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087A - 트러스보강 조립보 - Google Patents

트러스보강 조립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087A
KR20160149087A KR1020150086142A KR20150086142A KR20160149087A KR 20160149087 A KR20160149087 A KR 20160149087A KR 1020150086142 A KR1020150086142 A KR 1020150086142A KR 20150086142 A KR20150086142 A KR 20150086142A KR 20160149087 A KR20160149087 A KR 20160149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truss
plate unit
bending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8244B1 (ko
Inventor
유중모
염경수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주)엔아이스틸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주)엔테이지
대우조선해양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쓰리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아이스틸,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주)엔테이지, 대우조선해양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쓰리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엔아이스틸
Priority to KR102015008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8244B1/ko
Publication of KR2016014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8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04C3/0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Abstract

본 발명은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 공사가 필요 없고, 보와 슬래브가 별도의 전단 연결재 없이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접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트러스보강 조립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는,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을 갖고 길이재로 구성되는 절곡강판 유닛; 절곡강판 유닛 단면 하부에서 절곡강판 유닛 단면내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절곡강판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복수로 형성되는 간격형성부재; 절곡강판 유닛 전길이에 걸쳐 절곡강판 유닛 단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하현재, 복부재, 상현재로 구성되어 하현재가 간격형성부재에 접합되는 트러스보강재; 절곡강판 유닛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트러스보강재의 상현재와 절곡강판 유닛에 접합되어 트러스보강재를 횡구속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러스보강 조립보{Built-up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본 발명은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 공사가 필요 없고, 보와 슬래브가 별도의 전단 연결재 없이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접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트러스보강 조립보에 관한 것이다.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재 보와 철근콘크리트가 단일부재로 거동하도록 구현하여 휨모멘트를 받을 때 압축응력의 대부분은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하고 인장응력은 강재가 부담하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부재로써 보의 춤을 줄여 건축구조물의 층고를 줄일 수 있고 보 단면의 저항강도와 저항강성 증대로 장 스팬 구조물이 가능하게 하며 극한성능이나 변형성능이 증대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오랜 기간 동안 여러 형상이 개발되어왔는데, 강재의 단면을 구조부재의 인장측 외피에 집중배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강판 절곡형 합성보가 그 중 하나이며 TSC보가 대표적이다.
강콘크리트 합성보는 강판에 의해 콘크리트가 구속됨으로 휨 강성이 증가되며 콘크리트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균열과 중성화를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상태에서 개방형 단면은 크레인에 의한 양중작업, 시공중 하중 등에 의해 단면의 기하학적 불안정성을 일으키기 쉽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10-0936403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특허문헌1)이 있다.
이 특허는 강판을 거푸집 형상으로 성형하여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형성된 성형 강판보와 그 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 뿜칠 한 내화피복재의 양생 중 수직방향 흐름을 방지하여 내화피복재가 성형 강판보 측면판에 견고하게 부착되게 하는 흐름방지부재를 포함하는 합성보를 제안한다.
이 특허가 제안하는 합성보는 내부 콘크리트의 열흡수로 내화피복두께 절감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공사비 절감효과가 있고 내화성능이 탁월하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으나, 작업하중, 양중하중 등의 시공단계하중에 의해 과도한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이러한 외력 문제에 대한 대응으로 강판 두께가 증가하게 되면 경제성 및 재료효율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강판을 거푸집으로 기능하도록 U자 형상으로 제작되는 강판보는 통상 강판 두께가 6mm 전후의 얇은 박판으로 구성되어 단면강성이 매우 작아서 강판보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울 때와, 바닥판에 철근을 조립하고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발생되는 시공중 하중을 지탱하기가 곤란하므로 시공단계에서 강판보의 중간중간에 동바리(지지대)를 두고 시공함으로 현장 시공작업성이나 공기절감을 기대하기가 곤란하다.
