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188A -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188A
KR20160150188A KR1020150086946A KR20150086946A KR20160150188A KR 20160150188 A KR20160150188 A KR 20160150188A KR 1020150086946 A KR1020150086946 A KR 1020150086946A KR 20150086946 A KR20150086946 A KR 20150086946A KR 20160150188 A KR20160150188 A KR 20160150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rolling
weight
hot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창
김대현
이철원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50188A/ko
Publication of KR2016015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00Rolling materials of special alloys so far as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requires or permits special rolling methods or sequences ; Rolling of aluminium, copper, zinc or other non-ferrous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05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형강 제조방법은 탄소(C), 실리콘(Si), 망간(Mn), 인(P), 황(S), 알루미늄(Al), 바나듐(V), 니오븀(Nb), 티타늄(Ti), 질소(N),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형강소재를 재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재가열된 형강소재를 압연 종료 온도 820℃~860℃에서 열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SHAPE STE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 압연을 통한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이 고층화 및 대형화 되어감에 따라, 높은 설계 기준 강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기능성의 강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건축구조용 강재는 고강도, 저항복비 및 우수한 저온 충격인성 등이 요구된다.
상기 건축구조용 강재에는 H 형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H 형강은 이러한 H 형강(H-Beam)은 두 개의 수평재인 플랜지(flange)와 한 개의 수직재인 웨브(web)로 구성된 압연 형강재이다. 이러한 H 형강은 플랜지의 외부와 내부를 일정한 두께로 유지하므로 단면성능이 우수하고 단면의 조합 및 접합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95373호(2007.09.28. 공개, 발명의 명칭: 내지연 파괴특성이 우수한 고장력 강재 및 그 제조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성 및 인성이 우수한 형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온충격특성이 우수한 형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형강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며, 부위별 재질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형강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형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형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형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형강 제조방법은 탄소(C) 0.10~0.25 중량%, 실리콘(Si) 0.15~0.40 중량%, 망간(Mn) 1.0~1.6 중량%, 인(P) 0.001~0.025 중량%, 황(S) 0.001~0.025 중량%, 알루미늄(Al) 0.001~0.055 중량%, 바나듐(V) 0.001~0.1 중량%, 니오븀(Nb) 0.01~0.05 중량%, 티타늄(Ti) 0.005~0.03 중량%, 질소(N) 0.0001~0.012 중량%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형강소재를 재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재가열된 형강소재를 압연 종료 온도 820℃~860℃에서 열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간 압연시 상기 형강소재의 미재결정 영역에서 누적 압하량이 30%~60% 범위가 되도록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압연시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15mm 이하인 경우 2.5~3.0m/s의 속도로 압연하고,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15mm 초과~25mm 이하인 경우 2.0~2.7m/s의 속도로 압연하고, 그리고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25mm 초과인 경우 1.5~2.3m/s의 속도로 압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재가열은 1150~1280℃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압연시 압연 시작 온도는 1030℃~10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형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형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형강은 탄소(C) 0.10~0.25 중량%, 실리콘(Si) 0.15~0.40 중량%, 망간(Mn) 1.0~1.6 중량%, 인(P) 0.001~0.025 중량%, 황(S) 0.001~0.025 중량%, 알루미늄(Al) 0.001~0.055 중량%, 바나듐(V) 0.001~0.1 중량%, 니오븀(Nb) 0.01~0.05 중량%, 티타늄(Ti) 0.005~0.03 중량%, 질소(N) 0.0001~0.012 중량%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형강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TS)는 570 MPa 이상이고, 항복강도(yield strength, YS)는 400 MPa 이상이며, 연신율(Elongation, El)은 24% 이상이고, -5℃에서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가 100J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형강은 형상 변형이 최소화되며, 부위별 재질 편차가 적고, 강성 및 인성이 우수하며, 저온충격특성이 우수하여 건축 구조물에 사용되기 