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519U - 파이프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519U
KR20170000519U KR2020150005098U KR20150005098U KR20170000519U KR 20170000519 U KR20170000519 U KR 20170000519U KR 2020150005098 U KR2020150005098 U KR 2020150005098U KR 20150005098 U KR20150005098 U KR 20150005098U KR 20170000519 U KR20170000519 U KR 201700005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holder
pipe
connection
holder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
Original Assignee
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 filed Critical 김경
Priority to KR2020150005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519U/ko
Publication of KR20170000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5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65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단 파이프와 이 하단 파이프에 삽입되는 상단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1 연결홀더, 제2 연결홀더, 제1 고정핀 및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홀더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홀더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제1 연결홀더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연결홀더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2 연결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2 연결홀더가 상기 상단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하단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을 조여 고정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성요소들인 파이프들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적인 공구가 없어도 구성요소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변형에 강건한 파이프 연결 구조체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 장치{PIPE CONNECTING APPARATUS}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조립이 용이하고, 구성요소들인 파이프들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견고한 파이프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파이프들을 연결하여 파이프 구조물의 전체적인 길이를 신장하는 기술들이 알려져 있다.
파이프 구조물과 관련한 종래의 길이 신장 기술의 하나로 결합 대상이 되는 파이프들에 체결공을 가공하고, 이 체결공에 나사 체결구 등을 이용하여 조임으로써 파이프들을 결합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파이프들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거나 유동 방지를 위해 추가적인 복잡한 구조물들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들 간의 결합을 위해 별도의 추가적인 공구가 요구되고, 경험이 부족한 사용자가 작업할 경우 결합 구조물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06044호(공개일자: 2011년 06월 16일, 명칭: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2000-0015771호(공개일자: 2000년 08월 05일, 명칭: 파이프 연결구)
본 고안은 파이프들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파이프들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별도의 추가적인 공구가 없어도 파이프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구조체가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변형에 강건하도록 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는 하단 파이프와 상기 하단 파이프에 삽입되는 상단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로서, 제1 연결홀더, 제2 연결홀더, 제1 고정핀 및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홀더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홀더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제1 연결홀더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연결홀더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2 연결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2 연결홀더가 상기 상단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하단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을 조여 고정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홀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연결홀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이 상기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걸려 하방으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하단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파이프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일단에 제3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1 연결홀더의 타단에 형성된 제4 관통공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3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1 고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고정핀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형성된 제1 나사산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 간의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제1 연결홀더의 타단과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가 상기 제2 고정핀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에 구비된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부재가 회전되어 발생되는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 간의 나사결합을 통한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홀더의 타단과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이프들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파이프들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적인 공구가 없어도 파이프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 연결 구조체가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변형에 강건하도록 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적용된 파이프 연결 구조체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적용된 파이프 연결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장치에 의해 제1 연결홀더의 타단과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이 조여져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적용된 파이프 연결 구조체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적용된 파이프 연결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두 개의 파이프가 하나의 파이프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파이프들과 파이프 연결 장치들을 이용하여 전체 길이를 더욱 신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길이 신장의 필요가 있는 다양한 파이프 연결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야외의 캠핑장에서 사용되는 위성방송 수신용의 안테나 봉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기술분야에서 파이프의 결합부 또는 연결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30)는 하단 파이프(10)와 이 하단 파이프(10)에 삽입되는 상단 파이프(20)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제1 연결홀더(310), 제2 연결홀더(320), 제1 고정핀(330) 및 고정장치(340)을 포함한다.
상단 파이프(20)는 하단 파이프(10)에 구비된 중공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파이프 연결 장치(30)에 의해 파이프들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견고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수직 방향은 상단 파이프(20)에서 하단 파이프(10)로의 방향이고, 수평 방향은 수직 방향에 직각인 방향이다. 한편, 하단 파이프(10)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후술하는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12)는 이 두께에 대응하는 환형의 평면을 지칭한다.
