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793U - Drawers are equipped with a bed frame - Google Patents

Drawers are equipped with a bed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793U
KR20170000793U KR2020160004834U KR20160004834U KR20170000793U KR 20170000793 U KR20170000793 U KR 20170000793U KR 2020160004834 U KR2020160004834 U KR 2020160004834U KR 20160004834 U KR20160004834 U KR 20160004834U KR 20170000793 U KR20170000793 U KR 201700007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ub
main
bed frame
main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8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진수
Original Assignee
전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수 filed Critical 전진수
Priority to KR2020160004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793U/en
Publication of KR20170000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93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서랍을 인출입방향으로 배치하고, 서로 탈부착되게하여 침대프레임 하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쉽게 서랍을 인출입 시킬 수 있는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은, 상부에는 매트리스가 안착되며 그 하부에는 서랍공간이 형성된 침대프레임과; 상기 서랍공간의 전방에 수용되는 메인서랍과; 상기 메인서랍의 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서랍과; 상기 메인서랍과 상기 서브서랍을 상기 서랍공간에서 인출입 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메인서랍의 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상기 서브서랍을 탈부착시키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서랍은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서랍공간에서 상기 메인서랍이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drawers provided in a bed frame are arranged in a draw-out direction and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which can be insert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rawer of a bed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d frame on which a mattress is seated and a drawer space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A main drawer received in front of the drawer space; At least one sub-drawer arranged in a line behind the main drawer; Moving means for drawing the main drawer and the sub-drawer out of the drawer space; A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sub-drawer arranged in a line behind the main drawer; Wherein the sub-drawer is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main drawer in the drawer space by the engaging means when the main drawer is pulled out.

Description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 Drawers are equipped with a bed frame }Drawers are equipped with a bed frame < RTI ID = 0.0 >

본 고안은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서랍을 인출입 방향으로 배치하고, 서로 탈부착되게 하여 침대프레임 하부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쉽게 서랍을 인출입시킬 수 있는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drawers provided in a bed frame are arranged in a draw-out direction and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which can be inserted.

일반적으로 침대는 서구식 주거문화의 한 형태로 동양적인 문화권에 유입되어서 널리 보급되어 대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bed is a form of western style residential culture, and it has been widely popularized in the oriental culture.

과거에는 침대 사용자들의 활동 측면보다는 매력적인 디자인에 더 신경을 썼다. 즉 침대 모양이 더 우아하고, 세련된 형태의 침대를 선호하였다.In the past, more attention was paid to appealing designs than bedside users'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bed shape favored a more elegant and sophisticated bed.

그러나 점차 세련된 침대 디자인에서 사용자에게 더 많은 안락을 제공하고 더 실용적으로 침대를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변해가면서 침대 하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형성된 공간에 서랍을 삽입하여 가벼운 의류나 기타 취침에 필요한 물건들을 보관하는 장소로 이용하였다.However, gradually more sophisticated bed design provides more comfort to the user and more practical bed structure is changed into a structure that allows space under the bed and inserts a drawer in the formed space to store items such as light clothes or other items needed for sleeping .

하지만 근래의 서랍이 구비된 침대프레임은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의 면적에 대응되게 형성할 경우, 실내공간이 부족하여 서랍이 다 인출되지 않게 되면서 서랍의 후방에 위치하는 물건을 빼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bed frame having the recent draw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ed fra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awer is not drawn out due to insufficient space inside the drawer.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일측에만 서랍을 형성하거나, 일측에는 서랍을 타측에는 보관함을 구성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rawer is conventionally formed only on one side, and a drawer on the other side and a storage box on the other side are constituted.

하지만 전자의 경우, 이 또한 실내공간이 부족할 경우 서랍이 다 인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물건을 빼낼 경우에 침대의 매트리스를 들어서 빼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awer is not drawn out when the space is insufficient, and in the latter case, the mattress of the bed must be taken out when the article stored in the storage is taken out.