적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형강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형강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형강 제조방법은 (a) 형강소재 재가열 단계; 및 (b) 열간 압연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형강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형강 제조방법은 탄소(C) 0.10~0.25 중량%, 실리콘(Si) 0.15~0.40 중량%, 망간(Mn) 1.0~1.6 중량%, 인(P) 0.001~0.025 중량%, 황(S) 0.001~0.025 중량%, 알루미늄(Al) 0.001~0.055 중량%, 바나듐(V) 0.001~0.1 중량%, 니오븀(Nb) 0.01~0.05 중량%, 티타늄(Ti) 0.005~0.03 중량%, 질소(N) 0.0001~0.012 중량%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형강소재를 재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재가열된 형강소재를 압연 종료 온도 820℃~860℃에서 열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형강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a) 형강소재 재가열 단계
상기 단계는 형강소재를 재가열하는 단계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형강소재는 H-형강을 제조하기 위한 빔 블랭크(beam blank)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형강 소재로 전기로 제강공정으로 제조된 용강을 정련공정을 거쳐 연속주조 공정에 의해 빔 블랭크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형강소재는 탄소(C) 0.10~0.25 중량%, 실리콘(Si) 0.15~0.40 중량%, 망간(Mn) 1.0~1.6 중량%, 인(P) 0.001~0.025 중량%, 황(S) 0.001~0.025 중량%, 알루미늄(Al) 0.001~0.055 중량%, 바나듐(V) 0.001~0.1 중량%, 니오븀(Nb) 0.01~0.05 중량%, 티타늄(Ti) 0.005~0.03 중량%, 질소(N) 0.0001~0.012 중량%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상기 탄소(C)는 본 발명의 소재 강도 향상을 위해 포함된다. 상기 탄소는 상기 형강소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10~0.25 중량% 포함된다. 상기 탄소를 0.10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강도가 저하되며, 0.2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강도 증가에 따른 연성 및 플랜지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13~0.2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Si)은 고용강화 및 탈산을 위해 첨가되는 원소로 상기 탄소의 활성도를 높이고 고온에서 페라이트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실리콘은 상기 형강소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15~0.40 중량% 포함된다. 상기 실리콘을 0.15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페라이트의 강도가 감소하고 산화, 탄화 개재물 억제효과가 감소하며, 0.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적스케일로 인한 표면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8~0.4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망간(Mn)은 강도와 인성을 향상시키며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안정화시켜 소입성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망간은 상기 형강소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1.0~1.6 중량% 포함된다. 상기 망간을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고온에서 펄라이트의 생성이 쉬워져 강도 및 연성이 저하되기 쉽고, 1.6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가공성이 저하되고, 비금속개재물의 양을 증가시키고 편석도를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1.1~1.6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인(P)은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인은 상기 형강소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1~0.025 중량% 포함된다. 상기 인이 0.001 중량% 미만 포함되는 경우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0.02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가공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용접성도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003~0.0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황(S)은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원소이며, 상기 황은 상기 형강소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1~0.025 중량% 포함된다. 상기 황이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석출물의 수가 지나치게 적으며, 상기 황이 0.02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에는 고용된 황의 함량이 너무 많아 연성 및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003~0.02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Al)은 강에 포함된 산을 제거하는 탈산효과와 함꼐 질소와 결합하여 질화물(AlN)을 미세 석출하여 고용강화 및 결정립 미세화 효과를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알루미늄은 상기 형강소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1~0.055 중량% 포함된다. 상기 알루미늄이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탈산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알루미늄이 0.05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충격 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001~0.0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나듐(V)은 재가열과 열간압연시 오스테나이트 입계의 이동을 방해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미세화되도록 하고, 상변태시 오스테나이트 입계에서의 핵생성을 억제하여 경화능을 높이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바나듐은 상기 형강소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1~0.1 중량% 포함된다. 