파이프 연결 장치(30)는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12)에 걸려 하방으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단 파이프(20)의 외주면과 하단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단 파이프(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결합된다. 즉, 파이프 연결 장치(30)는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12)에 걸린 상태에서, 상단 파이프(20) 및 하단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상단 파이프(20)가 하단 파이프(10)가 위치한 하방으로 미끄러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단 파이프(20)와 하단 파이프(10)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 장치(30)의 구체적인 구성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장치에 의해 제1 연결홀더의 타단과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이 조여져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걸림턱(314)과 제2 걸림턱(324)을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30)의 특징부들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도 3 내지 도 5에는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파이프 연결 장치(30)를 상하 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나타내었음을 밝혀둔다.
도 3 내지 도 4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파이프 연결 장치(30)는 제1 연결홀더(310), 제2 연결홀더(320), 제1 고정핀(330) 및 고정장치(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홀더(310)의 내주면에는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12)에 걸리는 제1 걸림턱(314)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홀더의 일단(311)에는 한 쌍의 관통공으로 구성된 제1 관통공(316)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홀더의 타단(312)에는 한 쌍의 관통공으로 구성된 제4 관통공(318)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턱(314)은 후술하는 제2 연결홀더(320)에 구비된 제2 걸림턱(324)과 함께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12)에 걸리기 때문에, 파이프 연결 장치(30) 및 이 파이프 연결 장치(30)가 결합된 이후의 상단 파이프(20)의 하방으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제1 관통공(316)은 제1 연결홀더(310)와 제2 연결홀더(320) 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요소이고, 제4 관통공(318)은 제1 연결홀더(310)와 고정장치(340) 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2 연결홀더(320)의 내주면에는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12)에 걸리는 제2 걸림턱(324)이 형성되어 있고, 제2 연결홀더의 일단(321)에는 제2 관통공(326)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연결홀더의 타단(312)에는 고정장치(340)를 구성하는 제1 고정부재(34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A)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 있지만, 제2 걸림턱(324)은 제1 연결홀더(310)에 구비된 제1 걸림턱(314)과 함께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12)에 걸리기 때문에, 파이프 연결 장치(30) 및 이 파이프 연결 장치(30)가 결합된 이후의 상단 파이프(20)의 하방으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제2 관통공(326)은 제1 연결홀더(310)와 제2 연결홀더(320) 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1 고정핀(330)은 제1 연결홀더의 일단(311)에 형성된 제1 관통공(316)과 제2 연결홀더의 일단(321)에 형성된 제2 관통공(326)에 삽입되어, 제1 연결홀더(310)와 제2 연결홀더(32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고정장치(340)는 제1 연결홀더(310)의 내주면과 제2 연결홀더(320)의 내주면이 상단 파이프(20)의 외주면과 하단 파이프(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제1 연결홀더의 타단(312)과 제2 연결홀더의 타단(322)을 조여 고정한다.
예를 들어, 고정장치(340)는 제1 고정부재(342), 제2 고정핀(344) 및 제2 고정부재(34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342)의 일단에는 제3 관통공(3424)이 형성되어 있고, 제1 고정부재(342)의 외주면에는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3 관통공(3424)은 제1 고정부재(342)를 제1 연결홀더의 타단(312)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2 고정핀(344)은 제1 연결홀더의 타단(312)에 형성된 제4 관통공(318)과 제1 고정부재(342)의 일단에 형성된 제3 관통공(3424)에 삽입되어, 제1 연결홀더의 타단(312)과 제1 고정부재(342)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제2 고정부재(346)는 제1 고정부재(342)에 형성된 제1 나사산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 간의 나사결합을 통해 제1 연결홀더의 타단(312)과 제2 연결홀더의 타단(322)을 고정시킨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장치에 의해 제1 연결홀더의 타단과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이 조여져 고정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고정부재(346)를 제1 고정부재(342)의 타단에 끼워 약간 돌린 상태에서, 제1 고정부재(342)를 회전시켜 제2 연결홀더의 타단(322)에 구비된 수용홈(A)에 수용시키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후, 제2 고정부재(346)를 일 방향으로 돌리면 제1 나사산과 제2 나사산 간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제2 고정부재(346)가 제2 연결홀더의 타단(322)으로 점차 접근하여 제2 고정부재(346)가 제2 연결홀더의 타단(322)을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고정장치(340)에 의해 제1 연결홀더의 타단(312)과 제2 연결홀더의 타단(322)이 조여져 고정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파이프들 간의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 파이프들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적인 공구가 없어도 파이프들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이프 연결 구조체가 바람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한 변형에 강건하도록 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10: 하단 파이프