종래의 서랍이 구비된 침대프레임으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9555호 등이 게시되어 있다.As a bed fram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drawer, there is disclosed 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9555.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침대프레임의 하부에 인출입되는 서랍을 인출입 방향으로 복수 개를 배치하고, 이를 결합수단에 의해 탈부착되게 하여 침대프레임의 하부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침대가 위치하는 실외공간 외의 실외공간이 적어도 손쉽게 서랍을 인출입할 수 있는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d frame, in which a plurality of drawers drawn out to a lower portion of a bed frame are arranged in a draw-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in which an outdoor space other than an outdoor space where a bed is located can at least draw out a drawer easi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은, 상부에는 매트리스가 안착되며 그 하부에는 서랍공간이 형성된 침대프레임과; 상기 서랍공간의 전방에 수용되는 메인서랍과; 상기 메인서랍의 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서랍과; 상기 메인서랍과 상기 서브서랍을 상기 서랍공간에서 인출입 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메인서랍의 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상기 서브서랍을 탈부착시키는 결합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서랍은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서랍공간에서 상기 메인서랍이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rawer of a bed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ed frame on which a mattress is seated and a drawer space is formed on a lower portion thereof; A main drawer received in front of the drawer space; At least one sub-drawer arranged in a line behind the main drawer; Moving means for drawing the main drawer and the sub-drawer out of the drawer space; A coupling means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sub-drawer arranged in a line behind the main drawer; Wherein the sub-drawer is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main drawer in the drawer space by the engaging means when the main drawer is pulled out.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호 접하는 상기 메인서랍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의 전면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호 접하는 상기 메인서랍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의 전면판 중 나머지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겹합돌기와; 단면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서랍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의 전면판에 삽입되어 체결시키는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ngaging means may include an engaging groove formed in one of a back plate of the main drawer and a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 overlapp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other of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 fastening means formed in a shape of "∩" in a cross section and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호 접하는 상기 메인서랍의 후면판에서 상기 서브서랍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고리와; 상호 접하는 상기 서브서랍의 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걸고리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걸고리가 걸리는 걸림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The coupling means may include: a hook formed on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protruding in the sub-drawer direction;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to be in contact therewith, into which the hook is inserted; A latching jaw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to receive the hook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메인서랍의 후면판 또는 상기 서브서랍의 전면판에 볼트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일측 및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체결부; 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은 상호 접하는 상기 메인서랍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의 전면판 중 어느 하나의 좌우 양측에 상기 체결부의 일측이 마주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메인서랍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의 전면판 중 나머지 하나의 좌우 양측에 상기 체결부의 일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하여 대응되는 상기 체결부의 내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joining means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that is bolted to a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or a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A coupl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part and opened in one side an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coupling means is coupled to one side of either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of either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face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And one side of the fastening part is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ther of the front plates of the front plate so as to be oppo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ner side faces of the corresponding fastening parts are mutually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rawer provided in the bed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상기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서랍과 상기 서브서랍이 탈부착되면서 상기 서랍공간에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됨으로써,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 전체면적을 상기 메인서랍과 상기 서브서랍이 차지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침대프레임의 하부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침대가 위치하는 실외공간 외의 실외공간이 작아도 상기 메인서랍과 상기 서브서랍을 분리하면서 빼내면 되기 때문에 손쉽게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서랍과 서브서랍을 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main drawer and the sub drawer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drawer space by the coupling means so that the main drawer and the sub drawer are taken out together with the drawer entrance, Since the main drawer and the sub draw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main drawer and the sub drawer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even if the outdoor space outside the outdoor space where the bed is located is maximized while utilizing the bottom area. have.

상기 결합홈,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에 의해 상기 서브서랍이 측방향 즉, 인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서랍이 상기 서랍공간에서 인출입시 상기 서브서랍이 함께 인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coupling recess, the coupling projection and the coupling means constitute the coupling means, thereby preventing the sub-drawer from flow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ntry / exit direction by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jection And the sub-drawer is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main drawer when the main drawer is drawn out from the drawer space by the fastening means.

