생 현상 및 이로 인한 편광도, 휘도 저하 문제를 한층 더 개선하였다.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occurrence of moire patterns caused by the prism sheet by using a diffusion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protective film constituting the polarizing plate without using a separate diffusion sheet for preventing moiré. In addition, by adjusting the air gap ratio between the prism sheet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onded thereto to a certain level and providing a diffusion adhesive layer instead of the convention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the problem of moire pattern generation and the resulting polarization degree and luminance degradation are further improved.

이에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에 도입시 슬림화가 가능하며 광학 품질이 개선되어 종래 편광판에 비해 우수한 시인성을 갖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olarizing plate can be made slimmer when introduced in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optical quality can be improved, so that an image having excellent visibility compared to a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can be realiz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구현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의 프리즘 시트와 제1점착제층을 도시한 단면도로 (a)는 접합 전, (b)는 접합 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3의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 및 실시예 11 내지 13의 휘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ism sheet and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shows a state before bonding, and (b) shows a state after bonding.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luminance distributions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showing luminance distribution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11 to 13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모아레 무늬 발생을 억제하여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개선한 편광판을 제시한다.Disclosed is a polarizing plate which suppresses occurrence of a moire pattern and improves display quality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프리즘 시트는 확산 시트 또는 확산판으로부터 나오는 넓게 방사된 빛을 굴절 및 집광시켜 휘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프리즘 시트의 규칙적인 단면 형상과 액정셀의 주기적인 구조와의 결합에 의해 또 다른 주기를 갖는 모아레 무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모아레 무늬는 액정패널에서 주기적으로 밝고 어두운 형상을 나타내어 액정표시장치의 편광도 및 휘도 등의 품질을 저하시킨다.Among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backlight unit, the prism sheet functions to refract and condense the widely radiated light emitted from the diffusion sheet or the diffusion plate to increase the brightness. However,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regular sectional shape of the prism sheet and the periodic structure of the liquid crystal cell, a moire pattern having another period is generated. Such a moire pattern is periodically bright and dark in the liquid crystal panel, thereby deteriorating the quality such as the degree of polarization and brightnes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에 본 발명은 보호필름과 편광자 사이에 확산접착제층을 구비하는 것으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 by providing a diffusion adhesive layer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들은 도면 상에서 과장되게 표현되거나, 축소 또는 생략되어 있을 수 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lso, for ease of explanation, some of the elements may be exaggerated in the drawings, or may be omitted or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100)은 하부에서부터 프리즘 시트(101), 제1점착제층(103), 보호필름(105), 확산접착제층(107), 편광자(109) 및 제2점착제층(11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2점착제층(111)은 표시장치에 도입시 액정셀(미도시)과 접합된다.1, a polarizing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sm sheet 101,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3, a protective film 105, a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a polarizer 109, 2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1 are sequentially laminated. At this time,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1 is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not shown) upon introduction into the display device.

특히, 본 발명의 편광판(100)은 확산접착제층(107)을 구비함으로써 편광자(109)와 보호필름(105)을 충분히 접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확산성을 가진다. 상기 확산접착제층(107)은 프리즘 시트의 단면에서 유래하는 규칙적인 형상과 액정셀의 컬러 필터가 가지는 매트릭스 구조 등에서 유래하는 규칙적인 형상과의 간섭에 의해 생기는 모아레 무늬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산접착제층(107)의 광확산 기능에 의해서, 프리즘 시트의 표면 형상에 유래하는 규칙성이 확산에 의해 완화됨으로써, 액정셀의 컬러 필터가 가지는 매트릭스 구조 등에 유래하는 규칙적 형상과의 간섭이 큰 폭으로 완화되기 때문에, 모아레 무늬 발생이 억제되며 이에 따라 표시 품위가 우수한 화상을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larizing plat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so that not only the polarizer 109 and the protective film 105 are sufficiently bonded but also has light diffusibility.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serves to alleviate the moiré pattern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regular shape derived from the cross section of the prism sheet and the regular shape derived from the matrix structure of the color filter of the liquid crystal cell. Specifically, due to the light diffusion function of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the regularity derived from the surface shape of the prism sheet is relaxed by the diffusion, and interference with the regular shape derived from the matrix structure or the like of the color filter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suppressed to a large extent, the occurrence of the moire pattern is suppressed, and thus an image with excellent display quality can be obtained.

상기 확산접착제층(107)은 빛을 산란·확산시킬 수 있는 입자가 분산된 접착제층이다. 상기 입자는 접착제 수지 중에 혼합 및 분산되어 균일하고 높은 광확산성을 갖는 것이라면 유기 입자, 무기 입자 등 다양한 물질이 사용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is an adhesive layer in which particles capable of scattering and diffusing light are dispersed. As long as the particles are mixed and dispersed in the adhesive resin so as to have a uniform and high light diffusing property, various materials such as organic particles and inorganic particles can be us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일례로, 상기 유기 입자는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등의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는 입자일 수 있다. 또한, 에틸렌, 프로필렌, 스티렌, 메타크릴산 메틸, 벤조구아나민, 포름알데히드, 멜라민, 부타디엔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모노머가 공중합되어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입자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탄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이산화티탄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For example, the organic particles may be particles composed of a polystyrene type resin, a polyolefin type resin such as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or a polymer compound such as acrylic resin. Further, it may be a particle composed of a copolymer formed by copolymerizing two or more kinds of monomers selected from ethylene, propylene, styrene, methyl methacrylate, benzoguanamine, formaldehyde, melamine, butadien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 particles of silica, calcium carbonate, aluminum hydroxide, titanium dioxide and the like.

이들 입자는 무색 또는 백색인 것이 바람직하다.These particles are preferably colorless or white.

이에 더해서, 상기 입자의 형상도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로는 구상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0.1 내지 10 ㎛ 범위가 적정한 수준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 범위이다. 만약 상기 입자의 평균 입경이 전술한 범위 미만이면 광확산 기능이 발현되지 않으며 반대로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면 액정표시장치에 적용시 표시 품위를 저하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particles may be various shape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spheres are suitabl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in the range of 0.1 to 10 mu m, an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5 mu m.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light diffusing function is not exhibited. On the contrary, i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exceeds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display quality can be lowered when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러한 입자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입자의 평균 입경과 확산접착제층(107)의 두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일례로, 피분산체인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0.01 내지 100 중량부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중량부 적합하다.The content of such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and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For example, it is 0.01 to 1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1 to 5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agent to be dispersed.

추가적으로, 상기 입자는 분말 형태이므로 후술하는 접착제 수지에 직접 첨가하는 경우 분산 안정성이 저하되어 입자가 접착제 수지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는다. 따라서, 입자를 용매에 완전히 분산시킨 후 접착제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입자를 분산시키기 위한 용매로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접착제 수지의 제조시 사용된 용매와 동일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 입자에 대한 분산성 및 내용제성이 우수한 아세테이트계, 벤젠계 또는 케톤계 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 톨루엔, 자일렌, 메틸에틸케톤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articles are in powder form, when they are added directly to an adhesive resin described later, the dispersion stability is lowered and the particles are not uniformly distributed in the adhesive resi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s are completely dispersed in a solvent and then added to the adhesive. Therefore, the type of the solvent for dispersing th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same solvent as tha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adhesive resin can be used, and as an acetate, benzene or ketone solvent excellent in dispersibility and solvent resistance to organic particles, ethyl acetate, toluene, xylene, methyl Ethyl ketone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 확산접착제층(107)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보호필름(105)과 편광자(109)를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력, 광학적 투시도가 우수하며 경시적인 변화가 없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기로 광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한다. The adhesive used for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is for bonding the protective film 105 and the polarizer 109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excellent adhesive force and optical transparency and does not change with time. Adhesive is used.

상기 광경화성 접착제는 자외선(Ultraviolet, UV), 전자선(Electron Beam, EB) 등 활성 에너지선을 받아 가교 및 경화되어 강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반응성 올리고머, 반응성 모노머, 광중합 개시제, 첨가제 등으로 구성된다. The photo-curable adhesive is crosslinked and cured by receiving an active energy ray such as ultraviolet (UV), electron beam (EB) or the like and exhibits a strong adhesive force, and is composed of a reactive oligomer, a reactive monome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n additive.

