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387A - 날개 내장형 선풍기 - Google Patents
날개 내장형 선풍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50387A KR20160150387A KR1020150088289A KR20150088289A KR20160150387A KR 20160150387 A KR20160150387 A KR 20160150387A KR 1020150088289 A KR1020150088289 A KR 1020150088289A KR 20150088289 A KR20150088289 A KR 20150088289A KR 20160150387 A KR20160150387 A KR 201601503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wing
- fan
- coil
- wind
- blowing pip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712 Air Sac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30 cognitive 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563—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02—Air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관을 일측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고, 송풍관의 하단 일측 내부에 송풍날개를 설치하여 송풍날개가 외부와 접촉되게 않게 함으로써, 회전하는 송풍날개에 사람이나 물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송풍날개에 의해 사람이나 물건이 다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날개 내장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관에 탈착 가능하게 히팅수단과 쿨링수단을 설치할 수 있어 냉방과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날개 내장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관에 탈착 가능하게 히팅수단과 쿨링수단을 설치할 수 있어 냉방과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날개 내장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날개 내장형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송풍관을 일측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고, 송풍관의 하단 일측 내부에 송풍날개를 설치하여 송풍날개가 외부와 접촉되게 않게 함으로써, 회전하는 송풍날개에 사람이나 물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송풍날개에 의해 사람이나 물건이 다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날개 내장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송풍관에 탈착 가능하게 히팅수단과 쿨링수단을 설치할 수 있어 냉방과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날개 내장형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전자 및 기계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냉난방 장치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냉난방 장치들 중 비교적 구입에 저렴하고, 소비전력이 적은 냉방 장치로 선풍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날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풍기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함에 의해 송풍날개를 강풍, 중풍, 약풍, 초미풍 등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렇게 고속으로 회전하는 송풍날개가 외부의 사람이나 물건과 접촉되지 않도록 송풍날개를 금속망으로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금속망은 송풍날개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이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절선을 배열하여 이루어져 있고, 그 간격은 사람의 손가락이나 외부 물질(예 젓가락 등)이 금속망과 보호망을 통과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인지 능력이 떨어진 어린이(또는 노인 등)이 손가락을 넣으면서 사고의 위험성이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선풍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특허문헌 1 내지 2의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모터의 회전축에 날개가 조립될 때 날개의 중앙 축공으로 클러치 베어링이 장착되고, 클러치 베어링의 내경으로 회전축이 끼워지도록 조립하여, 회전하는 날개에 어린이의 손이 끼워질 때 모터의 구동력이 차단됨과 함께 급정지하게 되어 어린이의 손을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가진 선풍기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날개가 설치되는 회전축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동모터부;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부; 물체가 날개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센서부로부터 물체 접근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구동부를 구동 정지시키고, 브레이크부를 구동 제어하여 회전축을 회전 정지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장치를 구비한 선풍기는 실질적으로 선풍기에 인체나 물건이 접촉되었을 때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날개를 정지시키는 것으로 사후 처리 방법으로 사전에 미리 방지할 수 없어 유아의 경우, 접촉과 동시에 정지되는 선풍기에 의해 놀랄 수 있고, 신호의 오류 등이 발생할 경우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회전하는 날개가 없는 선풍기가 있으며 그 일예로 특허문헌 3이 있다. 이는 수직으로 세워진 송풍관의 하단에 임펠러를 설치하여 날개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 선풍기이다.
이러한 특허문헌 3의 선풍기는 임펠러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임펠러에 외부의 물건이나 사람이 접촉되지 않아 안전성은 높으나 송풍량에 한계가 있어 충분한 냉방을 할 수 없다.