상기 걸고리, 상기 삽입홈 및 상기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삽입에 상기 걸고리가 삽입되면서 상기 서브서랍이 측방향 즉, 인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고리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메인서랍이 상기 서랍공간에서 인출입시 상기 서브서랍이 함께 인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coupling means comprising the hook, the insertion groove, and the latching jaw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sub-drawer from flowing in a lateral direction, i.e.,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utgoing inlet direction, while the hook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he hooks are caught by the latching jaws, and when the main drawer is drawn out from the drawer space, the sub drawer is pulled out together.

상기 체결부의 일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면서 내측면이 접하면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브서랍이 측방향 즉, 인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지 하면서 상기 메인서랍이 상기 서랍공간에서 인출입시 상기 서브서랍이 함께 인출되게 하는 효과 있다.The main drawe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 a lateral direction, i.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utgoing inlet direction, while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inser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inner sid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ub drawer can be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drawer in the drawer spac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복수 개의 서랍이 탈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 B-B를 취해서 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복수 개의 서랍이 탈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에서 결합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에서 서랍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 3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에서 결합수단에 의해 복수 개의 서랍이 탈부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rawers are detachably attached by a coupling means in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and BB in Fig. 1;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rawers are detachably attached to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coupling means;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upling member in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rawer in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according to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rawers are detachably attached to a drawer provided in a bed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 coupling means; Fig.

이하 본 고안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의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rawer provided in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실시예 1][Example 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은, 침대프레임(10), 메인서랍(20), 서브서랍(30), 이동수단(40) 및 결합수단(50)을 포함한다.1 to 4, the drawer provided in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bed frame 10, a main drawer 20, a sub-drawer 30, a moving means 40, 50).

상기 침대프레임(1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매트리스(M)가 안착된다.As shown in FIGS. 1 and 4, the bed frame 10 has a mattress M mounted thereon.

그리고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상기 메인서랍(20)과 서브서랍(30)이 인출되는 서랍공간(11)이 형성된다.A drawer space 11 through which 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drawer 30 are drawn out is formed below the bed frame 10.

상기 서랍공간(11)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프레임(10)의 일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전면과 후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The drawer space 11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ed frame 10 as shown in FIGS. 1 and 4, but may be form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bed frame 10.

상기 메인서랍(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공간(11)의 전방에 위치하는 서랍이다.The main drawer 20 is a draw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drawer space 11 as shown in FIG.

이러한 상기 메인서랍(20)은 전면판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에 위치하였을 때, 더이상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메인서랍(20)의 전면판보다 큰 보조판(21)이 부착된다.4 (a), when the main drawer 20 is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ed frame 10, the main drawer 20 is attached to the main drawer 20, (21) is attached.

이러한 상기 보조판(21)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손잡이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침대프레임(10)의 측면판과 동일한 무늬와 색체를 갖도록 시공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handle or the like may be formed on the auxiliary plate 21, and the auxiliary plate 21 is formed to have the same pattern and color as the side plate of the bed frame 10.

상기 서브서랍(30)은 도 1(b),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방에 일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배치된다.As shown in FIG. 1 (b), FIG. 2 and FIG. 4, at least one sub-drawer 30 is arranged in a line behind the main drawer 2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서랍(30)을 두 개 배치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더 많이 또는 적게 배치할 수도 있다.Although two sub-drawers 30 are disposed in this embodiment, more or less sub-drawers 30 may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상기 이동수단(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을 상기 서랍공간(11)에서 인출입 시킨다.The moving means 40 draws 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 drawer 30 out of the drawer space 11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의 하부 모서리 네 곳에 바닥면과 접하여 회전하는 바퀴를 설치하였다.In this embodiment, 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drawer 30 are provided with four wheels that rotat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t four lower corners.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이동수단(40)을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을 상기 서랍공간(11)에서 인출입되게 할 수도 있다.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 drawer 30 may be drawn out from the drawer space 11 by using the moving means 40 according to a known technique.

상기 결합수단(50)은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상기 서브서랍(30)을 탈부착시킨다.The coupling means 50 detachably attaches the sub-drawer 30 arranged in a line behind the main drawer 20.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수단(5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을 탈착시키거나,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을 부착시킨다.More specifically, the engaging means 50 may be configured to detach 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drawer 30 as shown in FIG. 2 (a) 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 drawer 30 are attached.

