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344U - 차단봉 - Google Patents

차단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344U
KR20170000344U KR2020150004786U KR20150004786U KR20170000344U KR 20170000344 U KR20170000344 U KR 20170000344U KR 2020150004786 U KR2020150004786 U KR 2020150004786U KR 20150004786 U KR20150004786 U KR 20150004786U KR 20170000344 U KR20170000344 U KR 201700003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volume
advertisement sound
belt hous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오
Original Assignee
신동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오 filed Critical 신동오
Priority to KR2020150004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0344U/ko
Publication of KR20170000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3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회장, 행사장, 전시장, 공사장 또는 각종 건물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사람의 출입 및 통행을 차단하는 차단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벨트 하우징; 상기 벨트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부; 상기 권취부에 두루마리식으로 감기면서 상기 권취부로 출입하는 차단 벨트; 상기 벨트 하우징의 표면에 마련되어, 매장의 광고 음원이 저장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 삽입 슬롯; 상기 벨트 하우징의 표면에 마련된 스피커; 및 상기 메모리 삽입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광고 음원을 판독하여 재생하는 오디오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단봉{BARRIER POST}
본 고안은 차단봉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회장, 행사장, 전시장, 공사장 또는 각종 건물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사람의 출입 및 통행을 차단하는 차단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단봉은 연회장, 행사장, 전시장, 공사장 또는 각종 건물의 출입구 등에 설치되어 사람의 출입 및 통행을 차단하는 장치로서, 다수의 사람이 몰릴 때 질서 유지를 통해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특정 지역으로의 통행을 차단하고, 정해진 통로로만 사람이 통행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공사장, 매장 등에서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는 경계선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단봉 중 벨트형 차단봉은 본체와, 차단 벨트와, 상기 본체를 바닥 상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시키는 지지봉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차단 벨트가 두루마리식으로 감기는 권취 드럼과, 풀어진 차단 벨트를 자동으로 감아 상기 본체 내에 수납하는 스파이럴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는 벨트 걸이구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 벨트의 단부에는 벨트 손잡이가 구비되되, 상기 벨트 손잡이에는 상기 벨트 걸이구에 결합하여 벨트 손잡이를 고정하는 홈부가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차단봉은 정해진 통로로만 사람이 통행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매장 입구 등에서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는 역할만을 할 뿐이다. 따라서 차단봉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20-2015-0003257(2015.05.21)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는 기본적 역할 이외에 다양한 방도의 사용 효율을 높이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차단봉이 광고 음원을 재생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벨트 하우징; 상기 벨트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부; 상기 권취부에 두루마리식으로 감기면서 상기 권취부로 출입하는 차단 벨트; 상기 벨트 하우징의 표면에 마련되어, 매장의 광고 음원이 저장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 삽입 슬롯; 상기 벨트 하우징의 표면에 마련된 스피커; 및 상기 메모리 삽입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광고 음원을 판독하여 재생하는 오디오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광고 음원은, 실내 또는 실외별로 광고 음원이 다르게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단봉은, 상기 벨트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차단봉의 실내 또는 실외 여부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처리부는, 상기 위치 파악부에 파악된 차단봉의 실내 또는 실외 여부에 따라서 매칭되는 광고 음원을 상기 메모리 카드에서 추출하여 재생하며, 실내 또는 실외 여부에 따라서 광고 음원의 재생 음량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차단봉은, 상기 벨트 하우징의 주변의 노이즈 음량을 측정하는 음량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처리부는, 측정된 노이즈 음량이 설정된 임계 노이즈 음량의 크기에 따라서 광고 음원의 재생 음량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차단봉은, 외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량 조절 및 곡 체인지를 포함한 음원 재생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음원 재생 제어 명령에 따라 광고 음원의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단봉에서 광고 음원을 재생하여 출력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이 