상기 반응성 올리고머는 접착제의 특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성분으로 광중합 반응에 의해 고분자 결합을 형성하여 경화 피막을 형성한다. 사용가능한 반응성 올리고머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The reactive oligomer is an important component for determining the properties of the adhesive, and forms a cured coating by forming a polymer bond by a photopolymerization reaction. Examples of the reactive oligomer that can be used include a polyester resin, a polyether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 epoxy resin, a polyacrylic resin, and a silicone resin.

상기 반응성 모노머는 전술한 반응성 올리고머의 가교제, 희석제로서의 역할을 하며, 접착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사용가능한 반응성 모노머는 단관능성 모노머, 다관능성 모노머, 에폭시계 모노머, 비닐에테르류, 환상 에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The reactive monomer serves as a crosslinking agent and a diluent for the reactive oligomer described above, and affects the adhesion property. Examples of the reactive monomer that can be used include monofunctional monomers, polyfunctional monomers, epoxy-based monomers, vinyl ethers, and cyclic ethers.

상기 광중합 개시제는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라디칼 혹은 양이온을 생성시켜 광중합을 개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광중합 수지에 따라 적합한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한다. 예를 들면, 광 라디컬 중합 개시제로는 벤조인에테르류, 아민류, 아세토페논류, 티오키산톤계, 벤조페논계 등을 들 수 있으며 광 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디아조늄염, 요오드늄염, 술포늄염, 메탈노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bsorbs light energy to generate radicals or cations to initiate photopolymerization, and is selected and used in accordance with the photopolymerization resin. Examples of the photo radical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in ethers, amines, acetophenones, thioxanthones, and benzophenones. Photocatalytic polymerization initiators include diazonium salts, iodonium salts, sulfonium salts, Metal nosecane compounds and the like.

전술한 조성에 용도에 따라 광증감제, 증점제, 중합 금지제 등을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다. A photo-sensitizer, a thickener, a polymerization inhibitor and the like may be used as additives in the above-mentione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use.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접착제는 직접 제조하거나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시판되는 제품으로는 예를 들어 KR-70T, KR-15P(이하, 아데카(ADEKA)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The photo-curing adhesive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may be directly produced or may be a commercially available adhesiv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for example, KR-70T and KR-15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EKA).

전술한 입자와 광경화성 접착제를 포함하는 확산접착제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편광자 및/또는 보호필름에 조성물을 도포해, 이들의 필름을 접합한 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시킨다.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diffusion adhesive layer containing the particles and the photo-curing adhesive described above is cured by applying the composition to a polarizer and / or a protective film, bonding the films to each other, and then irradiating with active energy rays.

상기 조성물의 도포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법, 마이어 바 코트법, 그라비어코트법, 콤마코터법, 닥터 블레이드법, 다이코트법, 딥코터법, 분무법 등을 들 수 있다. 일례로, 피도포물을 수직 방향, 수평 방향, 또는 양자간의 경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표면에 전술한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시킨다. 접착제를 도포한 후, 함께 접합하고자 하는 부재를 중첩해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롤 등에 의해 사이에 두어 접합을 수행한다.The composition may be applied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a softening method, a Meyer bar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comma coater method, a doctor blade method, a die coating method, a dip coater method, . For example, the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the surface while the object to be coated is moved in a vertical direction, a horizontal direction, or an inclined direction therebetween.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ve, the members to be joined together are overlapped and joined together by one or a plurality of rolls or the like to perform bonding.

롤을 이용한 접합은 예를 들어, 접착제를 도포한 후, 롤 등에서 가압해 균일하게 확대하는 방법, 접착제를 도포한 후, 롤과 롤 사이에 통해, 가압해 확대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 롤의 재질로서는 금속이나 고무 등이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후자의 복수의 롤을 이용한 경우, 이들은 같은 재질 일 수 있고, 다른 재질 일 수 있다. The joining using a roll can be carried out by, for example, applying the adhesive, spreading it uniformly on a roll or the like, applying the adhesive, spreading it between the roll and the roll, and expanding it. In the case of the former, metal or rubber can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roll. When the latter plurality of rolls are used, they may be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상기 접합 후, 활성 에너지선을 이용해 확산접착제층(107)을 경화시킨다. 이때 사용되는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파장 400 nm 이하로 발광 분포를 가지는 자외선을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저압 수은등, 중압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 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 웨이브 여기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한, 상기 경화는 편광자의 편광도, 투과율 및 색상 및 프리즘 시트, 보호필름의 투명성 등의 편광판의 본래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조건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bonding,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is cured using an active energy ray. The light source of the active energy ray to be used at this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ultraviolet rays having a light emission distribution with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Specifically, low energy mercury lamps, medium pressure mercury lamps, high pressure mercury lamps, A black light lamp, a microwave excited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and the like are preferably us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uring is performed under a condition that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polarizing plate such as the polarizing degree, the transmittance and the hue of the polarizer, and the transparency of the prism sheet and the protective film are not deteriorated.

상기 활성 에너지선의 광조사 강도는 본 발명의 확산접착제의 조성에 따라 결정되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광중합 개시제의 활성화에 효과적인 파장 영역의 광조사 강도가 0.1 내지 6000 mW/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 해당하는 경우, 반응 시간이 너무 길어 지지 않고, 광원으로부터의 복사되는 열 또는 광경화시의 발열에 의한 황변, 열화 등의 변화가 발생이 적다. 또한, 광조사 시간은 전술한 확산접착제의 조성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며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광조사 강도와 광조사 시간과의 곱으로서 표시되는 적산 광량이 10 내지 10000 mJ/m2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일 경우, 광중합 개시제로부터 라디칼 또는 양이온 등의 활성종을 충분히 발생되어 확실한 광경화 반응이 진행되며 광조사 시간도 너무 길어지지 않아 양호한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다.The light irradiation intensity of the active energy ra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diffusion adhes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general, it is preferable that the light irradiation intensity in the wavelength region effective for activating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0.1 to 6000 mW / cm 2 . When the ratio falls within the above range, the reaction time does not become too long, and changes such as yellowing or deterioration due to heat 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or heat generation during photo-curing are less likely to occur. The light irradiation time is controlled by the composition of the above-mentioned diffusion adhesiv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Gener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grated amount of light to be displayed as the product of the light irradiation intensity and the light irradiation time is set to 10 to 10,000 mJ / m 2 . When the amount is in the above range, active radicals such as radicals or cations are sufficiently generated from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so that a reliable photo-curing reaction proceeds, and the light irradiation time does not become too long, so that good productivity can be maintained.

전술한 조성 및 방법을 통해 형성된 확산접착제층(107)은 헤이즈 수치가 30 내지 99 % 범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40 내지 97 % 범위이다. 이때 헤이즈 수치는 빛이 시료를 통과할 때 나타나는 흐림의 정도로서, 본 발명에서의 시료는 확산접착제층(107)을 말한다. 헤이즈 수치는 확산투과광(Diffuse Transmittance, Td)을 총투과광(Total Transmittance, Tt)으로 나눈 비율을 이야기한다. 여기서 확산투과광(Td)은 시료를 투과한 빛 중 산란된 빛의 양이며 총투과광(Tt)은 시료를 투과한 모든 빛의 양을 말한다. 한편, 평행투과광(Tp)은 투과된 빛 중 산란을 일으키지 않고 투과된 빛의 양으로 총투과광(Tt)에서 확산투과광(Td)을 뺀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fo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sition and method has a haze value in the range of 30 to 99%,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97%. Here, the haze value is the degree of fog which appears when light passes through the sample, and the s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The haze value refers to the ratio of the diffuse transmittance (T d ) divided by the total transmittance (T t ). Here, the diffusion transmitted light (T d ) is the amount of scattered light amo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ample, and the total transmitted light (T t ) is the amount of all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ample. On the other hand, the parallel transmitted light (T p ) can be represented by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iffused transmitted light (T d ) from the total transmitted light (T t ) by the amount of transmitted light without causing scattering among the transmitted ligh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확산접착제층(107)의 헤이즈 수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광확산이 저하되어 모아레 무늬가 발생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산란각이 커져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ze value of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light diffusion is reduced and a moire pattern is gene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ze value exceeds the above range, the scattering angle becomes large and the luminance is lowered.

