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0196U -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 Google Patents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0196U
KR20170000196U KR2020150004526U KR20150004526U KR20170000196U KR 20170000196 U KR20170000196 U KR 20170000196U KR 2020150004526 U KR2020150004526 U KR 2020150004526U KR 20150004526 U KR20150004526 U KR 20150004526U KR 20170000196 U KR20170000196 U KR 201700001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water
wall
plant cultivation
je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293Y1 (ko
Inventor
신성순
Original Assignee
신성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순 filed Critical 신성순
Priority to KR2020150004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93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1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물재배를 위한 분수 호스에 관한 것으로, 호스(100)의 내부 공간(104)의 물을 호스(100)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분출구(110)의 내벽(112)에 상기 분출구(110)의 내벽(112)으로부터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이 다수 개가 분포하도록 분출구가 형성된다. 따라서 호스의 내부 공간에서 분출구로 유입된 물이 타공시 잔여물에 의하여 충돌 및 간섭이 일어나 넓은 범위에서 분산되어 호스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되는 효과가 생긴다.

Description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Sprinkl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with Burr Formed Discharge Hole}
본 고안은 관수 호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물재배를 위한 분수 호스에 관한 것이다.
분수 호스는 분출구 직경을 약 0.3mm 내지 1mm 정도로 구성하여 분출구로부터 안개나 보슬비같이 물을 관수하는 호스이다. 관엽 식물과 같이 잎이 큰 식물은 넓은 잎에 물을 고르게 분무시켜주어야 하므로 일반적으로 분수 호스를 이용하여 관수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51094호에 분수 호스의 하나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넓은 공간에 스프링쿨러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관수할 수도 있으나, 이는 실제로 회전움직임을 갖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호스의 분출구마다 이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비경제적이다.
상기 종래의 구성에 따른 분수 호스에 의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구를 통하여 호스 내부의 물이 외부로 직선적으로 분출되어 지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호스의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물이 낙하하여 지면에 도착하기까지 물줄기의 분산 효과가 매우 낮기 때문에 넓은 공간에 분포되어 있는 식물에 골고루 물을 뿌리기 위해서는 분출구의 개수를 증가시키거나 분출구의 직경을 좁게 구성해야 한다.
그런데 분출구의 개수가 증가하는 경우, 일정한 길이를 갖는 호스에서 물이 분출구를 통과하는 수압이 분출구를 따라 물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수압이 약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식물에 물 공급을 고르게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편, 분출구의 직경을 좁게 구성하는 경우에는 분출된 물이 식물에 도달하는 거리가 짧아 식물 전체에 물을 공급할 수 없거나 분출구가 이물질에 의하여 쉽게 막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분수 호스에 있어서, 분출구의 개수를 늘이지 않고 또한 분출구의 직경도 좁히지 않으면서 넓은 범위에 물을 고르게 분사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분수 호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51094호 (2004.05.22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의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물의 분사범위를 확대하기 위하여 분출구 타공시에 잔여물을 의도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물줄기 사이에 충돌 및 간섭을 일으키도록 구성된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는 호스(100)의 내부 공간(104)의 물을 호스(100)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분출구(110)의 내벽(112)에 상기 분출구(110)의 내벽(112)으로부터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이 다수 개가 분포하도록 분출구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출구(110)는 원형 또는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의 적어도 2개 이상은 상기 내벽(112)으로부터 연장된 길이가 상기 분출구(110)의 장폭의 1/5 내지 1/2 사이에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상기 호스(100)의 외면(103)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에 인접한 영역에 분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과 상기 내벽(112)의 높이의 1/3 사이에 분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에 의하면, 호스의 내부 공간에서 분출구로 유입된 물이 타공시 잔여물에 의하여 충돌 및 간섭이 일어나 분산되어 호스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되는 효과가 생긴다. 따라서 분출구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용수의 분사범위를 최대화하여 각각의 분출구에서 분출되는 물줄기의 수압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물 입자의 직경이 작고 고르게 분산되어 식물에 낙하할 때에 식물에 물의 하중에 의한 충격을 주지 않고 식물의 잎에 고르게 관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두 가지의 실시 예에 따른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의 분출구 부분을 직사각형으로 절개한 부분 절개도;
