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611U - Auxiliary strap for bag - Google Patents

Auxiliary strap for 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611U
KR20170000611U KR2020150005286U KR20150005286U KR20170000611U KR 20170000611 U KR20170000611 U KR 20170000611U KR 2020150005286 U KR2020150005286 U KR 2020150005286U KR 20150005286 U KR20150005286 U KR 20150005286U KR 20170000611 U KR20170000611 U KR 201700006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bag
shoulder
engaging portion
lower r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286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83103Y1 (en
Inventor
이종무
Original Assignee
이종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무 filed Critical 이종무
Priority to KR2020150005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03Y1/en
Priority to US15/755,380 priority patent/US20180339812A1/en
Priority to PCT/KR2016/008706 priority patent/WO2017026765A1/en
Publication of KR20170000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611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0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8Strings or strip-like closures, i.e. draw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2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one strap passing over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45F3/047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with adjustable fastenings for the shoulder straps or waist belts

Abstract

본 고안은, 양쪽에 어깨끈이 구비된 가방에 결합 설치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에 있어서, 일단이 좌측의 어깨끈에 연결 결합되는 상부좌측끈, 일단이 우측의 어깨끈에 연결 결합되는 상부우측끈, 일단이 가방의 하단 좌측에 연결 결합되는 하부좌측끈, 일단이 가방의 하단 우측에 연결 결합되는 하부우측끈, 상부좌측끈의 타단과 하부우측끈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부좌측끈의 타단과 하부우측끈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 상부우측끈의 타단과 하부좌측끈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부우측끈의 타단과 하부좌측끈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가방용 밀착스트랩은, 사용자가 어깨끈으로 가방을 맨 상태에서 제1결합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부좌측끈과 하부우측끈, 제2결합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부우측끈과 하부좌측끈이 사용자의 상체 전면에서 'X'자 형상으로 밀착 배치됨으로서, 사용자의 등에 가방을 안정적인 밀착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ghtening strap for a bag which is attached to a bag provided on both sides with a shoulder strap, the strap comprising: an upper left stra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eft shoulder strap; an upper right strap connected to the right shoulder strap; A lower left strap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bag, a lower right strap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g, the other end of the upper left strap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left strap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left strap, And a fastening strap for a bag including a fastening part.
Such a tight fitting strap for a bag has an upper left string and a lower right string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rst engaging portion when the user is carrying a bag with a shoulder strap and a lower right strap and a lower right strap which are mutually connected by a second engaging portion, The user's back bag can be maintained in a stable close contact state by being closely disposed in the 'X' sha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Description

가방용 밀착스트랩{Auxiliary strap for bag}Auxiliary strap for bag < RTI ID = 0.0 >

본 고안은 밀착스트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방을 사용자의 어깨에 맨 상태에서 등에 밀착 유지되게 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ghtening strap,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ghtening strap for a bag which allows the bag to be hel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shoulder.

일반적으로, 가방은 물품을 넣는 공간이 마련되며 가방의 뒤쪽으로는 어깨에 매는 어깨끈과, 어깨에 맨 끈을 서로 잡아당겨주는 조임끈이 부착되어 있으며 허리쪽에도 허리끈을 마련하여 끈을 조였을 때 가방이 몸에 붙도록 하여 가방을 메고 움직일 때 가방이 등 뒤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가방의 아래쪽에 허리를 둘러 고정시킬 수 있는 벨트가 형성된다.Generally, the bag has a space for storing articles, and the back of the bag has a shoulder strap to be attached to the shoulder and a drawstring to pull the strap to the shoulder, and a waist strap is provided on the waist to tighten the strap Make sure that the bag does not shake from behind your back when you carry it. To this end, a belt is formed on the underside of the bag for securing the waist.

그러나, 조임끈과 벨트는 오직 사용자의 가슴 부분과 허리 부분만을 고정하는 역할만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방과 사용자의 등에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drawstring strap and the belt only serve to fix only the user's chest and wais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stable close contact state between the bag and the user's back.

이러한, 종래의 가방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4360호(2000.09.15)에 제시된다.Such a conventional bag is shown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04360 (September 15, 2000).

본 고안은, 사용자가 가방을 맨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에 가방이 안정적으로 밀착 고정되게 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ghtening strap for a bag which allows a user to stably fix the bag on the back of the user while the bag is in a state of being lifted.

본 고안은, 양쪽에 어깨끈이 구비된 가방에 결합 설치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에 있어서, 일단이 좌측의 상기 어깨끈에 연결 결합되는 상부좌측끈, 일단이 우측의 상기 어깨끈에 연결 결합되는 상부우측끈, 일단이 상기 가방의 하단 좌측에 연결 결합되는 하부좌측끈, 일단이 상기 가방의 하단 우측에 연결 결합되는 하부우측끈, 상기 상부좌측끈의 타단과 상기 하부우측끈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좌측끈의 타단과 상기 하부우측끈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 상기 상부우측끈의 타단과 상기 하부좌측끈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우측끈의 타단과 상기 하부좌측끈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ghtening strap for a bag which is attached to a bag provided on both sides with a shoulder strap, the strap comprising: an upper left strap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eft shoulder strap; A lower right stra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bag, a lower right stra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g, a lower right strap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left strap and the lower right strap, A first engaging portion detachably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upper left strap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to the other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and the lower left strap,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detachably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left strap.