광고 음원을 들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차단봉의 실내 또는 실외 여부에 따라서 각각 다른 광고 음원을 출력함으로써, 차단봉의 사용 용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을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의 단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차단봉에 차단 벨트가 서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의 구성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을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의 단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차단봉에 차단 벨트가 서로 연결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10)은 벨트 하우징(11), 권취부(12), 차단 벨트(13), 감속부(14), 뚜껑(15), 벨트 걸이구(16) 및 지지봉(17)을 포함한다. 또한, 받침대(18) 및 받침대 고정구(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봉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봉(10)에 메모리 삽입 슬롯(20), 스피커(30), 오디오 처리부(40), 위치 파악부(50), 음량 측정부(60), 주변 촬영부(70),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차단봉에 메모리 삽입 슬롯(20) 및 스피커(30)가 마련된 예를 설명하겠으나, 메모리 삽입 슬롯(20) 및 스피커(30)가 다른 구조의 차단봉에 마련되어 동작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벨트 하우징(11)은 지지봉(17)의 상부에 설치되고, 권취부(12)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원통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측벽에는 내부와 외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홈(11a)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권취부(12)에 두루마리식으로 감긴 차단 벨트(13)가 안내홈(11a)을 통해 벨트 하우징(11)으로 출입한다. 이러한 벨트 하우징(11)은 별도로 제작된 후 지지봉(17)의 상부에 압입시켜 체결하거나, 별도의 체결부재, 예를 들면 볼트 또는 나사를 통해 지지봉(17)의 상부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지지봉(17)과 일체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권취부(12)는 벨트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정한 회전력으로 그 외주면에 차단 벨트(13)를 두루마리식으로 감거나 풀어 차단 벨트(13)를 벨트 하우징(11)의 안내홈(11a)을 통해 출입시킨다. 이러한 권취부(12)는 벨트 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하부캡(121)과, 하부캡(121)의 내부에 결합되는 스파이럴 스프링(122)과, 외주면에 차단 벨트(13)가 두루마리식으로 감기고 스파이럴 스프링(122)과 결합된 권취 드럼(123)과, 벨트 하우징(11)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캡(124)을 포함한다.
하부캡(121)은 벨트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오목하게 함몰된 부위에는 스파이럴 스프링(122)이 수용된다.
스파이럴 스프링(122)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얇고 가는 띠 형상의 탄성이 우수한 금속판을 달팽이처럼 나선형으로 만든 스프링으로서, 하부캡(121)의 상부에 수용되고, 최외곽에 위치하는 일단부는 하부캡(121)에 고정되고, 중앙에 위치하는 타단부는 권취 드럼(123)의 하부축(123b)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권취 드럼(123)이 차단 벨트(13)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권취 드럼(123)의 회전에 의해 스파이럴 스프링(122)은 금속판이 가지는 탄성 에너지를 축적하고, 이렇게 축적된 탄성 에너지를 이용하여 권취 드럼(123)을 차단 벨트(13)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권취 드럼(123)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스파이럴 스프링(122)에 밀착되도록 하부캡(1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파이럴 스프링(122)이 하부캡(1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단 벨트(13)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판(123a)과, 하부 지지판(123a)의 중앙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스파이럴 스프링(122)을 관통하여 하부캡(121)의 중앙부에 마련된 결합공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축(123b)과, 하부 지지판(123a)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차단 벨트(13)가 외주면을 감싸도록 감기는 통체(123c)와, 하부 지지판(123a)과 대향하도록 통체(123c)의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통체(123c)의 외주면에 감긴 차단 벨트(13)가 통체(123c)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지지판(123d)과, 상부 지지판(123d)의 중앙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부캡(124)의 결합공(124a)의 내부에 결합되는 상부축(123e)을 포함한다.
한편, 권취 드럼(123)을 구성하는 하부 지지판(123a), 하부축(123b), 통체(123c), 상부 지지판(123d) 및 상부축(123e)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일체로 조립되거나, 혹은 이들이 사출성형공정을 통해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상부캡(124)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하부캡(121)과 대향하도록 벨트 하우징(11)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감속부(14)가 권취 드럼(123)의 상부축(123e)과 축 결합되도록 결합공(12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캡(124)은 상부가 내측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원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오목하게 함몰된 부위에는 감속부(14)가 수용된다.