그리고 이러한 상기 결합수단(50)에 의해 상기 서브서랍(30)은 상기 서랍공간(11)에서 상기 메인서랍(20)이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된다.The sub-drawer (30) is pulled out together with the main drawer (20) in the drawer space (11) by the coupling means (50).

이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50)에 의해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이 탈부착되면서 상기 서랍공간(11)에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됨으로써,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 전체면적을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이 차지할 수 있게 하여 상기 침대프레임(10)의 하부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침대가 위치하는 실외공간 외의 실외공간이 작아도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을 분리하면서 빼내면 되기 때문에 손쉽게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을 뺄 수 있다.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 drawer 30 are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drawer space 11 by the coupling means 50 so that the total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ed frame 10 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 drawer 30 can occupy the main drawer 20 and the main drawer 20 to maximize the bottom area of the bed frame 10 while minimizing the outdoor space outside the outdoor space in which the bed is located. 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 drawer 3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frame because the sub drawer 30 is separated and removed.

이러한 상기 결합수단(50)은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51), 결합돌기(52) 및 체결수단(53)을 포함한다.The engaging means 50 includes the engaging groove 51, the engaging projection 52, and the engaging means 53 as shown in Figs. 2A and 3.

상기 결합홈(51)은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에 형성된다.The coupling grooves 51 are formed in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as shown in Figs. 2A and 3A.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52)는 도 2(a) 및 도 3(a)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에 상기 결합홈(5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coupling protrusions 52 are formed on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s 51 in the front plate direction of the sub drawer 30, .

이러한 상기 결합돌기(52)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51)에 삽입된다.The engaging projection 52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51 as shown in FIG. 3 (b).

이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52)가 상기 결합홈(5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서브서랍(30)이 측방향 즉, 인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By inserting the engaging protrusion 52 into the engaging groove 51 as described above, the sub drawer 30 is prevented from flowing in a lateral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utgoing inlet direction.

그리고 상기 체결수단(5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형상으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astening means 53 is formed in the shape of "∩" in cross section.

이러한 상기 체결수단(53)은 도 2(b) 및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51)에 상기 결합돌기(5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에 삽입되어 체결시킨다.2 (b) and 3 (c), the fastening means 53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draw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52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51,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이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53)이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메인서랍(20)이 상기 서랍공간(11)에서 인출입시 상기 서브서랍(30)이 함께 인출입된다.When the main drawer 20 is pulled out of the drawer space 11 by the engagement of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with the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30, The drawer 30 is pulled out together.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브서랍(30)을 두 개 형성하였기에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서브서랍(30)의 후면판에는 전술한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동일하게 상기 결합돌기(52)를 형성하고,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에는 전술한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과 같이 상기 결합홈(51)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수단(53)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서브서랍(30)과 상기 서브서랍(30)이 탈부착되면서 상기 메인서랍(20)의 인출입시 함께 인출되게 하였다.Two sub-drawers 30 are formed in the main drawer 30. In the same manner as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described above, the sub-drawer 30 is provid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s 52 And the engaging grooves 51 are formed on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located at the rear and like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described above to engage the engaging means 53, The sub-drawer 30 and the sub-drawer 30 are detached and attached together when the main drawer 20 is pulled out.

그리고 상기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서브서랍(30)의 후면판에도 결합돌기(52)를 형성하여 상기 서브서랍(30)과 상기 서브서랍(30)을 서로 교체하여 결합되게 하였다.Also, a coupling protrusion 52 is formed on the rear plate of the sub-drawer 30 located at the rear, so that the sub-drawer 30 and the sub-drawer 30 are interchanged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와 달리 상기 결합홈(51)과 상기 결합돌기(52)의 위치를 변경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position of the coupling groove 51 and the coupling projection 52 may be changed to be different from the present embodiment.

