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516A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Prevention the Interference of Extract Device, Moving Plate Including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Half-Nut Combi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Prevention the Interference of Extract Device, Moving Plate Including with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9516A KR20160149516A KR1020150086629A KR20150086629A KR20160149516A KR 20160149516 A KR20160149516 A KR 20160149516A KR 1020150086629 A KR1020150086629 A KR 1020150086629A KR 20150086629 A KR20150086629 A KR 20150086629A KR 20160149516 A KR20160149516 A KR 201601495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
- split
- nuts
- connecting bar
- split n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7—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 B29C45/67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using hydraulically connectable chambers of the clamping cylinder during the mould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64—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 B29C45/67—Mould opening, closing or clamping devices hydraulic
- B29C45/6778—Stroke adjusting or limi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취출기의 간섭 방지 구조를 가지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 그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형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한 조를 이루는 하프너트 간 동시에 고속으로 체결시켜 주는 연결바아의 연결 타입을 개선하여 이동 형판에 구비되어 있는 취출기의 크기 또는 취출기의 동작시, 하프너트의 고속 체결장치와의 간섭 및 충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lf nut fastening apparatus having an interference preventing structure for a take-out machine, and a movable plate having the half nut fasten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So that interference and collision of the half nut with the high-speed fastening device can be prevented in the size of the take-out machine provided in the moving mold plate or operation of the take-out machine.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는 크게 형체장치와 사출장치로 나뉜다. 이중 형체장치는 위치 고정되는 고정형판과, 상기 고정형판에 밀착 또는 분리되는 형태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이동형판으로 구성된다.Generally,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is roughly divided into a mold-clamping apparatus and an injection apparatus. The double-mold clamping device is composed of a fixed plate fixed to a position and a movable plate provi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xed plate in such a manner as to be in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fixed plate.
또한, 상기 고정형판과 이동형판에는 고정금형과 이동금형이 해당 형판에 각각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형판의 중앙에는 사출된 성형품을 취출 하기 위한 취출기가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The stationary plate and the movable plat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stationary mold and the movable mold, and the take-out unit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ovable plate to take out the molded product.
또한, 상기 이동형판에 설치되는 하프너트 체결장치는 타이바의 설치 개수와 동일하게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는 4군데 즉, 상,하,좌,우에 하프너트 체결장치가 각각 장착 구비되고, 상기 하프너트 체결장치에는 타이바가 관통하는 결합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와 더불어, 한 조를 이루는 하프너트가 동시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프너트 체결장치에는 하프너트 간 연결해주는 연결바아를 포함하고 있다.The half-nut fastening device provided on the movable plate is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number of tie bars. Generally, four half-nut fastening devices are mounted on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The nut fastening device has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tie bar penetrates. In addition, the half nut fastening device includes a connecting bar connecting the half nuts so that a pair of half nuts can be fastened at the same time.
위와 같이 구성되는 사출성형기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우선 사출성형기에 구비된 부스터실린더가 이동형판에 유압을 가하게 되면, 이동형판은 고정형판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금형에 완전히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When the booster cylinder provided in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applies the hydraulic pressure to the movable plate, the movable plat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ixed plate and is brought into a state of completely coming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tationary mold.
위와 같이 상기 이동형판이 고정형판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프너트의 구동 실린더에 유압을 가하여 하프너트가 상기 타이바를 압지 하는 형태로 체결,고정이 완료되면 사출성형을 위한 공정이 수행되고, 사출성형을 위한 수행이 완료된 후에는 이동형판에 설치된 취출기가 취출 동작을 진행하여 성형품을 취출 하게 되는 것으로 사출성형을 마치게 된다. When the movable plate is in tight contact with the stationary plate, hydraulic pressure is applied to the drive cylinder of the half nut and the half nut tightly clamps the tie bar. When the fastening and fixing are completed, a process for injection molding is performed. The injection molding machine installed on the movable plate advances the take-out operation to take out the molded product, thereby completing the injection molding.