특허등록 제10-0936403호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강재의 단면을 구조부재의 인장측 외피에 배치하고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강판 절곡형 합성보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 상태에서 개방형 단면의 기하학적 불안정성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시공단계에서 바람이나 토압과 같은 횡력으로부터 합성보에 발생되는 축력이 야기하는 판부재요소의 좌굴이나 강재단면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형태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는,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을 갖고 길이재로 구성되는 절곡강판 유닛; 절곡강판 유닛 단면 하부에서 절곡강판 유닛 단면내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절곡강판 유닛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복수로 형성되는 간격형성부재; 절곡강판 유닛 전길이에 걸쳐 절곡강판 유닛 단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하현재, 복부재, 상현재로 구성되어 하현재가 간격형성부재에 접합되는 트러스보강재; 절곡강판 유닛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트러스보강재의 상현재와 절곡강판 유닛에 접합되어 트러스보강재를 횡구속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트러스보강재의 복부재는, 봉강, 각강, 환봉, 철근 중 어느 하나를 트러스 모델 형상에 따라 절곡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절곡강판 유닛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판, 수직판의 하단을 잇도록 형성되는 하부판, 수직판의 상단에서 하부판과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구속부재는, 트러스보강재의 상현재와 절곡강판 유닛 상부판에 접합되어 트러스보강재를 횡구속 할 수 있다.
또는, 절곡강판 유닛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판, 수직판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판, 수직판의 상단에서 하부판과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면 유닛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측면 유닛의 하부판이 접합되어 구성되고, 구속부재는, 트러스보강재의 상현재와 절곡강판 유닛 상부판에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절곡강판 유닛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판, 수직판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측면 유닛이 구비되고, 받침 유닛이 구비되어 측면 유닛의 수직판 하단과 받침 유닛이 접합되어 구성되고, 구속부재는, 트러스보강재의 상현재와 절곡강판 유닛 상부판에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 유닛은, 측면 유닛 보다 두꺼운 강판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받침 하부판으로 구성되어 측면 유닛의 수직판과 받침 유닛의 받침 하부판이 접합될 수 있다.
또는, 받침 유닛은, 수평하게 형성되는 받침 하부판, 받침 하부판의 양단에서 받침 하부판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받침 수직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받침 수직판의 돌출단이 측면 유닛의 수직판에 접합될 수 있다.
한편, 트러스보강 조립보의 양단에는 하부플랜지, 상부플랜지, 웨브로 구성되어 'H'자 또는 'I'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재가 더 결합되되, 절곡강판 유닛 양단에는 하부판의 연결부재 웨브 상응위치에 일정 길이의 삽입홈이 미리 형성되고 연결부재의 웨브가 절곡강판 유닛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양단에 부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한 저항능력이 향상되고 기둥과의 접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트러스보강재의 하현재, 복부재, 상현재는 충진된 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트러스보강재의 상현재는 봉강, 각강, 환봉, 철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구속부재는, 트러스보강재의 상현재에 접합되는 접합판, 접합판에서 절곡강판 유닛을 연결하도록 접합되는 횡지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트러스보강재의 상현재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홀이 천공된 강판으로 구성되고, 구속부재는, 트러스보강재의 상현재와 절곡강판 유닛을 연결하도록 접합되는 횡지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 공사가 필요 없고, 보와 슬래브가 별도의 전단 연결재 없이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방단면의 비틀림 문제를 해결하고 시공단계에서의 좌굴장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강판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보강재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트러스보강재 조립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의 사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는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을 형성하는 절곡강판 유닛(10), 절곡강판 유닛(10) 단면 하부에서 절곡강판 유닛 단면 내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간격형성부재(20), 하현재(31)가 간격형성부재(20)에 접합되는 트러스보강재(30) 및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와 절곡강판 유닛(10)에 접합되어 트러스보강재(30)를 횡구속하는 구속부재(40)를 포함한다.
