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392U - Functional wooden pillow - Google Patents

Functional wooden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392U
KR20170000392U KR2020150004859U KR20150004859U KR20170000392U KR 20170000392 U KR20170000392 U KR 20170000392U KR 2020150004859 U KR2020150004859 U KR 2020150004859U KR 20150004859 U KR20150004859 U KR 20150004859U KR 20170000392 U KR20170000392 U KR 201700003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ave portion
functional
neck
nee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85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준
Original Assignee
이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준 filed Critical 이광준
Priority to KR2020150004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392U/en
Publication of KR201700003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392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함은 믈론, 휴대폰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능성 목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은, 목재 재질의 직육면체 형태로서 각 모서리는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된 기능성 목침(20)으로서, 상기 목침(20)은, 일측면에 제 1오목부(22)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제 2오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오목부(22)와 제 2오목부(24) 사이에는 휴대폰(40)을 수납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휴대폰수납홈(26)이 상기 목침(2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eyebrow that is capable of selectively using the body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and capable of storing a cellular phone.
The functional needlepoi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al needlepoint 20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f wood and each corner has a constant curvature. The needlepoint 20 has a first recess 22 on one side,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2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22. Between the first concave portion 22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24, (26)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side of the handpiece (20).

Description

기능성 목침{Functional wooden pillow}Functional wooden pillow

본 고안은 목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휴대폰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능성 목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pie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eyepiece which is selectively usable according to a user's body shape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storing a cellular phone.

일반적으로 베개는 사람이 수면시에 머리, 목 등을 편안하게 받쳐 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베게는 인생의 3분의 1을 수면으로 보내는 인간에게 있어서 매우 중요한 생활용품이고, 사용자의 쾌적한 수면과 건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Generally, a pillow is used to comfortably support a person's head and neck when sleeping. Such a pillow is a very important commodity for a person who sends one-third of his life to the surface of the water, It has a very important effect on health.

이에 따라 베개를 잘못 사용하거나 올바른 자세로 수면을 취하지 않으면 목부위와, 척추 등의 관절질환과, 목 부분의 근육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목디스크로 발전되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f the pillow is used incorrectly or if the user does not take a sleeping state in the correct posture, it may lead to arthritic diseases such as neck, spine and the like and muscle pain in the neck part.

한편, 베개의 한 종류인 목침(木枕)은 직육면체의 나무를 이용하여 형성시킨 것으로, 주로 감나무, 괴목(槐木), 오동나무로 만들었으며 나무결을 최대한으로 살려 자연미를 즐겼다. 형태는 원형, 방형, 장방형, 반월형, 조립형, 물형 등이 있는데, 장방형이 제일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kind of pillow, a wooden pillow, was formed by us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mainly made of persimmon, woody, paulownia, and enjoyed natural beauty by maximizing the grain. The shape is circular, square, rectangular, semi-circular, assembled, and water type. The rectangle is the most commonly used.

한편, 종래 가정이나 여러 사람이 많이 모이는 찜질방 등에서 사용되는 목침은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상면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오목부에 사용자의 머리를 대고 수면을 취하게 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 needle used in a home or a gymnasium where a lot of people are gathered is formed with a concave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floor, and the user's head is put on the concave portion to take a sleep.

이러한 오목부는 목침에 일정 길이와 깊이로서 한쪽면(상면)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체형 가령, 뒷머리 두상이나, 목의 길이, 체중등에 대응하여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Since the concave portion is formed only on one side (upper surface) of a certain length and depth in the neck,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use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user's body shape, for example, the length of back head, neck length, and weight.

즉, 일반 성인 남성의 경우 상기 오목부에 머리를 대고 사용하는 데에는 큰 불편이 없으나, 머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어린이나 여성의 경우 오목부에 머리를 대는 과정에서 오목부상에 머리가 제대로 안착 되지 못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시 목부위와, 척추 등의 관절질환과, 목 부분의 근육 통증 유발과 더불어 심한 경우 목디스크로 발전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ase of a general adult male, there is no great inconvenience in using the above-mentioned concave head. However, in the case of a child or a woman having a relatively small head size, the head is not properly seated on the concave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head on the concave portion ,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used for a long time, the joint develops into a neck disk, a joint disease such as a vertebra, and a neck muscle pain, and in severe cases a neck disk develops.