상기 확산접착제층(107)의 두께는 0.5 내지 20 ㎛ 범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10 ㎛ 범위이다. 만약 두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접착 특성이 불충분하며 광확산 성능을 부여하기 어려우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편광판의 외관 불량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is in the range of 0.5 to 20 mu m,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10 mu m. If the thickness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adhesive property is insufficient and it is difficult to impart the light diffusion performance. On the contrary, when the thickness exceeds the above range, defective appearance of the polarizing plate may occur.

본 발명의 프리즘 시트(101)는 시트의 한쪽 표면에 단위 프리즘이 병렬되어 구성됨으로써 입사되는 빛의 방향을 의도적으로 변화시키며 휘도를 향상시킨다. The prism sheet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rranging unit prisms in parallel on one surface of a sheet, thereby intentionally changing the direction of incident light and improving the brightness.

상기 단위 프리즘은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단위 프리즘은 그 배열 방향에 평행하고 두께 방향에 평행한 단면에 있어서, 그 단면 형상이 삼각형상이어도 되고, 그 밖의 형상(예를 들어, 삼각형의 일방 또는 양방의 사면(斜面)이 경사각이 상이한 복수의 평탄면을 갖는 형상) 이어도 된다. 삼각형상으로는, 단위 프리즘의 정점을 지나 시트면에 직교하는 직선에 대해 비대칭인 형상(예를 들어, 부등변 삼각형)이어도 되고, 당해 직선에 대해 대칭인 형상(예를 들어, 이등변 삼각형)이어도 된다. 또한, 단위 프리즘의 정점은, 면취된 곡면상으로 되어 있어도 되고, 선단이 평탄면이 되도록 커트되어 단면 사다리꼴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단위 프리즘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삼각형상이다.Any suitable configuration can be employed for the unit prism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The unit prisms may have a triangular cross section in a cross section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and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and may have other shapes (for example, one or both of the triangular slopes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Or a shape having a plurality of flat surfaces). The triangular shape may be a shape that is asymmetric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orthogonal to the sheet surface beyond the apex of the unit prism (for example, a diagonal triangle) or a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straight line (for example, an isosceles triangle). In addition, the apex of the unit prism may be a chamfered curved surface, or a tip end may be cut so as to be a flat surface so as to have a trapezoidal shape. The unit prism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but is preferably triangular.

상기 프리즘 시트(101)의 단위 프리즘이 삼각형상인 경우, 단위 프리즘의 꼭지각은 프리즘에 입사하는 빛을 집광하기 위한 것으로 60 내지 120 °범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85 내지 95 °범위인 것이 좋다. 또한, 단위 프리즘의 높이(단위 프리즘의 바닥면과 꼭지각 사이의 수직 방향에 따른 직선 거리)는 프리즘 시트의 취급의 용이성을 위해 10 내지 200 ㎛ 범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15 내지 100 ㎛ 범위이다. 또한, 단위 프리즘 피치 간격(인접한 단위 프리즘의 능선 간 최단 거리)는 전술한 꼭지각 및 높이를 채우기 위해 5 내지 300 ㎛ 범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100 ㎛ 범위이다.When the unit prism of the prism sheet 101 is in a triangular shape, the apex angle of the unit prism is in the range of 60 to 120 degrees, preferably 85 to 95 degrees, for condensing the light incident on the prism. Further, the height of the unit prism (linear distanc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and the vertex angle of the unit prism) is in the range of 10 to 200 mu m,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 to 100 mu m, for ease of handling of the prism sheet. In addition, the unit prism pitch interval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ridges of adjacent unit prisms) is in the range of 5 to 300 mu m,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100 mu m, to fill the aforementioned apex angle and height.

상기 프리즘 시트(101)의 표면에 존재하는 단위 프리즘은 전술한 범위에 해당하는 다른 복수의 꼭지각, 피치 간격 또는 높이를 가지는 단위 프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리즘 시트(101)가 가지는 단위 프리즘은 틈새 없게 연속해서 배치되거나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복수의 단위 프리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The unit prisms existing on the surface of the prism sheet 101 may include unit prisms having a plurality of vertex angles, pitch intervals, or heights corresponding to the above ranges. In addition, the unit prisms of the prism sheet 10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tinuously arranged without gaps or may b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unit prisms may be equally applied to a plurality of unit prisms.

상기 프리즘 시트(101)의 재질은 공지의 각종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메타크릴산 메틸계 수지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메타크릴산 메틸-스티렌계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공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투습성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메타크릴산 메틸-스티렌계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공중합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적합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자외선 흡수제나 산화 방지제,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As the material of the prism sheet 101, various known materials can be used. For example,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cyclic olefin resins such as polyvinyl chloride resins, polycarbonate resins and norbornene resins, poly Butadiene-styrene copolymer,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and the like, such as acrylic resin such as urethane resin and methyl methacrylate resin, polystyrene resin, methyl methacrylate-styrene copolymer, acrylonitrile-butadiene- A cellulose-based film such as polyacetyl cellulose, triacetylcellulose, etc. may be used. Among them, polyolefin resins, acrylic resins, polycarbonate resins, polyester resins, polystyrene resins, methyl methacrylate-styrene copolymer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Based copolymer, an acrylonitrile-based copolymer, and an acrylonitrile-styrene-based copolymer. If necessary, additives such as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oxidant and a plasticizer may be contained.

상기 프리즘 시트(101)는 전술한 수지를 기재로서 포토폴리머 프로세스법, 이형 압출법, 프레스 성형법, 사출 성형법, 롤 전사법, 레이저 어블레이션법, 기계 절삭법, 기계 연삭법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어 이들의 방법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 또는 2종 이상의 방법을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The prism sheet 101 can be formed by a known method such as a photopolymer process, a mold extrusion process, a press molding process,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a roll transfer process, a laser ablation process, a mechanical cutting process, a mechanical grinding process, Each of these method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thods.

상기 프리즘 시트(101)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편광판의 박막화를 위해 20 내지 200 ㎛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내지 100 ㎛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프리즘 시트(101)의 두께란, 그 프리즘 시트(101)의 한쪽의 면을 구성하는 평탄면(단위 프리즘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으로부터, 단위 프리즘의 정상부까지의 최단 거리를 의미한다.The thickness of the prism sheet 10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20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 to 100 mu m, for thinning the polarizing plate. The thickness of the prism sheet 101 at this time mean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flat surface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unit prisms are formed) constituting one surface of the prism sheet 101 to the top of the unit prism.

본 발명의 제1점착제층(103)은 프리즘 시트(101)와 보호필름(105)을 접합하기 위한 층으로, 공지의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투명성, 점착력, 신뢰성, 리워크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0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yer for bonding the prism sheet 101 and the protective film 105, and a know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may be used. For example,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 uretha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 Among them,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transparency, adhesive strength, reliability, reworkability and the like.

일례로, 상기 제1점착제층(103)은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가교제, 및 실란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03 may include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esin, a crosslinking agent, and a silane coupling agent.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는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로서,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4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 모두를 의미한다.As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esin,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esin is an acrylic copolymer, and a copolymer of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of 1 to 14 carbon atoms and a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can be used. Here, (meth) acrylate means both "acrylate" and "methacrylate".

탄소수가 1 내지 14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플루오로옥틸아크릴레이트, 6-(1-나프틸옥시)-1-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1 to 14 carbon atoms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hex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n-decyl (meth) acrylate, n-decyl (meth) acrylate, isononyl Acrylate, n-tetradecyl (meth) acrylate, pentafluorooctyl acrylate, and 6- (1-naphthyloxy) -1-hexyl acrylate. Thes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Can be used.

상기 탄소수 1 내지 14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함량(100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99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1 to 14 carbon atoms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50 to 99%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monomer content (100% by weigh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acrylic copolymer.

가교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가교제와 반응하여 고온 또는 고습 조건 하에서 점착제의 응집력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화학결합에 의한 응집력 또는 점착강도를 부여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인산기 함유 단량체,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 비닐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 화합물,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 산무수물기 함유 단량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에테르기 함유 단량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monomer having a crosslinking functional group reacts with a crosslinking agent to give a cohesive force or a cohesive strength by chemical bonding so that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does not break under high temperature or high humidity conditions. For example, a monomer having a sulfonic acid group, Containing monomer, an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 an imide group-containing monomer, an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 an ether group-containing monomer, and the lik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 a vinyl ester, an aromatic vinyl compou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로는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타)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페인술폰산, (메타)아크릴아미도프로페인설폰산, 술포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비닐술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styrenesulfonic acid, allylsulfonic acid, 2- (meth) 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meth) acrylamidopropanesulfonic acid, sulfopropyl (meth) ) Acryloyloxynaphthalenesulfonic acid, sodium vinylsulfonate, and the like.