절곡강판 유닛(10)은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수직판(11), 수직판(11)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하부판(12), 각 수직판(11)의 상단에서 하부판(12)과 같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판(11)은 절곡강판 유닛(10)의 측벽을 이루는 것으로 예각이나 둔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12)은 수직판(11)의 하단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수직판(11)의 하단을 잇도록 형성된다. 하부판(12)은 수직판(11)과 함께 추후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의 역할을 한다.
상부판(13)은 수직판(11)의 상단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하부판(12)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는 양단이 기둥에 접합되는 것으로 조립보 상부에 슬래브 구축을 위한 데크플레이트를 걸치고 그 상부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그리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동시에 타설 양생하여 조립보와 슬래브가 일체화된다. 절곡강판 유닛(10) 단면 내측을 향하도록 돌출되는 상부판(13)은 데크플레이트가 안착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상부판(13) 상면에 데크플레이트의 단부가 안착되며 돌출길이는 데크플레이트의 걸침 길이에 의해 결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곡강판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외에도 절곡강판 유닛(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13)이 하부판과 반대 방향, 즉 단면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절곡강판 유닛(10)은 하나의 강판을 절곡하여 제작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4b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부재가 아닌 2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판(11), 상부판(13), 하부판(12)을 갖는 한 쌍의 측면 유닛(10a, 10a)이 구비되고 측면 유닛의 각각의 하부판(12,12)을 용접이나 볼트 등의 방법으로 결합시켜서 절곡강판 유닛(1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d와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강판 유닛(10)은 3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에는 수직판(11), 상부판(13), 하부판(12)을 갖는 한 쌍의 측면 유닛(10a, 10a)이 구비되고, 수평하게 형성된 받침 하부판(16)으로 구성되는 받침 유닛(10b)이 구비되며, 측면 유닛(10a,10a)의 하부판(12,12)과 받침 유닛(10b)의 받침 하부판(16)이 용접이나 볼팅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어 절곡강판 유닛(10)을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절곡강판 유닛(10)을 구성함에 있어서 받침 하부판(16)은 시공하중이나 완성 후 합성부재로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측면 유닛(10a) 보다 두꺼운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측면 유닛(10a) 상부판(13)이 하부판(12)과 반대 방향, 즉 단면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받침 유닛(10b)을 포함하여 절곡강판 유닛(10)을 구성할 때에는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유닛(10a)은 하부판(12)을 생략하여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받침 유닛(10b)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하부판(16), 받침 하부판(16)의 양단에서 받침 하부판(16)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받침 수직판(17,1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받침 수직판(17,17)의 돌출단이 측면 유닛(10a,10a)에 접합되어 절곡강판 유닛(10)의 춤을 깊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받침 수직판(17,17)에서 받침 하부판(16)과 같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받침 상부판(18,18)을 더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에는 받침 상부판(18,18)이 측면 유닛(10a,10a)에 접합되어 절곡강판 유닛(10)을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살펴보면, 간격형성부재(20)는 절곡강판 유닛(10)의 하부판(12) 상면에서 절곡강판 유닛(10) 단면 내로 소정의 높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간격형성부재(20)는 절곡강판 유닛(10)과 그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와의 합성작용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임과 동시에 트러스보강재(30)를 절곡강판 유닛(10)으로부터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화재 발생시 트러스보강재(3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지연시켜 내화성능을 확보하는 피복두께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간격형성부재(20)는 절곡강판 유닛(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설치되며 도면에서는 간격형성부재(20)로 앵글부재가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채널부재, 철근부재, 원형이나 각형의 봉강부재 등의 높이를 갖는 여러 가지 부재들이 사용될 수 있다.
트러스보강재(30)는 상현재(33)와 하현재(31) 그리고 상현재(33)와 하현재(31)를 연결하는 복부재(32)로 구성되는 트러스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현재(33)와 하현재(31)로는 봉강, 각강, 환봉, 철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복부재(32)로는 봉강, 각강, 환봉, 철근 중 어느 하나를 절곡하여 제작될 수 있다.
트러스보강재(30)의 하현재(31)가 간격형성부재(20)에 접합되며 이로써 트러스보강재(30)와 절곡강판 유닛(10)이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결합된다.
