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275A -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275A
KR20170000275A KR1020150089308A KR20150089308A KR20170000275A KR 20170000275 A KR20170000275 A KR 20170000275A KR 1020150089308 A KR1020150089308 A KR 1020150089308A KR 20150089308 A KR20150089308 A KR 20150089308A KR 20170000275 A KR20170000275 A KR 20170000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iping
lift
pi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010B1 (ko
Inventor
김윤태
이명호
김일순
김재호
문성식
윤세진
양근상
윤우영
강혜령
조흥신
김선영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세일이엔에스(주)
(주)세방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세일이엔에스(주), (주)세방테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0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0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9/19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16L9/20Pip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 천정부의 배관 시공을 위한 배관모듈(A)은 배관(100), 배관(1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 배관(100)을 지지프레임(220)에 고정하는 배관고정부(300) 및 지지프레임(220)을 천정부(1)에 고정하는 고정프레임(210)을 포함하되, 지지프레임(220)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설프레임(400)에 의해 고정프레임(210)까지 리프팅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에서 선 작업된 모듈화된 개별 배관모듈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배관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공조배관, 급수배관 등의 복수의 배관과 배관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배관모듈을 공장제작하고, 공장제작된 복수의 배관 모듈을 현장으로 반입하여 이를 조립하는 기술로서, 복잡한 배관조립 공정을 단순화 시키고, 이로 인해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PIPE MODUL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장 및 건축구조물의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장 제작된 배관모듈을 이용하여 배관을 시공함으로써 현장작업을 간소화하고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랜트 및 공장 등의 배관시설은 공조배관 및 급수배관 등의 배관을 설치할 때, 배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설치하고, 각각의 배관을 설치하게 된다.
즉, 여러 개의 배관 지지대 중 일부 지지대를 설치하고, 공조배관 및 급수배관 등의 배관을 지지대에 조립하는 공정을 반복하여 배관시설을 완공한다.
위 경우, 지지대를 설치하고, 이후 배관 하나 하나를 각각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시간이 길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에서 선 작업된 모듈화된 개별 배관모듈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배관을 시공할 수 있는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작업을 최소화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관모듈을 이용한 간이화된 설치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시공인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천정부(1)의 배관 시공을 위한 배관모듈(A)에 관한 것으로써, 배관(100), 상기 배관(1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 상기 배관(100)을 상기 지지프레임(220)에 고정하는 배관고정부(300) 및 상기 지지프레임(220)을 상기 천정부(1)에 고정하는 고정프레임(21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설프레임(400)에 의해 고정프레임(210)까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을 제시한다.
상기 배관고정부(300)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하는 배관거치부(311), 상기 배관거치부(311)와 결합되어, 상기 배관거치부(311)에 거치된 상기 배관(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거치부(311) 및 상기 덮개부(312)와 상기 배관(10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배관(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유동방지부(313)으로 구성된 제1배관고정부(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거치부(311)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에 결속되는 하부플레이트(311a), 상기 배관(100)이 거치되는 거치대(311c)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311a)와 상기 거치대(311c)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311c)가 상기 하부플레이트(311a)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311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고정부(300)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판부(321), 상기 하판부(3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방진부(325), 상기 방진부(325)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부(322), 상기 배관(100)을 둘러 상기 상판부(322)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100)을 상기 상판부(322)에 고정하는 고정부(324) 및 상기 배관(100)과 상기 상판부(322)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배관(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받침부(323)포함하는 제2배관고정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일단은 상기 천정부(1)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타단은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2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설프레임(400)은 하부에 이동을 위한 바퀴(440)가 구비된 대차프레임(410), 상기 대차프레임(41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220)과 상기 배관(100)을 리프트 하기위한 리프트프레임(420) 및 상기 대차프레임(410)과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에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트조절장치(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차프레임(410)은 가로프레임(411), 상기 가로프레임(411)과 결합하는 