상기 바나듐이 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그 효과가 미비하고, 0.1 중량% 초과하여 포함시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003~0.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니오븀(Nb)은 고온에서 탄소(C) 및 질소(N)와 결합하여 탄화물 또는 질화물을 형성한다. 니오븀계 탄화물 또는 질화물은 압연시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여 결정립을 미세화시킴으로써 강의 강도와 저온인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니오븀은 상기 형강소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01~0.05 중량% 포함된다. 상기 니오븀을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저온 인성 향상효과 및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니오븀을 0.0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충격인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015~0.05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티타늄(Ti)은 재가열시 탄화물을 형성하여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여, 강의 조직을 미세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티타늄 상기 형강소재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5~0.03 중량% 포함된다. 상기 티타늄이 0.005 중량% 미만 포함시 미세화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티타늄이 0.03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탄화계 석출물이 조대해져 결정립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저하된다. 예를 들면 0.008~0.03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질소(N)는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AlN 및 TiN 등의 개재물을 형성시켜 강 내부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질소는 상기 형강소재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01~0.012 중량% 포함된다. 상기 질소를 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시 질소의 함량을 극소량으로 제어해야 하는 데 따른 제조비용의 증가와 더불어, 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상기 질소를 0.01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시 연신율 및 성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0.0003~0.01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재가열은 1150℃~1280℃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재가열은 상기 형강소재의 주조시 편석된 성분을 재고용하기 위하여 실시된다. 상기 온도범위에서 재가열시 압연 부하가 크지 않으면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의 조대화를 방지하여 기계적 강도의 확보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200℃~1260℃의 온도에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재가열 시간은 100 분 내지 240 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00 분 내지 220 분 동안 실시할 수 있다.
(b) 열간 압연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재가열된 형강소재를 열간 압연하는 단계이다. 상기 형강소재는, 상기 열간 압연에 의해 특정 형상으로 압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H-형상으로 압연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압연시 압연 시작 온도는 1030℃~108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간 압연시 형강소재의 고인성, 고강성 및 저온 충격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열간 압연시 압연 종료 온도(Finish Rolling Temperature, FRT)는 820~860℃이다. 상기 범위의 온도로 열간 압연 종료시 미재결정 영역에서의 누적 압하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결정립미세화 효과가 우수하여 형강소재의 강성 및 저온충격 특성 및 고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압연종료온도가 820℃ 미만에서 압연시 이상역 압연이 발생하여 균일하지 못한 조직이 형성됨으로써 저온 충격인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연종료온도가 960℃를 초과하여 압연시 조대한 오스테나이트 재결정크기로 인하여 강도하락이 발생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압연은, 상기 재가열된 형강소재를 오스테나이트 재결정 영역에서 1차 압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압연된 형강소재를 오스테나이트 미재결정 영역에서 2차 압연하는 열간압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간 압연시 상기 형강소재의 미재결정 영역에서 누적 압하량이 30%~60% 범위가 되도록 압연한다. 본 발명의 열간 압연시 오스테나이트 결정립 내에 형성되는 변형대(Deformation band)가 결정립미세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를 위해 미재결정 영역에서 누적 압하량이 30%~60%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범위로 압연시 적정 밀도의 변형대가 형성되어,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우수하며, 이로 인하여 형강의 고인성, 고강성 및 저온 충격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미재결정 영역에서의 누적 압하량은 재결정 정지 온도(recrystallization stop temperature, RST) 이하의 온도에서 압하되는 누적 압하량을 의미하며, 상기 재결정 정지 온도(RST)는 하기 식 1에 따라 결정된다:
[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식 1에서, C, Nb, V, Ti 및 Si는 각각 탄소(C), 니오븀(Nb), 바나듐(V), 티타늄(Ti) 및 실리콘(Si)의 함량(%)이다).
