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50142A -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50142A
KR20160150142A KR1020150086437A KR20150086437A KR20160150142A KR 20160150142 A KR20160150142 A KR 20160150142A KR 1020150086437 A KR1020150086437 A KR 1020150086437A KR 20150086437 A KR20150086437 A KR 20150086437A KR 20160150142 A KR20160150142 A KR 20160150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moving picture
purchase information
good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재
Original Assignee
곽병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병재 filed Critical 곽병재
Priority to KR1020150086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50142A/ko
Publication of KR2016015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1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캡션 생성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캡션 생성앱을 구동한 상태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내에 존재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일대일 매칭시키는 캡션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표출시키고 상품구매 정보인 URL 주소를 링크시키는 단계와; 상품 구매정보 캡션과 URL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길이와 동일한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을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 내에 상존하는 상품의 구매정보를 캡션 형태로 제공하고 이를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자동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URL 주소로 연결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을 원활하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Method of automatic making caption for purchasing information of visual contents}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영상 컨텐츠와 일대일 매칭되는 캡션 파일을 자동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98374호(공개일자: 2009. 9. 17., 발명의 명칭: 상품 구매 정보 제공 방법, 그 시스템 및 서버)는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동영상 기반 양방향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신기에서 전송된 사용자 관심 상품 정보와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리턴서버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리턴 서버에 수신된 사용자 관심 상품 정보와 사용자 정보를 상품 판매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상품 판매자 서버에 수신된 사용자 정보와 사용자가 관심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관심 상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품 구매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상품 판매자 측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품 판매 상담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상담을 위하여 자동 전화 연결이 구현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11236호(공개일자: 2011. 2. 8., 발명의 명칭: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지 영상을 화면의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 영상 중 특정 정지 영상이 선택된 경우, 상기 특정 정지 영상에 포함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동영상 재생 중, 동영상에 포함되어 있는 특정 상품과 관련된 상품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당업자 수준에서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되어 있지 않는 근원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50107호(등록일자: 2013. 3. 27., 발명의 명칭: 스마트 TV 환경에서 TV 컨텐츠에 상품 메타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판매자의 요청에 따라 TV에서 재생 중인 비디오 컨텐츠가 상기 판매자의 모바일 기기인 판매자 단말에서 동시 재생되도록 N스크린(Network Screen) 서비스를 요청하는 연동부; 상기 판매자 단말을 통해 상기 비디오 컨텐츠에 대한 어노테이션(annotation)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비디오 컨텐츠에 포함된 관심 객체에 대하여 상기 판매자가 상기 어노테이션 기능을 이용하여 입력한 메타 정보(metadata)를 저장하는 어노테이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 정보는, 상기 비디오 컨텐츠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N스크린 서비스 환경에서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재생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상에 상기 비디오 컨텐츠와 합성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컨텐츠 및 가상 객체 연동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스마트 TV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비디오 콘텐츠에 대한 N스크린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하여 해당 비디오 콘텐츠에 상품 메타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누구나 시공간적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쉽게 메타 정보를 등록및 관리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비디오 콘텐츠와 관련된 상품 메타 정보를 합성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동영상 컨텐츠 저작권자와의 법적 문제, 예컨대 라이센스 계약에 따른 과도한 비용발생이나 저작권 침해 등의 문제가 상존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영상 컨텐츠와 매칭되는 캡션 파일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캡션 생성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캡션 생성앱을 구동한 상태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내에 존재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일대일 매칭시키는 캡션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표출시키고 상품구매 정보인 URL 주소를 링크시키는 단계와; 상품 구매정보 캡션과 URL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길이와 동일한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을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는 정지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상품구매용 캡션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는 별개로 제작되며, 재생되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원형의 점, 별 모양 또는 풍선 모양 중 어느 하나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상품구매용 캡션은 마우스, 키보드, 터치 펜, 디지타이저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동영상 컨텐츠 내에 상존하는 상품의 구매정보를 캡션 형태로 제공하고 이를 클릭하거나 터치하면 자동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URL 주소로 연결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을 원활하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구매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품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스마트 TV 환경에서 TV 컨텐츠에 상품 메타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막생성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장치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이 제공되는 모바일 기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구매정보용 캡션에 의한 결제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장치(100)는 캡션생성부(10), 입력부(30) 및 디스플레이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번호 "200"은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 매체이다.
캡션생성부(10)는 입력부(30)와 디스플레이부(50)와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1)와, 동영상 컨텐츠(VC)를 재생하는 동영상재생부(3)와, 동영상 컨텐츠(VC)의 내에 존재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일대일 매칭시키는 캡션을 동영상 컨텐츠(VC) 상에 표출시키고 상품구매 정보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링크시키는 프로그램구동부(5)와, 프로그램구동부(5)에서 작성된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을 저장하는 캡션저장부(7)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상품구매 캡션은 동영상 컨텐츠(VC)와 병합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적인 자막과 같이 동영상 컨텐츠(VC)와는 별개로 제작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의 특징은 동영상 컨텐츠(VC) 내에 존재하는 상품의 위치에 상품 구매정보 캡션(SII)을 할 수 있다는 것이며, 본 실시예와 같이 원형의 점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별 모양, 풍선 모양 등 매우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입력부(30)는 마우스(31) 및 키보드(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입력부(30)는 마우스(31), 키보드(33) 이외에 터치 펜, 디지타이저,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별도의 입력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동영상재생부(3)는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VC) 상에 존재하는 상품의 구매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키보드(31)를 조작하거나 또는 마우스(33)를 디스플레이부(50)의 동영상 컨텐츠(VC)를 클릭하면 인터페이스부(1)는 이러한 조작정보에 대응하여 동영상 컨텐츠(VC)를 일시정지시킨다.
그런 다음, 프로그램구동부(5)는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VC) 상의 상품 위치에 마우스(33)를 움직여 상품 구매정보 캡션(SII)를 생성하고, 키보드(31)를 조작하여 URL 주소를 입력하도록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여기서, URL 주소는 디스플레이부(50)에는 표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품 구매정보 캡션(SII)과 URL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면, 캡션저장부(7)를 이를 저장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된 다음, 모든 상품 구매정보 캡션(SII)과 이에 상응하는 URL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면 캡션생성부(10)는 동영상 컨텐츠(VC)의 재생길이와 동일한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에 한정되어 설명되고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서도 적용이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장치(100)에서 생성된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을 동영상 컨텐츠(VC)와 함께 모바일 기기(300)에서 재생하면, 해당 위치에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SII; 도 6 참조)이 나타나게 되고 사용자가 이 캡션을 클릭하면 링크된 URL 주소로 자동 연결된다.
그런 다음, 도 8과 같이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를 완료하게 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VC) 내의 상품을 원활하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캡션 생성단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1. 캡션 생성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단계
2. 캡션 생성앱을 구동한 상태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여기서, 본 발명의 동영상 컨텐츠는 정지 영상을 포함함을 미리 밝혀둔다.
3. 동영상 컨텐츠(VC)의 내에 존재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일대일 매칭시키는 캡션을 동영상 컨텐츠(VC) 상에 표출시키고 상품구매 정보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링크시키는 단계
4. 상품 구매정보 캡션(SII)과 URL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면동영상 컨텐츠(VC)의 재생길이와 동일한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을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단계
여기서,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을 생성한 다음 스마트폰의 메모리에 저장한 후 서버로 업로드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1 : 인터페이스부 3 : 동영상재생부
5 : 프로그램구동부 7 : 캡션저장부
10 : 캡션생성부
30 : 입력부
50 : 디스플레이부
100 :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장치