도 1에서는 일반적인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사출성형기의 이동형판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서는 도 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서는 도 2의 A-A선을 따라 전개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plate of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a general half-nut fastening device.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In Fig. 3, Sectional view is shown.
앞서 소개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100)는 이동형판(200)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한 쌍의 제1,2하프너트(110)(120)가 결합 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half-
상기 제1,2하프너트(110)(120)는 2개씩의 제1,2,3,4분할너트(111)(112)(121)(12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3,4분할너트(111)(112)(121)(122) 중 한쪽 제1,3분할너트(111)(121)에는 구동 실린더(130)(140)가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고, 이와 같이 연결되는 구동 실린더(130)(140)는 이동형판(200)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The first and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동 실린더(130)(140)의 로드(131)(141)가 제1,3분할너트(111)(121)에 각각 연결되어 제1,3분할너트(111)(121)는 로드(131)(141)와 연동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Specifically, the
한편, 상기 제1하프너트(110)와 제2하프너트(120)의 사이에는 위와 아래로 각각 2개씩의 제1,2,3,4연결바아(150)(151)(152)(153)가 배치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제1,2,3,4연결바아(150)(151)(152)(153)를 통해 제1하프너트(110)와 제2하프너트(120)가 동시 체결되는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Second, third, and fourth connecting
상기 제1하프너트(110)와 제2하프너트(120)의 동시 체결을 위한 제 1,2,3,4연결바아(150)(151)(152)(153)의 연결 관계를 설명하면, 상기 제1연결바아(150)의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111)와 결합 고정되고, 제2분할너트(112)와는 결합 되지 않으며, 제1연결바아(150)의 다른 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121)가 슬라이딩 되도록 관통하면서 제4분할너트(122)와는 결합 고정된다. The connecting relationship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nnecting
상기 제2연결바아(151)의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111)가 슬라이딩 되도록 관통하면서 제2분할너트(112)와는 결합 고정되고, 제2연결바아(151)의 다른 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121)와 결합 고정되며, 제4분할너트(122)와는 결합 되지 않는다.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제3연결바아(152)의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111)가 슬라이딩 되도록 관통하면서 제2분할너트(112)와 결합 고정되고, 제3연결바아(152)의 다른 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121)와 결합 고정되며, 제4분할너트(122)와는 결합 되지 않는다. One end of the third connecting
또한, 상기 제4연결바아(153)의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111)와 결합고정되고, 제2분할너트(112)와는 결합 되지 않으며, 제4연결바아(153)의 다른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121)가 슬라이딩 되도록 관통되고, 제4분할너트(122)와는 결합 고정되는 결합 관계를 가진다. One end of the fourth connecting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는 제1하프너트(110)와 제2하프너트(120)가 동시 체결될 수 있도록 제1,2,3,4연결바아(150)(151)(152)(153)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판(200)의 중앙에 설치되는 취출기(202)가 이동형판(200)의 면적에 비해 설치 면적이 넓어질 경우, 취출기(2020)의 취출 동작시 취출기(202)와 나란히 이웃하고 있는 연결바아에 접촉하게 되는 충돌이 발생하여 앞서 설명된 구조로 구성되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 또는 취출기(202)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fast nut fastening apparatus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한 조를 이루는 하프너트 간 동시에 고속으로 체결시켜 주는 연결바아의 연결 타입을 개선하여 이동 형판에 구비되어 있는 취출기의 크기 또는 취출기의 동작시, 하프너트의 고속 체결장치와의 간섭 및 충돌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취출기의 간섭 방지 구조를 가지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 그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형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And a half nut fastening device having an interference preventing structure of a take-out machine that can prevent interference and collision of the half nut with the high-speed fastening device during operation of the tak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plate having a fastening devic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한 쌍이 한 조를 이루고 있는 제1,2분할너트와 제3,4분할너트가 거리를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2하프너트; 상기 제1,3분할너트의 이동을 위해 각각 연결되는 구동 실린더; 상기 구동 실린더의 위치 고정을 위해 이동형판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위치고정브라켓; 상기 제1,2하프너트의 중심을 지나가는 기준선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2하프너트와 연결되는 제1,2연결바아; 상기 기준선의 내측 중앙부에 여유공간이 확보되는 배치 구조로 제1하프너트와 연결되는 제3연결바아 및 상기 제2하프너트와 연결되는 제4연결바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취출기의 간섭 방지 구조를 가지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rst half nut having first and second split nuts and first and second split nut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a distance therebetween. A drive cylinder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ird split nuts, respectively; A position fixing bracket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cylinder;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disposed outside the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nuts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alf nuts; A third connecting bar connected to the first half nut in an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a clearance is secured in an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reference line, and a fourth connecting bar connected to the second half nut;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object through a half nut fastening apparatus having an interference preventing structure of the take-out machine.