세로프레임(412), 상기 가로프레임(411)과 상기 세로프레임(412)이 복수의 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수직프레임(413)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420)과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결합부(4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은 한쌍의 리프트가로프레임(421), 상기 한쌍의 리프트가로프레임(421)은 리프트수직프레임(422)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로프레임(411) 외측부에 설치된 상기 프레임결합부(414)에 상기 리프트수직프레임(422)이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프트조절장치(430)는 도르레(435)가 수납되는 몸통부(431), 상기 몸통부(431)의 상측에 형성된 상측고리부(432), 일단이 하측고리부(434)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레(435)를 둘러 상기 몸통부(431) 외부로 노출된 체인(433)을 포함하며,상기 체인(433)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하측고리부(434)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차프레임(410)의 높이가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보다 더 높으며, 상기 리프트조절장치(430)는 일단이 상기 대차프레임(4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리프트프레임(420)과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측고리부(434)는 하부 리프트가로프레임(421)에 고리결합되고, 상기 상측고리부(431)는 상기 가로프레임(411)과 고리결합되어, 상기 체인(433)의 구동에 따라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모듈을 이용한 배관시공은 상기 배관(100)을 상기 배관고정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20)에 고정하는 배관 고정단계, 상기 지지프레임(220)을 상기 가설프레임(400)에 적치하는 지지프레임 적치단계, 상기 가설프레임(400)을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로 운반하는 배관모듈 운반단계, 상기 리프팅프레임(420)을 상기 리프트조절장치(430)를 이용하여 리프팅하는 리프팅단계, 상기 리프팅단계에서 리프팅된 상기 지지프레임(220)을 상기 고정프레임(210)에 고정시키는 배관모듈 고정단계로 시공된다.
상기 배관모듈 리프팅단계는 상기 체인(433)의 타단에 하중을 제공하여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을 리프팅하는 단계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를 변화시켜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모듈 고정단계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을 상기 천장부(1)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타단에 볼트결합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 작업되어 모듈화된 개별 배관모듈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배관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작업을 최소화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모듈을 이용한 간이화된 설치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시공인력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건물 천정부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배관모듈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모듈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배관모듈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배관고정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거치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배관고정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대차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조절장치 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차프레임과 리프트 프레임에 결합된 리프트 조절장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대차에 적치된 배관 배관모듈의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모듈이 적치된 이동식대차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모듈을 리프팅하는 이동식대차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천정부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 설치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모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물 천정부 배관모듈은 배관(100), 배관(1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 배관(100)을 지지프레임(220)에 고정하는 배관고정부(300) 및 지지프레임(220)을 천정부(1)에 고정하는 고정프레임(210)을 포함하되, 지지프레임(220)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설프레임(400)에 의해 고정프레임(210)까지 리프팅 된다.
종래의 배관설치작업은 배관이 설치될 프레임을 현장에서 조립하고, 조립된 프레임 상에 배관을 고정하는 공정으로 많은 현장작업이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배관모듈을 이용한 배관의 시공은 선 제작된 배관모듈을 배관 형성 위치에 이동시키고, 고정시킨 후 복수의 배관모듈을 연결하여 배관설치 작업을 완료할 수 있으므로, 현장작업이 단순화되어 공사기간을 단기화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배관고정부(300)는, 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하는 배관거치부(311), 배관거치부(311)와 결합되어, 배관거치부(311)에 거치된 배관(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312)를 포함하고, 배관거치부(311) 및 덮개부(312)와 배관(100) 사이에 게재되어, 배관(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유동방지부(313)으로 구성된 제1배관고정부(3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배관고정부는 배관을 안정적으로 가로프레임(220)에 고정시켜 배관모듈의 운반, 설치 및 사용시에 배관의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배관을 둘러 결합한 유동방지부(313)로 인해 배관사용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배관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배관거치부(311)는 지지프레임(220)에 결속되는 하부플레이트(311a), 배관(100)이 거치되는 거치대(311c) 및 하부플레이트(311a)와 거치대(311c) 사이에 형성되어, 거치대(311c)가 하부플레이트(311a)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311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관거치부(311)가 지지프레임(220)에 올려져 볼트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배관거치부(311)의 결합이 용이하고, 결합공정이 빠르게 이루어진다.