그리고 상기 결함홈과 상기 결합돌기(52)를 형성하는 위치는 상호 접하는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의 어느 위치에나 형성할 수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을 체결하는 상기 체결수단(53)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결함홈과 상기 결합돌기(52)를 형성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fective groove and the position for forming the engaging projection 52 can be formed at any position of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The defect groove and the engaging projection 52 are formed so as to be located inside the engaging means 53 for engaging the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30 with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To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결합홈(51), 상기 결합돌기(52) 및 상기 체결수단(53)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수단(5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결합홈(51)과 상기 결합돌기(52)에 의해 상기 서브서랍(30)이 측방향 즉, 인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수단(53)에 의해 상기 메인서랍(20)이 상기 서랍공간(11)에서 인출입시 상기 서브서랍(30)이 함께 인출된다.The engaging groove 51 and the engaging protrusion 52 constitute the engaging means 50 composed of the engaging groove 51, the engaging projection 52 and the engaging means 53,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b-drawer 30 from flowing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rawing-out inlet direction, and to prevent the main drawer 20 from being pulled out from the drawer space 11 by the fastening means 53, (30) are taken out together.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의 사용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The use of the drawer provided in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제일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서브서랍(30)에 물품을 넣고, 그 전방에 또 다른 상기 서브서랍(30)을 상기 결합수단(50)으로 결합하여 밀어주면 제일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서브서랍(30)은 상기 서랍공간(11)으로 들어가게 된다.First, when an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sub-drawer 30 located at the rearmost position and another sub-drawer 30 is coupled to the sub-drawer 30 at the front by the engaging means 50, the sub-drawer 30 30 enter the drawer space 11.

그리고 중간에 위치하는 상기 서브서랍(30)에 물품을 넣은 다음, 그 전방에 상기 메인서랍(20)을 상기 결합수단(50)으로 결합하여 밀어주면 상기 서브서랍(30)은 상기 서랍공간(11)으로 들어가게 된다.When the main drawer 20 is pushed forward by the engaging means 50 after the article is inserted into the sub-drawer 30 positioned in the middle, the sub-drawer 30 is moved to the drawer space 11 ).

이후, 상기 메인서랍(20)에 물품을 넣고 밀어주면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이 모두 상기 서랍공간(11)에 들어가게 된다.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 drawer 30 are both inserted into the drawer space 11 when the main drawer 20 is inserted and pushed.

그리고 물품을 꺼낼 때에는 전술한 사용과정을 반대로 실시하여 물품을 꺼내면 된다.When the article is taken out, the above-described use process is reversed and the article is taken out.

특히, 상기 제일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서브서랍(30)의 물품을 꺼낼 때에는 상기 메인서랍(20)을 먼저 상기 서랍공간(11)에서 빼내서 상기 결합수단(50)을 분리후, 분리시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킨다.In particular, when the article of the sub-drawer 30 located at the rearmost position is taken out, the main drawer 20 is first taken out of the drawer space 11, and the joining means 50 is separated, .

그런 다음,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서브서랍(30)도 상기 메인서랍(20)과 동일하게 상기 서랍공간(11)에서 빼내서 상기 결합수단(50)을 분리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시킨다.The sub-drawer 30 located behind the main drawer 20 is then withdrawn from the drawer space 11 in the same manner as the main drawer 20, .

이후, 상기 제일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서브서랍(30)을 상기 서랍공간(11)에서 빼내서 물품을 꺼내면 된다.Then, the sub-drawer (30) located at the first rear side may be pulled out from the drawer space (11) to take out the article.

이와 같이 상기 메인서랍(20)이 상기 서랍공간(11)에서 빼낼 수 있는 공간만 있으면 모든 서랍을 빼고 넣 수 있다. Thus, if the main drawer 20 has a space that can be pulled out from the drawer space 11, all drawers can be pulled out.

[실시예 2][Example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은, 침대프레임(10), 메인서랍(20), 서브서랍(30), 이동수단(40) 및 결합수단(5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drawer provided in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bed frame 10, a main drawer 20, a sub-drawer 30, a moving means 40, 50).

본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결합수단(50)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기에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upling means 50 is differen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so that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상기 결합수단(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고리(54), 삽입홈(55) 및 걸림턱(56)을 포함한다.The engaging means 50 includes a hook 54, an insertion groove 55 and a latching jaw 56 as shown in Figs.

상기 걸고리(54)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하는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에서 상기 서브서랍(30)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5 and 6, the hook 54 is protrude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drawer 20,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sub-drawer 30.