또한,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를 관통하여 제4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제1연결바아;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를 관통하여 제2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제2연결바아;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를 관통하여 제2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위치고정브라켓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제3연결바아; 한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를 관통하여 제4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위치고정브라켓에 결합 고정 상기 제4연결바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취출기의 간섭 방지 구조를 가지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bar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split nut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passes through the third split nut and is fixed to the fourth split nut. The second connecting bar having one end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plit nut and fixed to the second split nut and the other end being fixed to the third split nut; The third connecting bar having one end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plit nut and fixed to the second split nu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position fixing bracket;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fourth split nut through the third split nu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position fixing bracket;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object through a half nut fastening apparatus having an interference preventing structure of the take-out machine.
또한, 상기 위치고정브라켓은 구동 실린더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동형판과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측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측면으로 지나가는 해당 연결바아를 압지 하는 구조로 지지편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결합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취출기의 간섭 방지 구조를 가지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를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fixing bracket may include a fixing piece fixed to the movable plate to fix the position of the driving cylinder, a supporting piece disposed toward the side of the fixing pie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object through a half nut fastening device having an interference preventing structure of a take-out machine including a coupling piec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lf nut fastening devic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구성되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의 제1,2하프너트가 이동형판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결합 되며 상기 제1하프너트와 제2하프너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은 이동형판의 중앙에 구비되는 취출기를 향해 이웃하는 구조로 배치되는 이동형판을 통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alf nuts of the half-nut fastening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ar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vable plate, and the clearance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half nut and the second half nut, The objec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ovable plate disposed in a structure adjacent to the take-out unit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movable plat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 하프너트와 하부 하프너트를 동시에 고속으로 체결시켜 주는 하프너트 체결장치가 새로운 연결 구조 타입으로 개선됨으로써, 이동형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취출기가 이동형판의 면적에 비해 설치 면적이 넓어지더라도 취출기의 동작시 취출기와 이웃하는 있는 연결바아에 접촉하게 되는 충돌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와 함께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alf nut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the upper half nut and the lower half nut at high speed is improved to a new connection structure type, so that the tak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collis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ng bar adjacent to the take-out machine in the operation of the take-out machine, and it is possible to expect the effect of applying the half-nut fastening fastener as it is.
도 1은 이동형판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하프너트 체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취출기의 간섭 방지 구조를 가지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 그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이동형판을 보여주는 사사도이다.
도 5는 도 4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4의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6a는 외측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b는 내측 하부에서 바라본 사사도이다.
도 7a는 도 6a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제1,3연결바아와 제1,2하프너트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a의 C-C선을 따라 절개하여 제2,4연결바아와 제1,2하프너트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의 동작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8a는 타이바와 체결이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8b는 제1,3분할너트가 타이바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8c는 제2,4분할너트가 타이바에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ntire half nut fasten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provided on a movable plate.
2 is a side view of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lf-nut high-speed fastening apparatus having an interference preventing structure of the take-out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vable plate having the half-nut fastening apparatus.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Fig. 4. Fig.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half-nut fastening apparatus of FIG. 4, wherein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view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outer side, and FIG. 6B is a side view from the inner lower side.