상기 인산기 함유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를 [0034]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acryloyl phosphate.

상기 시아노기 함유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eth) acrylonitrile.

상기 비닐에스테르류로는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라우르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vinyl esters include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and vinyl laurate.

상기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기타 치환된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romatic vinyl compound include styrene, chlorostyrene, chloromethylstyrene,? -Methylstyrene, and other substituted styrenes.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arboxy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eth) acrylic acid, carboxyethyl (meth) acrylate, carboxypentyl (meth) 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crotonic acid and isocrotonic acid.

상기 산무수물 함유 단량체로는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및 이들의 산무수물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cid anhydride-containing monomer include maleic anhydride, itaconic anhydride, and acid anhydrides thereof.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타)아크릴아미드,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10-hydroxydecyl (meth) acrylate, 12-hydroxylauryl (meth) acrylate, (4-hydroxymethylcyclohexyl) (Meth) acrylamide, vinyl alcohol, allyl alcohol, 2-hydroxyethyl vinyl ether, 4-hydroxybutyl vinyl ether, diethylene glycol monovinyl ether and the like.

상기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크릴아미드, N-비닐피롤리돈, N,N-디메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아크릴아미드, N,N'-메틸렌비스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eth) acrylamide, diethylacrylamide, N-vinylpyrrolidone, N, N-dimethyl (meth) acrylamide, N, N'-methylenebisacrylamide, N, N-dimethylaminopropyl (meth) acrylamide, diacetone acrylamide and the like.

상기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로는 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일모르포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aminoethyl (meth) acrylate, N, N-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N, N-dimethylaminopropyl (meth) acrylate, (meth) acryloylmorpholine, .

상기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로는 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이타콘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imid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cyclohexylmaleimide, isopropylmaleimide, N-cyclohexylmaleimide and itaconimide.

상기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는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glycidyl (meth) acrylate, methyl glycidyl (meth) acrylate, and allyl glycidyl ether.

상기 에테르기 함유 단량체로는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로일모르포린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ther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methoxyethyl (meth) acrylate, 2-ethoxyethyl (meth) acrylate, butoxyethyl (meth) acrylate, phenoxyethyl And morpholine.

전술한 가교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함량(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bove-mentioned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monomer content (100% by weigh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acrylic copolymer.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괴상중합법, 현탁중합법 및 유화중합법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액중합법으로 제조하는 것이다.The acrylic copolymer having the above components may be prepar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a photopolymerization method, a bulk polymerization method, a suspension polymerization method and an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and is preferably prepared by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법에 의해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이 통상 50,000 내지 2,000,000이며,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1,800,0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00 내지 1,500,000이다.The acrylic copolymer general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erms of polystyren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of usually 50,000 to 2,000,000, preferably 100,000 to 1,800,000, more preferably 500,000 to 1,500,000 to be.

가교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적절히 가교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수지, 아지리딘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에폭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rosslinking agent is an isocyanate compound, an epoxy compound, a melamine resin, an aziridine compound or the like which is used for enhancing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adequately crosslinking the acrylic copolymer, and preferably an isocyanate compound or an epoxy compound is used .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isocyanate compound include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2,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4,4-diphenylmetha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tetramethyl xylene diisocyanate , Naphthalene diisocyanate, and the like.

상기 에폭시 화합물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디아민, 글리세린디글리시딜에테르,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메틸)시클로헥세인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epoxy compound includ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triglycidyl ether, trimethylolpropane triglycidyl ether, N, N, N ', N'-tetraglycidyldiamine, glycerin diglycidyl ether, , 3-bis (N, N-diglycidylaminomethyl) cyclohexane, and the like.

상기 멜라민계 수지로는 헥사메틸올멜라민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melamine resin include hexamethylol melamine.

상기 아지리딘계 화합물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aziridine compound include N, N'-toluene-2,4-bis (1-aziridinecarboxamide), N, N'-diphenylmethane-4,4'- Id), triethylene melamine, bisisopropanoyl-1- (2-methyl aziridine), and tri-1-aziridinyl phosphine oxide.

상기 가교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100 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에 대하여 0.01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제의 점착력 또는 응집력이 좋지 못하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용성이 감소되어 표면이행이 일어날 수 있으며 가교반응이 너무 진행되어 점착력이 저하된다.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solids content)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If the content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adhesive force or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poor. If the content exceeds the above range, the compatibility may be reduced and the surface migration may occur.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제1점착제층(103) 형성을 위한 조성물은 액정셀 또는 기재와 접합시 밀착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3 containing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may further include a silane coupling agent as needed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when bonded to the liquid crystal cell or the substrate.

상기 실란커플링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100 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에 대하여 0.0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Specific examples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nclud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 Silane,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2-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 3-aminopropyltrimethoxysilane and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solids content) of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추가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에폭시 수지, 경화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additiv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poxy resin, a curing agent, a UV stabilizer, an antioxidant, a colorant, a reinforcing agent, a filler, a defoamer, a surfactant and a plasticizer to the extent that the effect of the invention is not affected .

상기 제1점착제층(103)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상기 제1점착제층(103)은 전술한 성분을 배합하여 제1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한 후에 이를 프리즘 시트 및/또는 보호필름 등의 적절한 공정 기재에 바코터 또는 콤마 코터 등의 통상의 수단으로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 방법도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및 가교제의 가교 반응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정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3 may be prepared by mixing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forming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n subjecting it to a suitable process substrate such as a prism sheet and / or a protective film using a bar coater or a comma coater And then curing it by means of the above-mentioned method. Also, the curing method of th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and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ag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so that the crosslinking reaction can proceed.

상기 제1점착제층(103)의 두께는 5 내지 50 ㎛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35 ㎛ 범위이다. 상기 두께가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가혹 조건에서도 수축 또는 팽창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3 is in the range of 5 to 50 mu m, preferably 10 to 35 mu m.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to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shrinkage or expansion even under severe conditions and to maintain excellent durability.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101)와 제1점착제층(103)의 사이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는 프리즘 시트(101)와 제1점착제층(103)의 접합 전이며, 도 2의 (b)는 전술한 두 층의 접합 후이다. 상기 프리즘 시트(101)의 표면 형상과 제1점착제층(103)의 물성으로 인해 프리즘 시트(101)의 단위 프리즘의 꼭지각 부근이 제1점착제층(103)에 일부 침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프리즘 시트(101)와 제1점착제층(103) 사이에 에어갭(airgap)이 형성되며 이 에어갭(airgap)은 모아레 무늬 발생과 더불어 편광판의 휘도 및 내구성에 영향을 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between the prism sheet 101 and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3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FIG. 2 (a) shows a state before bonding of the prism sheet 101 and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3, and FIG. 2 (b) shows a state after bonding the two layers. The vicinity of the apex angle of the unit prism of the prism sheet 101 partially penetrates into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03 due to the surface shape of the prism sheet 101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03, An air gap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01 and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03 and the air gap affects the brightness and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as well as the occurrence of the moire pattern.

이때 단위 프리즘의 높이를 H, 단위 프리즘이 제1점착제층에 침투한 깊이를 p라 하면, 에어갭(airgap) 높이(h)는 H와 p의 차이이며 에어갭(airgap) 비율은 하기 수학식 1로 정의할 수 있다.When the height of the unit prism is H and the depth of the unit prism penetrating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s p, the air gap height h is the difference between H and p, and the air gap ratio is given by the following equation 1, respectively.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H는 단위 프리즘의 높이이고, h는 에어갭(airgap) 높이이다)(Where H is the height of the unit prism and h is the height of the air gap)

특히, 상기 에어갭(airgap) 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아레 무늬 발생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를 50 % 이상으로 조절함으로써 모아레 무늬의 발생을 개선하여 편광판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75 내지 100 % 범위이다.Particularly, since the airgap ratio is related to occurrence of moire patter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the polarizing plate by improving the generation of moire pattern by adjusting it to 50% or more, and to exhibit excellent durability. And preferably in the range of 75 to 100%.