상기 누적 압하량이 30% 미만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변형대의 밀도가 저하되어, 결정립 미세화 효과가 저하되며, 상기 누적 압하량이 60%를 초과하여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변형대의 밀도가 임계 수준으로 형성되어, 추가적 결정립미세화 효과가 미비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형강소재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압연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압연 종료 온도를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는, 열간 압연 이후의 형강소재 플랜지(flange)부의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열간 압연시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15mm 이하인 경우 2.5~3.0m/s의 속도로 압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10mm 내지 15mm 이하인 경우 2.5~3.0m/s의 속도로 압연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15mm 초과~25mm 이하인 경우 2.0~2.7m/s의 속도로 압연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25mm 초과인 경우 1.5~2.3m/s의 속도로 압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25mm 초과 내지 40mm 이하인 경우, 1.5~2.3m/s의 속도로 압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의 형강소재 두께에 따라 압연 속도를 상이하게 적용시, 전술한 압연종료온도를 달성할 수 있어 열간 압연시 형강의 강성 및 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강소재의 두께에 따라 압연속도를 조절시, 강성, 인성 및 저온충격 특성이 우수한 형강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열간 압연된 형강소재를 냉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 냉각단계
상기 단계는 상기 열간 압연된 형강소재를 냉각하는 단계이다. 상기 냉각은, 상기 열간 압연된 형강소재를 660℃~790℃로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냉각 종료시 결정립 미세화효과가 우수하여 저온충격 특성, 고인성 및 고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냉각은 공랭 또는 수냉을 사용하여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강 제조방법으로 형강 제조시 생산성이 우수하며, 특히 H-형강 제조시 형상적인 요인으로 인한 크기, 두께 차이에 따른 형상 변형을 방지하면서, 저온충격 특성이 우수하며, 고강성 및 고인성의 형강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형강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형강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형강은, H 형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형강은 탄소(C) 0.10~0.25 중량%, 실리콘(Si) 0.15~0.40 중량%, 망간(Mn) 1.0~1.6 중량%, 인(P) 0.001~0.025 중량%, 황(S) 0.001~0.025 중량%, 알루미늄(Al) 0.001~0.055 중량%, 바나듐(V) 0.001~0.1 중량%, 니오븀(Nb) 0.01~0.05 중량%, 티타늄(Ti) 0.005~0.03 중량%, 질소(N) 0.0001~0.012 중량%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한다.
상기 형강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TS)는 570 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건축 구조물용 형강으로 사용되기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70~720MPa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590~720MPa 일 수 있다.
상기 형강의 항복강도(yield strength, YS)는 400 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건축 구조용 형강으로 사용되기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400~550 MPa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450~550MPa 일 수 있다.
상기 형강의 연신율(Elongation, El)은 24%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건축 구조용 형강으로 사용되기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5%~38% 일 수 있다.
상기 형강의 -5℃에서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CVN)는 100J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건축 구조용 형강으로 사용되기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6%~38%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형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형강은 상기 인장강도, 항복강도, 연신율 및 샤르피 흡수 에너지 수치를 가짐으로서, 고강도, 고강성 및 저온충격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1
형강소재로 탄소(C) 0.10~0.25 중량%, 실리콘(Si) 0.15~0.40 중량%, 망간(Mn) 1.0~1.6 중량%, 인(P) 0.001~0.025 중량%, 황(S) 0.001~0.025 중량%, 알루미늄(Al) 0.001~0.055 중량%, 바나듐(V) 0.001~0.1 중량%, 니오븀(Nb) 0.01~0.05 중량%, 티타늄(Ti) 0.005~0.03 중량%, 질소(N) 0.0001~0.012 중량%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두께 15t의 빔 블랭크(beam blank)를 1240℃에서 재가열하였다. 상기 재가열된 빔 블랭크를 압연시작온도 1041℃에서 열간 압연을 시작하여, 미재결정영역(재결정 정지온도 이하)에서의 누적 압하율을 44%로 적용하고, 압연속도 2.5m/s로 압연하여 압연종료온도 835℃에서 압연을 종료하여 H 형강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하기 표 1의 형강소재 두께 및 열간압연공정 조건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H 형강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6
하기 표 1의 형강소재 두께 및 열간압연공정 조건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H 형강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2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형강에 대하여, 인장강도, 항복강도, 연신율 및 샤르피 흡수 에너지 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압연 종료 온도 및 미재결정 영역에서의 누적 압하량 조건을 적용한 실시예 1~6의 H 형강은 강도, 연신율 및 저온충격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압연종료온도 범위를 벗어나거나, 미재결정영역에서의 누적 압하량을 벗어난 비교예 1~6의 경우 고강도 특성 및 저온충격특성과 관련한 샤르피 흡수 에너지 수치가 저하되어 건축구조용 강재로 적합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탄소(C) 0.10~0.25 중량%, 실리콘(Si) 0.15~0.40 중량%, 망간(Mn) 1.0~1.6 중량%, 인(P) 0.001~0.025 중량%, 황(S) 0.001~0.025 중량%, 알루미늄(Al) 0.001~0.055 중량%, 바나듐(V) 0.001~0.1 중량%, 니오븀(Nb) 0.01~0.05 중량%, 티타늄(Ti) 0.005~0.03 중량%, 질소(N) 0.0001~0.012 중량%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형강소재를 재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재가열된 형강소재를 압연 종료 온도 820℃~860℃에서 열간 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간 압연시 상기 형강소재의 미재결정 영역에서 누적 압하량이 30%~60% 범위가 되도록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압연시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15mm 이하인 경우 2.5~3.0m/s의 속도로 압연하고,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15mm 초과~25mm 이하인 경우 2.0~2.7m/s의 속도로 압연하고, 그리고
    상기 형강소재의 두께가 25mm 초과인 경우 1.5~2.3m/s의 속도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가열은 1150~1280℃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간 압연시 압연 시작 온도는 1030℃~10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제조방법.