배관고정부(300)는 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판부(321), 하판부(3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방진부(325), 방진부(325)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부(322), 배관(100)을 둘러 상판부(322)에 결합되어, 배관(100)을 상판부(322)에 고정하는 고정부(324) 및 배관(100)과 상판부(322) 사이에 게재되어 배관(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받침부(323)를 포함하는 제2배관고정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2배관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배관은 탄성부재로 형성된 받침부(323)에 의해 사용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배관이 받침부(323)에 올려지고 U형 고리형태의 고정부(324)에 의해 볼트 결합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배관 설치작업이 용이하다.
고정프레임(210)의 일단은 천정부(1)에 고정되고, 고정프레임(210)의 타단은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고정프레임(210)의 타단은 지지프레임(220)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관모듈의 정확한 설치위치에 하방향을 향하도록 고정프레임(210)이 먼저 천정부에 설치되고, 이후 리프팅된 지지프레임(220)을 결합하기 때문에 배관모듈의 설치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가설프레임(400)은 하부에 이동을 위한 바퀴(440)가 구비된 대차프레임(410), 대차프레임(41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지지프레임(220)과 배관(100)을 리프트 하기위한 리프트프레임(420) 및 대차프레임(410)과 리프트프레임(420)에 연결되어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트조절장치(4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설프레임(400)은 바퀴(440)와 리프트조절장치(430)가 모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배관모듈을 이동 후 바로 리프트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배관모듈을 리프팅하여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특징은 복잡한 현장내부에서 시공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장비사용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대차프레임(410)은 가로프레임(411), 가로프레임(411)과 결합하는 세로프레임(412), 가로프레임(411)과 세로프레임(412)이 복수의 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수직프레임(413) 및 리프트프레임(420)과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결합부(4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대차프레임(410)은 복수의 프레임구조로 볼트 결합되기 때문에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격자형의 층 구조로 프레임과 리프트프레임을 지지하기 때문에 현장 운영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프레임(420)의 결합이 프레임결합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대차프레임 조립 후 리프트프레임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다.
리프트프레임(420)은 한쌍의 리프트가로프레임(421), 한쌍의 리프트가로프레임(421)은 리프트수직프레임(422)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됨과 아울러, 가로프레임(411) 외측부에 설치된 프레임결합부(414)에 리프트수직프레임(422)이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리프트프레임(420)은 리프트가로프레임(421)과 리프트수직프레임(422)의 결합으로 대차프레임(410)의 측면부에 결합된 프레임결합부(414)에 삽입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리프트프레임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리프트프레임이 대차프레임의 측면부에 세워지는 구조로 결합되어 좁은 현장조건에서도 운영이 가능하다.
리프트조절장치(430)는 도르레(435)가 수납되는 몸통부(431), 몸통부(431)의 상측에 형성된 상측고리부(432), 일단이 하측고리부(434)와 결합되고, 타단은 도르레(435)를 둘러 몸통부(431) 외부로 노출된 체인(433)을 포함하며, 체인(433)의 구동에 따라 하측고리부(434)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리프트조절장치는 리프트프레임과 대차프레임에 고리결합하는 결합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체인(433)의 구동에 의해 하측고리부(343)의 높이가 변하는 구조를 취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인력으로 리프트프레임(410)을 리프팅 할 수 있다.
대차프레임(410)의 높이가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보다 더 높으며, 리프트조절장치(430)는 일단이 대차프레임(410)과 연결되고, 타단이 리프트프레임(420)과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리프트프레임(420)이 대차프레임(410)보다 높을 경우, 배관모듈(A)의 적치, 운반 및 리프팅 공정에서 배관모듈(A)의 하중을 리프트프레임(420)과 리프트조절장치(430)의 체인이 받게 된다.