본 고안에 따른 가방용 밀착스트랩은, 사용자가 어깨끈으로 가방을 맨 상태에서 제1결합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부좌측끈과 하부우측끈, 제2결합부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부우측끈과 하부좌측끈이 사용자의 상체 전면에서 'X'자 형상으로 밀착 배치됨으로서, 사용자의 등에 가방을 안정적인 밀착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The tightening strap for a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trap and the lower right strap,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carrying the bag with the shoulder strap, and the upper right strap interconnected by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The strap is closely disposed in the 'X' shape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so that the back bag of the user can be kept in a stable close contact stat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용 밀착스트랩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용 밀착스트랩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용 밀착스트랩의 설치상태도이다.
1 is an installation view of a bag tightening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stallation state view of a bag tightening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n attachment state of the bag tightening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용 밀착스트랩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상기 가방용 밀착스트랩(100)은, 상부좌측끈(110), 상부우측끈(120), 하부좌측끈(130), 하부우측끈(140), 제1결합부(150), 제2결합부(160)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가방용 밀착스트랩(100)은 내측에 수납부를 가지는 가방(10a)에 결합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방(10a)의 양쪽, 즉 상기 가방(10a)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사용자의 좌측 어깨 및 우측 어깨에 맬 수 있도록 어깨끈(11a,12a)이 구비된다.1 is an installation view of a bag tightening str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bag tightening strap 100 of the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left strap 110, an upper right strap 120, a lower left strap 130, a lower right strap 140, (15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60). The bag tightening strap 100 is attached to the bag 10a having a receiving portion inside. At this time, shoulder straps 11a and 12a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g 10a, that i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g 10a, respectively, so as to be able to slide on the left shoulder and the right shoulder of the user.

상기 상부좌측끈(110) 및 상기 상부우측끈(120)은 상기 가방(10a)의 어깨끈(11a,12a)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하부좌측끈(130) 및 하부우측끈(14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좌측끈(110)은 상기 가방(10a)의 좌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1a)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하부우측끈(14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상부좌측끈(1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a)의 좌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1a)의 일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방(10a)의 좌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1a)의 사용자 가슴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방(10a)의 좌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1a)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좌측끈(110)의 길이방향 일단을 연결 결합할 수 있도록 고리부재(13a)가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상부좌측끈(110)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가방(10a)의 좌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1a)의 일측에 재봉작업으로 연결 결합되게 하거나 버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upper left strap 110 and the upper right strap 120 are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s 11a and 12a of the bag 10a so that the lower left strap 130 and the lower right strap 140, Lt; / RTI > The upper left strap 110 is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strap 140 in a state where the upper left strap 110 is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11a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g 10a.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left strap 1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1a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g 10a, more preferably a shoulder strap 11a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g 10a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hest region. The loop member 13a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1a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g 10a so as to connec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left strap 110. However, The one end of the upper left strap 11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1a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g 10a by a sewing operation or may be detached and removed through a buckle member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combine them.

그리고, 상기 상부우측끈(120)은 상기 가방(10a)의 우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2a)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하부좌측끈(13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상부우측끈(1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a)의 우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2a)의 일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방(10a)의 우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2a)의 사용자 가슴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방(10a)의 우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2a)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우측끈(120)의 길이방향 일단을 연결 결합할 수 있도록 고리부재(14a)가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상부우측끈(120)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가방(10a)의 우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2a)의 일측에 재봉작업으로 연결 결합되게 하거나 버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upper right strap 120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strap 130 in a state where the upper right strap 120 is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12a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g 10a. That is, one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1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2a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g 10a, more preferably a shoulder strap 12a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g 10a To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hest region. The loop member 14a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2a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g 10a so as to connect one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120 to the shoulder strap 12a. The lengthwise one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12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2a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g 10a by a sewing operation or may be detached through a buckle member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combine them.

상기 하부좌측끈(130) 및 상기 하부우측끈(140)은 상기 가방(10a)의 하단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좌측끈(110) 및 상부우측끈(120)과 연결된다.The lower left strap 130 and the lower right strap 140 are connected to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the upper right strap 12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g 10a,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하부좌측끈(130)은 상기 가방(10a)의 하단 좌측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상부우측끈(120)과 연결된다. 즉,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a)의 하단 좌측 부분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타단은 이후 설명될 제1결합부(150)를 통해 상기 상부우측끈(12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a)의 하단 좌측에 재봉작업을 통해 연결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방(10a)의 하단 좌측에 추가적으로 결합 구비되는 고리부재(도면미도시)에 결합되거나 버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lower left strap 130 is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strap 120 in a state where the lower left strap 130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bag 10a. That is,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left strap 130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bag 10a,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left strap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engaging portion 15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strap 120 through the upper right strap 120. Here,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left strap 130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bag 10a through a sewing oper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t shown)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hrough a buckle member (not shown).

그리고, 상기 하부우측끈(140)은 상기 가방(10a)의 하단 우측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상부좌측끈(110)과 연결된다. 즉, 상기 하부우측끈(14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a)의 하단 우측 부분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하부우측끈(140)의 길이방향 타단은 이후 설명될 제2결합부(160)를 통해 상기 상부좌측끈(11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a)의 하단 우측에 재봉작업을 통해 연결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방(10a)의 하단 우측에 추가적으로 결합 구비되는 고리부재(도면미도시)에 결합되거나 버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lower right strap 140 is connected to the upper left strap 110 in a state where the lower right strap 140 is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g 10a. In other words, one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140 is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bag 10a,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1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6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left strap 110 through the upper left strap 110. Here,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left strap 130 is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g 10a through a sewing oper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t shown)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hrough a buckle member (not shown).