Claims (4)

  1. 캡션 생성앱을 다운로드받아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캡션 생성앱을 구동한 상태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내에 존재하는 상품에 대한 구매정보를 일대일 매칭시키는 캡션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표출시키고 상품구매 정보인 URL 주소를 링크시키는 단계와;
    상품 구매정보 캡션과 URL 주소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길이와 동일한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을 생성하여 업로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는 정지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용 캡션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와는 별개로 제작되며, 재생되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원형의 점, 별 모양 또는 풍선 모양 중 어느 하나를 표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구매용 캡션은 마우스, 키보드, 터치 펜, 디지타이저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어느 하나의 조작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KR1020150086437A 2015-06-18 2015-06-18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KR201601501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37A KR20160150142A (ko) 2015-06-18 2015-06-18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437A KR20160150142A (ko) 2015-06-18 2015-06-18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142A true KR20160150142A (ko) 2016-12-29

Family

ID=5773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437A KR20160150142A (ko) 2015-06-18 2015-06-18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5014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682A (ko)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엔비티 라이브 영상을 이용한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KR20200019549A (ko)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엔비티 참여형 영상 서비스 시스템의 참여자 추첨 장치 및 방법
KR20210073423A (ko)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엔비티 라이브 영상 퀴즈를 이용한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KR20210110030A (ko) 2020-02-28 2021-09-07 권태완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2682A (ko) 2018-07-27 2020-02-05 주식회사 엔비티 라이브 영상을 이용한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KR20200019549A (ko) 2018-08-14 2020-02-24 주식회사 엔비티 참여형 영상 서비스 시스템의 참여자 추첨 장치 및 방법
KR20210073423A (ko)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엔비티 라이브 영상 퀴즈를 이용한 상품 판매 장치 및 방법
KR20210110030A (ko) 2020-02-28 2021-09-07 권태완 멀티미디어 콘텐츠 내 상품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7157B2 (en) Interactive marketing system
US9560415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selection of items for purchase from a video
US10872193B2 (en) Method for publishing composite media content and publishing system to perform the method
US9973818B2 (en) Product information display and purchasing
US20140236726A1 (en) Transference of data associated with a product and/or product package
CN105208419B (zh) 包含车辆操纵说明内容的移动式存储介质
US20140258029A1 (en) Embedded multimedia interaction platform
JP2010524110A (ja) 商品情報のディスプレイ表示及び購買
KR20160150142A (ko) 영상 컨텐츠 내의 상품 구매정보용 캡션 생성방법
US20180348972A1 (en) Lithe clip survey facilit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424009B1 (en) Shopping experience using multiple computing devices
US11019300B1 (en) Providing soundtrack information during playback of video content
US20140074664A1 (en) System to purchase products seen in content media
CN107437196B (zh) 智能手机的使用说明影像内容和广告提供系统
US20150143389A1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contents for smart tv
CN105989515B (zh) 包含家电产品的使用说明内容的移动式存储介质
KR102034897B1 (ko) 방송 프로그램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정보 제공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1319478B1 (ko) 방송 화면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방법 및 그 장치
US8601516B2 (en) DVD-entertainment interactive internet shopping system—DEIISS
KR101568295B1 (ko) 증강현실의 정보출력방법
KR20230051033A (ko) 상품 판매 모드를 지원하는 라이브 방송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451871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bookmarked cont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JP6346697B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700525B1 (ko) 모바일 단말 원격 체험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모바일 단말 판매 방법 및 시스템
KR101715841B1 (ko) 실감형 콘텐츠를 통한 전자상거래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