한편, 근래 들어 여가 활용과 더불어 피로를 풀기 위한 목적으로 일반 대중들이 찜질방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바, 찜질방에서 사용되는 목침은 단순히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용도로서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general public has used the jjimjilbang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fatigue with the leisure use, so that the needle used in the jjimjilbang is used simply as a support for the user's head.

이러한 찜질방에서 수면을 취하는 경우 통상 휴대폰을 찜질복 바지 주머니에 넣거나, 손에 쥐거나, 또는 상체 주변에 단순 비치한 상태로서 수면을 취하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휴대폰의 분실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aking sleep in such a jjimjilbang room, the cellular phone is usually put in a pouch pocket of a pneumatic vacuum cleaner, held in the hand, or simply kept in the vicinity of the upper body to take a sleep, thereby causing a frequent loss of the cellular phone.

이에 따라 찜질방등에서 휴대폰을 지참한 사람은 목침을 베고 수면을 취할 때 휴대폰 분실에 대한 염려로 숙면을 취하는 것이 어렵고, 자주 잠에서 깨어 휴대폰 분실 여부를 확인하는 실정이다.Accordingly, a person who brought a mobile phone from a jjimjilbang is difficult to take a good sleep due to fear of losing a mobile phone when taking a sleep and taking a sleep, and often wakes up to check whether a mobile phone is lost or not.

한편, 종래 사용되는 목침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 직육면체로서 면과 면이 만나는 각 모서리가 직선 형태를 가짐에 따라 목 부위에 닿는 부분이 각이 형성되어 있어서 숨골이나 혈관을 막아서 혈행의 원만한 순환을 막음에 따라 숙면을 취하기 어렵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needl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linear shape at each corner where a face and a face meet each other, thereby forming an angled portion that touches the neck, thereby preventing a smooth circulation of blood circulation It is difficult to take a good sleep.

이에 따라 특히 음주자가 목침을 베고 수면을 취하는 경우 잠을 오래 자다 보면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particular, there was a problem of harm to health if drinkers were sleeping for a long time when they drank their hands and took sleep.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88383호(2002년 08월 27일)Register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8383 (Registered on August 27, 2002)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목침의 일측면이나, 목침의 양측면에서 각각 다른 깊이로서 구비된 오목부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 가령, 뒷머리 두상이나, 목의 길이, 체중등에 대응하여 목침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목 부위와, 척추 등의 관절질환이나 목 부분의 근육 통증, 목디스크의 유발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능성 목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user's body shape, The length of the neck, the weight, and optionally, the use of a needle, depending on the long-term use of the neck, joints and spine, such as neck pain, neck pain, can help reduce the incidence of the neck provides a functional look I have to.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목침에 구비된 휴대폰수납홈에 휴대폰이 안전하게 수납되므로 찜질방등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공간에서 휴대폰의 분실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고, 휴대폰 분실에 대한 염려 없이 숙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성 목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phone which is useful for preventing the loss of the mobile phone in the space used by various people such as the jjimjilbang because the mobile phone is securely stored in the mobile phone storage slot provided in the mobile phone, It is to provide a sight.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목침이 목 부위에 닿더라도 숨골이나 혈관을 막는 것을 감소시켜서 혈행의 원만한 순환을 통해 숙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성 목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catheter capable of taking a good night's sleep through a circulation of blood circulation by reducing the blockage of the kinsmen or blood vessels even when the catheter contacts the neck.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목재 재질의 직육면체 형태로서 각 모서리는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된 기능성 목침(10)으로서, 상기 목침(10)은, 일측면에 제 1오목부(12)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제 2오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오목부(12)와 제 2오목부(14)는 그 깊이를 서로 달리 하는 기능성 목침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needle 1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f wood and each corner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A first concave portion 12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14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2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14, / RTI >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목재 재질의 직육면체 형태로서 각 모서리는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된 기능성 목침(20)으로서, 상기 목침(20)은, 일측면에 제 1오목부(22)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제 2오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오목부(22)와 제 2오목부(24) 사이에는 휴대폰(40)을 수납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휴대폰수납홈(26)이 상기 목침(2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로서 형성된 기능성 목침이 제공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needle 2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f wood and each corner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A second recess 2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cess 22 and a cell phone 4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cess 22 and the second recess 24. [ There is provided a functional sight needle having a rectangular cell phone receiving groove 26 for storing therein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side of the eye 20.