이때 휘도 개선은 반치각(half of viewing angle)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반치각(half of viewing angle)은 가장 높은 휘도의 절반에 해당하는 휘도를 나타내는 각도로 액정표시장치의 정면에서 사용자가 화상을 인식가능한 시야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휘도 개선은 도 4 및 5에 나타내었으며 이를 참조하면 기존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7 % 이상의 시야각이 넓어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ightness improvemen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half of viewing angle. Herein, the half of viewing angle refers to a viewing angle at which the user can recognize an image at the front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t an angle representing luminance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highest luminance. The luminance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4 and 5. 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the viewing angle is widened by about 7% or more on average.

본 발명의 보호필름(105)은 후술하는 편광자의 강도 및 광학적 물성 보강을 위한 것이다. 후술하는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친수성 수지로 제조되기에 일반적으로 수분에 취약하다. 또한, 편광자는 연신 공정을 거쳐 제조되기 때문에 가습 조건 하에서는 수축 등 변형이 일어나기 쉽고 이에 따라 편광판의 광학 특성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필름(105)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염화비닐계 필름;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필름; 이미드계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필름; 술폰계 필름; 폴리에틸케톤계 필름; 비닐알콜계 필름; 폴리옥시메틸렌계 필름; 에폭시계 필름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상기 필름용 수지를 2종 이상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105)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또는 광경화성 수지로부터 형성된 경화층일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상기 보호필름(105)은 전술한 제1점착제층(103)의 도공성을 고려하면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The protective film 10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optical properties of the polarizer described later. The polarizer to be described later is generally made of a hydrophilic resin such as polyvinyl alcohol and is generally vulnerable to moisture. In addition, since the polarizer is manufactured through a stretching process, deformation such as shrinkage tends to occur under the humidifying condition, thereby deteriorating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larizing plate. A protective film 105 made of a material excellent in transparency,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barrier property, isotropy, etc. is used. For example, polyester film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Cellulose-based films such as diacetylcellulose and triacetylcellulose; Polycarbonate film; Acrylic films such as polymethyl (meth) acrylate and polyethyl (meth) acrylate; Styrene-based films such as polystyrene,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 and the like. Further, polyolefin-based film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yclo-based or norbornene-structured polyolefins an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s; Vinyl chloride film; Amide type films such as nylon and aromatic polyamide; Imidazole film; Polyethersulfone-based films; Sulfone based films; A polyethyl ketone-based film; Vinyl alcohol film; Polyoxymethylene-based films; And an epoxy-based film.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resins for a film. The protective film 105 may be a cured layer formed of a thermosetting or photo-curable resin such as acrylic, urethane, acrylic-urethane, epoxy, or silicone. Among them, the protective film 105 is preferably a polyester film in consideration of the coating property of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3 described above.

상기 보호필름(105)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강도, 취급성 등의 작업성, 박막성 등을 고려하여 1 내지 200 ㎛인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인 것이다.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105 is generally 1 to 200 占 퐉, preferably 5 to 100 占 퐉 in consideration of workability such as strength and handling properties and thin film properties.

또한, 상기 보호필름(105)이 편광자와 접합되지 않는 다른 한 면 상에는, 필요에 따라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확산 또는 안티글레어 코팅층, 방현층, 대전방지층 등의 기능성 표면처리층이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If necessary, a functional surface treatment layer such as a hard coating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diffusion or antiglare coating layer, an antiglare layer, and an antistatic layer may be further lamin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rotective film 105 where the protective film 105 is not bonded to the polarizer .

본 발명의 편광자(109)는 입사하는 자연광을 원하는 단일 편광상태(선평광 상태)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는 광학필름으로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된 필름에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larizer 109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tical film that serves to convert incident natural light into a desired single polarization state (linearly polarized state), and a film made of a polyvinyl alcohol resin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can be used have.

상기 편광자(109)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polyvinyl alcohol resin constituting the polarizer 109 can be produc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 resin.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의 예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 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내지 100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일 수 있다.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콜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정도이다.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 resin include copolymers of vinyl acetate and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 addition to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Specific examples of other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include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unsaturated sulfon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acrylamides having an ammonium group, and the like.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about 85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The polyvinyl alcohol resin may be denatur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or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may be use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resin is usually about 1,000 to 10,000, preferably about 1,500 to 5,000.

상기 편광자(109)는 통상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일축 연신하는 공정, 연신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흡착시키는 공정, 2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수세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2색성 색소로는 요오드나 2색성의 유기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최종 얻어진 편광자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5 내지 40 ㎛ 범위이다.The polarizer 109 is usually formed by a process of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 film as described above, a process of staining and drawing a stretched polyvinyl alcohol film with a dichroic dye, a process of adsorbing a polyvinyl alcohol film adsorbed with a dichroic dye A step of treating the aqueous solution with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nd a step of washing with water. At this time, iodine or dichroic organic dyes can be used as the dichroic dye. The thickness of the finally obtained polarizer is generally in the range of 5 to 40 mu m.

본 발명의 제2점착제층(111)은 액정셀과 접합을 위한 층으로, 상기 제1점착제층(103)에서 언급한 바를 따른다.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yer for bonding with the liquid crystal cell, and is referred to in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3).

상기 제2점착제층(111)은 추가로 이형필름(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The seco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1 may further include a release film (not shown).

이형필름은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1-부텐, 폴리-4-메틸-1-펜텐,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나일론-6,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실리콘계 이형제, 불소계 이형제 또는 실리카 분말 등에 의해 적절히 이형처리된 것일 수 있다.The release film is a film for protec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kind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lm ordinarily used in the art.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1-butene, poly-4-methyl-1-pentene, ethylene-propylene copolymer, ethylene-1-butene copolymer, ethylene- A polyolefin-based film such as a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Polyester film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amide-based films such as polyacrylate, polystyrene, nylon-6, and partially aromatic polyamide; Polyvinyl chloride films; Polyvinylidene chloride films; Or a polycarbonate film. These may be appropriately subjected to a releasing treatment with a silicone type releasing agent, a fluorine type releasing agent, a silica powder or the like.

도 3은 본 발명의 제2구현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100)은 프리즘 시트(101), 확산점착제층(113), 보호필름(105), 확산접착제층(107), 편광자(109) 및 제2점착제층(111)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3, a polarizing plat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sm sheet 101, a diffusion adhesive layer 113, a protective film 105, a diffusion adhesive layer 107, a polarizer 109 and a second pressure- (111) are sequentially stacked.

특히, 상기 제2구현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점착제층(113)을 구비한다.Particularly,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a diffusion adhesive layer 113 is provided.

확산점착제층(113)은 제1구현예의 제1점착제층(103)에 추가로 광확산성을 가지는 입자를 포함한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광산란능을 가지는 입자가 분산됨에 따라 프리즘 시트와 액정셀의 반복 패턴 간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모아레 무늬 발생이 완화된다. The diffu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3 includes particles having light diffusibility in addition to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03 of the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s the particles having light scattering ability are dispersed, generation of moire patterns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the prism sheet and the repeated pattern of the liquid crystal cell is alleviated.

상기 확산점착제층(113)은 헤이즈 수치가 30 내지 99 % 범위이며, 바람직하기로는 40 내지 97 % 범위이다. 만약 헤이즈 수치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광확산이 저하되어 모아레 무늬가 발생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산란각이 커져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The diffusion adhesive layer 113 has a haze value in the range of 30 to 99%, preferably in the range of 40 to 97%. If the haze value is less than the above range, the light diffusion is reduced and a moire pattern is genera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haze value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scattering angle is increased and the luminance is lowered.

상기 확산점착제층(113)의 조성, 형성 방법은 상기 제1구현예의 제1점착제층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며 입자는 상기 제1구현예의 확산접착제층에서 언급한 바를 따른다.The composition and the formation method of the diffu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113 are the same as those used in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particles follow the same as mentioned in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of the first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의 제1구현예 및 제2구현예에 있어서 편광자(109)와 제2점착제층(111) 사이에 접착제층 및 보호필름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dhesive layer and a protective film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polarizer 109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1.