이러한 상기 걸고리(54)의 형상은 공지의 형상이면 충분하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 of the hook 54 may be a known shap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기 삽입홈(55)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접하는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걸고리(54)가 삽입된다.5 and 6, the insertion grooves 55 are formed in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hooks 54 are inserted.

이러한 상기 삽입홈(55)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고리(54)가 후술하는 상기 걸림턱(56)에 걸릴 수 있도록 삽입된 상기 걸고리(54)가 상하방 및 전후방향으로 약간씩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6 (b), the hook 54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55 to be hooked on the hooking jaw 5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slightly movable.

이와 같이 상기 걸고리(54)가 상기 삽입홈(5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서브서랍(30)이 측방향 즉, 인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By inserting the hook 54 into the insertion groove 55, the sub drawer 30 is prevented from flowing in a lateral direction, that is,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utgoing inlet direction.

상기 걸림턱(56)은 상기 삽입홈(55)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55)에 삽입된 상기 걸고리(54)가 거리게 되면서 상기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을 체결된다.6, the hooking jaw 56 is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55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ain groove 55, so that the hook 54 inserted in the insertion groove 55 is distanced from the main drawer 20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are fasten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걸림턱(56)에 상기 걸고리(54)가 걸리면서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메인서랍(20)이 상기 서랍공간(11)에서 인출입시 상기 서브서랍(30)이 함께 인출입된다.The main drawer 20 is engaged with the drawer space 20 by fastening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30 while the hook 54 is engaged with the hooking step 56, 11), the sub-drawer (30) is pulled out together.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걸고리(54)와 상기 삽입홈(55) 및 걸림턱(56)을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도 있다.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ok 54, the insertion groove 55, and the latching jaw 56 may be formed at opposite positions.

이와 같이 상기 걸고리(54), 상기 삽입홈(55) 및 상기 걸림턱(56)으로 이루어진 상기 결합수단(50)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삽입에 상기 걸고리(54)가 삽입되면서 상기 서브서랍(30)이 측방향 즉, 인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걸고리(54)가 상기 걸림턱(56)에 걸리게 되면서 상기 메인서랍(20)이 상기 서랍공간(11)에서 인출입시 상기 서브서랍(30)이 함께 인출된다.The coupling means 50 including the hook 54, the insertion groove 55 and the engagement step 56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hook 5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he main drawer 20 is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e.,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raw-in inlet direction, and the main drawer 20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drawer space 11, The sub-drawer 30 is taken out together.

본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결합수단(50)의 구성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기에,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means 50,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the same, and a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omitted.

또한, 본 실시예 2의 사용과정도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만 다를 뿐 사용과정이 실시예 1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use process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process of combining by the combining means 5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실시예 3][Example 3]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따른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은, 침대프레임(10), 메인서랍(20), 서브서랍(30), 이동수단(40) 및 결합수단(50)을 포함한다.7 to 9, the drawer provided in the bed fram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bed frame 10, a main drawer 20, a sub-drawer 30, a moving means 40, 50).

본 실시예 3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결합수단(50)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기에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oupling means 50 is differen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결합수단(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57) 및 체결부(58)를 포함한다.The coupling means 5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57 and a coupling portion 58 as shown in Fig.

상기 결합부(57)는 도 8 및 도 9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 또는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에 볼트결합된다.The engaging portion 57 is bolted to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or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as shown in FIGS.

그리고 상기 체결부(5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57)에서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일측 및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coupling part 58 is integrally bent at the coupling part 57 and is opened at one side and vertically.

이러한 상기 체결부(58)는 도 7(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58)의 내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체결된다.7 (b) and 9 (b), the fastening portions 58 are fast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inner surfaces of the fastening portions 58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의 좌우 양측에결합되는 상기 겹합수단의 상기 체결부(58)의 일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서브서랍(30)의 저면판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수단(50)의 상기 체결부(58)의 일측이 마주하도록 결합된다.8,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58 of the overlapping means coupl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is coupl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58) of the coupling device (50) coupl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of the bottom plate is coupled to face each other.