또한 냉방용으로만 사용되는 것으로 난방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송풍관을 일측 상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고, 송풍관의 하단 일측 내부에 송풍날개를 설치하여 송풍날개가 외부와 접촉되게 않게 함으로써, 회전하는 송풍날개에 사람이나 물건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송풍날개에 의해 사람이나 물건이 다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 날개 내장형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송풍관에 탈착 가능하게 히팅수단과 쿨링수단을 설치할 수 있어 냉방과 난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날개 내장형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날개 내장형 선풍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날개를 구비한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날개는 일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단에 배출구가 형성된 송풍관의 하단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송풍날개와 접촉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관의 배출구에는 송풍된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바람이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판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관의 일측에는 코일탈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탈착홀에는 히팅코일과 쿨링코일(냉수관)이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는 송풍날개가 송풍관의 하단 일측에 설치되어 송풍관에 의해 가려짐으로 송풍날개에 외부의 물건이나 사람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송풍관의 방향을 수직상방이 아닌 측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하단에 설치된 송풍날개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이 측방으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송풍관의 일측에 코일탈착홀을 형성하고, 히팅코일 또는 쿨링코일(냉수관)을 선택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의 일예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의 일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의 다른 일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에 설치되는 히팅코일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송풍관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에 설치되는 쿨링코일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송풍관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의 일예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의 다른 일예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에 설치되는 히팅코일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송풍관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에 설치되는 쿨링코일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송풍관의 정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날개 내장형 선풍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날개(20)를 포함하는 선풍기에 있어, 송풍날개(20)를 일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송풍관(30)의 하단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송풍날개와 접촉되지 않게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선풍기는 송풍날개(20)가 송풍관(30)의 안쪽에 설치됨으로, 사용자나 인근의 물건이 선풍기의 배출구에 접촉되어도 송풍날개에 의해 손상되거나 다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송풍날개(20)와 모터(10)는 통상적의 선풍기에 설치된 것과 동일 유사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풍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된 받침판(90)에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여 송풍날개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당연하다.
상기 송풍관(30)은 송풍날개(20)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을 일정한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관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날개(20)로부터 배출구(30o)를 향하며 일방향으로 기울어져 경사를 이루고 있으며, 이 경사각은 받침판(90)에 대하여 30 내지 80 도 각도가 바람직하다.
물론, 송풍관(30)의 배출구(30o)는 수평으로 바람을 배출시킬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송풍관(30)의 기울기가 30도 이하가 되면 수평으로 누운 상태가 되어 선풍기 자체의 규형이 쉽게 흐트러질 수 있고, 80도 이상이 되면, 송풍날개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의 방향과 송풍관의 방향 사이의 각이 커져 바람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많은 저항을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방위 내에서 송풍관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관(30)의 배출구(30o)에는 송풍된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바람이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판(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배축구의 내주면에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풍향조절판을 설치하여 송풍날개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에 의해 풍향조절판이 스스로 회전하여 바람의 방향이 바뀌게 한 것이다. 즉, 풍향조절판은 배출구와 소정의 각을 이루는 다수의 판 사이에 구멍을 형성하여, 송풍되는 바람이 판에 부딪히면 풍향조절판 자체가 회전함과 동시에 판들 사이의 구멍을 통해 바람이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판은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관(30)의 배출구(30o)에 수직 조절판(30h)와 수평조절판(31v)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송풍관(30)의 일측에는 코일탈착홀(30c)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탈착홀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팅코일(40)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히팅코일(4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관(30)를 가로질러 설치되고,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함에 의해 송풍날개(20)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이 가열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열기구 이다.
상기 히팅코일(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틀의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40p)의 내부에 다수의 전열선(40c)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송풍관(30)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홈(30g)에 프레임(40p)을 끼워 삽입하여 송풍관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히팅코일(40)은 전기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으로 송풍관의 일측에 전선을 매설하고, 코일탈착홀(30c)의 일측에 단자를 설치하며, 이 단자와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히팅코일의 프레임(40p)의 일측에 설치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프레임(40p)을 코일탈착홀(30c)에 끼워 넣으면, 송풍관의 단자와 프레임의 접속단자가 자동으로 접속되게 할 수 있으며, 받침판(90)에는 상기 히팅코일(4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히팅코일(40)의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관(30)의 일측에는 코일탈착홀(30c)에는 냉수가 순환하는 쿨링코일(50)을 탈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쿨링코일(5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시 사각 틀의 형상을 갖는 프레임(50p)의 내부에 다수의 유로관(50c)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으로, 송풍관(30)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홈(30g)에 프레임(40p)을 끼워 삽입하여 송풍관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쿨링코일(50)은 유로관(50c)의 내부에 차가운 냉수를 순환시켜 송풍날개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냉각시켜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쿨링코일(50)을 구성하는 프레임(50p) 중 일부는 중공을 이루어 물탱크(50t)의 역할을 하며, 이 물탱크(50t)의 일측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홀(50i)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급수홀의 일측에 출수홀을 형성하여 외부의 물이 유로관(50c)을 순환하게 할 수도 있다.