상기 제1결합부(150)는 상기 상부좌측끈(11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우측끈(140)의 길이방향 타단을 연결 결합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결합부(150)는 상기 상부좌측끈(11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우측끈(140)의 길이방향 타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거나 결합 해제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게 한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150 connects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140 to each other. More preferably, the first engaging part 150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ively engage or disengage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140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러한, 상기 제1결합부(150)는 상기 상부좌측끈(11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부분과 상기 하부우측끈(14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150)는 버클부재를 사용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냅단추나 그 외에 다양한 착탈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재를 선택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1결합부(150)는 상기 상부좌측끈(11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는 인서트 버클본체(151)와, 상기 하부우측끈(14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부분에 결합되는 인서트 버클헤드(15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152)에는 상기 하부우측끈(140)의 길이방향 타단을 감김상태로 연결되게 하여, 상기 상부좌측끈(110)과의 연결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연결링부(15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 버클본체(151)는 상기 상부좌측끈(110)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152)는 상기 하부우측끈(140)에 연결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인서트 버클본체(151)는 상기 하부우측끈(140)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152)는 상기 상부좌측끈(110)에 연결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first coupling part 150 is installed at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at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the lower right strap 140. In this case, although the first engaging part 150 is shown using a buckle memb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nap button or various detachable connecting members may be use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0 includes an insert buckle main body 151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dge portion of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50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dge portion of the lower right strap 140 And an insert buckle head 152. [ The insert buckle head 15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ing portion 153 for allowing the length of the lower right strap 140 to be connected in a depressed stat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upper right strap 140 connected to the upper left strap 110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insert buckle main body 151 is connected to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the insert buckle head 152 is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strap 140. However, The buckle body 151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strap 140 and the insert buckle head 15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left strap 110. [

여기서, 상기 제1결합부(150)로 스냅단추를 선택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좌측끈(110)의 길이방향 타단 및 상기 하부우측끈(140)의 길이방향 타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를 상호 이격되게 구비하여, 상호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Here, when the snap button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first engaging part 150, a plurality of the snap buttons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at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140, So that they can be adjusted in position to be mutually engaged.

이러한, 상기 제1결합부(150)는 상기 상부좌측끈(11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우측끈(140)의 길이방향 타단을 연결 결합되게 하면서, 상호 연결된 상기 상부좌측끈(110)과 상기 하부우측끈(140)이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부 상단 좌측에서 상체 전면부 하단 우측 방향으로 사선형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방을 등에 맨 상태에서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가방(10a)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The first coupling unit 15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the lower right strap 140 by connecting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s of the lower right strap 140, The lower right strap 140 is arranged in a slanting manner from the left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front portion of the user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lower body front portion so that the user can stably mainta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bag, 10a to the one side.

상기 제2결합부(160)는 상기 상부우측끈(12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타단을 연결 결합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결합부(160)는 상기 상부우측끈(12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타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거나 결합 해제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게 한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60 connects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12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left strap 130 to each other. More preferably,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6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ively engage or disengage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12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left strap 130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러한, 상기 제2결합부(160)는 상기 상부우측끈(12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부분과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부(160)는 버클부재를 사용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냅단추나 그 외에 다양한 착탈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재를 선택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2결합부(160)는 상기 상부우측끈(12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는 인서트 버클본체(161)와,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부분에 결합되는 인서트 버클헤드(16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162)에는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타단을 감김상태로 연결되게 하여, 상기 상부우측끈(120)과의 연결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연결링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 버클본체(161)는 상기 상부우측끈(120)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162)는 상기 하부좌측끈(130)에 연결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인서트 버클본체(161)는 상기 하부좌측끈(130)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162)는 상기 상부우측끈(120)에 연결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60 is installed at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the upper right strap 120 and at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the lower left strap 130. In this case, although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60 is shown using the buckle memb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snap button or various detachable connecting members can be used. That i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60 includes an insert buckle body 161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the upper right strap 12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60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dge of the lower left strap 130 And an insert buckle head 162. [ The insert buckle head 162 has a connecting ring portion 163 for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lower left strap 130 in the lengthwise direction so as to adjust the length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strap 120 May be formed. At this time, the insert buckle main body 161 is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strap 120 and the insert buckle head 162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strap 130. However, The buckle body 16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left strap 130 and the insert buckle head 16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right strap 120.

여기서, 상기 제2결합부(160)로 스냅단추를 선택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우측끈(120)의 길이방향 타단 및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타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를 상호 이격되게 구비하여, 상호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When the snap button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60, a plurality of snap buttons are provided at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12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left strap 130, So that they can be adjusted in position to be mutually engaged.

이러한, 상기 제2결합부(160)는 상기 상부우측끈(12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타단을 연결 결합되게 하면서, 상호 연결된 상기 상부우측끈(120)과 상기 하부좌측끈(130)이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부 상단 우측에서 상체 전면부 하단 좌측 방향으로 사선형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방(10a)을 등에 맨 상태에서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가방(10a)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upper right strap 120 and the upper right strap 120 while connecting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12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left strap 130, The lower left strap 130 is arranged in a slanting manner from the upper right side of the upper body front portion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upper body front portion of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tably maintain the close contact state of the bag 10a with the back,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g 10a is prevented from leaning to one side.

