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185A -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9185A KR20160149185A KR1020160174653A KR20160174653A KR20160149185A KR 20160149185 A KR20160149185 A KR 20160149185A KR 1020160174653 A KR1020160174653 A KR 1020160174653A KR 20160174653 A KR20160174653 A KR 20160174653A KR 20160149185 A KR20160149185 A KR 201601491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terminal
- server
- search
- decod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54—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shape and object relationship
-
- G06F17/30244—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06F16/24578—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using rank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06F16/432—Query formulation
- G06F16/434—Query formulation using image data, e.g. images, photos, pictures taken by a user
-
- G06F17/30386—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G06K9/46—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2—Glob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the whole pattern, e.g. using frequency domain transformations or autocorrelation
- G06V10/422—Glob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the whole pattern, e.g. using frequency domain transformations or autocorrelation for representing the structure of the pattern or shape of an object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80—Recognising image objects characterised by unique random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영상 검색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폰이나 웹 캠이 설치된 PC 기반의 단말기를 통해 바코드, QR코드, 얼굴 또는 사물 등을 포함한 실물 등의 객체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을 특징점 기반의 영상 인식을 통해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고 파악된 객체의 유형에 따라 디코더를 자동 구동하여 영상을 판독함으로써 다양한 객체를 모두 검색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리한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 폰이나 웹 캠이 설치된 PC 기반의 단말기를 통해 검색하고자 하는 객체의 영상이 입력되면 입력된 영상을 특징점 추출 기반의 영상 인식 기술로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고 객체의 유형에 따라 해당 디코더를 자동 구동하여 객체를 판독함으로써 객체의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객체에 대하여 통합 인식이 가능한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텔레비전 등에서 영화 또는 광고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쇼핑 중에 마음에 드는 객체(예컨대, 사람 또는 사물 등)를 찾게 된 경우, 또는 평소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임의의 객체를 발견한 경우 사용자들은 객체를 메모하거나, 최근에는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기억하고자 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메모를 습관화해야 하고 항상 메모지를 구비해야 하며, 상품의 상세 정보를 메모한 메모지를 잃어버릴 위험성이 있는 등 관리가 쉽지 않다.
후자의 경우는 사용자가 항상 소지하고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휴대 및 관리가 용이하지만, 촬영한 영상을 통해 원하는 객체를 검색하기 위해서는 영상에서 노출되는 정보를 수동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영상에서 노출된 상품의 이름이나 제품 번호, 모양, 색깔 등을 이용하여 입력해야 한다.
이때, 상품의 이름이나 제품 번호와 같이 명확하게 노출되는 정보에 대해서는 검색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만, 모양이나 이미지 등에 특징이 있거나 영상을 보고서도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검색 작업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최근 들어서는 단말에 객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는 디코더(인식 엔진)를 내장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다.