그러나 대차프레임(410)의 높이가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보다 더 높은 구조를 취함으로써, 배관모듈(A)의 적치와 운반 시에는 대차프레임이 모든 하중을 지지하고, 리프팅 공정에서만 리프트프레임(420)과 리프트조절장치(430)가 하중을 받는 구조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모듈의 안전한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하측고리부(434)는 하부 리프트가로프레임(421)에 고리결합되고, 상측고리부(431)는 가로프레임(411)과 고리결합되어, 체인(433)의 구동에 따라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리프트가로프레임(421)과 가로프레임(411)에 결합하는 리프트조절장치가 고리결합하기 때문에 리프트조절장치의 결합과 해체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모듈을 이용하여 배관모듈을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모듈을 이용하여 배관모듈을 시공하는 방법은 배관(100)을 배관고정부(300)를 이용하여 지지프레임(220)에 고정하는 배관 고정단계, 지지프레임(220)을 가설프레임(400)에 적치하는 지지프레임(220) 적치단계, 가설프레임(400)을 고정프레임(210)의 하부로 운반하는 배관모듈 운반단계, 리프팅프레임(420)을 리프트조절장치(430)를 이용하여 리프팅하는 리프팅단계, 리프팅단계에서 리프팅된 지지프레임(220)을 고정프레임(210)에 고정시키는 배관모듈 고정단계로 시공된다.
이 경우, 배관(100)을 지지프레임(220)에 고정하는 배관고정단계를 지상에서 선행하기 때문에 기존 배관시공에서 발생하는 배관과 배관 고정장치의 결합을 위한 고공작업이 필요 없게 된다.
이 후, 배관모듈(A)의 운반단계, 리프팅단계 및 고정단계가 가설프레임(400)만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배관모듈(A)의 운반과 리프팅 및 고정단계의 후속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작업공간이 협소한 현장내부에 배관모듈(A)의 운반, 리프팅 및 고정을 위한 공정별 장비가 필요 없이 가설프레임 만으로 모든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현장내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배관모듈 리프팅단계는 체인(433)의 타단에 하중을 제공하여 리프트프레임(420)을 리프팅하는 단계 및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를 변화시켜 지지프레임(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리프팅을 위한 하중제공 방법이 체인의 구동만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력에 의한 시공이 가능하고 작업속도가 향상된다.
배관모듈 고정단계는 지지프레임(220)을 천장부(1)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프레임(210)의 타단에 볼트결합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관모듈의 고정단계는 모듈화 되어 있는 배관(100)과 지지프레임(220)을 리프트하여 천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프레임에 볼트결합하기 때문에 공중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 :배관모듈 1 : 건물천정부
100 : 배관 210 : 고정프레임
220 : 지지프레임 300 : 배관고정부
310 : 제1배관고정부 320 : 제2배관고정부
400 : 가설프레임 410 : 대차프레임
420 : 리프트프레임 430 : 리프트조절장치
440 : 바퀴

Claims (14)

  1. 건물 천정부(1)의 배관 시공을 위한 배관모듈(A)에 있어서,
    배관(100);
    상기 배관(10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
    상기 배관(100)을 상기 지지프레임(220)에 고정하는 배관고정부(300); 및
    상기 지지프레임(220)을 상기 천정부(1)에 고정하는 고정프레임(210);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설프레임(400)에 의해 고정프레임(210)까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부(300)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하는 배관거치부(311);
    상기 배관거치부(311)와 결합되어, 상기 배관거치부(311)에 거치된 상기 배관(1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거치부(311) 및 상기 덮개부(312)와 상기 배관(100)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배관(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유동방지부(313);으로 구성된 제1배관고정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거치부(311)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에 결속되는 하부플레이트(311a);
    상기 배관(100)이 거치되는 거치대(311c);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311a)와 상기 거치대(311c)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311c)가 상기 하부플레이트(311a)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31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고정부(300)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판부(321);