한편,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목재 재질의 직육면체 형태로서 각 모서리는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된 기능성 목침(30)으로서, 상기 목침(30)은, 일측면에 오목부(32)가 형성되고, 목침(30)의 정면에는 휴대폰(40)을 수납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휴대폰수납홈(36)이 상기 목침(3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로서 형성된 기능성 목침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al needle 30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f wood and each corner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A rectangular cell phone receiving groove 36 for receiving the cell phone 4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side of the necklace 30 on the front side of the necklace 30, A functional look is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기능성 목침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목침의 일측면이나, 목침의 양측면에서 각각 다른 깊이로서 구비된 오목부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 가령, 뒷머리 두상이나, 목의 길이, 체중등에 대응하여 목침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목 부위와, 척추 등의 관절질환이나 목 부분의 근육 통증, 목디스크의 유발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First, by selectively using the eyebrows correspon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user, the back head, the neck length, the body weight, etc. through the recesses provided as different depths on one side of the neck, or both sides of the neck, And can help to reduce joint disease such as the spine, muscle pain in the neck, and induction of the neck disk.

둘째, 목침에 구비된 휴대폰수납홈에 휴대폰이 안전하게 수납되므로 찜질방등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공간에서 휴대폰의 분실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고, 휴대폰 분실에 대한 염려 없이 숙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Second, since the mobile phone is securely housed in the cell phone storage slot provided in the handpiece, it is useful for preventing the cell phone from being lost in the space used by various people such as the jjimjilbang, and it is possible to take a good sleep without worrying about the cell phone loss.

셋째, 목침의 각 모서리가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되어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므로 목침이 목 부위에 닿더라도 숨골이나 혈관을 막는 것을 감소시켜서 혈행의 원만한 순환을 통해 숙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Third, since each corner of the needle is processed with a constant curvature, it has a rounded shape, so it is possible to take a good sleep by circulating blood circulation by reducing the blocking of the kinsmen or blood vessels even if the needl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neck.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침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능성 목침을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능성 목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기능성 목침의 일측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목침의 정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기능성 목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nee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needle shown in FIG. 1;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nee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unctional sight shown in Fig. 3,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unctional needle shown in FIG. 3,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the functional needle shown in FIG. 3,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nctional nee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needle shown in FIG. 7;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functional needle shown in FIG. 7;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a functional need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or words used herein are not to be construed in a limiting sense, and that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own desig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목침의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10)은 목재(편백나무) 재질의 직육면체 형태로서 각 모서리는 인체에 접촉시 부상등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need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of a needle shown in FIG. 1. FIG.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unctional sight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made of wood (plain wood), and each corner is processed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to prevent injury or the like in contact with a human body.

편백나무는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이 뛰어나 웰빙용품 소재로 많이 사용되며, 피톤치드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잡냄새도 없애주는 효과가 있다.It is widely used as a well-being material because it has excellent antimicrobial and bactericidal action against germs. It contains a lot of natural antimicrobial substance called phytoncide, and it is excellent in bactericidal action and strong in water resistance. It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it.

또한, 목침(10)의 각 모서리가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되어 라운드(round)진 형태를 가지므로 목침(10)이 목 부위에 닿더라도 숨골이나 혈관을 막는 것을 감소시켜서 혈행의 원만한 순환을 통해 숙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each corner of the neck 10 has a rounded shape, it has a rounded shape, so that even when the neck 1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neck, it can reduce the blocking of the kinsmen and blood vessels, It is possible to take.

