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843U - 퓨즈 - Google Patents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843U
KR20170000843U KR2020150005721U KR20150005721U KR20170000843U KR 20170000843 U KR20170000843 U KR 20170000843U KR 2020150005721 U KR2020150005721 U KR 2020150005721U KR 20150005721 U KR20150005721 U KR 20150005721U KR 20170000843 U KR20170000843 U KR 201700008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fuse
protrusions
hous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303Y1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5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30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8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8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3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3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8Casing fillings, e.g. powder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퓨즈는 내부공간(12)이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퓨즈엘레먼트(16)를 구비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16)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는 소호사(14)가 채워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양단에는 제1캡(20)과 제2캡(20')이 장착되고, 상기 퓨즈엘레먼트(16) 양단부의 절곡부(17)는 상기 제1캡(20)과 제2캡(20')을 슬릿(24)을 관통해서 제1캡(20)과 제2캡(20')의 외면에 형성된 캡홈(22)에 위치된다. 상기 절곡부(17)는 상기 캡홈(22)에 솔더링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절곡부(17)와 캡홈(22)의 바닥면이 보다 확실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절곡부(17)에는 적어도 하나의 만입부(19)와 적어도 2개 이상의 돌편(18,18')이 구비된다. 상기 만입부(19)는 상기 돌편(18,18')의 사이에 있는데, 상기 돌편(18,18')은 2차함수곡선형상으로 된다.

Description

퓨즈{Fuse}
본 고안은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퓨즈엘레먼트와 캡을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전장품과 전원 사이에 구비되어 전장품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전장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과 전장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퓨즈는 내부에 있는 퓨즈엘레먼트의 용단부가 녹아서 끊어져서 전원의 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퓨즈는 전원과 전장품 사이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연결해야 한다. 하지만, 상기 퓨즈엘레먼트와 캡을 솔더링에 의해 결합할 때 퓨즈엘레먼트의 절곡부와 캡의 사이로 솔더가 제대로 흘러가지 못하여 퓨즈엘레먼트와 캡 사이의 물리적 결합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퓨즈를 자동차 등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자동차의 진동 등에 의해 퓨즈엘레먼트와 캡 사이의 물리적 결합이 훼손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의 양단에 제1캡(3)과 제2캡(3')이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의 내부공간에는 퓨즈엘레먼트(5)가 설치되고, 상기 퓨즈엘레먼트(5)의 양단부는 상기 제1캡(3)과 제2캡(3')을 관통하고 솔더링에 의해 제1캡(3)과 제2캡(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5)의 양단에는 절곡부(7)가 형성되어 상기 제1캡(3) 및 제2캡(3')의 외면에 솔더링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절곡부(7)는 상기 퓨즈엘레먼트(5)에 일체로 형성되고, 절곡되어 상기 제1캡(3)과 제2캡(3')에 솔더링되는 것으로, 반원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도 1에서는 솔더링부가 아직 형성되기 전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퓨즈에서는 상기 절곡부(7)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솔더링부를 형성하는 솔더가 상기 절곡부(7)와 캡(3,3')의 표면 사이로 침투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상기 절곡부(7)의 가장자리를 따라서만 절곡부(7)와 캡(3,3')의 표면 사이가 솔더링되어 절곡부(7) 전체가 캡(3,3')과 결합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솔더가 없는 부분에서 상기 캡(3,3')과 절곡부(7) 사이의 분리가 시작되어 심한 경우에는 절곡부(7)가 캡(3,3')에서 분리되거나, 일부가 분리된 상태가 되어 스파크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시작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퓨즈엘레먼트의 절곡부 가장자리에서부터 절곡부의 내측까지의 거리의 편차를 줄여 솔더가 절곡부의 최내측까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캡 및 제2캡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양단의 절곡부가 상기 제1캡 및 제2캡과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과부하 시에 녹아 끊어지는 용단부가 있는 퓨즈엘레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캡과 제2캡과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절곡부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만입부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돌편의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소호사가 채워진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캡과 제2캡의 외부에 위치되는 기저부가 있고, 상기 기저부에서 상기 돌편들이 연장된다.
상기 절곡부에는 퓨즈엘레먼트 단부에서 절곡된 기저부에서 나란히 연장된 제1돌편과 제2돌편이 있고, 상기 제1돌편과 제2돌편의 사이에는 만입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돌편과 제2돌편은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돌편과 제2돌편의 선단은 곡선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선이 2차함수곡선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절곡부에는 퓨즈엘레먼트 단부에서 절곡된 기저부에서 연장된 제1돌편과 제2돌편이 있고, 상기 기저부의 일측 단부와 제1돌편의 사이에는 제1단부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의 타측 단부와 제2돌편의 사이에는 제2단부만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편과 제2돌편의 사이에는 중간만입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편과 제2돌편은 폭이 길이방향으로 거의 일정하게 형성되고 제1돌편과 제2돌편의 선단은 곡선으로 둥글게 형성되 제1돌편과 제2돌편은 선단으로 갈수록 멀어진다.