이렇게 결합된 상기 결합수단(50)의 상기 체결부(58)는 도 7(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7(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수단(50)의 상기 체결부(58)의 내측면이 서로 접하면서 결합되게 된다.7 (a) and 9 (a), 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drawe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7 (b) and 9 (b), the inner surfaces of the fastening portions 58 of the engaging means 50 are engag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와 같이 상기 체결부(58)의 일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면서 내측면이 접하면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브서랍(30)이 측방향 즉, 인출입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지 하면서 상기 메인서랍(20)이 상기 서랍공간(11)에서 인출입시 상기 서브서랍(30)이 함께 인출된다.As a result, the sub-drawer 30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utgoing-and-going direction, by connecting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58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being inserted in the up- The main drawer 20 is drawn out from the drawer space 11, and the sub drawer 30 is drawn out together with the drawer.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수단(50)의 상기 체결부(58)의 일측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결합하여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이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58 of the coupling means 50, which is coupled to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So that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즉,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수단(50)의 상기 체결부(58)의 일측이 마주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서브서랍(30)의 저면판의 좌우 양측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수단(50)의 상기 체결부(58)의 일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58 of the coupling means 50 coupl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is opposed to each other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of the sub- So that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58) of the coupling means (50)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50) is opposed to each other.

본 실시예 3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상기 결합수단(50)의 구성이 상이할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기에,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hird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means 50 except for the remaining configuration, and the description of the remaining configuration is omitted.

또한, 본 실시예 3의 사용과정도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결합수단(50)에 의해 결합되는 과정만 다를 뿐 사용과정이 실시예 1과 동일하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use process of the thir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that the process of combining by the combining unit 5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고안의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drawer provided in the bed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침대프레임 11: 서랍공간 20: 메인서랍
30: 서브서랍 40: 이동수단 50: 결합수단
51: 결합홈 52: 결합돌기 53: 체결수단
54: 걸고리 55: 삽입홈 56: 걸림턱
57: 결합부 58: 체결부 M: 매트리스
10: bed frame 11: drawer space 20: main drawer
30: sub-drawer 40: moving means 50: engaging means
51: engaging groove 52: engaging projection 53: engaging means
54: hook hook 55: insertion groove 56: latching jaw
57: coupling part 58: fastening part M: mattress

Claims (4)

상부에 매트리스(M)가 안착되고 하부에는 서랍공간(11)이 형성되어 있는 침대프레임(10)과;
상기 서랍공간(11)의 전방에 수용되는 메인서랍(20)과;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서랍(30)과;
상기 메인서랍(20)과 상기 서브서랍(30)을 상기 서랍공간(11)에서 인출입시키는 이동수단(40)과;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방에 일렬로 배치되는 상기 서브서랍(30)을 탈부착시키는 결합수단(50); 을 포함하되,
상기 서브서랍(30)은 상기 결합수단(50)에 의해 상기 서랍공간(11)에서 상기 메인서랍(20)이 인출입시 함께 인출입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
A bed frame 10 on which a mattress M is seated and on which a drawer space 11 is formed;
A main drawer (20) received in front of the drawer space (11);
One or more sub-drawers (30) arranged in a row behind the main drawer (20);
A moving means (40) for drawing the main drawer (20) and the sub drawer (30) out of the drawer space (11);
Coupling means (50)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sub-drawer (30) arranged in a line behind the main drawer (20); ≪ / RTI >
Wherein the sub-drawer (30) is drawn out from the drawer space (11) by the engaging means (50) when the main drawer (20) is pulled ou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50)은,
상호 접하는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결합홈(51)과;
상호 접하는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 중 나머지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51)에 삽입되는 겹합돌기와;
단면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51)에 상기 결합돌기(5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에 삽입되어 체결시키는 체결수단(5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ans (50)
An engaging groove (51) formed on one of a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and a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30) which are mutually tangent;
An overlapp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ther of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30) and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51);
Is inserted into the front plate of the main drawer (20)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in a state of being formed in the shape of "∩" in the cross-section and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52) Fastening means 53; The drawer being provided in the bed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50)은,
상호 접하는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에서 상기 서브서랍(30)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걸고리(54)와;
상호 접하는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에 형성되어 상기 걸고리(54)가 삽입되는 삽입홈(55)과;
상기 삽입홈(55)에 구비되어 상기 삽입홈(55)에 삽입된 상기 걸고리(54)가 걸리는 걸림턱(5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ans (50)
A hook 54 protruding from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in the direction of the sub-drawer 30;
An insertion groove 55 formed in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in contact therewith, into which the hook 54 is inserted;
A latching jaw 56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55 and engaged with the hook 54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5; The drawer being provided in the bed fram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50)은,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 또는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에 볼트결합되는 결합부(57)와;
상기 결합부(57)에서 일체로 절곡형성되어 일측 및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체결부(58); 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수단(50)은 상호 접하는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 중 어느 하나의 좌우 양측에 상기 체결부(58)의 일측이 마주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메인서랍(20)의 후면판과 상기 서브서랍(30)의 전면판 중 나머지 하나의 좌우 양측에 상기 체결부(58)의 일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결합하여 대응되는 상기 체결부(58)의 내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프레임에 구비되는 서랍.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means (50)
An engaging portion 57 bolted to a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or a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30;
A coupling part 58 integrally bent at the coupling part 57 and opened at one side and vertically; , ≪ / RTI &
The coupling means 5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drawer 30 so as to face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58,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58 is coupl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ther of the rear plate of the main drawer 20 and the front plate of the sub drawer 30 so as to face each other, Are fastened vertically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KR2020160004834U 2016-08-22 2016-08-22 Drawers are equipped with a bed frame KR20170000793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834U KR20170000793U (en) 2016-08-22 2016-08-22 Drawers are equipped with a bed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834U KR20170000793U (en) 2016-08-22 2016-08-22 Drawers are equipped with a bed fr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100 Division 2016-07-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93U true KR20170000793U (en) 2017-03-02