트러스보강재(30)의 복부재(32)의 형상은 사인장 균열이 발생하는 철근콘크리트 보의 웨브 부분을 30~60°로 일정하게 기울어진 압축재(diagonal compression member)로 이상화하여 전단력에 대해 저항하는 배근방법을 제시한 30~60°트러스 모델에 따라 절곡한 것으로 복부재(3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스트러트-타이 모델이나 다른 트러스 모델을 따라 사다리꼴형이나 사각형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트러스보강재(30)의 하단은 절곡강판 유닛(10)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매립되어 구속되고 상단은 절곡강판 유닛(10) 단면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후술되는 슬래브 콘크리트에 매립된다.
트러스보강재(30)는 시공중에는 트러스 부재의 인장, 압축 작용으로 시공하중에 효과적으로 저항하게 하는 수단이다. 또한, 완공 후에는 절곡강판 유닛(10)의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와 슬래브 콘크리트 양측에 매립되어 합성보와 슬래브의 합성작용을 도모하며 슬래브 콘크리트와 합성보 간의 전단연결재로 기능한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보강재의 단면도이고, 도 5c는 트러스보강 조립보의 사시도이다.
트러스보강재(30)의 하현재(31)와 상현재(33) 및 복부재(32)는 봉강 이외의 다양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이나 강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채널부재, H형강, 원형이나 각형의 봉강, 또는 몰탈이나 콘크리트가 충진된 원형 혹은 각형 파이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가 도 5a와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현재(33)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홀(331)이 천공되어야 한다. 관통홀(331)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절곡강판 유닛(10) 내로 일체로 타설되도록 하고 다웰 작용(Dowel action)을 통해 조립보와 콘크리트간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수단으로 크기는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에 의해 결정되고 그 형상은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으며 원형, 사각형, 다각형 등의 여러 형상으로 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의 단면도이다.
트러스보강재(30)는 단수 또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처럼 2열로 구성되어 간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으며 트러스보강재(30)의 개수의 결정은 구조계산에 따른다.
구속부재(40)는 절곡강판 유닛(10)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으로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와 절곡강판 유닛(10)에 각각 접합되어 트러스보강재(30)를 횡구속하는 수단이다.
구속부재(40)는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에 접합되는 접합판(42)과 접합판(42)에서 절곡강판 유닛(10) 상부판(13)을 연결하도록 접합하는 횡지지판(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횡지지판(41)은 트러스보강재(30)를 절곡강판 유닛(10) 양측 상부판(13)으로 지지하여 트러스보강재(30)의 면외 좌굴을 방지한다. 즉, 트러스보강재(30)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지지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므로 트러스보강재(30)의 면외 좌굴장 길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접합판(42)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가 봉강으로 구성된 경우 접합면적이 충분하지 않아 접합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적절한 접합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접합판(42)이 상현재(33)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트러스보강재(30)의 복부재(32)는 접합판(42)의 하면에 결합된다.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가 강판으로 구성되어 적절한 접합면적을 제공하므로 접합판(42)이 생략되고 횡지지판(41)이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에 직접 접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트러스보강재 조립보는 길이방향으로 양쪽 끝에 부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키고 기둥과의 접합성을 높이기 위해 연결부재(6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60)로는 웨브(63)와 상부플랜지(62) 및 하부플랜지(61)로 구성되어 'H'자 또는 'I'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대칭이나 비대칭의 I형, H형 롤 빔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재(60)의 단면이 'H'자 또는 'I'자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보 부재로서 'H'자 또는 'I'자 단면형상을 가지는 부재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고 접합부의 상세도 많이 개발되어 있고 작업 공정도 익숙하므로 연결부재(60)의 단면은 'H'자 또는 'I'자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60)는 도 7에서와 같이 절곡강판 유닛(10)의 하부판(12)이 연결부재(60) 하부플랜지(61)에 안착되고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가 연결부재(60) 상부플랜지(62)에 안착되어 용접 등의 이 분야에서 임의 공지된 방법으로 접합된다. 이를 위해 절곡강판 유닛(10) 하부판(12) 양단에는 연결부재(60) 웨브(63) 상응위치에 일정 길이의 삽입홈이 미리 형성되어 연결부재(60)의 웨브(63)가 삽입한 다음 용접하는 형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러스보강 조립보는 강콘크리트 합성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로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별도의 거푸집 공사가 필요없고, 보와 슬래브가 별도의 전단 연결재 없이도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방단면의 비틀림 문제를 해결하고 시공단계에서의 좌굴장 문제로부터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절곡강판 유닛 11: 수직판