7A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third connecting bars and the first and second half nuts by cutting along the line BB of FIG. 6A.
7B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econd and fourth connecting bars and the first and second half nuts along the CC line of FIG. 6A.
FIGS. 8A to 8C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ast nut faste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8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ie bar and the fastening are released, FIG. 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split nuts are fastened FIG. 8C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and fourth split nuts are fastened to the tie bar. FIG.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라 하더라도 설명상 혼동 방지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이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e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1 to 3 will be used for the sake of description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4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300)는 이동형판(302)의 상부 및 하부 양측에 한 쌍의 제1,2하프너트(310)(320)가 결합 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다.4 to 6B, the half-
상기 제1,2하프너트(310)(320)는 2개씩의 제1,2,3,4분할너트(311)(312)(321)(322)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3,4분할너트(311)(312)(321)(322) 중 한쪽에 위치하고 있는 제1,3분할너트(311)(321)는 각각 해당하는 구동 실린더(330)(340)와 연결되는 연동구조를 취하고 있다.The first and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 실린더(330)(340)의 로드(331)(341)는 제1,3분할너트(311)(321)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3분할너트(311)(321)는 로드(331)(341)와 연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 실린더(330)(340)는 이동형판(302)과 결합 고정되는 위치고정브라켓(350)(360)에 탑재되는 구조로 고정되어 있다.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위치고정브라켓(350)(360)은 각각 후술하는 해당 연결바아를 따라 위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브라켓(350)(360)의 위치 이동을 통해 제1,3분할너트(311)(321)와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위치고정브라켓(350)(360)의 구체적인 구조와 해당 연결바아 간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상기 제1하프너트(310)와 제2하프너트(320)의 사이에는 제1,2연결바아(370)(371)가 상기 제1하프너트(310)와 제2하프너트(320)의 중심을 지나가는 기준선(W)의 외측 다시 말해 기준선(W) 바깥쪽 위와 아래에 배치되는 구조로 제 1하프너트(310)와 제2하프너트(320)에 연결되어 있다. Between the
또한, 상기 제1하프너트(310)와 제2하프너트(320)의 사이에는 제1,2연결바아(370)(371)와 대응하는 기준선(W) 내측 다시 말해 기준선(W) 안쪽 위와 아래에 제1하프너트(310)와 연결되는 제3연결바아(372)와, 상기 제2하프너트(320)와 연결되는 제4연결바아(373)가 개별적으로 각각 배치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between the
특히, 상기 제3,4연결바아(372)(373)는 제1,2연결바아(370)(371)의 길이보다 짧고, 제1연결바아(370)와 제2연결바아(371) 사이의 단절 구간으로 인하여 상기 기준선(W) 내측 중앙부에 여유공간(S)이 확보되는 구조로 배치된다.In particular, the third and fourth connecting
또한, 앞서 설명된 상기 제1,2,3,4연결바아(370)(371)(372)(373)를 통해 제1하프너트(310)와 제2하프너트(320)가 동시 체결되는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제1하프너트(310)와 제2하프너트(320)의 동시 체결을 위한 제1,2,3,4연결바아(370)(371)(372)(373)의 연결 관계를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먼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바아(370)의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311)와 결합 고정되고 제2분할너트(312)와는 결합 되지 않으며 제1연결바아(370)의 다른 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321)가 슬라이딩 되도록 관통하면서 제4분할너트(322)와는 결합 고정된다. 7A and 7B, one end of the first connecting
상기 제2연결바아(371)의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311)가 슬라이딩 되도록 관통하면서 제2분할너트(312)와는 결합 고정되고 제2연결바아(371)의 다른 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321)와 결합 고정되며 제4분할너트(322)와는 결합 되지 않는다. One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상기 제3연결바아(372)의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311)가 슬라이딩 되도록 관통하면서 제2분할너트(312)와 결합 고정되고 제3연결바아(372)의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위치고정브라켓(350)에 결합 고정된다.One end of the third connecting