이같이, 상기 제1결합부(150)는 상기 상부좌측끈(11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우측끈(140)의 길이방향 타단을 상호 사선형으로 연결 결합되게 하고, 상기 제2결합부(160)는 상기 상부우측끈(12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좌측끈(130)의 길이방향 타단을 상호 사선형으로 연결 결합되게 한다. 그러므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어깨끈(11a,12a)으로 상기 가방을 맨 상태에서 상호 연결된 상기 상부좌측끈(110)과 상기 하부우측끈(140), 상호 연결된 상기 상부우측끈(120)과 상기 하부좌측끈(130)이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에서 'X'자 형상으로 밀착 배치됨으로서, 상기 가방을 상기 사용자의 등에 안정적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가방(10a)의 무게중심을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부 중심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편안한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150 connects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140 to each other in a linearly connecting manner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60 allow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12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lower left strap 130 to be connected and joined together in a straight line. Therefore, when the user connects the upper left strap 110 and the lower right strap 140,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shoulder straps 11a and 12a, The left strap 130 is closely arranged in an 'X' shape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so that the bag can stably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with the back of the user, So that the wearer can be comfortably worn while being moved to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of the upper body.

도 2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용 밀착스트랩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용 밀착스트랩(200)은, 좌측연결끈(210), 우측연결끈(220), 제3결합부(2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가방용 밀착스트랩(200)은 내측에 수납부를 가지는 가방(10b)에 결합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방(10b)의 양쪽, 즉 상기 가방(10b)의 좌측 및 우측에는 각각 사용자의 좌측 어깨 및 우측 어깨에 맬 수 있도록 어깨끈(11b,12b)이 구비된다.2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a bag tightening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bag tightening strap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 left connecting strap 210, a right connecting strap 220, and a third connecting portion 230. The bag tightening strap 200 is coupled to the bag 10b having a receiving portion inside. At this time, shoulder straps 11b and 12b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g 10b, that i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g 10b, respectively, so as to be able to be touched to the left shoulder and the right shoulder of the user.

상기 좌측연결끈(210)은 상기 가방(10b)의 어깨끈(11b)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방(10b)의 좌측 하단에 결합된다. 즉,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b)의 좌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1b)의 일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방(10b)의 좌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1b)의 사용자 가슴 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b)의 좌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1b)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부재(13b)에 연결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가방(10b)의 좌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1b)의 일측에 재봉작업으로 연결 결합되게 하거나 버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left connection cord 210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end of the bag 10b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11b of the bag 10b.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connecting strap 2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1b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g 10b and more preferably a shoulder strap 11b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g 10b Of the user's chest. Although one longitudinal end of the left connecting cord 210 is shown connected to the ring member 13b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1b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g 10b,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connecting strap 2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1b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bag 10b by a sewing operation or is detachably attached through a buckle member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combine them.

그리고,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가방(10b)의 좌측 하단에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가방(10b)의 하단 좌측에 재봉작업을 통해 연결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방(10b)의 하단 좌측에 추가적으로 고리부재(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재(도면미도시)에 결합되게 하거나 버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길이방향 타단을 고리부재나 버클부재를 통해 상기 가방(10b)에 연결시 길이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connecting cord 210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end of the bag 10b.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connecting cord 210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bag 10b through a sewing ope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hook memb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bag 10b. (Not shown)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hook member (not shown) or detachably coupled through the buckle member (not shown). In this ca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ft connecting strap 210 is connected and coupled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can be adjusted when the other end of the left connecting strap 210 is connected to the bag 10b through a ring member or a buckle member.

상기 우측연결끈(220)은 상기 가방(10b)의 어깨끈(12b)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방(10b)의 우측 하단에 결합된다. 즉,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b)의 우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2b)의 일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방(10b)의 우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2b)의 사용자 가슴 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b)의 우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2b)의 일측에 구비된 고리부재(14b)에 연결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가방(10b)의 우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2b)의 일측에 재봉작업으로 연결 결합되게 하거나 버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right connection strap 220 is coupled to the right lower end of the bag 10b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12b of the bag 10b. That is,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connection strap 2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2b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g 10b, more preferably a shoulder strap 12b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g 10b Of the user's chest. Although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connection strap 220 is connected to the loop member 14b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2b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g 10b, The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connection string 22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2b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bag 10b by a sewing operation or is detachably attached through a buckle member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combine them.

그리고,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가방(10b)의 우측 하단에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가방(10b)의 하단 우측에 재봉작업을 통해 연결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방(10b)의 하단 우측에 추가적으로 고리부재(도면미도시)를 결합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고리부재(도면미도시)에 결합되게 하거나 버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길이방향 타단을 고리부재나 버클부재로 상기 가방(10b) 연결시 길이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connection strap 220 is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end of the bag 10b.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connection cord 220 is coupl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g 10b through a sewing opera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ring member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n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g 10b. (Not shown)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hook member (not shown) or detachably coupled through the buckle member (not shown).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connection string 220 is connected and coupled in a state where the length can be adjusted when the bag 10b is connected to the ring member or the buckle member.