도 2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의 분출구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a) 및 평면도(b);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호스의 분출구 부분(a)을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의 분출구 부분(b)과 비교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의 분출구의 실제 사진; 및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호스의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물줄기(a)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분수 호스의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는 물줄기(b)를 대비하여 나타낸 실제 사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호스(100)는 일반적인 연성 고무 재질의 합성수지와 같이, 호스의 내부 공간으로 용수가 채워지면 팽창하여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로서 적절하게 기능하기 위하여 팽창시의 직경은 약 30 내지 50mm 정도가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두 가지의 실시 예에 따른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의 분출구 부분을 직사각형으로 절개한 부분 절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는 분출구의 내벽을 따라 소정의 개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분출구의 내벽에 형성할 수도 있으나, 타공펀치 등의 타공수단을 이용한 분출구의 타공시 타공수단의 말단 타공부에 소정의 형태 변형을 가하여 타공수단이 완전히 호스 기재를 완전히 눌렀을 때에도 호스 기재의 말단부에 일부 뚫리지 않은 잔여물(Burr)이 남도록 형성하는 것이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일 것이다. 실제의 타공시의 잔여물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분출구의 형태를 원형으로 타공한 경우 분출구 내벽에 잔여물이 형성된 모습이고, 도 4(b)는 분출구의 형태를 삼각형으로 타공한 경우 분출구 내벽에 잔여물이 형성된 모습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타공시 잔여물은 호스의 두께보다 훨씬 가늘게 형성되어 분출구를 통하여 호스 내부 공간의 물이 외부로 분출되는 수압에 의하여 어느 정도 휘어지거나 떨리게 된다. 이러한 휘어짐과 떨림 현상은 물줄기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효과를 주어 서로 충돌되는 물줄기의 분산 효과를 더 강화시키게 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분출구(110)의 형태는 원형 또는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분출구를 원형이나 삼각형으로 제작하는 것이 제조가 단순하면서도 잔여물(120)과 함께 형성될 때에 원하는 분출구(110)의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수 호스는 호스(100)의 내부 공간(104)의 물을 호스(100)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분출구(110)의 내벽(112)에 상기 분출구(110)의 내벽(112)으로부터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이 다수 개가 분포하도록 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분출구의 내벽(112)에 대하여 분출구의 중심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도록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의미 있는 길이를 갖는 잔여물로서 3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복수의 다양한 형태의 잔여물들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줄기의 충돌 및 간섭에 의한 분산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의 적어도 2개 이상은 상기 내벽(112)으로부터 연장된 길이(l)가 상기 분출구(110)의 장폭(L)의 1/5 내지 1/2 사이에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범위에 있는 타공시의 잔여물(120)의 개수는 5개 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 많은 개수의 잔여물의 형성은 분출구를 통한 물의 분출을 막게 되어 효과적인 충돌 및 간섭에 의한 분산 효과를 상쇄시키게 될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도 2(a)를 참조하면,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이 호스의 두께보다 매우 가늘게 형성되고, 또한 호스(100)의 외면(103)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에 인접한 영역에 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포는 분출구(110) 내에서 물줄기의 충돌 및 간섭이 일어나서 분출구(110) 내에서 분산 효과가 발생하여 호스의 외부 공간으로 물이 넓게 분산되어 분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호스의 내부 공간에서 어떠한 충돌도 없던 물이 잔여물(120)을 거쳐 분출구(110)로 진입하면서 물의 진행 방향이 비틀리면서 분출구(110) 내에서 충돌 및 간섭을 일으키게 되고 이러한 충돌 및 간섭에 의하여 분출구(110)를 벗어나자마자 매우 넓게 분산되어 분출될 수 있다. 도 3(b)에 이러한 물줄기의 충돌 및 간섭 현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종래의 호스의 분출구 구조인 도 3(a)와 비교하여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분산범위가 매우 확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 중에서 물줄기의 충돌 및 간섭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이의 잔여물은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과 상기 내벽(112)의 높이의 1/3 사이에 분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종래의 호스와 본 고안에 따른 호스의 분출구에서 물이 분출되는 모습을 대비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분수 호스에서 물의 분사범위가 매우 확장되어 물이 분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호스에서와 같이 분사범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호스에 분출구의 개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고, 분출구의 개수가 줄어들면 긴 호스의 길이를 따라 분포하는 모든 분출구에서 거의 유사한 크기의 수압으로 물이 분출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식물에 관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출되는 물은 충돌 영역에서의 충돌에 의하여 충분히 분산되어 분출구를 통과하면서부터 입자가 매우 미세하고 고르게 형성되어 식물에 낙하하면서 식물의 잎에 충격을 주어 잎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호스 101: 호스의 내면
103: 호스의 외면 104: 호스의 내부 공간
110: 분출구 112: 분출구의 내벽
120: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