즉, 단말에 바코드 디코더를 탑재하여 바코드 영상으로부터 바코드를 인식한 다음 검색하거나 또는 단말에 QR코드 디코더를 탑재하여 QR코드의 영상으로부터 해당 QR코드를 인식하여 검색을 수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기술들은 바코드, QR코드, 얼굴 인식, 영상 인식을 위한 디코더들이 각 단말에 개별적으로 탑재되어 있어 객체의 유향에 따라 인식이 제한되며, 객체 인식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유형을 구분하여 인식 요청을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검색하고자 하는 객체의 영상이 입력되면 단말기 또는 서버에서 특징점 추출 기반의 영상 인식 기술을 활용하여 영상으로부터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한 후 파악한 유형과 대응되는 디코더를 자동 호출하여 객체를 판독함으로써 객체의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객체에 대하여 자동 판독으로 통합 인식이 가능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영상 검색을 위한 단말기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고 그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원하는 객체를 촬영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을 통해 생성된 객체의 영상을 영상 인식 기반으로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는 영상 인식부와, 상기 영상 인식부를 통해 파악한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디코더를 자동 구동하여 상기 객체의 영상을 인식하는 통합 인식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인식부는 상기 객체의 영상에서 영상 인식 기반으로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으로 상기 객체의 유형을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의 유형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점 정보는 상기 통합 인식 엔진에 유형별로 구분 저장되어, 상기 영상 인식부에서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는데 기준 자료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 인식 엔진은 상기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각 디코더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코더는 바코드 디코더, QR코드 디코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디코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디코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디코더, 얼굴인식 디코더, 영상인식 디코더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의 유형은 사물 또는 사람, 특정 신체 부위, 문자/숫자 등을 포함한 제품 번호, 바코드, QR코드, NFC태그, RFID 태그, OCR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검색 서버는,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단말기와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그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로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객체의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객체의 영상을 영상 인식 기반으로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는 영상 인식 모듈과, 상기 영상 인식 모듈에서 파악한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디코더를 자동 구동하여 상기 객체의 영상을 인식하는 통합 인식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상 인식 모듈은 상기 객체의 영상에서 영상 인식 기반으로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으로 상기 객체의 유형을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의 유형을 구별할 수 있는 특징점 정보는 상기 통합 인식 엔진에 유형별로 구분 저장되어, 상기 영상 인식 모듈에서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는데 기준 자료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 인식 엔진은 상기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각 디코더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코더는 바코드 디코더, QR코드 디코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디코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디코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디코더, 얼굴인식 디코더, 영상인식 디코더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의 유형은 사물 또는 사람, 특정 신체 부위, 문자/숫자 등을 포함한 제품 번호, 바코드, QR코드, NFC태그, RFID 태그, OCR 코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의 검색 서비스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고 그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검색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에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면 영상 인식 기반으로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는 상기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디코더를 자동 호출하여 구동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는 구동 요청된 디코더에 의해 상기 객체의 영상을 판독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는 인식한 객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은 상기 단말기 내에 구비된 촬영 수단으로 통해 상기 객체를 촬영하고 생성한 영상이거나, 통신망을 통한 웹 페이지 또는 별도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영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영상으로부터 영상 인식 기반으로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을 기 저장된 특징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객체의 유형을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코더는 상기 객체의 유형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코더는 바코드 디코더, QR코드 디코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디코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디코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디코더, 얼굴인식 디코더, 영상인식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서버에서의 검색 서비스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단말기와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그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의 