12: 하부판 13: 상부판
10a: 측면 유닛 10b: 받침 유닛
16: 받침 하부판 17: 받침 수직판
18: 받침 상부판 20: 간격형성부재
30: 트러스보강재 31: 하현재
32: 복부재 33: 상현재
331: 상현재 관통홀 40: 구속부재
41: 횡지지판 42: 접합판
60: 연결부재

Claims (11)

  1. 상부가 개구된 U자형 단면을 갖고 길이재로 구성되는 절곡강판 유닛(10);
    절곡강판 유닛(10) 단면 하부에서 절곡강판 유닛 단면 내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절곡강판 유닛(10)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고 복수로 형성되는 간격형성부재(20);
    절곡강판 유닛(10) 전길이에 걸쳐 절곡강판 유닛(10) 단면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하현재(31), 복부재(32), 상현재(33)로 구성되어 하현재(31)가 간격형성부재(20)에 접합되는 트러스보강재(30); 및
    절곡강판 유닛(10)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와 절곡강판 유닛(10)에 접합되어 트러스보강재(30)를 횡구속하는 구속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2. 제1항에 있어서,
    트러스보강재(30)의 복부재(32)는,
    봉강, 각강, 환봉, 철근 중 어느 하나를 트러스 모델 형상에 따라 절곡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곡강판 유닛(10)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판(11), 수직판(11)의 하단을 잇도록 형성되는 하부판(12), 수직판(11)의 상단에서 하부판(12)과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구속부재(40)는,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와 절곡강판 유닛(10) 상부판(13)에 접합되어 트러스보강재(30)를 횡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곡강판 유닛(10)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판(11), 수직판(11)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하부판(12), 수직판(11)의 상단에서 하부판(12)과 같은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면 유닛(10a)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측면 유닛(10a,10a)의 하부판(12,12)이 접합되어 구성되고,
    구속부재(40)는,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와 절곡강판 유닛(10) 상부판(13)에 접합되어 트러스보강재(30)를 횡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곡강판 유닛(10)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판(11), 수직판(11)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판(13)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측면 유닛(10a, 10a)이 구비되고,
    받침 유닛(10b)이 구비되어 측면 유닛(10a,10a)의 수직판(11,11) 하단과 받침 유닛(10b)이 접합되어 구성되고,
    구속부재(40)는,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와 절곡강판 유닛(10) 상부판(13)에 접합되어 트러스보강재(30)를 횡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6. 제5항에 있어서,
    받침 유닛(10b)은,
    측면 유닛(10a) 보다 두꺼운 강판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받침 하부판(16)으로 구성되어 측면 유닛(10a,10a)의 수직판(11,11)과 받침 유닛(10b)의 받침 하부판(16)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7. 제5항에 있어서,
    받침 유닛(10b)은,
    수평하게 형성되는 받침 하부판(16), 받침 하부판(16)의 양단에서 받침 하부판(16)과 수직하게 연장되는 받침 수직판(17,1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받침 수직판(17,17)의 돌출단이 측면 유닛(10a,10a)의 수직판(11,11)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8. 제1항에 있어서,
    트러스보강 조립보의 양단에는
    하부플랜지(61), 상부플랜지(62), 웨브(63)로 구성되어 'H'자 또는 'I'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연결부재(60)가 더 결합되되,
    절곡강판 유닛(10) 양단에는 하부판(12)의 연결부재(60) 웨브(63) 상응 위치에 일정 길이의 삽입홈이 미리 형성되고 연결부재(60)의 웨브(63)가 절곡강판 유닛(10)에 삽입되어 결합되어,
    양단에 부모멘트 및 전단력에 대한 저항능력이 향상되고 기둥과의 접합성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9. 제1항에 있어서,
    트러스보강재(30)의 하현재(31), 복부재(32), 상현재(33)는 몰탈이나 콘크리트가 충진된 각형 또는 원형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10. 제1항에 있어서,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는 봉강, 각강, 환봉, 철근 중 하나로 구성되고,
    구속부재(40)는,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에 접합되는 접합판(42), 접합판(42)에서 절곡강판 유닛(10)을 연결하도록 접합되는 횡지지판(4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11. 제1항에 있어서,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관통홀(331)이 천공된 강판으로 구성되고,
    구속부재(40)는,
    트러스보강재(30)의 상현재(33)와 절곡강판 유닛(10)을 연결하도록 접합되는 횡지지판(41)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보강 조립보.