    상기 하판부(3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방진부(325);
    상기 방진부(325)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부(322);
    상기 배관(100)을 둘러 상기 상판부(322)에 결합되어, 상기 배관(100)을 상기 상판부(322)에 고정하는 고정부(324); 및
    상기 배관(100)과 상기 상판부(322) 사이에 게재되어 상기 배관(100)의 유동을 방지하는 탄성부재로 형성된 받침부(323);를 포함하는
    제2배관고정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일단은 상기 천정부(1)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타단은 하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220)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설프레임(400)은
    하부에 이동을 위한 바퀴(440)가 구비된 대차프레임(410);
    상기 대차프레임(410)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220)과 상기 배관(100)을 리프트 하기위한 리프트프레임(420); 및
    상기 대차프레임(410)과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에 연결되어 상기 리프트 프레임(4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리프트조절장치(4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프레임(410)은
    가로프레임(411);
    상기 가로프레임(411)과 결합하는 세로프레임(412);
    상기 가로프레임(411)과 상기 세로프레임(412)이 복수의 층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수직프레임(413);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420)과의 결합을 위한 프레임결합부(4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은;
    한쌍의 리프트가로프레임(421);
    상기 한쌍의 리프트가로프레임(421)은 리프트수직프레임(422)에 의해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가로프레임(411) 외측부에 설치된 상기 프레임결합부(414)에 상기 리프트수직프레임(422)이 삽입되는 구조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조절장치(430)는
    도르레(435)가 수납되는 몸통부(431);
    상기 몸통부(431)의 상측에 형성된 상측고리부(432);
    일단이 하측고리부(434)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도르레(435)를 둘러 상기 몸통부(431) 외부로 노출된 체인(433);을 포함하며,
    상기 체인(433)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하측고리부(434)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프레임(410)의 높이가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보다 더 높으며,
    상기 리프트조절장치(430)는 일단이 상기 대차프레임(4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리프트프레임(420)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고리부(434)는 하부 리프트가로프레임(421)에 고리결합되고,
    상기 상측고리부(431)는 상기 가로프레임(411)과 고리결합되어,
    상기 체인(433)의 구동에 따라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모듈.
  12. 제1항 내지 11항의 배관모듈을 이용한 배관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배관(100)을 상기 배관고정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프레임(220)에 고정하는 배관 고정단계;
    상기 지지프레임(220)을 상기 가설프레임(400)에 적치하는 지지프레임 적치단계;
    상기 가설프레임(400)을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하부로 운반하는 배관모듈 운반단계;
    상기 리프팅프레임(420)을 상기 리프트조절장치(430)를 이용하여 리프팅하는 리프팅단계;
    상기 리프팅단계에서 리프팅된 상기 지지프레임(220)을 상기 고정프레임(210)에 고정시키는 배관모듈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모듈 리프팅단계는,
    상기 체인(433)의 타단에 하중을 제공하여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을 리프팅하는 단계; 및
    상기 리프트프레임(420)의 높이를 변화시켜 상기 지지프레임(22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모듈 고정단계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을 상기 천장부(1)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고정프레임(210)의 타단에 볼트결합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시공 방법.