검색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서버에 객체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는 영상 인식 기반으로 상기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파악한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디코더를 자동 호출하여 구동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구동 요청된 디코더에 의해 상기 객체의 영상을 판독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인식한 객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은 상기 단말기 내에 구비된 촬영 수단으로 통해 상기 객체를 촬영하고 생성한 영상이거나, 통신망을 통한 웹 페이지 또는 별도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한 영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의 영상으로부터 영상 인식 기반으로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을 기 저장된 특징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객체의 유형을 구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코더는 상기 객체의 유형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코더는 바코드 디코더, QR코드 디코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디코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디코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디코더, 얼굴인식 디코더, 영상인식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코드, 얼굴 영상, QR코드, NFC 태그, RFID 태그 등 다양한 유형의 객체가 입력되어도 객체의 영상 인식을 통해 유형을 자동 인식하고 인식한 유형에 따라 디코더를 선택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객체의 유형별 검색 방식을 직접 선택 조작할 필요없이 자동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단말 또는 서버에서 다양한 객체에 대한 통합 인식이 가능하므로 편리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검색을 위한 통합 디코더가 탑재되지 않은 디바이스에도 서버 기반의 통합 인식 엔진을 적용하여 제공 가능하므로 디바이스에 구애받지 않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객체의 유형이 신규 추가된 경우에는 해당 디코더를 간편하게 확장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온라인 쇼핑몰을 이용한 쇼핑 제공 서비스와 연계하면 이로 인한 시너지 및 신규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통합 인식 엔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검색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인식 엔진이 단말기에 탑재된 경우 단말기의 검색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인식 엔진이 서버에 탑재된 경우 서버와 단말기간 검색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통합 인식 엔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검색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인식 엔진이 단말기에 탑재된 경우 단말기의 검색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인식 엔진이 서버에 탑재된 경우 서버와 단말기간 검색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객체는 사용자가 쇼핑 중에 구매하고 싶거나 평소에 우연히 발견한 상품, 물(物) 자체이거나 물(物)의 식별 코드, 또는 텔레비전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노출되는 사람이나 사물, 특정 신체 부위 등을 포함한다. 식별 코드는 문자/숫자 등을 포함한 제품 번호이거나, 바코드, QR코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코드 등일 수 있다. 모든 객체는 문자, 모양, 용도, 기능면에서 특징점이 존재하며 둘 이상의 특징점이 공존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안경에 식별 코드가 부착된 경우, 객체는 안경이 되며 이 객체의 영상은 안경에 대한 이미지 정보뿐만 아니라 식별 코드 정보까지 포함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은, 검색하고자 원하는 객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단말기(100), 단말기(100)로부터 통신망(200)을 통해 수신한 객체의 영상을 인식하고 검색하는 영상 검색 서버(3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각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영상 검색 서버(300)에 제공하는 부가 정보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객체가 사물인 경우 사물에 대한 상세 정보, 쇼핑 구매 정보(가격 정보, 판매처 정보 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객체가 사람인 경우 사람과 관련된 상세 정보(착용한 의류, 액세서리 정보, 음악 앨범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단말기(100)는 통신망(200)을 통해 부가 정보 서버(400)에 직접 링크하여 원하는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 서비스까지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통신망(20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객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단말기라면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PC, PDA, 디지털 카메라, 웹 캠, 모바일 단말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쇼핑 중 또는 평소에 우연히 발견한 객체를 촬영하여 객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고 저장하며, 사용자가 객체에 대한 상세 정보와 객체의 관리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객체의 영상을 통신망(200)을 통해 영상 검색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100)는 객체를 촬영하고 이의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수단(12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촬영 수단(120)으로부터 획득한 객체의 영상을 영상 인식 기반을 통해 인식하여 객체가 어떤 유형인지를 파악하고, 파악한 유형에 따라 디코더를 선택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객체에 대하여 통합 인식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단말기(100)는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통합 인식 엔진을 구비할 수 있다. 