또한, 목침(10)의 일측면에는 제 1오목부(12)가 형성되고, 이 제 1오목부(12)와 대향되는 위치 즉, 목침(10)의 타측면에는 제 2오목부(14)가 형성되어지되, 본 고안에서 제 1오목부(12)와 제 2오목부(14)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나 그 깊이는 서로 다르다.A first concave portion 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piece 10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1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piece 10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12.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s of the first recess 12 and the second recess 14 are the same, but their depth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도 2를 참조하면, 제 1오목부(12)의 깊이(d1)는 일 예로서 약 80㎜이고, 제 2오목부(14)의 깊이(d2)는 약 120㎜이며, 제 1오목부(12)는 머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어린이나 여성이, 제 2오목부(14)는 성인 남성이 사용하는 데 유용하다.2, the depth d1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12 is about 80 mm, the depth d2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14 is about 120 mm, The portion (12) is useful for a child or a woman having a relatively small head size,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14) is used for an adult male.

이때, 상기 d1, d2의 깊이는 단지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다양한 깊이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depths d1 and d2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depths can be used.

이와 같이 목침(10)에 복수의 오목부(12)(14)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형 가령, 뒷머리 두상이나, 목의 길이, 체중등에 대응하여 목침(10)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목 부위와, 척추 등의 관절질환이나 목 부분의 근육 통증, 목디스크의 유발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When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12 and 14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the body 10, the body 10 can be selectively used correspon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user, the length of the back hair, the length of the neck, Therefore, long-term use may help to reduce the neck area, joint diseases such as the spine, muscle pain in the neck area, and induction of the neck disk.

(실시예 2)(Example 2)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기능성 목침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능성 목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기능성 목침의 일측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20)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목침(10)과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서 각 모서리는 인체에 접촉시 부상등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되어 있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nee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functional needle shown in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unctional needle shown in FIG. to b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one side of the functional needle shown in FIG. 3. Referring to FIG. 6, the functional needle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material and shape as the needle 1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Each edge is machined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to prevent injury or the like in contact with human body.

또한, 목침(20)의 일측면에는 제 1오목부(22)가 형성되고, 이 제 1오목부(22)와 대향되는 위치 즉, 목침(20)의 타측면에는 제 2오목부(24)가 형성되어지되, 이때, 제 1오목부(22)와 제 2오목부(24)의 길이는 서로 동일하나 그 깊이는 서로 다르다.The first concave portion 2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piece 20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2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piece 20 at a position opposed to the first concave portion 22. [ At this time, the lengths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22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24 are the same, but their depth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도 4를 참조하면, 제 1오목부(22)의 깊이(d1)는 일 예로서 약 80㎜이고, 제 2오목부(24)의 깊이(d2)는 약 120㎜이며, 제 1오목부(22)는 머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어린이나 여성이, 제 2오목부(24)는 성인 남성이 사용하는 데 유용하다.4, the depth d1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22 is about 80 mm, the depth d2 of the second concave portion 24 is about 120 mm, The portion 22 is useful for a child or a woman having a relatively small head size,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24 is used by an adult male.

이와 같이 목침(20)에 복수의 오목부(22)(24)를 서로 대향되게 형성하는 경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목 부위와, 척추 등의 관절질환이나 목 부분의 근육 통증, 목디스크의 유발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22 and 24 are formed so as to face each other on the neck 20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eck region, the muscular pain of the neck region such as the vertebrae, It can help to reduce induction.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목침(20)의 제 1오목부(22)와 제 2오목부(24) 사이에는 휴대폰(40)을 수납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휴대폰수납홈(26)이 목침(2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로서 형성되어 있다.3 and 4, a rectangular cell phone receiving groove 26 for receiving the cell phone 40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recess 22 and the second recess 24 of the necklace 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side of the handpiece 20.

이에 따라 가령, 찜질방 등에서 사용자가 휴대폰수납홈(26)에 휴대폰(40)을 넣고 목침(20)에 머리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 휴대폰(40)이 목침(20)의 내부 휴대폰수납홈(26)에 안전하게 수납되므로 휴대폰(40)의 분실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다.When the user puts the mobile phone 40 into the mobile phone housing groove 26 and takes a sleeping state while the head is placed on the mobile phone 20 in the fomentation room or the like, (26) so that it is useful for preventing loss of the cellular phone (40).

즉, 휴대폰(40)이 목침(20)의 휴대폰수납홈(26)에 수납되고 사용자의 머리가 목침(20)을 베고 누운 상태이므로, 휴대폰(40)이 사용자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휴대폰(40)의 분실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폰(40) 분실에 대한 염려 없이 숙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since the cellular phone 40 is stored in the cellular phone housing groove 26 of the cellular phone 20 and the head of the user is lying on the cell phone 20, the cellular phone 4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ser, Which is useful for preventing loss of the battery 40. 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user to take a good sleep without worrying about the loss of the cellular phone 40.