또한, 상기 제4연결바아(373)의 한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321)가 슬라이딩 되도록 관통되고 제4분할너트(322)와는 결합 고정되며 다른 쪽 단부는 위치고정브라켓(360)에 결합 고정된다. One end of the fourth connecting
한편, 앞서 언급된 상기 위치고정브라켓(350)(36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바닥에 배치되며 구동 실린더(330)(34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동형판(302)에 고정되는 고정편(351)(361)과, The
상기 구동 실린더(330)(340)와 제1,3분할너트(311)(321) 사이에 각각 배치되면서 상기 구동 실린더(330)(340)의 로드(331)(341)가 통과할 수 있도록 중공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지편(353)(363)과, 상기 지지편(353)(363)의 측면으로 각각 지나가는 해당 제1연결바아(370)와 제2연결바아(371)를 압지 하는 구조로 지지편(353)(36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결합편(352)(3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rst and
위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타이바(T)와의 해제 상태에서 체결동작을 위해 제1,2하프너트(310)(320)와 각각 연결되어 있는 구동 실린더(330)(340)를 동시에 구동시키게 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8A to 8C, first and second half nuts 310 (shown in FIG. And the driving
먼저, 도 7a, 도 8a,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실린더(330)의 작동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as shown in FIGS. 7A, 8A and 8B,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상기 구동 실린더(330)가 구동하여 로드(331)를 밀게 되면, 제1분할너트(311)는 제2분할너트(312) 쪽으로 이동하여 타이바(T)에 밀착되는 상태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바아(370)도 동시에 이동하게 되며 제2,3연결바아(371)(372)는 제1분할너트(111)와는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어 제1분할너트(311)의 이동방향을 향해 함께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제1분할너트(111)의 이동에 따른 밸런스를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When the driving
위와 같이 상기 제1연결바아(370)가 제1분할너트(311)의 이동 방향을 향해 동시에 이동하게 될 때, 제3분할너트(321)는 제1연결바아(370)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어 움직이지 않지만, 제4분할너트(322)와는 결합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연결바아(370)의 이동과 동시에 제4분할너트(322)가 제 3분할너트(321)의 방향 즉,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타이바(T)에 체결된다. When the first connecting
한편, 도 7b,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실린더(340)가 구동하여 로드(341)를 밀게 되면, 제3분할너트(321)는 제4분할너트(322)쪽으로 이동하여 타이바(T)에 체결 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바아(370)와 제4연결바아(373)는 제3분할너트(321)와는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 되어 있어 제3분할너트(321)의 이동방향을 향해 함께 이동하지 않는 상태로 제3분할너트(321)의 이동에 따른 밸런스를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7B and 8C, when the driving
하지만, 상기 제2연결바아(371)은 제2분할너트(312)에 결합 고정되어 있어 구동 실린더(340)의 로드(341)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을 함에 따라 반대편 제2분할너트(312)가 상기 제2연결바아(371)와 함께 움직이게 되고, 이와 같이 상기 제2연결바아(371)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될 때, 제2분할너트(312)도 동시에 타이바(T)쪽으로 움직여서 타이바(T)에 체결 고정된다. The second connecting
다시 말해, 상기 구동 실린더(330)가 구동을 하게 되면, 제1,4분할너트(311)(322)가 타이바(T)에 체결되고, 상기 구동 실린더(340)가 구동을 하게 되면, 제2,3분할너트(312)(321)가 타이바(T)에 체결됨으로써, 제1,2하프너트(310)(220)가 타이바(T)에 동시 체결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driving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300)는 상기 제3,4연결바아(372)(373)의 사이 즉, 제1하프너트(310)와 제2하프너트(320) 사이에서 기준선(W)의 내측에 여유공간(S)이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이동형판(302)의 중앙에 설치되는 취출기(202)가 이동형판(302)의 면적에 비해 설치 면적이 넓어지더라도 취출기(202)와의 접촉 및 간섭이 발생할 수 있는 상기 여유공간(S)이 확보됨으로써, 배경기술에서 거론된 문제를 해소하면서도 안정적인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의 기능과 효과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alf-
나아가,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300)에서는 상기 제1하프너트(310)의 제1분할너트(311)가 해당하는 구동실린더(330)와 연결되는 연동구조로 설명하였고, 상기 제2하프너트(320)의 제3분할너트(321)도 해당하는 구동실린더(340)와 연결되는 연동구조로 설명하였다.In addition, in the fast
그러나, 상기 제1 및 2하프너트(310, 320)에 구동실린더(330, 340)가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적 구성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예컨대 하나의 구동원와 링크 장치의 기구적 연계에 의해 제1하프너트(310)와 제2하프너트(320)를 동시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적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al configuration in which the