상기 제3결합부(230)는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일측과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일측을 연결 결합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결합부(230)는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일측과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일측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거나 결합 해제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게 한다.The third coupling unit 230 connects one side of the left connection cord 210 and one side of the right connection cord 220 to each other. More preferably, the third coupling portion 230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ft connecting cord 210 and one side of the right connecting strap 220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engage or disengage To be connected.

이러한, 상기 제3결합부(230)는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일측과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3결합부(230)는 버클부재를 사용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냅단추나 그 외에 다양한 착탈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재를 선택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3결합부(230)는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인서트 버클본체(231)와,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일측에 결합되는 인서트 버클헤드(2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 버클본체(231)는 상기 좌측연결끈(210)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232)는 상기 우측연결끈(220)에 연결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인서트 버클본체(231)는 상기 우측연결끈(220)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232)는 상기 좌측연결끈(210)에 연결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hird coupling unit 23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left connection cord 210 and at one side of the right connection cord 220. In this case, although the third engaging part 230 is shown using a buckle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snap button or various detachable connecting members may be used. That is, the third coupling unit 230 includes an insert buckle main body 231 coupled to one side of the left connecting strap 210, and an insert buckle head 232 coupled to one side of the right connecting strap 220 Lt; / RTI > The insert buckle main body 231 is connected to the left connecting strap 210 and the insert buckle head 232 is connected to the right connecting strap 220. However, The buckle main body 231 may be connected to the right connecting strap 220 and the insert buckle head 232 may be coupled to the left connecting strap 210. [

이같이, 상기 제3결합부(230)는 상기 좌측연결끈(210)의 일측과 상기 우측연결끈(220)의 일측을 연결시켜 'X'형상으로 사용자의 상체 전면에서 밀착 배치되게 하면서, 상기 가방을 상기 사용자의 등에 안정적 밀착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가방(10b)의 무게중심을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부 중심으로 이동되게 하면서 편안한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In this way, the third coupling portion 230 connects one side of the left connecting cord 210 and one side of the right connecting strap 220 so as to be closely arranged on the front face of the user in an 'X' shape, So that the wearer can maintain a comfortable wearing state while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g 10b to the center of the front face of the upper body of the user.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용 밀착스트랩의 설치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용 밀착스트랩(300)은, 상부연결끈(310), 하부연결끈(320), 제4결합부(330)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가방용 밀착스트랩(300)은 내측에 수납부를 가지는 가방(10c)에 결합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방(10c)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일측 어깨에 맬 수 있도록 어깨끈(11c)이 구비된다.FIG. 3 is a view showing an attachment state of the bag tightening stra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bag tightening strap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n upper connecting strap 310, a lower connecting strap 320, and a fourth connecting portion 330. The bag tightening strap 300 is attached to the bag 10c having a receiving portion inside. At this time, a shoulder strap (11c)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ag (10c) so as to be able to be attached to one shoulder of the user.

상기 상부연결끈(310)은 상기 가방(10c)의 일측에 배치된 어깨끈(11c)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하부연결끈(32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상부연결끈(3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c)의 어깨끈(11c)의 일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방(10c)의 일측에 배치된 어깨끈(11c)의 사용자 가슴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방(10c)의 어깨끈(11c)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연결끈(310)의 길이방향 일단을 연결 결합할 수 있도록 고리부재(14c)가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상부연결끈(310)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가방(10c)의 일측에 위치하는 어깨끈(11c) 일측에 재봉작업으로 연결 결합되게 하거나 버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upper connection string 310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string 320 in a state where the upper connection string 310 is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11c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g 10c.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onnection cord 31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1c of the bag 10c or more preferably to the shoulder strap 11c of the shoulder strap 11c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ag 10c, And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region. Here, the hook member 14c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1c of the bag 10c so as to connect one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connecting strap 31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connection string 310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houlder strap 11c located at one side of the bag 10c by a sewing operation or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hrough a buckle member Of course it is.

상기 하부연결끈(320)은 상기 가방(10c)의 하단 타측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상기 상부연결끈(310)과 연결된다. 즉, 상기 하부연결끈(3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c)의 하단 좌측 부분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하부연결끈(320)의 길이방향 타단은 이후 설명될 제4결합부(330)를 통해 상기 상부연결끈(310)과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연결끈(3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가방(10c)의 하단 타측에 재봉작업을 통해 연결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방(10c)의 하단 타측에 추가적으로 결합 구비되는 고리부재(도면미도시)에 결합되거나 버클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lower connection cord 320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cord 31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bag 10c. That is,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onnection cord 320 is connected to the lower left portion of the bag 10c,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onnection cord 320 is connected to the fourth connection portion 330,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cord 310 through the upper connection cord 310. [ Here, one end of the lower connection cord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bag 10c through a sewing opera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Not shown)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through a buckle member (not shown).