접착제층은 편광자에 보호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제 조성물을 편광자의 일면에 도포하고, 건조, 가열 또는 전자기파의 조사 등에 의해 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is for bonding a protective film to a polarizer, and can be formed by applying an adhesive composition on one surface of a polarizer and curing it by drying, heating, or irradiation with electromagnetic waves.

상기 접착제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종류는, 경화되어 목적하는 접착 특성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아크릴 접착제; 비닐 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폴리비닐알킬에테르계 접착제; 고무계 접착제; 염화비닐-비닐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의 수소 첨가물(SEBS)계 접착제; 에틸렌계 접착제; 및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접착제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접착제층은, 예를 들면, 수계, 용제계 또는 무용제계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은, 열경화형, 상온 경화형, 습기 경화형 또는 광경화형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의 바람직한 예시로는, 수계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조성물; 무용제형 아크릴 접착제 조성물; 또는 무용제형 비닐 아세테이트계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된 상태로 포함하는 접착제층을 들 수 있다.The specific kind that can be used for th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cured to exhibit desired adhesive properties.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Acrylic adhesive; Vinyl acetate based adhesive; Urethane based adhesives; Polyester-based adhesives; Polyolefin adhesives; Polyvinyl alkyl ether adhesives; Rubber adhesives; Vinyl chloride-vinyl acetate-based adhesive; Styrene-butadiene-styrene (SBS) adhesives; Hydrogenated styrene-butadiene-styrene (SEBS) based adhesives; Ethylenic adhesives; And acrylic ester-based adhesives,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The above-mentioned adhesive layer can be prepared, for example, by curing an aqueous, solvent-based or solvent-free adhesive composition. The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thermosetting, room temperature curing, moisture curing or photocurable adhesive composition in a cured state. Preferred examples of the adhesive layer include an aqueous polyvinyl alcohol-based adhesive composition; A solventless acrylic adhesive composition; Or an adhesive layer containing a solvent-free vinyl acetate-based adhesive composition in a cured state.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0.5 내지 20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5 to 20 mu m.

보호필름은 편광자의 강도와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구현예에서 언급한 바를 따른다.The protective film is intende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strength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arizer, and is referred to in the first embodiment.

이때 상기 보호필름은 적용되는 위치가 편광자와 제2점착제층 사이로 최종 제조되는 편광판의 편광 특성이나 내구성을 고려하여 셀룰로오스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필름이 보호필름이면서 위상차 필름의 역할을 하는 위상차 필름이어도 되고, 보호필름에 공지의 위상차 필름이 적층된 것이어도 무방하다.In this case, the cellulose-based film is preferably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polarizing property and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protective film is finally formed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protective film may be either a protective film or a retardation film serving as a retardation film, or a known retardation film laminated on a protective film.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보호필름과 편광자 사이에 확산접착제층을 구비하며 프리즘 시트와 제1점착제층의 접합면에서의 에어갭(airgap) 비율을 일정 범위로 조절한다. 추가적으로 제1점착제층을 확산점착제층으로 구비한다.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ffusion adhesive layer between the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and adjusts the airgap ratio in the bonding surface of the prism sheet and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to a certain range. In addition, a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s provided as a diffu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상기한 편광판은 광산란능을 가진 입자를 포함하는 확산접착제층 및 확산점착제층을 구비하며 상기 층들의 헤이즈 수치를 일정 범위로 유지함에 따라 빛의 방향을 변화시켜 모아레 무늬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프리즘 시트와 제1점착제층의 접합면에서의 에어갭(airgap) 비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여 모아레 무늬가 형성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편광판의 휘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확산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프리즘 시트를 편광판에 일체화하기 때문에 액정장치에 적용시 종래보다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The polarizing plate has a diffusing adhesive layer containing particles having light scattering ability and a diffusion adhesive layer. The haze value of the layers is kept within a certain range, so that the direction of light can be changed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moire patterns. The airgap ratio at the bonding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level or higher so that the moiré pattern is not formed and the brightness and durability of the polarizing plate can be improved. Further, since the prism sheet is integrated with the polarizing plate without using a separate diffusion sheet, the entire thickness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one when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evice.

이에 더해서, 본 발명의 편광판을 액정셀의 상부, 하부 또는 상부와 하부에 모두 적용하는 경우 액정셀을 기준으로 확산접착제층 및/또는 확산점착제층이 상부 편광판의 편광자와 하부 편광판의 편광자 사이가 아니라 상기 편광자들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나온 빛이 편광-확산-편광되는 것을 방지하여 편광도와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upper, lower or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 or the diffu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re not formed between the polarizer of the upper polarizer and the polarizer of the lower polarizer, Polarized light is prevented from being polarized-diffused-polarized due to the fact that the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is located outside the polarizers, thereby reducing polarization and brightnes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er.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액정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형, STN(super twisted nematic)형, F(ferroelectic)형 또는 PD(polymer dispersed)형과 같은 수동 행렬 방식의 액정셀; 2단자형(two terminal) 또는 3단자형(three terminal)과 같은 능동행렬 방식의 액정셀; 횡전계형(IPS; In Plane Switching)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Vertical Alignment) 액정셀 등의 공지의 액정셀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The type of the liquid crystal cell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liquid crystal cell of the passive matrix type such as TN (twisted nematic) type, STN (super twisted nematic) type, F (ferroelectic) type or PD (polymer dispersed) type is used. An active matrix type liquid crystal cell such as a two terminal type or a three terminal type; Known liquid crystal cells such as an in-plane switching (IPS) panel and a vertical alignment (VA) liquid crystal cell can all be applied.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타 구성, 예를 들면, 상부 및 하부 기판(ex. 컬러 필터 기판 또는 어레이 기판) 등의 종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구성이 제한 없이 채용될 수 있다.The types of the other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example, the types of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e.g., color filter substrate or array substrat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figurations known in this field are not limited .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합성예Synthetic example 1 One

4-넥 재킷(neck jacket) 반응기(1L)에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장치하고, 반응장치에 질소가스를 투입하여 치환시킨 후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70 중량부,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20 중량부,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10 중량부, 트리아릴술포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2.25 중량부 및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용액 500 중량부를 혼합한 후 탈포하여 광경화성 접착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A four neck jacket reactor (1 L) wa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 reflux condenser, a dropping funnel and a nitrogen gas inlet tube. The reactor was purged with nitrogen gas and then reacted with 3,4-epoxycyclohexyl Methyl-3 ', 4'-epoxycyclohexanecarboxylate, 20 parts by weight of neopentyl glycol diglycidyl ether, 1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glycidyl ether, 10 parts by weight of triarylsulfonium hexafluorophosphate , And 500 parts by weight of a propylene carbonate solution were mixed and defoamed to prepare a photo-curable adhesive solution.

합성예Synthetic example 2 2

4-넥 재킷(neck jacket) 반응기(1L)에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장치하고, 반응장치에 질소가스를 투입하여 치환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120 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n-BA) 98 중량부, 아크릴산(AA) 0.5 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2-HEA) 1.4 중량부를 투입하고, 반응기의 외부온도를 50 로 승온하였다. A four neck jacket reactor (1L) was equipped with a stirrer, a thermometer, a reflux condenser, a dropping funnel, and a nitrogen gas introducing tube. The reactor was purged with nitrogen gas, 98 parts by weight of butylacrylate (n-BA), 0.5 part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and 1.4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2-HEA) were charg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50.degree.

이어서, 반응기에 에틸아세테이트 10 중량부에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1 중량부를 완전히 용해한 용액을 적하하였다. 재킷 외부 온도를 50 로 유지하면서 추가적으로 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90 중량부를 1시간 동안 적하로트를 이용하여 천천히 적하하였다. Then, a solution in which 0.1 part by weight of 2,2'-azobisisobutyronitrile (AIBN) was completely dissolved in 1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was added dropwise to the reactor. The reaction was continued for an additional 5 hours while keeping the jacket temperature at 50. Then, 9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was slowly added dropwise for 1 hour using a dropping funnel.