이의 세부 구성은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객체를 촬영한 위치에 대한 위치 정보, 관심 상품을 촬영한 시간 즉, 일시에 대한 정보인 일시 정보, 및 객체에 대한 판매 가격이나 판매점 등에 대한 부가 정보를 포함한 기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받아 객체의 영상에 첨부하여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객체를 촬영한 위치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지 않고, 객체가 촬영되면 위성 항법 시스템(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구비하여 스스로 관심 상품을 촬영한 위치를 파악하고 객체의 영상에 위치 정보를 부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통신망(200)이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 서버(400)에 접속하고 부가 정보 서버(400)로 객체에 대한 구매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200)은 단말기(1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이다. 즉, 통신망(200)은 유선 인터넷망일 수 있으며, 이동 통신망(CDMA, W-CDMA 등)을 통해 연결되는 무선 데이터망(인터넷망, IMS 등), 또는 Wi-Fi를 통해 연결되는 인터넷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DMA 망의 경우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을 통해 데이터망에 접속될 수 있고, W-CDMA 망의 경우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을 통해 데이터망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핫 스팟(Hot-Spot) 등의 지역에서는 Wi-Fi 등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200)은 단말기(100)로부터 객체의 영상에 대한 전송을 요청받으면 해당 영상을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여 영상 검색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와 반대로, 통신망(200)은 영상 검색 서버(300)로부터 검색 결과 정보의 전송을 요청받으면 검색 결과 정보를 영상 검색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영상 검색 서버(300)는 객체의 영상을 이용하여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서버로서, 부가 정보 서버(400)로부터 각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받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갱신하고, 단말기(100)로부터 객체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해당 객체의 부가 정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영상 검색 서버(300)는 단말기 기반으로 통합 인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경우 단말기(100)를 통해 인식한 객체의 검색이 요청되면 객체의 부가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를 단말기(100)로 피드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버 기반으로 통합 인식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경우, 영상 검색 서버(300)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객체의 영상을 영상 검색 서버(300)에서 인식하여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고 파악한 유형에 따라 최적의 디코더를 적용하여 객체를 분석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해당 객체의 부가 정보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의 세부 구성은 하기의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부가 정보 서버(400)는 다양한 객체와 관련한 부가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일정 주기마다 영상 검색 서버(300)에 객체의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가 정보 서버(400)는 객체를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다. 이 경우, 부가 정보 서버(400)는 단말기(100)의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구매 상품을 판매 및 배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객체의 영상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판독하는 통합 인식 엔진이 내부에 구현되어 단말기 기반 통합 인식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단말기(100)는 인터페이스부(110), 촬영 수단(120), 제어부(130), 영상 인식부(140), 메모리(150), 통합 인식 엔진(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0)는 통신망(도 1의 200)을 통해 영상 검색 서버(도 1의 300) 또는 부가 정보 서버(도 1의 400)에 접속하여 이들과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촬영 수단(120)은 객체를 촬영하여 이의 영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촬영 수단(120)은 단말기(100)에 구비된 카메라, 웹 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촬영 수단(120)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고, 영상 인식부(140) 및 통합 인식 엔진(160)을 통해 인식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 인식부(140)는 촬영 수단(120)을 통해 생성된 객체의 영상을 특징점 추출 기반의 영상 인식 방법으로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파악한다. 각 객체는 유형에 따라 이미지 특징점을 가지게 되는데, 예를 들면 객체가 바코드이면 바코드의 형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특징점 정보가 있고, QR코드이면 QR코드의 형태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특징점 정보가 있다. 이처럼, 객체의 영상으로부터 영상 인식을 통해 특징점을 추출하게 되면 이 특징점 정보에 따라 각 객체가 어떤 형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객체의 특징점 정보를 이용한 유형 파악은 통합 인식 엔진(160)에 구현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가능하다.
통합 인식 엔진(160)은 객체를 인식하는데 필요한 특징점 정보와 디코더가 포함되어 있다. 특징점 정보와 디코더는 객체의 유형에 따라 구분되며, 특징점 정보는 영상 인식부(140)에 제공되어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는 데 적용되고, 디코더는 객체의 유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객체를 판독/인식하는데 적용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인식 엔진(160)은 각 객체의 유형에 따른 디코더를 모두 구축하여 어떠한 객체가 입력되어도 하나의 단말기 내에서 통합 인식이 가능함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인식 엔진(160)은 하나의 객체에 둘 이상의 정보가 담긴 경우 즉, 이미지 정보 또는 바코드 정보가 모두 포함된 경우에도 통합 인식이 가능함에 특징이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정보 및 바코드 정보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지만, 검색의 신뢰성을 위해 가장 인식율이 우수한 순위의 디코더를 먼저 호출하여 순차적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인식 엔진의 세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인식 엔진(160)은 각 객체의 유형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분류 DB(classifier DB: 162)와, 유형별로 각 객체를 판독하기 위한 디코더(164) 등을 포함한다.