본 고안에 의한 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퓨즈엘레먼트의 절곡부 가장자리에서부터 절곡부의 내측까지의 거리의 편차가 최소화되고, 특히 절곡부와 캡을 솔더링하는 솔더가 충분히 들어갈 수 있도록 절곡부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부까지의 거리가 설정되었다. 따라서, 퓨즈엘레먼트와 캡 사이의 물리적 결합시에 퓨즈엘레먼트의 절곡부 전체가 캡에 솔더링될 수 있으므로 퓨즈엘레먼트와 캡 사이의 결합이 보다 완벽하게 되면서도 시간이 흘러도 결합이 쉽게 손상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퓨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10)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합성수지, 세라믹, 유리 등이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상이고 내부에 내부공간(12)이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내부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엘레먼트(16)가 설치되며, 소호사(14)가 채워진다. 상기 소호사(14)는 하우징(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스파크가 하우징(1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나, 내부공간(12) 내에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한다.
퓨즈엘레먼트(16)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설치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16)는 양단이 상기 하우징(10)의 양단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캡(20,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16)에는 용단부(도면부호 부여 않음)가 있다. 상기 용단부는 과부하가 흐를 때 녹아서 끊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용단부는 대략 상기 퓨즈엘레먼트(16)의 중간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16)의 양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캡(20)과 솔더링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16)의 양단부에는 절곡부(17)가 있다. 상기 절곡부(17)는 상기 퓨즈엘레먼트(16)의 양단이 소정의 모양으로 만들어지고 절곡된 것이다. 상기 절곡부(17)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 및 제2 캡(20,20')에 있는 슬릿(24)을 관통하여 외부로 나온다.
상기 절곡부(17)는 판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그 일부가 제거된다. 이는 상기 절곡부(17)의 가장자리에서 부터 가장 내측까지의 거리를 전체적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거리가 짧아지면 절곡부(17)와 캡(20,20')의 표면 사이 전체로 솔더가 보다 확실하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절곡부(17)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퓨즈엘레먼트(16)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연결된 기저부(17')를 두고, 상기 기저부(17')에서부터 제1돌편(18)과 제2돌편(18')이 나란히 연장되도록 하고, 상기 제1돌편(18)과 제2돌편(18')의 사이에 만입부(19)를 형성하였다.
상기 제1돌편(18)과 제2돌편(18')은 상기 기저부(17')에서 시작해서 그 폭이 선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도록 하였고, 선단은 둥글게 되어 있다. 즉, 제1돌편(18)과 제2돌편(18')의 가장자리를 구성하는 선이 일종의 2차함수곡선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만입부(19)는 모재의 판형상에서 해당되는 부분을 잘라낸 것이다. 상기 만입부(19)를 형성함에 의해 상기 절곡부(17)를 구성하는 제1돌편(18)과 제2돌편(18')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기저부(17')의 거리가 가장 먼 위치(점선으로 표시된 도 5의 A영역)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전체적으로 그 거리의 편차가 줄어들게 된다. 상기 만입부(19)는 외측에서 기저부(17')를 향해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되는데, 상기 만입부(19)의 구성도 대략 2차함수곡선과 같이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반원판 형상이었던 모재에서 제1돌편(18)과 제2돌편(18')의 사이에 만입부(19)를 형성함에 의해 절곡부(17)의 가장자리에서부터 기저부(17')의 거리가 가장 먼 위치까지의 거리를 최소화하였고, 이에 의해 절곡부(17)와 캡(20,20')을 솔더링하기 위한 솔더의 이동거리가 줄어들고, 절곡부(17)와 캡(20,20')의 사이로 솔더가 잘 침투할 수 있게 되어 절곡부(17) 전체 표면이 캡(20,20')과 솔더링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양단에는 제1 및 제2 캡(20,20')이 설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캡(20,20')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캡(20,20')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 및 제2캡(20,20')은 일측이 막힌 원통형상으로 원통형상의 내경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압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값을 가진다. 물론, 상기 제1 및 제2캡(20,20')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캡(20,20')의 막힌 쪽 단부에는 캡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캡홈(22)은 상기 제1 및 제2캡(20)의 외면에서 오목하게 들어간다. 상기 캡홈(22)이 상기 제1 및 제2캡(20)의 외면에서 오목하게 들어가므로, 대응되는 내부는 상기 내부공간(12)으로 돌출된다.