이어서, 동일 온도에서 5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반응시킨 후, 반응이 종료되면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여 고형분 함량이 20 %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용액을 수득하였다. Then, the mixture was further reacted at the same temperature for 5 hours. When the reaction was completed, the reaction solution was diluted with ethyl acetate to obtain an acrylic copolymer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20%.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1:  One: 확산접착제층Diffusion adhesive layer 형성용 조성물 제조 Composition for forming

합성예 1에서 제조된 광경화성 접착제 수지 100 중량부에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입자(평균 입경: 5 ㎛, 구형)의 함량을 달리하여 톨루엔 용매에 분산시킨 용액을 투입하고 톨루엔을 이용하여 20 % 농도로 희석하여 확산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A solution in which the content of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average particle diameter: 5 占 퐉, spherical) was dispersed in toluene solvent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curing adhesive resin prepared in Synthesis Example 1,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forming a diffusion adhesive layer.

이어서, 제조된 확산접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요보 에스테르 필름 E7002, 토요 방적(주)사 제조)의 편면에, 도포기(바 코터, 다이이치이화(주)사 제조)를 사용하여 경화 후 두께가 10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Subsequently, the thus prepared composition for forming a diffusion adhesive layer was coated on one surfac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oyobo Ester Film E7002, manufactured by Toyobama Co., Ltd.) with a coater (Barcoater, Daiichi Chemical Co., Ltd.) And the coating was cured to a thickness of 10 mu m.

다음으로, 퓨전 UV 시스템즈사 제조의 "D 밸브"에 의해 자외선을 적산 광량이 3,000 mJ/㎠ 가 되도록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이것을 5 ㎜ × 30 ㎜ 의 크기로 재단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벗겨내어 확산접착제 필름을 얻었다. Next,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by a "D valve" manufactured by Fusion UV Systems Co., Ltd. so that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became 3,000 mJ / cm 2, thereby curing the adhesive. This was cut into a size of 5 mm x 30 mm, and the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was peeled off to obtain a diffusion adhesive film.

이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입자의 함량을 달리한 각각의 확산접착제 필름의 헤이즈 수치를 헤이즈미터기(HZ-1, Suga Test Instrument Co., Ltd. 제조)를 이용하여 JIS K 7361-1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2로 계산하였다.The haze value of each of the diffusion adhesive films having different amounts of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was measured using a haze meter (HZ-1, manufactured by Suga Test Instrument Co., Ltd.) according to JIS K 7361-1 And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2:  2: 확산점착제층The spreading pressure- 형성용 조성물 제조 Composition for forming

합성예 2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100 중량부(고형분 함량 기준), 가교제인 트리메틸올프로판-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Coronate L, Nippon Polyurethane Industry사 제조) 0.8 중량부, 실란커플링제로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403) 0.15 중량부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입자(평균직경:5㎛, 구형, 굴절율:1.49)의 함량을 달리하여 톨루엔 용매에 분산시킨 용액을 투입하고, 톨루엔을 이용하여 20 % 농도로 희석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0.8 parts by weight of trimethylolpropane-modified tolylene diisocyanate (Coronate L,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as crosslinking agent, 100 parts by weight (based on solid content) of the acrylic copolymer resin prepared in Synthesis Example 2, A solution prepared by dispersing 0.15 part by weight of synglycidopropyltrimethoxysilane (KBM-403) and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average diameter: 5 탆, spherical shape, refractive index: 1.49) in a toluene solvent was added, And diluted with toluene to a concentration of 20% to prepar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이어서, 제조된 확산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토요보 에스테르 필름 E7002, 토요 방적(주)사 제조)의 편면에, 도포기(바 코터, 다이이치이화(주)사 제조)를 사용하여 경화 후 두께가 10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Subsequently,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diffu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coated on one surfac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oyobo Ester Film E7002, Toyobama Co., Ltd.) with a coater (Barcoater, Daiichi Kagaku Co., Ltd.) And the coating was cured to a thickness of 10 mu m.

다음으로 100 오븐의 강제순환식 열풍 건조기에서 3분간 건조하여 확산점착시트를 제조한 후, 여기에 실리콘 이형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형필름을 접합함으로써 확산점착제 전사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Next, a diffusion adhesive sheet was prepared by drying in a forced circulation type hot-air dryer of 100 oven for 3 minutes, and the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leasing film with a silicon release treatment was bonded thereto to prepare a diffusion adhesive transfer tape.

이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입자의 함량을 달리한 각각의 확산점착제 전사 테이프의 헤이즈 값을 헤이즈미터기(HZ-1, Suga Test Instrument Co., Ltd. 제조)를 이용하여 JIS K 7361-1 규정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상기 수학식 2로 계산하였다. At this time, the haze value of each of the spread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transfer tapes differing in the content of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K 7361-1 specification using a haze meter (HZ-1, manufactured by Suga Test Instrument Co., Ltd.) And calculated by the above-mentioned formula (2).

실시예Example 1 내지 14 및  1 to 14 an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내지 3 1 to 3

<실시예 1 내지 14>&Lt; Examples 1 to 14 >

두께 80 ㎛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코니카택 KC8UX2MW,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사 제조)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그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상기에서 제조예에서 얻어진 각각의 확산접착제와 확산점착제를 경화 후의 막두께가 각각 15 ㎛ 가 되도록,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carried out on the surface of a triacetyl cellulo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80 占 퐉 (Konica Kagaku KK8UX2MW,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o Co., Ltd.), and the respective diffusion adhesives obtained in the above- The spread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applied using a bar coater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curing became 15 占 퐉.

이어서, 형성된 확산접착제층에 두께 28 ㎛의 폴리비닐알코올-요오드계 편광자를 접합하였다. 다음으로,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두께 40 ㎛의 위상차 필름(N-TAC KC4FR-1, 코니카 미놀타 옵토(주)사 제조)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하고, 그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광경화성 접착제 용액을 경화 후의 막두께가 약 2 ㎛ 가 되도록,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그 접착제층에, 상기와 동일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접합하여 적층물을 제작하였다. 이 적층물의 아세틸셀룰로오스계 위상차 필름측으로부터, 벨트 컨베이어가 부착된 자외선 조사 장치(D 밸브, 퓨전 UV 시스템즈사 제조)를 사용하여 적산 광량이 250 mJ/㎠ 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켰다.Then, a polyvinyl alcohol-iodine polarizer having a thickness of 28 mu m was bonded to the formed diffusion adhesive layer. Next,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was performed on the surface of a 40 mu m thick retardation film (N-TAC KC4FR-1,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o Co., Ltd.) comprising an acetylcellulose resin, and on the corona discharge treated surface, The photocurable adhesive solution containing no particles obtained in Example 1 was applied using a bar coater so that the film thickness after curing would be about 2 占 퐉. The same triacetylcellulose film as above was bonded to the adhesive layer to prepare a laminate. Ultraviolet rays were irradiated from the side of the acetylcellulose-based retardation film of this laminate using ultraviolet ray irradiating device (D valve, Fusion UV Systems Co., Ltd.) with a belt conveyor so that the accumulated light quantity became 250 mJ / cm 2 to cure the adhesive .

이렇게 하여, 확산접착제층 및 확산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Thu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a diffu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produced.

<비교예 1 내지 3>&Lt; Comparative Examples 1 to 3 >

상기 실시예의 확산접착제층 및 확산점착제층 대신 입자를 포함하지 않는 광경화성 접착제 및 점착제를 사용한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하였다.Except that the diffusion-adhesive layer and the diffusion-adhesive layer of Example were replaced with a photo-curable adhesive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ich did not contain particles.