KR1020150089308A 2015-06-23 2015-06-23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 KR101826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308A KR101826010B1 (ko) 2015-06-23 2015-06-23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308A KR101826010B1 (ko) 2015-06-23 2015-06-23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275A true KR20170000275A (ko) 2017-01-02
KR101826010B1 KR101826010B1 (ko) 2018-02-06

Family

ID=5781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308A KR101826010B1 (ko) 2015-06-23 2015-06-23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0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97215A (zh) * 2018-11-22 2019-03-01 中建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模块化管组可调节固定支架加工工作台及其施工方法
KR101980304B1 (ko) * 2018-08-31 2019-05-20 (주)케이씨이앤씨 배관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CN110193711A (zh) * 2019-06-12 2019-09-03 宁波中淳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管模自动校正平移装置
KR20200036185A (ko) * 2018-09-28 2020-04-07 손영혁 공장 내 파이프 설치 장치
KR102105347B1 (ko) * 2019-12-31 2020-04-28 최종주 가설 비계
CN116354283A (zh) * 2023-02-02 2023-06-30 济南迈克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支路管道水控减压阀安装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581B1 (ko) * 2018-06-29 2020-08-20 오영래 배관정렬 모듈구조물을 설치현장에 설치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291Y1 (ko) * 2002-03-08 2002-06-01 (주)신성엔지니어링 지중에 설치하는 지역난방용 열배관 보호 장치
JP4727136B2 (ja) * 2003-08-06 2011-07-20 株式会社関電工 架台への重量物収納又は取り出し方法及びこれらに使用する重量物据付冶具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304B1 (ko) * 2018-08-31 2019-05-20 (주)케이씨이앤씨 배관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시공 방법
KR20200036185A (ko) * 2018-09-28 2020-04-07 손영혁 공장 내 파이프 설치 장치
CN109397215A (zh) * 2018-11-22 2019-03-01 中建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模块化管组可调节固定支架加工工作台及其施工方法
CN110193711A (zh) * 2019-06-12 2019-09-03 宁波中淳高科股份有限公司 一种管模自动校正平移装置
KR102105347B1 (ko) * 2019-12-31 2020-04-28 최종주 가설 비계
CN116354283A (zh) * 2023-02-02 2023-06-30 济南迈克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支路管道水控减压阀安装装置
CN116354283B (zh) * 2023-02-02 2023-10-20 济南迈克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支路管道水控减压阀安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010B1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010B1 (ko)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
KR101691489B1 (ko) 배관모듈 및 배관모듈의 설치방법
JP6231666B2 (ja) 太陽光発電プラント施工法
KR101852773B1 (ko) 오토 왜건 장치, 상기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02184747B (zh) 一种模块化钢制安全壳环吊梁及其组装方法
JP2012246142A (ja) 支持体、モジュール、人間/物品を移動させるための輸送システム、および人間/物品の輸送システムの改造方法
KR101969628B1 (ko) 지지 구조물 모듈을 갖는 오버헤드 운반 장치
CN201190065Y (zh) 电梯对重绳轮安装组件
KR200476339Y1 (ko) 그레이팅 설치용 인양장치
KR100894944B1 (ko) 기판 조립 장치의 반송 지그와 반송 방법
CN104612391A (zh) 用于高层建筑的防护施工平台
KR101915982B1 (ko) 가변높이 구조를 가진 크린룸용 조립식 시스템 천장
KR101437101B1 (ko) 원자력 발전소 비상 디젤엔진 발전기의 메인베어링 정비용 인양장비 및 그 인양방법
KR102367030B1 (ko) 대형 덕트 이송유닛, 대형 덕트 설치 장치 및 대형 덕트 설치 방법
KR102080275B1 (ko) 건물 내에 기계적 및 전기적 모듈식 조립체 유닛을 설치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H09229304A (ja) タワー型ボイラプラントの建設工法
SG193697A1 (en) Passenger conveyer
KR20160137126A (ko) 송전철탑 상향 장치 및 공법
CN215981153U (zh) 装配式管线模组固定、运输及承载一体化装置
JP2001304785A (ja) 横形熱交換器の据付工法
CN208216872U (zh) 一种运输圆管的自动导引运输车
JP5761595B2 (ja) モジュール構造物、モジュール工法
KR101722574B1 (ko) 입상배관 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KR20200124422A (ko) 스트랜드 잭을 이용한 모듈 양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고하중 모듈의 지하층 반입 방법
CN204705482U (zh) 一种耦合器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