Family

ID=58412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834U KR20170000793U (en) 2016-08-22 2016-08-22 Drawers are equipped with a bed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793U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559A (en) * 2017-04-19 2018-10-29 이선명 Smart withdrawal strudture for selectively picking of bed storage drawer
KR102127787B1 (en) * 2019-11-11 2020-06-29 주식회사 미래디자인 Bed having storage space
KR102165605B1 (en) * 2020-02-06 2020-10-14 김미 Bed drawer is equippe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559A (en) * 2017-04-19 2018-10-29 이선명 Smart withdrawal strudture for selectively picking of bed storage drawer
KR102127787B1 (en) * 2019-11-11 2020-06-29 주식회사 미래디자인 Bed having storage space
KR102165605B1 (en) * 2020-02-06 2020-10-14 김미 Bed drawer is equipp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1942A (en) Display tray for aligned articles
USD610832S1 (en) Cabinet
KR20170000793U (en) Drawers are equipped with a bed frame
US6619767B2 (en) Display with pivotal doors having mating door sections
KR20110008725U (en) Shelf Holder for System Furniture
JP5071116B2 (en) Drawer structure and storage furniture
US20230070663A1 (en) Apparatus and Footwear Organizer for Vertical Storage of Footwear
CN201398665Y (en) Combined article placing rack
US20130229099A1 (en) Sheet Assembly For Cabinet
KR200383593Y1 (en) Rack for Footwear-Wardrobe
JP6800397B2 (en) Display shelves and display systems
KR102165605B1 (en) Bed drawer is equipped
CN205082936U (en) Concatenation formula multilayer locker
CN211533601U (en) Pull wall-hanging goods shelves of selling
KR20070004356A (en) Tray structure for refrigerator
KR200484543Y1 (en) Bed structure with design changable head
CN217610047U (en) Concatenation formula furniture book case
CN211269631U (en) Watchband cabinet
CN217620532U (en) Special storage cabinet for space expansion type electrical tools
US20130032062A1 (en) Convertible desk
KR102555816B1 (en) Cabinet for clothing
CN212546161U (en) Cabinet with display function
CN212650634U (en) Furniture bed that can splice
CN219289024U (en) Mirror cabinet is accomodate to integral type
CN209950900U (en) Combined articl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