분류 DB(162)는 바코드에 대한 고유의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바코드 분류DB(1621), QR코드의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QR코드 분류DB(1622), 얼굴 인식을 위해 얼굴(눈, 코, 입 등)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얼굴인식 분류DB(1623), NFC 태그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NFC 분류DB(1624), RFID 태그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RFID 분류DB(1625), OCR 코드에 대한 고유의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OCR 분류DB(1626), 이외 기타 코드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포함한 기타 분류DB(16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코드에 대한 고유의 특징점 정보는 바코드의 검정색 바(bar)와 흰색 바(bar)로 구성된 형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QR코드의 특징점 정보는 세 모서리에 위치한 위치 식별 코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 NFC 태그나 RFID 태그, OCR 코드 또한 고유의 형태를 활용할 수 있다.
디코더(164)는 분류 DB(162)의 구성과 대응하여, 바코드 디코더(1641), QR코드 디코더(1642), 얼굴인식 디코더(1643), NFC태그 디코더(1644), RFID태그 디코더(1645), OCR코드 디코더(1646), 기타 디코더(16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객체의 유형이 신규로 추가되면 통합 인식 엔진(160)은 신규로 추가된 특징점 정보 및 디코더를 기존 구성에서 확장 가능하게 구축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각 부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그리고, 촬영 수단(120)을 통해 촬영한 영상을 메모리(15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영상 인식부(140)를 통해 영상 인식을 수행할 때 통합 인식 엔진(160)에 구축된 분류 DB(162)를 영상 인식부(14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자체 디바이스 내에서 객체의 영상을 유형에 따라 자동 인식함으로써 단말을 이용한 편리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는 촬영 수단(120)을 이용하여 객체의 영상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 웹 페이지나 별도 디바이스를 통해서 객체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검색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영상 검색 서버(300)는 도 2의 단말기 구성에서 설명한 통합 인식 엔진(도 2의 160)이 단말기(도 2의 100)가 아닌 서버에 구축된 구조이다. 이 경우, 영상 검색 서버(300)는 통합 인식 엔진(350)을 이용한 통합 인식 서비스를 WiFi 무선망을 포함한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영상 검색 서버(300)는 인터페이스 모듈(310), 영상 인식 모듈(320), 제어 모듈(330), 부가 정보 관리 모듈(340), 통합 인식 엔진(35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310)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부(도 1의 110)와 마찬가지로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단말기와 부가 정보 서버와의 통신을 인터페이스한다.
영상 인식 모듈(320)은 단말기의 영상 인식부(도 2의 140)와 마찬가지로, 단말기로부터 객체의 영상이 수신되면 영상을 특징점 추출 기반의 영상 인식을 수행하여 객체의 유형을 파악한다.
통합 인식 엔진(350)은 다양한 객체를 인식하는 데 필요한 특징점 정보와 디코더를 포함한다. 특징점 정보는 영상 인식 모듈(320)로 제공하여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는 데 적용하고, 영상 인식 모듈(320)을 통해 파악한 객체에 적합한 최적의 디코더(354)를 구동시켜 객체를 판독한다.
이때, 영상 검색 서버(300)는 통합 인식 엔진(350)에 구축된 디코더(354) 및 분류 DB(352)를 가장 인식율이 우수한 순으로 배열하고 검색 결과를 배열한 순서대로 소팅(sorting)하여 보여줄 수 있다.
제어 모듈(330)은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부가 정보 관리 모듈(340)은 부가 정보 서버(도 1의 400)에 저장된 각 객체의 부가 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수신하여 저장 및 갱신한다.
한편,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하지 않은 구성 및 기능은 도 2에서 설명한 단말기(도 2의 100)의 제어부(도 2의 130), 영상 인식부(도 2의 140), 통합 인식 엔진(도 2의 160)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객체의 영상을 인식하여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고 파악한 유형에 따라 해당 디코더를 구동하여 객체를 판독하는 통합 인식 엔진이 클라이언트 영역인 단말기(100)에 탑재되어 서버로 필요한 정보를 호출하는 구조가 될 수 있고, 또는 영상 검색 서버(300)에 탑재되어 입력되는 객체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호출할 수도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구조와 상관없이 영상 검색을 통한 검색 결과는 신뢰성을 위해서 가장 인식율이 우수한 형태로 랭킹(ranking)에 의해서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보여 줄 수 있다.