예를 들면,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동 풀리를 제1 하프너트(310)와 제2 하프너트(320)의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구동 풀리와 제1 및 제2 분할너트(311, 321) 간에 링크로 각각 연결하여 상기 구동 풀리의 회전시에 제1 및 제2 분할너트(311, 321)가 동시에 이동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a driving pulley rotatable in both directions by driving the driving source is installed between the
110, 310 : 제1하프너트 111, 311 : 제1분할너트
112, 312 : 제2분할너트 120, 320 : 제2하프너트
121, 321 : 제3분할너트 122, 322 : 제4분할너트
130, 140, 330, 340 : 구동실린터 131, 141, 331, 341 : 로드
150, 370 : 제1연결바아 151, 371 : 제2연결바아
152, 372 : 제3연결바아 153, 372 : 제4연결바아
200, 302 : 이동형판 202 : 취출기
300: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 350, 360 : 위치고정브라켓
351, 361 : 고정편 352, 362 : 결합편
353, 363 : 지지편110, 310:
112, 312:
121, 321:
130, 140, 330, 340:
150, 370: first connecting
152, 372: third connecting
200, 302: movable plate 202: take-out machine
300: half
351, 361: Fixing
353, 363:
Claims (4)
상기 제1,3분할너트의 이동을 위해 각각 연결되는 구동 실린더;
상기 구동 실린더의 위치 고정을 위해 이동형판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위치고정브라켓;
상기 제1,2하프너트의 중심을 지나가는 기준선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2하프너트와 연결되는 제1,2연결바아;
상기 기준선의 내측 중앙부에 여유공간이 확보되는 배치 구조로 제1하프너트와 연결되는 제3연결바아 및 상기 제2하프너트와 연결되는 제4연결바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기의 간섭 방지 구조를 가지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
First and second half nuts arranged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split nuts and the third and fourth split nuts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a distance;
A drive cylinder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ird split nuts, respectively;
A position fixing bracket detachably coupled to the movable plate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driving cylinder;
First and second connecting bars disposed outside the reference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half nuts and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half nuts;
A third connecting bar connected to the first half nut in an arrangement structure in which a clearance is secured in an inner center portion of the reference line, and a fourth connecting bar connected to the second half nut;
And an interference preventing structure of the take-out machine.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를 관통하여 제4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제1연결바아;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를 관통하여 제2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제2연결바아;
한쪽 단부는 제1분할너트를 관통하여 제2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상기 위치고정브라켓에 결합 고정되는 상기 제3연결바아;
한쪽 단부는 제3분할너트를 관통하여 제4분할너트에 결합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는 위치고정브라켓에 결합 고정 상기 제4연결바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기의 간섭 방지 구조를 가지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necting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split nu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fourth split nut through the third split nut;
The second connecting bar having one end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plit nut and fixed to the second split nut and the other end being fixed to the third split nut;
The third connecting bar having one end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plit nut and fixed to the second split nut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position fixing bracket;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the fourth split nut through the third split nut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position fixing bracket;
And an interference preventing structure of the take-out machine.