실험예Experimental Example : 평가: evaluation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properties of the polarizing plate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1) 모아레 무늬(1) moire pattern

제조된 편광판을 액정셀의 하판 편광판으로 접합하고, 상기 액정셀의 상판 편광판으로는 확산점착제층을 포함하지 않는 통상의 편광판을 접합한 후, 반사판, 광원, 확산판 및 프리즘 시트가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는 백라이트 유닛의 프리즘 시트 상에 적층하였다. 이어서, 프리즘 시트로부터 기인한 모아레 무늬의 발생 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The prepared polarizing plate is bonded to a lower plate polarizing plate of a liquid crystal cell, and a usual polarizing plate not including a diffusion adhesive layer is bonded to the upper plate polarizing plate of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en a reflecting plate, a light source, a diffusion plate, and a prism sheet are stacked Was laminated on the prism sheet of the backlight unit. Then, the generation intensity of the moire pattern caused by the prism sheet was visually observ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기준><Standard>

◎: 모아레 무늬가 전혀 발생하지 않음◎: Moire pattern does not occur at all

○: 모아레 무늬가 조금 발생함○: Moire pattern slightly occurred

△: 모아레 무늬가 부분적으로 발생함△: moire pattern partially occurs

×: 모아레 무늬가 선명하게 발생함X: The moire pattern appears clearly

(2) 에어갭(airgap) 비율(2) Airgap ratio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5 mm X 5 mm 크기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 후 마이크로 토밍을 통해 깨끗한 단면 형상을 얻고, SEM(S-4700; Hitach사 제조)을 이용하여 Scanning 이미지상의 프리즘 시트의 에어갭을 실측하고,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에어갭 비율을 계산하였다.The polarizing plate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cut to a size of 5 mm X 5 mm to prepare specimens. Microstructures were then cut to obtain a clean cross-sectional shape. SEM (S-4700; manufactured by Hitachi) The air gap of the prism sheet was measured, and the air gap ratio was calculated by the above formula (1).

(3) 반치각(3) Half angle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편광판을 32인치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용 백라이트 유닛(BLU)에 장착하여 고정하고, 시야각측정장비(EZcontrast, 프랑스 ELDIM사 제조)를 사용하여 BLU에서 정면으로 출사되는 전방위각도에 대한 휘도를 측정하여, 그 중 프리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출사되는 휘도에 대하여 정면휘도(각도 0 °) 대비 휘도가 50%가 되는 지점의 각도인 반치각을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된 반치각에 대해 비교예 1의 값을 기준으로 증가율을 계산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The polarizing plates prepa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ounted on a backlight unit (BLU) for a 32-inch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fixed at an omnidirectional angle emitted from the BLU to the front using a viewing angle measuring instrument (EZcontrast, manufactured by ELDIM France) And the half-value angle, which is an angle at which the luminance becomes 50% with respect to the front luminance (angle 0 DEG) with respect to the luminance emit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ism, was measured. At this time, the increase rat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value of Comparative Example 1 with respect to the measured half angle, and the obtained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4 and 5 below.

확산접착제층Diffusion adhesive layer 확산점착제층The spreading pressure- 모아레무늬Moire pattern 에어갭(airgap)Airgap 반치각 증가율(%)Half Price Increase Rate (%) Tp
(%)
T p
(%)
헤이즈
(%)
Hayes
(%)
Tp
(%)
T p
(%)
헤이즈
(%)
Hayes
(%)
H
(㎛)
H
(탆)
H
(㎛)
H
(탆)
에어갭 비율
(%)
Air gap ratio
(%)
실시예 1Example 1 5050 4545 9191 0.10.1 4040 3737 92.592.5 22 실시예 2Example 2 3737 6060 9191 0.10.1 4040 3737 92.592.5 22 실시예 3Example 3 1818 8080 9191 0.10.1 4040 3737 92.592.5 55 실시예 4Example 4 99 9090 9191 0.10.1 4040 3737 92.592.5 88 실시예 5Example 5 55 9595 9191 0.10.1 4040 3737 92.592.5 1414 실시예 6Example 6 3737 6060 9191 0.10.1 4040 3030 75.075.0 44 실시예 7Example 7 3737 6060 9191 0.10.1 4040 2020 50.050.0 55 실시예 8Example 8 5050 4545 5050 4545 4040 3737 92.592.5 33 실시예 9Example 9 3737 6060 3737 6060 4040 3737 92.592.5 44 실시예 10Example 10 1818 8080 1818 8080 4040 3737 92.592.5 88 실시예 11Example 11 99 9090 99 9090 4040 3737 92.592.5 1616 실시예 12Example 12 55 9595 55 9595 4040 3737 92.592.5 2828 실시예 13Example 13 3737 6060 3737 6060 4040 3030 75.075.0 55 실시예 14Example 14 3737 6060 3737 6060 4040 2020 50.050.0 55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9191 0.10.1 9191 0.10.1 ×× 4040 3737 92.592.5 00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9191 0.10.1 9191 0.10.1 ×× 4040 3030 75.075.0 22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9191 0.10.1 9191 0.10.1 ×× 4040 2020 50.050.0 44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확산접착제층만을 구비한 실시예 1 내지 7 및 확산접착제층 및 확산점착제층 모두를 구비한 실시예 8 내지 12는 두 층을 구비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였을 때 모아레 무늬 발생 현상이 개선되었으며 이에 따라 휘도도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Referring to Table 1 above, Examples 1-7 with only a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Examples 8-12 with both a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a diffusion adhesive layer wer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ithout two layers It was confirmed that the occurrence of the moire pattern was improved and the luminance was also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어 모아레 무늬 발생을 억제하여 편광도 및 휘도가 개선된 고품위의 화질 구현이 가능하다.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moire patterns and to realize a high quality image with improved polarization degree and brightness.

100: 편광판
101: 프리즘 시트 103: 제1점착제층
105: 보호필름 107: 확산접착제층
109: 편광자 111: 제2점착제층
113: 확산점착제층
100: polarizer
101: prism sheet 103: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05: protective film 107: diffusion adhesive layer
109: polarizer 111: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113: spread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laims (11)

프리즘 시트, 제1점착제층, 보호필름, 접착제층, 편광자 및 제2점착제층의 순서로 적층되고,
상기 접착제층이 확산접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A prism sheet, a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otective film, an adhesive layer, a polarizer and a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a diffusion adhesiv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접착제층의 헤이즈 수치는 30 내지 99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aze value of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is in the range of 30 to 9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접착제층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 ㎛ 범위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The polarizer of claim 1, wherein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comprises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size in the range of 0.1 to 10 mu 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산접착제층의 두께는 0.5 내지 2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adhesive layer is in the range of 0.5 to 20 μ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시트와 제1점착제층의 접합면에서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에어갭(airgap) 비율은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수학식 1]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1에서, H는 단위 프리즘의 높이이고, h는 에어갭(airgap) 높이이다)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gap ratio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s at least 50%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rism sheet and the first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Equation 1]
Figure pat00004

(Where H is the height of the unit prism and h is the height of the air gap)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1점착제층이 확산점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is a diffus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확산점착제층의 헤이즈 수치는 30 내지 99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haze value of the diffu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n the range of 30 to 9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확산점착제층은 평균 입경이 0.1 내지 20 ㎛ 범위인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7.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diffu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mprises particle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0.1 to 20 mu m.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확산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5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diffus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n the range of 5 to 50 μm. 청구항 1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편광자와 제2점착제층 사이에 접착제층 및 보호필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layer and a protective film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seco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청구항 1의 편광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of claim 1.
KR1020150090357A 2015-06-25 2015-06-25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KR2017000102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57A KR20170001026A (en) 2015-06-25 2015-06-25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57A KR20170001026A (en) 2015-06-25 2015-06-25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026A true KR20170001026A (en) 2017-01-04

Family

ID=57831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357A KR20170001026A (en) 2015-06-25 2015-06-25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1026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8003A1 (en) 2008-02-29 2009-09-03 주식회사 엘엠에스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equipped with the same
JP2011123476A (en) 2009-11-16 2011-06-23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8003A1 (en) 2008-02-29 2009-09-03 주식회사 엘엠에스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equipped with the same
JP2011123476A (en) 2009-11-16 2011-06-23 Sumitomo Chemical Co Ltd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polarizing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4044B1 (en) Backlight system and optical sheet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KR10163090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set of optical members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53406B1 (en) Light diffusion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composition
JP2010170153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00002638A (en)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composition
KR20160140371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2043410A1 (en)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O2011162184A1 (en) Light-diffusing polarization plate and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2009169389A (en) Set of polarizing plate, liquid crystal panel us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60076435A (en) Polarizing plat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and polarizing plate set,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455303B1 (en) Anti-static and light diffusion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WO2010018812A1 (en) Optical path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60103262A1 (en) Image source unit and image display unit
JP7261844B2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9175685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WO2011162188A1 (en)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12098526A (en) Light-diffusing film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light-diffusing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2004219800A (en)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polarizing film, and laminated polarizing film
KR20170046297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118039B1 (en)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20110037206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100077906A (en) Polarizing pl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498948B1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170004137A (e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reof
KR20150085382A (en) Complex optical sheet and optical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