12: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
20: 상단 파이프
30: 파이프 연결 장치
310: 제1 연결홀더
311: 제1 연결홀더의 일단
312: 제1 연결홀더의 타단
314: 제1 걸림턱
316: 제1 관통공
318: 제4 관통공
320: 제2 연결홀더
321: 제2 연결홀더의 일단
322: 제2 연결홀더의 타단
324: 제2 걸림턱
326: 제2 관통공
330: 제1 고정핀
340: 고정장치
342: 제1 고정부재
344: 제2 고정핀
346: 제2 고정부재
3424: 제3 관통공
A: 수용홈

Claims (4)

  1. 하단 파이프와 상기 하단 파이프에 삽입되는 상단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로서,
    제1 연결홀더, 제2 연결홀더, 제1 고정핀 및 고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홀더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홀더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걸리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고정핀은 상기 제1 연결홀더의 일단에 형성된 제1 관통공과 상기 제2 연결홀더의 일단에 형성된 제2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2 연결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2 연결홀더가 상기 상단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하단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을 조여 고정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홀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연결홀더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 걸림턱이 상기 하단 파이프의 상단부에 걸려 하방으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 파이프의 외주면과 상기 하단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상단 파이프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일단에 제3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고정부재;
    상기 제1 연결홀더의 타단에 형성된 제4 관통공과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3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연결홀더와 상기 제1 고정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 고정핀; 및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형성된 제1 나사산에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나사산과 상기 제2 나사산 간의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제1 연결홀더의 타단과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가 상기 제2 고정핀을 회전축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에 구비된 수용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고정부재가 회전되어 발생되는 상기 제2 고정부재와 상기 제1 고정부재 간의 나사결합을 통한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제2 고정부재가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 연결홀더의 타단과 상기 제2 연결홀더의 타단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 장치.
KR2020150005098U 2015-07-29 2015-07-29 파이프 연결 장치 KR201700005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98U KR20170000519U (ko) 2015-07-29 2015-07-29 파이프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098U KR20170000519U (ko) 2015-07-29 2015-07-29 파이프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519U true KR20170000519U (ko) 2017-02-08

Family

ID=5840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098U KR20170000519U (ko) 2015-07-29 2015-07-29 파이프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519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771A (ko) 1998-08-17 2000-03-15 서평원 랜덤 액세스를 위한 채널정보 송수신 방법
KR20110006044U (ko) 2009-12-10 2011-06-16 박덕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난간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771A (ko) 1998-08-17 2000-03-15 서평원 랜덤 액세스를 위한 채널정보 송수신 방법
KR20110006044U (ko) 2009-12-10 2011-06-16 박덕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난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62064B2 (en) Elevation-adjustable rod member locking structure
WO2007145383A1 (en) Pipe fixing system and pipe fastening device
JP2008516118A (ja) 洗面台に衛生設備の洗面台装置の取付
TW201922146A (zh) 用於一支撐性框架總成之隅角構件
RU2007136842A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для сборного демонстрационного стенда
KR20100007565U (ko) 프로파일파이프의 조인트클립
KR20170000519U (ko) 파이프 연결 장치
WO2017059818A1 (zh) 快速安装接头
US20140373670A1 (en) Bike handle fixing device
US10538297B2 (en) Surfboard leash plug adapter with mounting mechanism for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200366190Y1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KR200415828Y1 (ko) 수전용 클램프 구조
KR20190012384A (ko) 가구의 수평패널과 수직패널을 조립하기 위한 연결장치
CN210397956U (zh) 预制管道用连体管卡
US7941880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bed foot
KR101605370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
JP2011027229A (ja) ジョイントナット
KR200431684Y1 (ko) 놀이기구용 파이프 연결조인트
EP1552906A3 (de) Werkzeug zur Erstellung einer Steckverbindung mittels Klebstoffinjektion
KR20150003516U (ko) 야외용 조립식 테이블
CN208309920U (zh) 连接装置
JP4012035B2 (ja) 排水ヘッダーの固定具
KR102002062B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고정장치
CN113775827B (zh) 可变向管夹
CN214465350U (zh) 一种螺栓螺母配合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