또한, 수면을 마친 후 목침(20)을 들고 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휴대폰(40)이 휴대폰수납홈(26)에서 간단히 이탈된다.After the water surface is completed, the cellular phone 40 is simply lifted from the cellular phone housing groove 26 when the cellular phone 20 is held and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한편, 본 고안에서는 휴대폰수납홈(26)이 사각 형태를 가진 것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 곡면 형태를 갖는 휴대폰 형상에 대응하여 휴대폰수납홈(26)을 상향(上向) 곡면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ellular phone housing groove 26 may be formed in an upwardly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cellular phone having a part of a curved surface shape,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shape.

또한, 목침(20)의 각 모서리가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되어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므로 목침(20)이 목 부위에 닿더라도 숨골이나 혈관을 막는 것을 감소시켜서 혈행의 원만한 순환을 통해 숙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since each corner of the neck 20 is rounded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it is possible to take a good night's sleep by reducing circulation of blood circulation by reducing the blocking of the kinsmen and blood vessels even when the neck 20 is in contact with the neck. Do.

(실시예 3) (Example 3)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목침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기능성 목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nctional need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ront view of the needle shown in FIG. 7, an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 state of the functional needle shown in FIG. .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목침(30)은 실시예 1에서 설명과 목침(10)과 동일한 재질 및 형태로서 각 모서리는 인체에 접촉시 부상등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되어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functional needle 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material and shape as the description and the needle 10 in Embodiment 1, and each corner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

또한, 목침(30)의 일측면(상면)에는 약 80㎜의 깊이(d1)를 갖는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어서 머리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어린이나 여성이 상기 오목부(32)에 머리를 대고 수면을 취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A concave portion 32 having a depth d1 of about 80 mm is formed on one side (upper surface) of the necklace 30, so that a child or a woman having a relatively small head size can be attached to the concave portion 32 It is useful for taking sleep.

물론, 상기 오목부(32)는 목침(30)에 그 깊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실시예 1과 2에서 설명한 일반 성인 남성이 머리를 대고 수면을 취하는 데도 유용하게 사용된다.Of course, the concave portion 32 is also useful in that the general adult male described in Embodiments 1 and 2 takes a sleeping surface by setting the depth of the neck 30 differently.

즉, "성인 남성용"과 "어린이 및 여성용"으로 각각 오목부(32) 깊이를 다르게 구성하고, 목침(30)에 이를 글자 형태로 각인하여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depths of the recesses 32 differently for "adult male" and "child and female", respectively, and mark them in the form of a letter on the needle point 30,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목침(30)의 다른 측면(정면)에는 휴대폰(40)을 수납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휴대폰수납홈(36)이 목침(3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정면'의 구분은 도 3에서 휴대폰수납홈(36)이 형성된 면을 지칭한다.7, a quadrangular cell phone receiving groove 36 for receiving the cell phone 4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front face) of the cell phone 30 at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side of the cell phone 30 , And the above-mentioned 'front side' refers to the side where the cellular phone receiving groove 36 is formed in FIG.

이에 따라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찜질방 등에서 사용자가 휴대폰수납홈(36)에 휴대폰(40)을 넣고 목침(30)에 머리를 거치시킨 상태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 휴대폰(40)의 분실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다.Accordingly, as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user puts the mobile phone 40 into the mobile phone housing groove 36 in the fomentation room or the like, and takes a sleep state while the head is placed on the handpiece 30, It is useful.

또한, 수면을 마친 후 목침(30)을 들고 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휴대폰(40)이 휴대폰수납홈(36)에서 간단히 이탈된다.After the sleeping, the mobile phone 40 is simply detached from the mobile phone receiving groove 36 when the handhold 30 is held and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목침(30)의 각 모서리가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되어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므로 목침(30)이 목 부위에 닿더라도 숨골이나 혈관을 막는 것을 감소시켜서 혈행의 원만한 순환을 통해 숙면을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since each corner of the neck needle 30 is processed to have a constant curvature and has a rounded shape, even if the neck needle 30 touches the neck portion, it is possible to take a good sleep by circulating blood circulation Do.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기능성 목침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course it is.