10: 모터
20: 송풍날개
30: 송풍관
30o: 배출구 30c: 코일탈착홀
31: 풍향조절판
40: 히팅코일
40p: 프레임
40c: 전열선
50: 쿨링코일
50p: 프레임
50c: 유로관
60: 이물질차단망
90: 받침판
20: 송풍날개
30: 송풍관
30o: 배출구 30c: 코일탈착홀
31: 풍향조절판
40: 히팅코일
40p: 프레임
40c: 전열선
50: 쿨링코일
50p: 프레임
50c: 유로관
60: 이물질차단망
90: 받침판
Claims (6)
- 모터(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날개(20)를 구비한 선풍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날개(20)는 일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단에 배출구(30o)가 형성된 송풍관(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송풍날개와 접촉되지 않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내장형 선풍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30)의 배출구에는 송풍된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바람이 배출되는 방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판(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내장형 선풍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30)의 일측에는 코일탈착홀(30c)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탈착홀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히팅코일(4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내장형 선풍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관(30)의 일측에는 코일탈착홀(30c)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탈착홀에는 냉수가 순환하는쿨링코일(50)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내장형 선풍기. - 제1항에 있어서,
풍향조절판은 송풍관(30)의 배출구(30o)에 수직 조절판(31h)와 수평조절판(31v)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내장형 선풍기. - 제1항에 있어서,
송풍관(30)은 금속 반사판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개 내장형 선풍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289A KR20160150387A (ko) | 2015-06-22 | 2015-06-22 | 날개 내장형 선풍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8289A KR20160150387A (ko) | 2015-06-22 | 2015-06-22 | 날개 내장형 선풍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50387A true KR20160150387A (ko) | 2016-12-30 |
Family
ID=5773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8289A KR20160150387A (ko) | 2015-06-22 | 2015-06-22 | 날개 내장형 선풍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50387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92109A (zh) * | 2020-04-22 | 2020-09-22 | 嘉兴宏欣汽车零部件有限公司 | 一种散热器风扇用导风板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4551A (ko) | 2000-03-31 | 2001-11-01 | 이계안 |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시트 경사각 조절장치 |
KR20090001780A (ko) | 2007-05-21 | 2009-01-09 | 김태훈 | 일반전화기,휴대폰,화상전화기,인터넷폰등을 이용한전화공포증등의 치료방법 |
KR101472759B1 (ko) | 2014-02-07 | 2014-12-15 | 이광식 | 날개 없는 선풍기 |
-
2015
- 2015-06-22 KR KR1020150088289A patent/KR2016015038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94551A (ko) | 2000-03-31 | 2001-11-01 | 이계안 |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시트 경사각 조절장치 |
KR20090001780A (ko) | 2007-05-21 | 2009-01-09 | 김태훈 | 일반전화기,휴대폰,화상전화기,인터넷폰등을 이용한전화공포증등의 치료방법 |
KR101472759B1 (ko) | 2014-02-07 | 2014-12-15 | 이광식 | 날개 없는 선풍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692109A (zh) * | 2020-04-22 | 2020-09-22 | 嘉兴宏欣汽车零部件有限公司 | 一种散热器风扇用导风板 |
CN111692109B (zh) * | 2020-04-22 | 2021-08-10 | 佛山市顺德区三元电器有限公司 | 一种散热器风扇用导风板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04580B1 (en) | Centrifugal ceiling fan | |
CA2872346C (en) | Electric fan | |
US10605249B2 (en) | Blower | |
KR20130138920A (ko) | 통기구를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은닉 날개 선풍기 또는 송풍기 | |
KR20160150387A (ko) | 날개 내장형 선풍기 | |
EP2921796B1 (en) | Heating unit with radiator and thermoconvector | |
JP5915958B2 (ja) | 気流拡散装置(拡散扇)及び空気調和機 | |
CA2322572C (en) | Air circulating fan | |
KR20120001065U (ko) | 천장형 에어컨 바람 가이드 | |
WO2013155678A1 (zh) | 涡旋气流式吸油烟机 | |
KR200433894Y1 (ko) | 틸팅회전선풍기구조 | |
KR200442152Y1 (ko) | 온풍 겸용 선풍기 | |
CN201748645U (zh) | 暖风机内出暖风风道结构 | |
CN210118829U (zh) | 空调室内机及空调器 | |
JP2011144776A (ja) | 天井扇 | |
KR20150135829A (ko) | 선풍기 | |
KR200458624Y1 (ko) | 양돈축사용 환기장치. | |
CN205902980U (zh) | 一种防进发自动电吹风 | |
KR20200117418A (ko) | 다방향 송풍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 |
CN204853950U (zh) | 取暖换气扇 | |
CN204756999U (zh) | 风速控制装置 | |
CN107630341B (zh) | 加热检测装置、风机及衣物处理装置 | |
CN206281037U (zh) | 一种家用取暖器 | |
CN207761973U (zh) | 一种横流风机 | |
CN213119275U (zh) | 一种便于安装使用的集成式浴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