  5. 탄소(C) 0.10~0.25 중량%, 실리콘(Si) 0.15~0.40 중량%, 망간(Mn) 1.0~1.6 중량%, 인(P) 0.001~0.025 중량%, 황(S) 0.001~0.025 중량%, 알루미늄(Al) 0.001~0.055 중량%, 바나듐(V) 0.001~0.1 중량%, 니오븀(Nb) 0.01~0.05 중량%, 티타늄(Ti) 0.005~0.03 중량%, 질소(N) 0.0001~0.012 중량% 및 잔량의 철(Fe)과 기타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형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의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TS)는 570 MPa 이상이고, 항복강도(yield strength, YS)는 400 MPa 이상이며, 연신율(Elongation, El)은 24% 이상이고, -5℃에서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가 100J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
KR1020150086946A 2015-06-18 2015-06-18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50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946A KR20160150188A (ko) 2015-06-18 2015-06-18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946A KR20160150188A (ko) 2015-06-18 2015-06-18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188A true KR20160150188A (ko) 2016-12-29

Family

ID=57736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946A KR20160150188A (ko) 2015-06-18 2015-06-18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501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025A (ko) * 2021-07-27 2023-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강도 h형강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7025A (ko) * 2021-07-27 2023-02-03 현대제철 주식회사 고강도 h형강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872B1 (ko) 유정관용 열연강판, 이를 이용한 강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899674B1 (ko) 저온역 버링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0982B1 (ko) 굽힘가공성 및 소부경화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7797B1 (ko) 소부경화능이 우수한 고버링성 고강도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4319A (ko) 저온인성 및 수소유기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후판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14979B1 (ko) 소부경화능이 우수한 저항복비 고강도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6028A (ko) 비열처리형 열연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비열처리형 열연강판을 이용하는 강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58528B1 (ko) 재질 편차가 작은 파이프용 강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용접강관의 제조방법
CN110073020B (zh) 焊接性和延展性优异的高强度热轧钢板及其制造方法
KR20160149647A (ko)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86262B1 (ko) 강도 및 dwtt 저온인성이 우수한 후물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50188A (ko) 형강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6923B1 (ko) 열연강판 제조 방법 및 강관 제조 방법
KR101449137B1 (ko) 용접성 및 하이드로포밍 가공성이 우수한 고강도 열연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586944B1 (ko) 강재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78533A (ko) 고강도 및 고연신율을 갖는 중망간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2317B1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5281B1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34205A (ko) 형강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8478B1 (ko) 고강도, 고성형성, 우수한 소부경화성을 갖는 열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086330B1 (ko) 재질이 균일한 고강도강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89767A (ko) 고강도 및 충격인성이 우수한 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5575A (ko) 저온 충격인성이 우수한 극후물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12376B1 (ko) 열간압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라인파이프용 강판
KR101543463B1 (ko) 고인성 후강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