상기 캡홈(22)에는 상기 퓨즈엘레먼트(16)가 관통할 수 있도록 슬릿(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릿(24)은 상기 캡홈(22)의 바닥을 관통하여 외부와 상기 내부공간(12)이 서로 연통되게 한다. 참고로, 상기 제1 및 제2캡(20,2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및 제2캡(20,20')의 캡홈(22)에는 솔더링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솔더링부는 상기 제1 및 제2캡(20,20')과 퓨즈엘레먼트(16)를 물리적,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솔더링부는 상기 캡홈(22)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솔더링부를 상기 캡홈(22)에 형성하면, 상기 절곡부(17)는 외부에서 볼 수 없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캡(20,20')은 외부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1 및 제2 캡(20,20')에 별도의 연결레그(도시되지 않음)가 있어서 외부단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연결레그는 탭터미널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편의상 위의 실시례와 다른 부분을 위주로 설명하고 대응되는 구성에 100단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례에서 위의 실시례와 가장 다른 구성은 절곡부(170)이다. 상기 절곡부(170)를 형성함에 있어서 기저부(170')에서 제1돌편(180)과 제2돌편(180')이 돌출되어 연장되는데, 상기 제1돌편(180)과 제2돌편(180')은 그 폭이 기저부(170')에서 시작해서 선단까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선단은 곡선으로 둥글게 되어 있다. 상기 제1돌편(180)과 제2돌편(180')은 나란히 연장되지 않고 선단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도록 연장되고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돌편(180)과 기저부(170')의 단부사이에 제1단부만입부(19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돌편(180')과 기저부(170')의 단부사이에 제2단부만입부(19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돌편(180)과 제2돌편(180')의 사이에 중간만입부(19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만입부(190,190',191)들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가면서 점차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만입부(190,190',191)들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제1돌편(180)과 제2돌편(180')의 폭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도 모재는 반원판 형상이고, 여기서 상기 만입부(190,190',191)들을 형성함에 의해 상기 제1돌편(180)과 제2돌편(180')이 형성된다. 상기 제1돌편(180)과 제2돌편(180')의 가장자리에서 내측까지의 거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례보다 훨씬 짧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절곡부(170)에서 제1 및 제2캡(200,200')과 결합되는 면적은 좁아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를 제조하는 것과 사용하는 것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퓨즈를 제조하는 과정을 먼저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 상기 퓨즈엘레먼트(16)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캡(20,20')은 미리 만들어진 것이 조립라인에 제공된다.
먼저, 상기 제1캡(20)과 상기 퓨즈엘레먼트(16)를 결합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16)의 절곡부(17)를 상기 제1캡(20)의 슬릿(24)을 관통시킨 후 상기 기저부(17')에서 절곡한다. 이 상태로 상기 제1캡(20)을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캡홈(22)의 내부에 솔더링부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솔더링부를 제2캡(20')의 조립 후에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캡(20)을 상기 하우징(10)에 결합한 후에는 상대 하우징(10)의 일측 단부, 즉 상기 제2캡(20')이 장착될 부분을 통해서 소호사(14)를 주입한다. 상기 내부공간(12)에 소호사(14)를 주입하는 것은 소호사노즐(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한다. 상기 소호사(14)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10)에 진동을 주어 소호사(14)에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소호사(14)가 채워지면 상기 제2캡(20')을 상기 하우징(10)의 단부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제2캡(20')의 슬릿(24)을 통해 상기 절곡부(17)가 관통하게 하고, 상기 절곡부(17)를 절곡하여 상기 캡홈(22)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절곡부(17)와 제2캡(20')의 결합을 위해 솔더를 상기 캡홈(22) 내에 채우고 솔더링작업을 한다. 만약, 상기 제1캡(20)에 퓨즈엘레먼트(16)의 절곡부(17)를 솔더링하지 않았다면, 이 때 솔더링작업을 하면 된다.