KR1020150086142A 2015-06-17 2015-06-17 트러스보강 조립보 KR101738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142A KR101738244B1 (ko) 2015-06-17 2015-06-17 트러스보강 조립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142A KR101738244B1 (ko) 2015-06-17 2015-06-17 트러스보강 조립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087A true KR20160149087A (ko) 2016-12-27
KR101738244B1 KR101738244B1 (ko) 2017-05-19

Family

ID=5773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142A KR101738244B1 (ko) 2015-06-17 2015-06-17 트러스보강 조립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82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49B1 (ko) * 2017-12-20 2018-07-09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건축물용 박스형 강합성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210072592A (ko) * 2019-12-09 2021-06-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중간종대와 중간횡대를 이용한 트러스 슬림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03B1 (ko) 2009-05-15 2010-01-12 주식회사 성현케미칼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403B1 (ko) 2009-05-15 2010-01-12 주식회사 성현케미칼 내화피복재 부착구조를 갖는 성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49B1 (ko) * 2017-12-20 2018-07-09 주식회사 아이에스중공업 건축물용 박스형 강합성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KR20210072592A (ko) * 2019-12-09 2021-06-1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중간종대와 중간횡대를 이용한 트러스 슬림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8244B1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US11149390B2 (en) Prefabricated, prestressed bridge module
JP5143956B2 (ja) 階高節減型鋼コンクリート合成スラブ・梁用成形鋼板組立梁
KR101464866B1 (ko) 반채움 pc 타이앵커 합성보
JP2006316580A (ja)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KR101834006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강재 조립보와 이를 이용한 철골골조
CN108978856B (zh) 一种装配式蜂窝梁板结构体系
KR101116073B1 (ko) 층고절감형 합성보
CN110644675A (zh) 叠合梁连接节点、施工方法及叠合梁生产工艺
CN111877546B (zh) 一种带屈曲约束支撑的装配式框架梁柱湿节点及施工方法
KR100870070B1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200455723Y1 (ko) 하이브리드 철골보
JP6473236B2 (ja) 建築用デッキパネル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R101940876B1 (ko) 합성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47540B1 (ko) 이형플랜지를 갖는 하이브리드 h형강 빔
KR20080099753A (ko)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KR100796216B1 (ko) 건축물의 콘크리트 복합보
KR200469319Y1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구조
CN108571169B (zh) 工厂预制钢砼叠合剪力墙装配式建筑施工方法
KR101249600B1 (ko) 고정부재를 이용해 데크플레이트가 강재 보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된 합성보
WO2016005660A1 (en) Steel beam
KR20100044088A (ko) 데크패널
KR20160149524A (ko) 중립축 상승부재를 갖는 강재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KR20070053836A (ko) 기둥 슬래브간 접합부 전단보강재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