상기 제4결합부(330)는 상기 상부연결끈(31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연결끈(320)의 길이방향 타단을 연결 결합되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결합부(330)는 상기 상부연결끈(31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연결끈(320)의 길이방향 타단을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결합되게 하거나 결합 해제되게 할 수 있도록 상호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게 한다.The fourth coupling portion 330 connects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upper connection cord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cord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re preferably, the fourth coupling portion 330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selectively engage or disengage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end of the upper connection string 310 and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end of the lower connection string 320 So as to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러한, 상기 제4결합부(330)는 상기 상부연결끈(31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부분과 상기 하부연결끈(32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4결합부(330)는 버클부재를 사용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냅단추나 그 외에 다양한 착탈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재를 선택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제4결합부(330)는 상기 상부연결끈(31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는 인서트 버클본체(331)와, 상기 하부연결끈(320)의 길이방향 타단 테두리부분에 결합되는 인서트 버클헤드(332)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332)에는 상기 하부연결끈(320)의 길이방향 타단을 감김상태로 연결되게 하여, 상기 상부연결끈(310)과의 연결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연결링부(3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서트 버클본체(331)는 상기 상부연결끈(310)에 연결 결합되고,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332)는 상기 하부연결끈(320)에 연결 결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인서트 버클본체(331)는 상기 하부연결끈(320)에 연결 결합하고, 상기 인서트 버클헤드(332)는 상기 상부연결끈(310)에 연결 결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fourth coupling portion 330 is installed at the other longitudinal edge portion of the upper connection string 310 and at the other longitudinal edge portion of the lower connection string 320. In this case, although the fourth engaging part 330 is shown using a buckle memb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se a snap button or various detachable connecting members. The fourth coupling portion 330 includes an insert buckle main body 331 coupled to the other longitudinal edge portion of the upper connection string 310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330 coupled to the other end edge portion of the lower connection string 320 And an insert buckle head 332. [ The insert buckle head 33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ing portion 333 for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ng strap 320 in a lengthwise directio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upper connecting strap 310, May be formed. The insert buckle body 331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on string 310 and the insert buckle head 332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on string 320. However, The buckle main body 33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connecting strap 320 and the insert buckle head 33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ng strap 310. [

여기서, 상기 제4결합부(330)로 스냅단추를 선택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연결끈(310)의 길이방향 타단 및 상기 하부연결끈(320)의 길이방향 타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복수개를 상호 이격되게 구비하여, 상호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Here, when the snap button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fourth coupling portion 330, a plurality of the snap-in buttons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pposite ends of the upper connection string 310 and the othe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onnection string 320, So that they can be adjusted in position to be mutually engaged.

이러한, 상기 제4결합부(330)는 상기 상부연결끈(310)의 길이방향 타단과 상기 하부연결끈(320)의 길이방향 타단을 연결 결합되게 하면서, 상호 연결된 상기 상부연결끈(310)과 상기 하부연결끈(320)이 상기 사용자의 상체 전면부 상단 일측에서 상체 전면부 하단 타측 방향으로 사선형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사용자가 하나의 어깨끈(11c)으로 상기 가방(10c)을 등에 맨 상태에서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가방(10a)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쏠리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The fourth coupling portion 330 may be formed by connecting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string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string 3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wer connection cord 320 is arranged in a linear shape from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body part of the user to a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upper body part of the upper body part while the user is gripping the bag 10c with the one shoulder strap 11c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close contact state and preventing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g 10a from being pushed to one side.

이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용 밀착스트랩(300)은, 상기 사용자가 하나의 어깨끈(11c)만으로 상기 가방(10c)을 등에 맨 상태에서 안정적인 밀착상태를 유지하는 바, 상기 어깨끈(11c)을 매지 않은 타측 팔이 상기 가방(10c)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음으로서, 행동도 보다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ag tightening strap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intains the user in a stable close contact state with the bag 10c on the back with only one shoulder strap 11c, 11c is not disturbed by the bag 10c, the action can be made more freely.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scope.

100,200,300: 밀착스트랩 110: 상부좌측끈
120: 상부우측끈 130: 하부좌측끈
140: 하부우측끈 150: 제1결합부
160: 제2결합부 210: 좌측연결끈
220: 우측연결끈 230: 제3결합부
310: 상부연결끈 320: 하부연결끈
330: 제4결합부
100, 200, 300: Adhesive strap 110: upper left strap
120: upper right strap 130: lower left strap
140: lower right strap 150: first engaging portion
160: second coupling portion 210: left connecting cord
220: right connecting string 230: third connecting part
310: upper connecting strap 320: lower connecting strap
330: Fourth coupling part

Claims (9)