그럼, 이상의 구성을 기반으로 한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비스하는 과정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인식 엔진이 단말기에 탑재된 경우 단말기의 검색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참고로, 도 2의 구성요소와 연계하여 설명한다.
단말기(100)는 촬영 수단(120)을 통해 촬영한 객체의 영상이나 또는 웹 페이지, 별도의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한 객체의 영상을 입력한다(S10).
그리고, 단말기(100)는 입력된 객체의 영상을 통합 인식 엔진(160)의 분류 DB를 근거로 영상의 특성을 분석한다(S20).
분석 방법은 영상으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특징점 추출 기반의 영상 인식 기술을 적용한다. 예컨대, 바코드의 영상은 특징점 기반의 영상 인식으로 객체가 바코드 형태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단말기(100)는 상기의 분석 과정을 통해 객체의 유형을 분류한다(S30).
그리고, 단말기(100)는 분류한 객체를 판독하기 위한 해당 디코더를 호출하여 이의 구동을 요청한다(S40). 즉, 객체의 영상으로부터 특징점 기반의 영상 인식을 통해 바코드가 검출되면 바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바코드 디코더를 호출 및 구동하고, 얼굴에 대한 특징점 정보가 검출되면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얼굴인식 디코더를 호출 및 구동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구동 요청된 디코더로 객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객체를 식별한다(S50).
단말기(100)는 식별한 객체 정보를 영상 검색 서버에 전송하여 검색을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영상 검색 서버로부터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받으면 이를 표시하여 보여 준다(S6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인식 엔진이 서버에 탑재된 경우 서버와 단말기간 검색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참고로, 도 6의 동작 과정은 도 4의 구성요소와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기(100)는 촬영 수단을 통해 촬영한 객체의 영상이나 또는 웹 페이지, 별도의 디바이스를 통해 획득한 객체의 영상이 입력되면, 입력된 객체의 영상을 영상 검색 서버(300)로 전송한다(S110, S120).
영상 검색 서버(300)는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받은 객체의 영상을 특징점 기반의 영상 인식을 통해 영상의 특징을 분석한다(S130). 이러한 분석 과정은 통합 인식 엔진(350)에 구축된 분류 DB(352)와 영상 인식 모듈(320)을 이용하여 구별될 수 있다.
분석 후, 영상 검색 서버(300)는 특징에 따른 객체의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한 객체를 판독하기 위한 해당 디코더를 호출하여 자동 구동한다(S140, S150). 그리고, 영상 검색 서버(300)는 구동한 디코더로 객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객체를 식별한다(S160).
또한, 영상 검색 서버(300)는 식별한 객체에 대한 부가 정보가 있는지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해당 단말기(100)로 전송한다(S170, S180).
해당 단말기(100)는 영상 검색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검색 결과 즉, 객체의 부가 정보를 표시하여 보여 준다(S190).
이러한 검색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에서 가격 비교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객체의 영상만 가지고 있으면 상품뿐만 아니라 상품의 가격 비교를 통해 쇼핑 구매 서비스까지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 인식 관련 비젼 및 그래픽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 DB 구축 기술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패턴 인식 관련 비젼 및 그래픽 기술이나 네트워크 기술, DB 구축 기술 등 폭넓은 기술 분야에까지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종래 영상을 이용한 검색 서비스는 바코드, QR코드, 얼굴 인식, 영상 인식 등을 위한 인식 엔진이 각 단말에 개별적으로 탑재되어 있어 개별적이라는 한계성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직접 인식을 위한 요청을 의뢰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객체의 영상이 입력되면 영상 인식을 통해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고 파악한 유형에 따라 디코더를 선택 적용하여 객체를 판독함으로써 다양한 객체에 대한 통합 인식이 가능하고, 객체 인식 전에 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 요청을 직접 의뢰할 필요없이 자동 인식 및 검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을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가격 비교 서비스, 쇼핑 구매 서비스 등에 연계하면 현재의 영상 검색 서비스 사업을 보다 활성화할 수 있다.