10,20,30 : 목침 12,22 : 제 1오목부
14,24 : 제 2오목부 26,36 : 휴대폰수납부
32 : 오목부 40 : 휴대폰
10, 20, 30: needle point 12, 22:
14, 24: second concave portion 26, 36: mobile phone compartment
32: recess 40: mobile phone

Claims (3)

목재 재질의 직육면체 형태로서 각 모서리는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된 기능성 목침(10)으로서,
상기 목침(10)은,
일측면에 제 1오목부(12)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제 2오목부(14)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오목부(12)와 제 2오목부(14)는 그 깊이를 서로 달리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침.
(10) of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made of wood, each corner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The handpiece 10 includes:
A first concave portion 12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1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and the first concave portion 12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14 have different depths Wherein the functional layer is formed on the substrate.
목재 재질의 직육면체 형태로서 각 모서리는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된 기능성 목침(20)으로서,
상기 목침(20)은,
일측면에 제 1오목부(22)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제 2오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오목부(22)와 제 2오목부(24) 사이에는 휴대폰(40)을 수납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휴대폰수납홈(26)이 상기 목침(2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침.
The functional needle 20, which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of wood and is processed with a constant curvature at each corner,
The needlepoint (20)
A first concave portion 22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24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phone 40. Between the first concave portion 22 and the second concave portion 24, Wherein a rectangular cell phone receiving groove (26)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side of the handpiece (20) for receiving the handpiece (20).
목재 재질의 직육면체 형태로서 각 모서리는 일정한 곡률로서 가공된 기능성 목침(30)으로서,
상기 목침(30)은,
일측면에 오목부(32)가 형성되고, 목침(30)의 정면에는 휴대폰(40)을 수납하기 위한 사각 형태의 휴대폰수납홈(36)이 상기 목침(30)의 내부를 향해 일정 깊이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목침.
The functional needle 30, which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wood and has a constant curvature at each corner,
The needle point (30)
A rectangular cell phone receiving groove 36 for receiving the cell phone 4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side of the necklace 30 on the front side of the necklace 30, A functional eyebrow which is characterized by.
KR2020150004859U 2015-07-19 2015-07-19 Functional wooden pillow KR2017000039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859U KR20170000392U (en) 2015-07-19 2015-07-19 Functional wooden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859U KR20170000392U (en) 2015-07-19 2015-07-19 Functional wooden pil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392U true KR20170000392U (en) 2017-02-01

Family

ID=5840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859U KR20170000392U (en) 2015-07-19 2015-07-19 Functional wooden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392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83Y1 (en) 2002-06-12 2002-09-09 이종발 herb medicine wooden pill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383Y1 (en) 2002-06-12 2002-09-09 이종발 herb medicine wooden pil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6335B1 (en) Post retinal operation pillow
US3757365A (en) Therapeutic pillow
US3140497A (en) Pillow
KR200474197Y1 (en) Pillow For Massage And Acupressure Treatment
JPS61500006A (en) Elastic surfaces for seating and bedding, preferably beds
US6763538B1 (en) Pillow
US20140096777A1 (en) Sleeping Device to Prevent Snoring
USD931473S1 (en) Stretching splint
KR20170000392U (en) Functional wooden pillow
KR20140130885A (en) A Cervical Pillow
KR200468176Y1 (en) Sleeping vest having mattress for back and waist
CN206491610U (en) Pure natural latex neck protective pillow
JP3197395U (en) pillow
KR200417962Y1 (en) A various usesing pillow
EP3395208A1 (en) Kit for assembling a pillow
CN204734252U (en) Pillow
KR200446016Y1 (en) A knee pillow
JP6243930B2 (en) Good sleep pillow
CN209106823U (en) A kind of Arenga engleri Beccari pillow
US20180352979A1 (en) Multifunctional body pillow
CN203885164U (en) Cervical vertebra health-care pillow
WO2008105591A1 (en) Weight-distribution-type face pillow
KR200396542Y1 (en) A Relax Mat
JP3176681U (en) pillow
JP3130703U (en)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