양쪽에 어깨끈이 구비된 가방에 결합 설치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에 있어서,
일단이 좌측의 상기 어깨끈에 연결 결합되는 상부좌측끈과;
일단이 우측의 상기 어깨끈에 연결 결합되는 상부우측끈과;
일단이 상기 가방의 하단 좌측에 연결 결합되는 하부좌측끈과;
일단이 상기 가방의 하단 우측에 연결 결합되는 하부우측끈과;
상기 상부좌측끈의 타단과 상기 하부우측끈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좌측끈의 타단과 상기 하부우측끈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결합부; 및
상기 상부우측끈의 타단과 상기 하부좌측끈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우측끈의 타단과 상기 하부좌측끈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
1. A tight fitting strap for a bag which is coupled to a bag provided on both sides with a shoulder strap,
An upper left strap once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on the left side;
An upper right strap, once connected to the right shoulder strap;
A lower left stra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left of the bag;
A lower right stra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g;
A first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left strap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so as to detachably couple the other end of the upper left strap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right strap; And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and the lower left strap for detachably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upper right strap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left strap.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버클부재 인 가방용 밀착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buckle membe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는 스냅단추 인 가방용 밀착스트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snap buttons.
양쪽에 어깨끈이 구비된 가방에 결합 설치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에 있어서,
일단이 좌측의 상기 어깨끈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가방의 하단 좌측에 연결 결합되는 좌측연결끈과;
일단이 우측의 상기 어깨끈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가방의 하단 우측에 연결 결합되는 우측연결끈; 및
상기 좌측연결끈의 일측과 상기 우측연결끈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연결끈의 일측과 상기 우측연결끈의 일측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
1. A tight fitting strap for a bag which is coupled to a bag provided on both sides with a shoulder strap,
A left connecting stra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on the left sid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bag;
A right connecting strap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on the right sid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g; And
And a third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eft connecting strap and one side of the right connecting strap and detachably coupling one side of the left connecting strap and one side of the right connecting strap.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는 버클부재 인 가방용 밀착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third engaging portion is a buckle memb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는 스냅단추 인 가방용 밀착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third engaging portion is a snap button.
일측에 어깨끈이 구비된 가방에 결합 설치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어깨끈에 연결 결합되는 상부연결끈과;
일단이 상기 가방의 하단 타측에 연결 결합되는 하부연결끈과;
상기 상부연결끈의 타단과 상기 하부연결끈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연결끈의 타단과 상기 하부연결끈의 타단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4결합부를 포함하는 가방용 밀착스트랩.
1. A bag tightening strap for a bag, which is coupled to a bag provided at one side with a shoulder strap,
A top connection string,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
A lower connecting cor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bag;
And a fourth engag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string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string and detachably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nnection string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on string.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4결합부는 버클부재 인 가방용 밀착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fourth engaging portion is a buckle memb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4결합부는 스냅단추 인 가방용 밀착스트랩.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fourth engaging portion is a snap button.
KR2020150005286U 2015-08-07 2015-08-07 Auxiliary strap for bag KR2004831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86U KR200483103Y1 (en) 2015-08-07 2015-08-07 Auxiliary strap for bag
US15/755,380 US20180339812A1 (en) 2015-08-07 2016-08-08 Tightening straps for bag
PCT/KR2016/008706 WO2017026765A1 (en) 2015-08-07 2016-08-08 Tightening straps for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286U KR200483103Y1 (en) 2015-08-07 2015-08-07 Auxiliary strap for 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611U true KR20170000611U (en) 2017-02-15
KR200483103Y1 KR200483103Y1 (en) 2017-04-05