차단 벨트(13)는 일측부가 권취 드럼(123)의 통체(123c)에 결합되어 권취 드럼(123)의 회전에 따라 통체(123c)의 외주면에 두루마리식으로 감기면서 벨트 하우징(11)의 안내홈(11a)을 통해 출입하는 벨트(131)와, 벨트(131)의 타측부에 설치되어 이웃하게 설치된 다른 차단봉(10', 도 5참조)의 벨트 하우징(11)의 외측면에 설치된 벨트 걸이구(16)의 결합홈(161)을 따라 삽입 결합되는 벨트 손잡이(132)와, 벨트 손잡이(132)에 장착되어 벨트 걸이구(16)의 잠금홈(162)에 걸림되는 이탈방지부(133)를 포함한다.
스피커(30)(speaker)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輻射)하는 음향 기기이다. 스피커(30)는, 벨트 하우징(11)의 표면에 마련되어,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 광고 음원이 오디오로서 출력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단봉에 내부에 마련된 배터리로부터 구동 전력을 제공받는다.
메모리 삽입 슬롯(20)은, 벨트 하우징(11)의 표면에 마련되어 매장의 광고 음원이 저장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슬롯이다. 메모리 카드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메모리이다. 메모리 카드가 메모리 삽입 슬롯(20)에 삽입되면, 메모리 삽입 슬롯(20)에 마련된 판독 단자가 메모리 카드의 단자에 접촉되어, 메모리 카드 내의 광고 음원의 데이터를 읽어올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광고 음원은, 매장의 로고송, 음악, 안내 멘트 등 다양한 형태의 음원 데이터가 해당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40)는, 카드 삽입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광고 음원을 판독하여 재생한다. 이를 위해 오디오처리부(40)는, 광고 음원의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성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미도시)을 구비한다. 오디오 코덱(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3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차단봉은 행사장, 매장, 공사 현장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특히,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내 또는 실외 여부에 따라서 차단봉의 스피커(30)에서 출력되는 광고 음원의 종류 및 음량 크기를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위치한 차단봉의 경우 조용한 클래식 음악을 제1음량 크기로 재생하며, 반대로 실외에 위치한 차단봉의 경우 멀리 있는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댄스 음악을 제1음량 크기보다 더 큰 제2음량 크기로 재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광고 음원은, 실내 또는 실외별로 광고 음원이 다르게 저장되도록 한다. 실내는 클래식 음악, 드라마 OST 등과 같이 조용한 음악들이 저장되며, 실외는 댄스 음악, 락음악 등과 같이 활기찬 음악들이 저장될 수 있다.
위치 파악부(50)는, 벨트 하우징(11)에 마련되어, 차단봉의 실내 또는 실외 여부 파악한다. 이러한 위치 파악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GPS) 위성으로부터 GPS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실내로 파악하며, GPS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실외로 파악할 수 있다. 또는, 실내에 마련된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 모듈로부터 실내임을 알리는 실내 알람 정보를 수신한 경우 실내로 파악할 수 있는 이밖에 실내 및 실외를 구별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위치 파악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오디오처리부(40)는, 위치 파악부(50)에 파악된 차단봉의 실내 또는 실외 여부에 따라서 매칭되는 광고 음원을 메모리 카드에서 추출하여 재생하며, 실내 또는 실외 여부에 따라서 광고 음원의 재생 음량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위치한 차단봉의 경우 조용한 클래식 음악을 제1음량 크기로 재생하며, 반대로 실외에 위치한 차단봉의 경우 멀리 있는 사람이 들을 수 있도록 댄스 음악을 제1음량 크기보다 더 큰 제2음량 크기로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 또는 실외에 차단봉이 위치할 때 별도의 음악 선택 및 음량 선택없이도 자동으로 실내 또는 실외 여부에 따라서 광고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조그마한 매장의 경우 출입 제한선으로 차단봉을 설치할 경우, 통행 인원이 적기 때문에 차단봉의 음원을 작게 하여도 문제가 없다. 반면에 콘서트, 바자회 등의 행사장의 경우 출입 제한선으로 차단봉을 설치할 경우, 통행 인원이 많기 때문에 차단봉의 음원을 크게 하여 모든 주변 사람들이 들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차단봉 주변의 통행 인원이 많고 적음을 판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촬영 이미지와 측정 음량을 이용할 수 있다.