Claims (5)

  1. 호스(100)의 내부 공간(104)의 물을 호스(100)의 외부 공간으로 분출하기 위하여 상기 호스(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분출구(110)의 내벽(112)에 상기 분출구(110)의 내벽(112)으로부터 적어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이 다수 개가 분포하도록 분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110)는 원형 또는 정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의 적어도 2개 이상은 상기 내벽(112)으로부터 연장된 길이가 상기 분출구(110)의 장폭의 1/5 내지 1/2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상기 호스(100)의 외면(103)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에 인접한 영역에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출구 타공시의 잔여물(120)은 상기 호스(100)의 내면(101)과 상기 내벽(112)의 높이의 1/3 사이에 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KR2020150004526U 2015-07-06 2015-07-06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KR2004872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526U KR200487293Y1 (ko) 2015-07-06 2015-07-06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526U KR200487293Y1 (ko) 2015-07-06 2015-07-06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883U Division KR20170000208U (ko) 2016-11-28 2016-11-28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196U true KR20170000196U (ko) 2017-01-16
KR200487293Y1 KR200487293Y1 (ko) 2018-08-30

Family

ID=5796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526U KR200487293Y1 (ko) 2015-07-06 2015-07-06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93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6856U (ja) * 1983-04-21 1984-11-08 根立 和良 潅水装置
KR200351094Y1 (ko) 2004-03-03 2004-05-22 신광순 농작물 급수용 분수호스 분출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6856U (ja) * 1983-04-21 1984-11-08 根立 和良 潅水装置
KR200351094Y1 (ko) 2004-03-03 2004-05-22 신광순 농작물 급수용 분수호스 분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293Y1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546Y1 (ko) 식물재배용 회전 분출식 분수 호스
KR200478547Y1 (ko) 띠형 회전 분출식 관수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CA2623056C (en) Multiple discharge orifice spray nozzle
KR101665289B1 (ko)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스피드 스프레이어용 분사노즐
CA2571066A1 (en) Spray nozzle for a dishwasher
USRE30003E (en) Low drift spray method
EP2374545A3 (en) Irrigation sprinkler nozzle
KR101998977B1 (ko) 방사형 격벽 구조의 점적 호스
KR101880552B1 (ko) 분무기용 분사노즐
US3593920A (en) Spray head
US20190381521A1 (en) Rotating ejection type oozing hose for plant cultivation
KR200487293Y1 (ko)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KR20170000208U (ko) 타공시 잔여물이 형성된 분출구를 갖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KR101804680B1 (ko)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
CN201049322Y (zh) 一种水性涂料喷涂喷头
US3948444A (en) Low drift spray method
KR200479367Y1 (ko) 관수 호스
KR200465869Y1 (ko) 물뿌리개
KR101981495B1 (ko) 포그 드립
CN202290357U (zh) 一种螺旋式卤水喷淋装置
RU2794357C1 (ru) Дождевальная дефлекторная насадка
JP2002320878A (ja) 散水ヘッド
JP7378860B1 (ja) 散水ホース
KR20230168372A (ko) 분출 거리가 확대된 용수도관
CN217067496U (zh) 水幕式喷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754;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7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29

Effective date: 201807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