상기 위치고정브라켓은 구동 실린더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이동형판과 고정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의 측 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의 측면으로 지나가는 해당 연결바아를 압지 하는 구조로 지지편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는 결합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출기의 간섭 방지 구조를 가지는 하프너트 고속 체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osition fixing bracket includes a fixing piece fixed to the movable plate to fix a position of the driving cylinder, a supporting piece arranged toward the side of the fixing piece, a supporting bar having a structure for pressing the connecting bar passing through the side of the supporting piece,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ncludes an engaging piece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astener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6629A KR102241140B1 (en) | 2015-06-18 | 2015-06-18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Prevention the Interference of Extract Device, Moving Plate Including with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6629A KR102241140B1 (en) | 2015-06-18 | 2015-06-18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Prevention the Interference of Extract Device, Moving Plate Including with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9516A true KR20160149516A (en) | 2016-12-28 |
KR102241140B1 KR102241140B1 (en) | 2021-04-16 |
Family
ID=5772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6629A KR102241140B1 (en) | 2015-06-18 | 2015-06-18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Prevention the Interference of Extract Device, Moving Plate Including with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1140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7024A (en) * | 2010-03-24 | 2011-09-30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of injection molding unit |
KR20120002822U (en) * | 2010-10-15 | 2012-04-25 | 김동수 | Apparatus for fitting solid sign |
KR20130067423A (en) * | 2011-12-14 | 2013-06-2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Half-nut clamp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20130068738A (en) * | 2011-12-16 | 2013-06-26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Half-nut clamp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WO2013114551A1 (en) * | 2012-01-31 | 2013-08-08 |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Mold clamping device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101362618B1 (en) * | 2013-03-22 | 2014-02-13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diminishing the shock of injection molding unit |
-
2015
- 2015-06-18 KR KR1020150086629A patent/KR10224114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07024A (en) * | 2010-03-24 | 2011-09-30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of injection molding unit |
KR20120002822U (en) * | 2010-10-15 | 2012-04-25 | 김동수 | Apparatus for fitting solid sign |
KR20130067423A (en) * | 2011-12-14 | 2013-06-24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Half-nut clamp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20130068738A (en) * | 2011-12-16 | 2013-06-26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Half-nut clamping apparatus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WO2013114551A1 (en) * | 2012-01-31 | 2013-08-08 | 三菱重工プラスチック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 Mold clamping device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
KR101362618B1 (en) * | 2013-03-22 | 2014-02-13 |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diminishing the shock of injection molding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1140B1 (en) | 2021-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6254906A (en) | Multi-material quality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H0351207B2 (en) | ||
KR101835704B1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composite moldings | |
JP2010064278A (en) | Multiple color molding mold | |
US3590436A (en) | Arrangement in an apparatus having a stationary and a movable press platen, particularly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2002103403A (en) | Mold clamping device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
KR20160149516A (en)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Prevention the Interference of Extract Device, Moving Plate Including with The Same | |
JP6310428B2 (en) | Clamping device | |
JP2012192734A (en) | Lamination molding apparatus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 |
KR101739190B1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7373505B2 (en) | injection device | |
FI3906143T3 (en) | Slide guidance and wear reduction for injection molding | |
KR101362618B1 (en)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diminishing the shock of injection molding unit | |
JPH02171221A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2009045939A (en) | Toggle type mold clamping device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5126671B2 (en) | Mold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
KR101347756B1 (en) |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H0148128B2 (en) | ||
JPH088813Y2 (en) | Compound mold clamping devic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H0857896A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 |
KR20110107024A (en) | Half-nut combining apparatus of injection molding unit | |
JP5175477B2 (en) | Clamping device for blow molding machine | |
JPH0857897A (en) | 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plastic material using a plurality of molding dies and single injection device | |
JP2675425B2 (en) | Mold clamping device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 |
JP2017043017A (en) | Mold clamp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