우선,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단봉 주변의 통행 인원이 많고 적음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는 주변 촬영부(70), 이미지 추출부(미도시) 수 있다. 주변 촬영부(70)는, 벨트 하우징(11)의 표면에 마련되어 전방의 주변을 촬영한다. 주변 촬영부(70)는, 카메라(미도시)를 구비하여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주변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미도시)는, 렌즈 어셈블리, 필터, 광전 변환 모듈,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포커스 모터(MF)의 제어에 따라 렌즈의 촛점 거리가 이동될 수 있다. 필터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와.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로서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하며,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전 변환 모듈은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은 CDS-ADC(Correlation Double Sampler and Analog-to-Digital Converter)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미도시)은 광전 변환 모듈(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이미지 추출부(미도시)이미지에서 얼굴 이미지들을 추출한다. 이미지 추출은 공지된 다양한 추출 알고리즘 프로세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간격 내에 눈의 형상, 입의 형상, 코의 형상이 검출되면 1개의 얼굴 이미지로 판별할 수 있다.
오디오처리부(40)는, 추출되는 얼굴 이미지의 개수의 따라서 광고 음원의 재생 음량 크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추출된 얼굴 이미지의 개수가 10개 이하이면 제1음량으로 광고 음원을 재생하며, 추출된 얼굴 이미지의 개수가 11개 ~ 20개이면 제1음량보다 더 큰 제2음량으로 광고 음원을 재생하며, 추출된 얼굴 이미지의 개수가 20개를 초과하면 제2음량보다 더 큰 음량으로 가장 큰 음량인 제3음량으로 광고 음원을 재생한다.
다음으로, 측정 음량을 이용하여 차단봉 주변의 통행 인원이 많고 적음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는 벨트 하우징(11)에 마련되어 벨트 하우징(11)의 주변의 노이즈 음량을 측정하는 음량 측정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노이즈 음량은, 사람들의 목소리, 음악소리, 차량 교통 통행 소리 등의 주변의 다양한 노이즈가 해당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봉 주변에 사람들이 많으면 사람들의 대화 소리로 인하여 측정되는 노이즈 음량이 클 것이며, 차단봉 주변에 사람들이 많지 않으면 측정되는 노이즈 음량이 작을 것이다.
음량 측정부(60)는, 지속적으로 음량을 측정하지 않고 일정 주기(예컨대, 30분 간격)로 노이즈 음량을 측정한다. 노이즈 음량을 측정할 때는 차단봉의 스피커(30)를 통해 광고 음원이 출력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오디오처리부(40)는, 측정된 노이즈 음량이 설정된 임계 노이즈 음량의 크기에 따라서 광고 음원의 재생 음량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차단봉 주변에 사람들이 별로 없어 조용하여 측정 노이즈 음량이 제1노이즈 음량을 가지는 경우, 작은 소리로 출력하는 제1음량의 크기로 광고 음원을 재생한다. 반면에, 차단봉 주변에 사람들이 많아 제1노이즈 음량보다 더 큰 제2노이즈 음량이 측정되는 경우, 제1음량보다 더 큰 크기의 제2음량의 크기로서 광고 음원을 재생한다.
한편, 본 고안의 차단봉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원격으로 음량을 조절하거나 곡을 체인지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리모콘, 스마트폰 등의 외부 단말기를 이용하여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로 차단봉에 접속하여 음량 조절 및 곡 체인지를 포함한 음원 재생 제어 명령을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차단봉은 수신한 음원 재생 제어 명령에 따라서 광고 음원의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차단봉은, 외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량 조절 및 곡 체인지를 포함한 음원 재생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80)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8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하드웨어 및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오디오 처리부(4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음원 재생 제어 명령에 따라서 그에 매칭되는 광고 음원의 재생을 제어하게 된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10' : 차단봉
11 : 벨트 하우징
12 : 권취부
20 : 스피커
30 : 메모리 삽입 슬롯
40 : 오디오처리부
50 : 위치 파악부
60 : 음량 측정부
70 : 주변 촬영부

Claims (5)

  1. 벨트 하우징;
    상기 벨트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권취부;
    상기 권취부에 두루마리식으로 감기면서 상기 권취부로 출입하는 차단 벨트;
    상기 벨트 하우징의 표면에 마련되어, 광고 음원이 저장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메모리 삽입 슬롯;
    상기 벨트 하우징의 표면에 마련된 스피커; 및
    상기 메모리 삽입 슬롯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의 광고 음원을 판독하여 재생하는 오디오처리부;
    를 포함하는 차단봉.