종래 영상을 이용한 검색 서비스는 바코드, QR코드, 얼굴 인식, 영상 인식 등을 위한 인식 엔진이 각 단말에 개별적으로 탑재되어 있어 개별적이라는 한계성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직접 인식을 위한 요청을 의뢰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은 객체의 영상이 입력되면 영상 인식을 통해 객체의 유형을 파악하고 파악한 유형에 따라 디코더를 선택 적용하여 객체를 판독함으로써 다양한 객체에 대한 통합 인식이 가능하고, 객체 인식 전에 유형을 파악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 요청을 직접 의뢰할 필요없이 자동 인식 및 검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을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가격 비교 서비스, 쇼핑 구매 서비스 등에 연계하면 현재의 영상 검색 서비스 사업을 보다 활성화할 수 있다.
100: 단말기
200: 통신망
300: 영상 검색 서버 400: 부가 정보 서버
110: 인터페이스부 120: 촬영 수단
130: 제어부 140: 영상 인식부
150: 메모리 160: 통합 인식 엔진
162: 분류 DB 164: 디코더
310: 인터페이스모듈 320: 영상 인식 모듈
330: 제어 모듈 340: 부가 정보 관리 모듈
350: 통합 인식 엔진
300: 영상 검색 서버 400: 부가 정보 서버
110: 인터페이스부 120: 촬영 수단
130: 제어부 140: 영상 인식부
150: 메모리 160: 통합 인식 엔진
162: 분류 DB 164: 디코더
310: 인터페이스모듈 320: 영상 인식 모듈
330: 제어 모듈 340: 부가 정보 관리 모듈
350: 통합 인식 엔진
Claims (6)
-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고 그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원하는 객체를 촬영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을 통해 생성된 객체의 영상을 영상 인식 기반으로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는 영상 인식부와,
상기 영상 인식부를 통해 파악한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디코더를 자동 구동하여 상기 객체의 영상을 인식하는 통합 인식 엔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영상 검색을 위한 단말기. -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단말기와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그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로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단말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객체의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객체의 영상을 영상 인식 기반으로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는 영상 인식 모듈과,
상기 영상 인식 모듈에서 파악한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디코더를 자동 구동하여 상기 객체의 영상을 인식하는 통합 인식 엔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검색 서버. -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단말과 서버가 접속하여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은 상기 서버로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검색 결과를 제공받으며,
상기 서버로 검색을 요청하기 전에, 촬영 수단으로 통해 상기 원하는 객체를 촬영하여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객체의 영상을 영상 인식 기반으로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며, 파악한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디코더를 자동 구동하여 상기 객체의 영상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단말과 서버가 접속하여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로부터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따라 검색한 결과를 상기 클라이언트의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클라이언트의 검색 요청과 함께 원하는 객체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객체의 영상을 영상 인식 기반으로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고, 파악한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디코더를 자동 구동하여 상기 객체의 영상을 인식한 다음, 인식한 객체를 토대로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 통신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고 그 검색 결과를 수신하는 단말기의 검색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에 상기 객체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면 영상 인식 기반으로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상기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는 상기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디코더를 자동 호출하여 구동 요청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는 구동 요청된 디코더에 의해 상기 객체의 영상을 판독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는 인식한 객체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여 검색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영상 검색 서비스 방법. - 통신망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단말기와 접속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원하는 객체에 대한 검색 요청을 수신하면 그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의 검색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서버에 객체에 대한 영상이 입력되면 상기 서버는 영상 인식 기반으로 상기 영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객체의 유형을 미리 파악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파악한 객체의 유형에 따라 판독 가능한 디코더를 자동 호출하여 구동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서버는 구동 요청된 디코더에 의해 상기 객체의 영상을 판독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인식한 객체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영상 검색 서비스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653A KR101784287B1 (ko) | 2016-12-20 | 2016-12-20 |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4653A KR101784287B1 (ko) | 2016-12-20 | 2016-12-20 |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6588A Division KR101729938B1 (ko) | 2010-08-09 | 2010-08-09 |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9185A true KR20160149185A (ko) | 2016-12-27 |