상기 절곡부(17)와 캡(20,20')의 솔더링을 할 때, 상기 만입부(19)의 존재에 의해 제1 및 제2 돌편(18,18')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돌편(18,18')과 캡홈(22)의 바닥면과의 사이로 솔더가 상기 제1 및 제2 돌편(18,18')의 내면 전체로 쉽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도 절곡부(170)에 다수개의 만입부(190,190',191)가 형성되어 있어 제1돌편(180)과 제2돌편(180')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제1돌편(180)과 제2돌편(180')의 내면과 캡홈(220)의 바닥면의 사이로 솔더가 보다 원활하게 제1돌편(180)과 제2돌편(180') 전체 내면으로 전달되어 캡홈(2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퓨즈는 상기 제1 및 제2캡(20,20')(200,200')에 외부단자가 직접 연결되거나, 퓨즈의 제작시에 상기 제1 및 제2캡(20,20')(200,200')에 일체로 된 레그를 두어 이에 외부단자가 연결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퓨즈는 예를 들면, 제1캡(20)(200)이 전원측과 제2캡(20')(200')이 부하측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캡(20,20')(200,200')들에 외부단자를 체결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고, 상기 부하 측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상기 퓨즈엘레먼트(16)의 용단부가 녹아 끊어지면서 더 이상 부하 측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소호사(14)는 본 고안의 퓨즈가 사용되는 조건에서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 상기 절곡부(18)(180)는 모재의 형상이 반원판형상이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모재의 형상이 사각판형상이나 반다각형판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소호사 16: 퓨즈엘레먼트
17: 절곡부 17': 기저부
18: 제1돌편 18': 제2돌편
19: 만입부 20: 제1캡
20': 제2캡 22: 캡홈
24: 슬릿 100: 하우징
170: 절곡부 170': 기저부
180: 제1돌편 180': 제2돌편
190: 제1단부만입부 190': 제2단부만입부
191: 중간만입부 200: 제1캡
200': 제2캡 220: 캡홈

Claims (7)

  1. 내부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고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캡 및 제2캡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양단의 절곡부가 상기 제1캡 및 제2캡과 솔더링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과부하 시에 녹아 끊어지는 용단부가 있는 퓨즈엘레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1캡과 제2캡과 솔더링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절곡부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만입부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돌편의 사이에 구비되는 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소호사가 채워지는 퓨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캡과 제2캡의 외부에 위치되는 기저부가 있고, 상기 기저부에서 상기 돌편들이 연장되는 퓨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퓨즈엘레먼트 단부에서 절곡된 기저부에서 나란히 연장된 제1돌편과 제2돌편이 있고, 상기 제1돌편과 제2돌편의 사이에는 만입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돌편과 제2돌편은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는 퓨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편과 제2돌편의 선단은 곡선으로 둥글게 형성되어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선이 2차함수곡선 형상으로 되는 퓨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에는 퓨즈엘레먼트 단부에서 절곡된 기저부에서 연장된 제1돌편과 제2돌편이 있고, 상기 기저부의 일측 단부와 제1돌편의 사이에는 제1단부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기저부의 타측 단부와 제2돌편의 사이에는 제2단부만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돌편과 제2돌편의 사이에는 중간만입부가 형성되는 퓨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편과 제2돌편은 폭이 길이방향으로 거의 일정하게 형성되고 제1돌편과 제2돌편의 선단은 곡선으로 둥글게 형성되 제1돌편과 제2돌편은 선단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퓨즈.
KR2020150005721U 2015-08-26 2015-08-26 퓨즈 KR2004913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721U KR200491303Y1 (ko) 2015-08-26 2015-08-26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721U KR200491303Y1 (ko) 2015-08-26 2015-08-26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843U true KR20170000843U (ko) 2017-03-08
KR200491303Y1 KR200491303Y1 (ko) 2020-03-17

Family

ID=5841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721U KR200491303Y1 (ko) 2015-08-26 2015-08-26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30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060A (ko) * 2017-03-31 2018-10-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8257A (en) * 1959-11-27 1964-09-08 English Electric Co Ltd Electric fuses
KR20130024244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8257A (en) * 1959-11-27 1964-09-08 English Electric Co Ltd Electric fuses
KR20130024244A (ko) * 2011-08-31 2013-03-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060A (ko) * 2017-03-31 2018-10-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퓨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303Y1 (ko) 202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0379B2 (en) Surface mount fuse
US9224564B2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CN108140522B (zh) 熔断式保险构件
KR20190051060A (ko) 보호 플러그
CN113767445B (zh) 具有防环脱离结构的高压熔断器
KR20140133256A (ko) 고전압 퓨즈
KR20190003083A (ko) 고전압 퓨즈
KR101038401B1 (ko) 소형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0843U (ko) 퓨즈
KR102432319B1 (ko) 퓨즈 및 그 제조방법
KR102338879B1 (ko) 퓨즈
KR102277838B1 (ko) 고전압 퓨즈
KR101979226B1 (ko) 멀티퓨즈용 버스바
KR102228859B1 (ko) 고전압 퓨즈
KR102361578B1 (ko) 고전압 퓨즈
US9728365B2 (en) Fuse, fuse box, and fuse device
KR20180017477A (ko) 고전압 퓨즈
JP5999655B2 (ja) リード端子付ヒューズ
KR20210102193A (ko) 퓨즈
KR101529835B1 (ko) 퓨즈 저항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6117A (ko) 퓨즈
KR20130076527A (ko) 고전압 퓨즈
KR20190057796A (ko) 퓨즈
US11380507B2 (en) Substrate surface-mounted fuse
KR102366171B1 (ko) 퓨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