Family

ID=5798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286U KR200483103Y1 (en) 2015-08-07 2015-08-07 Auxiliary strap for bag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339812A1 (en)
KR (1) KR200483103Y1 (en)
WO (1) WO2017026765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665B1 (en) * 2021-01-19 2022-07-20 최재호 Backpack having fastening 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59A (en) * 1993-03-09 1994-09-13 Ikujino Tomoshiya:Kk Baby carrier
JPH09173120A (en) * 1995-12-21 1997-07-08 Akito Abe Shoulder strap for knapsack or the like
KR20010000759U (en) * 1999-06-18 2001-01-15 김진수 A satchel dispersable load
KR20120000462U (en) * 2010-07-30 2012-01-17 박미옥 Structure for waist belt for backpack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202A (en) * 1916-04-14 1916-09-12 Kenton Drinkard Fishing device.
US2553275A (en) * 1948-02-23 1951-05-15 Quilter John Raymond Cuthbert Parachute harness
US3258182A (en) * 1965-04-30 1966-06-28 Mack H Mcdonald Combination gun carrying harness and flexible sling
US3430828A (en) * 1967-06-23 1969-03-04 Melvin Ross Gregson Gun sling
US4327852A (en) * 1980-08-22 1982-05-04 Gibson Harvey P Backpack harness
US5323942A (en) * 1991-09-24 1994-06-28 Elan Dahan Photographic equipment pack
USD362752S (en) * 1994-05-17 1995-10-03 Steven T. Steurer H-shaped dual strap for a golf bag
US5893503A (en) * 1997-08-14 1999-04-13 Jean; Antoine Non-slipping shoulder strap assembly
WO2000074517A1 (en) * 1999-06-07 2000-12-14 Gleason Dana W Backpack having a modular frame
US6283350B1 (en) * 2000-03-07 2001-09-04 Mario Gottmeier Backpack
US6592012B2 (en) * 2000-06-23 2003-07-15 Travel Caddy, Inc. Backpack
US6457620B1 (en) * 2001-01-10 2002-10-01 Ya Fang Tang Golf bags and golf bag carrying systems
US6607107B2 (en) * 2001-02-02 2003-08-19 Bonfire Snowboarding, Inc. Backpack and improved load-carrying system therefor
US20040238584A1 (en) * 2001-03-10 2004-12-02 Jeffrey Herold Ergonomically configured shoulder straps system
AU2002351414A1 (en) * 2001-12-28 2003-07-24 Gerald Ii Lemanski Backpack system
US20050017041A1 (en) * 2003-07-21 2005-01-27 Brian Roberts Backpack
US7198183B2 (en) * 2004-01-07 2007-04-03 Chih-Hsiang Yang Adjustable dual strap for carrying golf bag
US7070077B2 (en) * 2004-01-28 2006-07-04 Buckman Imports, Inc. Backpack
US8186549B2 (en) * 2004-06-04 2012-05-29 Nike, Inc. Double strap carrying system and base stand for golf bags and other shoulder-borne articles
US7316340B2 (en) * 2004-09-03 2008-01-08 Libor Marik Backpack accessible from the front while wearing
US20060102675A1 (en) * 2004-11-12 2006-05-18 Jurica Bezak Backpack system with fast and efficient means of adjustment
EP2152119B1 (en) * 2007-06-01 2015-08-05 Husqvarna AB Harness and chest plate therein
NZ556509A (en) * 2007-07-16 2008-03-28 Aarn Tate Counter balance pockets for backpacks (2)
US8459518B2 (en) * 2007-09-02 2013-06-11 Steven Demsky Backpacks configured to utilize safety harnesses
US8157139B2 (en) * 2008-11-25 2012-04-17 George Guest Keeler Backpack and method for securing a backpack in a closed position
CN201379203Y (en) * 2009-01-22 2010-01-13 利富高(香港)有限公司 Shoulder strap chest system for shoulder bag
US9173473B2 (en) * 2009-03-05 2015-11-03 Mystery Ranch Shoulder strap retention device and method
US9254030B2 (en) * 2009-03-24 2016-02-09 Black Diamond Equipment, Ltd. Carrying device dual shoulder strap system
US8172117B2 (en) * 2009-11-02 2012-05-08 C&P Hiam Associates LLC Stable backpack
US9044080B2 (en) * 2010-06-21 2015-06-02 Yohannes Ashenafi Shoulder strap carrying device
ES2523936T3 (en) * 2010-07-16 2014-12-02 Kuiu, Inc. Backpack structure
US8479958B1 (en) * 2010-12-03 2013-07-09 Halbert Swift Carrying bag
US8464920B2 (en) * 2011-08-26 2013-06-18 Under Armour, Inc. Sack pack sternum clip
FR2985888B1 (en) * 2012-01-24 2014-02-21 Salomon Sas BACK PROTECTIVE DEVICE
SE537672C2 (en) * 2012-07-12 2015-09-29 Coxa Carry Ab Carrying system, backpack and tool belt and method of carrying said carrying system
USD691809S1 (en) * 2012-08-16 2013-10-22 Bruce Allan Palevac Carrying strap
KR101521796B1 (en) * 2013-10-16 2015-05-27 박솔 Device for shouldering object in adhered mode and bag enable to be adhered to user using the same
US9314088B2 (en) * 2013-12-23 2016-04-19 Colin Lesch Cinch sack
USD778051S1 (en) * 2014-09-10 2017-02-07 Under Armour, Inc. Shoulder strap system for a backpack
USD790223S1 (en) * 2015-04-14 2017-06-27 Target Brands, Inc. Backpack strap
US9714810B1 (en) * 2015-05-19 2017-07-25 Kenny Nowlin Rifle sling
USD774769S1 (en) * 2015-07-09 2016-12-27 The North Face Apparel Corp. Stowable and adjustable sternum strap
US10194731B2 (en) * 2015-07-10 2019-02-05 The North Face Apparel Corp. Stowable and adjustable sternum strap
US10034533B1 (en) * 2015-09-04 2018-07-31 Jose Luis Santana-Zaizar Backpack system
WO2017117431A1 (en) * 2015-12-31 2017-07-06 The North Face Apparel Corp. Load-bearing systems
USD809799S1 (en) * 2016-11-23 2018-02-13 Nesel LLC Backpack straps
US10165846B1 (en) * 2017-06-16 2019-01-01 Camelbak Products, Llc Backpacks with cooperatively adjusted hip belts and compression straps
US10219609B2 (en) * 2017-08-07 2019-03-05 Christine Bryce Back pac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59A (en) * 1993-03-09 1994-09-13 Ikujino Tomoshiya:Kk Baby carrier
JPH09173120A (en) * 1995-12-21 1997-07-08 Akito Abe Shoulder strap for knapsack or the like
KR20010000759U (en) * 1999-06-18 2001-01-15 김진수 A satchel dispersable load
KR20120000462U (en) * 2010-07-30 2012-01-17 박미옥 Structure for waist belt for backpa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665B1 (en) * 2021-01-19 2022-07-20 최재호 Backpack having fasten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26765A1 (en) 2017-02-16
US20180339812A1 (en) 2018-11-29
KR200483103Y1 (en)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032U (en) Neck strap structure and its auxiliary equipment
USD833736S1 (en) Baby changing bag
US9635914B2 (en) Sling bag with strap fastening arrangement
US9737122B1 (en) Convertible backpack handbag
USD891107S1 (en) Strap fastening member for bag
KR200476693Y1 (en) baby wrapper
KR20180104836A (en) Baby carrier using a magnetic type buckle and its wearing method
KR200450430Y1 (en) An apron with a easily bindable strap
KR200483103Y1 (en) Auxiliary strap for bag
US9357830B2 (en) Belt hanger for handheld device
KR200480794Y1 (en) Hipseat with a portable bag
KR200482177Y1 (en) baby wrapper
KR200465653Y1 (en) A tote bag which can be carriable by hand or shoulder
KR101372608B1 (en) Infant carrier with selectable shoulder strap
JP2017042472A (en) Backpack
US20150150358A1 (en) Hanging belt
KR100879863B1 (en) Portable folding clothes
KR20190041209A (en) Baby carrier tool having rear baby carrier and front baby carrier
KR101304070B1 (en) Structure of necktie
JP5969684B1 (en) Backpack for school bag
USD983518S1 (en) Backpack
TWM543615U (en) Protective vest capable of combining with backpack
KR200482847Y1 (en) Band for carrying baby
KR200253196Y1 (en) Belt for supporting a knapsack
KR20170064381A (en) Carrier for carrying toddler and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