KR101784287B1 KR101784287B1 (ko) | 2017-10-11 |
Family
ID=5773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4653A KR101784287B1 (ko) | 2016-12-20 | 2016-12-20 |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428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9799A1 (ko) * | 2017-08-20 | 2019-02-28 | 네이버 주식회사 | 시각적 입력의 처리 |
KR20190020281A (ko) * | 2017-08-20 | 2019-02-28 | 네이버 주식회사 | 시각적 입력의 처리 |
WO2021075701A1 (ko) * | 2019-10-18 | 2021-04-22 | 주식회사 메이아이 | 인터랙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KR20210047749A (ko) * | 2019-10-22 | 2021-04-30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 인식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33231B1 (ko) * | 2005-04-18 | 2006-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제스처 인식 기반 정보 검색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및 그 구현방법 |
-
2016
- 2016-12-20 KR KR1020160174653A patent/KR10178428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9799A1 (ko) * | 2017-08-20 | 2019-02-28 | 네이버 주식회사 | 시각적 입력의 처리 |
KR20190020281A (ko) * | 2017-08-20 | 2019-02-28 | 네이버 주식회사 | 시각적 입력의 처리 |
WO2021075701A1 (ko) * | 2019-10-18 | 2021-04-22 | 주식회사 메이아이 | 인터랙션 검출 방법 및 그 장치 |
US12094253B2 (en) | 2019-10-18 | 2024-09-17 | May-I Inc. | Interaction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
KR20210047749A (ko) * | 2019-10-22 | 2021-04-30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 인식 방법 및 장치 |
KR20210084386A (ko) * | 2019-10-22 | 2021-07-07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시각적으로 코딩된 패턴 인식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84287B1 (ko) | 2017-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9938B1 (ko) |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
US10380170B2 (en) | Integrated image searching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 |
US11238654B2 (en) | Offline shopping guide method and apparatus | |
KR101443158B1 (ko) | 사용자 관심 기반의 상품정보 추천 시스템 | |
US9111304B2 (en) |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information provision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said program | |
KR101784287B1 (ko) | 통합 영상 검색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
JP5395920B2 (ja) | 検索装置、検索方法、検索プログラ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 |
US10817923B2 (en) |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 |
EP2003611A2 (en) |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information presentation terminal, and server | |
US9633272B2 (en) | Real time object scanning using a mobile phone and cloud-based visual search engine | |
US9213960B2 (en) | Filtering inventory objects using images in an RFID system | |
CA2928381A1 (en) | System for inventory management | |
CN104504402A (zh) | 一种基于图像搜索的数据处理方法及系统 | |
KR101711163B1 (ko) | 범용 인터넷과 비컨을 활용한 통합 모바일 주문 시스템 | |
CN104504155A (zh) | 一种基于图像搜索的数据获取方法及系统 | |
CN110348925A (zh) | 门店系统、物品搭配方法、装置及电子设备 | |
KR20110137004A (ko) |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검색 기반 가격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JP6210554B2 (ja) | 認識装置、認識プログラム及び認識方法 | |
US9268464B1 (en) | Link determination and usage using image recognition | |
KR20170065186A (ko) | 영상인식을 통한 결제시스템 | |
KR102249997B1 (ko) |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
KR20170055013A (ko) | 코드 기반의 가격 비교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JP7390772B2 (ja) | 訪問情報提供システム、訪問情報提供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 |
KR102230419B1 (ko) | 촬영기반 정보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 |
CN103119593B (zh) | 集成图像搜索系统及其服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