  2. 청구항 1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광고 음원은, 실내 또는 실외별로 광고 음원이 다르게 저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은, 상기 벨트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차단봉의 실내 또는 실외 여부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처리부는, 상기 위치 파악부에 파악된 차단봉의 실내 또는 실외 여부에 따라서 매칭되는 광고 음원을 상기 메모리 카드에서 추출하여 재생하며, 실내 또는 실외 여부에 따라서 광고 음원의 재생 음량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차단봉.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은, 상기 벨트 하우징의 주변의 노이즈 음량을 측정하는 음량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처리부는, 측정된 노이즈 음량이 설정된 임계 노이즈 음량의 크기에 따라서 광고 음원의 재생 음량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차단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단봉은,
    외부의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부터 음량 조절 및 곡 체인지를 포함한 음원 재생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처리부는, 상기 음원 재생 제어 명령에 따라 광고 음원의 재생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봉.
KR2020150004786U 2015-07-16 2015-07-16 차단봉 KR201700003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786U KR20170000344U (ko) 2015-07-16 2015-07-16 차단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786U KR20170000344U (ko) 2015-07-16 2015-07-16 차단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344U true KR20170000344U (ko) 2017-01-25

Family

ID=5796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786U KR20170000344U (ko) 2015-07-16 2015-07-16 차단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034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900B1 (ko) * 2020-03-12 2020-09-18 주식회사 동성에이치 차단기바의 하강에 따라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주차차단기
WO2021020610A1 (ko) * 2019-07-29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벨트 타입 차단봉 및 벨트 타입 차단봉의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257U (ko) 2014-02-21 2015-08-31 윤성민 개량 수평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3257U (ko) 2014-02-21 2015-08-31 윤성민 개량 수평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0610A1 (ko) * 2019-07-29 2021-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벨트 타입 차단봉 및 벨트 타입 차단봉의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동 제어 시스템
US11182996B2 (en) 2019-07-29 2021-11-23 Lg Electronics Inc. Belt type barricade and automatic control system capable of improving operation efficiency of belt type barricade
KR102157900B1 (ko) * 2020-03-12 2020-09-18 주식회사 동성에이치 차단기바의 하강에 따라 경고멘트를 출력하는 주차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0128B2 (en) Wireless integration of security camera and door lock
AU2016258199B2 (en) Wireless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oorbells with integrated image sensor/button
CN207082296U (zh) 用于无线音频/视频录制和通信装置的照明标志
US20140211031A1 (en) Auto picture alignment correction
US10984640B2 (en) Automatic adjusting of day-night sensitivity for motion detection in audio/video record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JP7133789B2 (ja) 収音装置、収音システム、収音方法、プログラム、及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CN105554475A (zh) 具有全双工通讯功能的物联网智能设备
KR20170000344U (ko) 차단봉
CN105516692A (zh) 一种物联网智能设备
JP6876122B2 (ja) 無線音声/ビデオ記録及び通信デバイスについての無線スピーカデバイス
US20170318200A1 (e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wireless security camera having wall-mounted and stand-alone modes
US20120176517A1 (en) Digital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CN205490928U (zh) 具有全双工通讯功能的物联网智能设备
WO2017147827A1 (zh) 一种图像获取方法
JP2011087218A (ja) 拡声システム
JP2017005395A (ja) 撮像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72835A (ja) 会議装置
CN113838478B (zh) 异常事件检测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2009105612A (ja) 検知装置および監視カメラ
JP3147066U (ja) 監視カメラ
TW201939483A (zh) 語音系統及聲音偵測方法
JP5763297B2 (ja) 携帯電子機器
US202203821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camera systems for smart tv applications
US20200366124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rotection and charging stand or table (suntable)
CN208924427U (zh) 用于麦克风的减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649;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64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22

Effective date: 2017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