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9017A -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9017A
KR20160149017A KR1020150085934A KR20150085934A KR20160149017A KR 20160149017 A KR20160149017 A KR 20160149017A KR 1020150085934 A KR1020150085934 A KR 1020150085934A KR 20150085934 A KR20150085934 A KR 20150085934A KR 20160149017 A KR20160149017 A KR 20160149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ole
network
network console
equip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충교
진영일
김효성
부성은
함성훈
Original Assignee
동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운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운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동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5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9017A/ko
Publication of KR20160149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9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06Configuration setting for initial configuration or provisioning, e.g. plug-and-play
    • H04L41/0809Plug-and-play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03Configuration setting
    • H04L41/0813Configuration setting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s triggering a change of se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인터페이스 접속방식에 제한을 받지않는 통합통신케이블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구비된 콘솔 포트와 중개 디바이스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중개 디바이스에 구비된 2G, 3G, 4G, 및 와이파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원격에서 송수신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고가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현장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콘솔 장비의 고장원인에 관한 패턴 데이터를 수집, 분류, 및 분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고장 및 장애와 관련된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통합적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통신 인터페이스의 형식이 상이한 콘솔 포트를 구비한 종류가 다른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콘솔 포트와 일측이 접속되는 통합통신케이블; 통합통신케이블의 타측이 접속되고,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 센서부에서 전송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와이파이를 포함한 무선통신부를 구비한 중개 디바이스; 중개 디바이스가 플러거 앤 플래이(Plug and Play)방식으로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인식하고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중개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솔 접속 어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통합접속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접속되어 중개기 역할을 수행하는 중개 디바이스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데이터분석 및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원격제어장치; 및 중개 디바이스의 무선통신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콘솔 장비의 고장원인에 관한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류 및 분석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장애 관련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통합적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솔통합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인터페이스 접속방식에 제한을 받지않는 통합통신케이블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구비된 콘솔 포트와 중개 디바이스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중개 디바이스에 구비된 2G, 3G, 4G, 및 와이파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원격에서 송수신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고가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현장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콘솔 장비의 고장원인에 관한 패턴 데이터를 수집, 분류, 및 분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고장 및 장애와 관련된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통합적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 PC에서 주로 사용하던 인터넷 망은 최근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을 포함한 스마트 기기 보급률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그 영역이 확대되었고, 이제는 산업용 기계장치, 의료장비 및 TV를 비롯한 가전제품을 포함하여 주변의 모든 사물에까지 인터넷이 연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의 등장으로 상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해지면서 이를 이용한 다양한 산업이 함께 발전하고 있으며, 그 일례로 클라우드와 App시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IT가 전체 산업 전반에 높은 활용도를 차지하면서 IT 또는 ICT가 없는 산업은 상상하기가 힘든 상황이 되었다.
한편, 이러한 환경변화는 ICT장비 증가로 이어져 네트워크 장비분야에 대규모의 시장이 형성되었으며, 현재 약 7천만대 이상의 집선 및 연동용 장비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속도와 대역폭 등 빠른 기술발전과는 대조적으로 장애발생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은 여전히 ‘콘솔’이라는 형태로 운용이 되고 있어 엔지니어의 직접적인 현장 방문과 연결만이 유일한 방법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다운타임(down time)을 줄이기 위해 ‘콘솔’접속용 RAS(remote access server)망을 별도로 운용하고 있으나 그 운용비용이 높아 주요장비인 백본 급의 장비만 RAS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대부분의 장비들은 긴급처리를 위한 원격접속이 불가능하여 엔지니어가 직접 해당 위치로 가서 처리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RAS의 문제점으로는 RAS운용만을 위한 별도회선과 장비를 구축해야 하는 점에서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유선방식으로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한 장치가 국내에서 개발 및 운용하고 있으나 RAS연결용 uplink가 Wifi만 가능하여 LAN(Local Area Network)구간에서의 연결은 가능 하지만 원격접속을 위해서는 별도의 망이 필요해서 백본 등 주요장비의 장애 발생 시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없는 한계를 가진다.
네트워크 콘솔장비에는 게이트웨이(Gateway), 리피터(Repeater), 라우터(Router), 브리지(Bridge), 스위치(Switch), 허브(Hub)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비가 있으며, 네트워크 콘솔장비에는 외부기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며 장비의 개발, 진단, 테스트, 제어를 위한 콘솔 포트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콘솔 포트의 대부분은 도 1을 참조하면, 주로 RS232/485 인터페이스 콘솔 포트를 통하여 외부기기와 콘솔케이브을 유선으로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한다.
그러나, 외부기기와 접속을 위한 콘솔 포트는 각 제조사마다 서로 다른 핀(Pin)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조사 별로 별도의 통신 케이블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RS232 통신방식은 최대 통신 거리가 15미터 정도로 짧으며, 일대일 통신방식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비 관리자는 해당 네트워크 콘솔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구비된 콘솔 포트와 관리자의 노트북을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를 콘솔 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연결하여 접근이 가능하므로 네트워크 현장 관리자가 열악한 현장 상황에 장시간 노출되어 있어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원활한 유지 및 보수 등의 관리에 있어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NMS(Network Monitoring System)의 경우 장비가 정상동작할 경우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이용하여 장비의 자원 관리를 통해 장비의 장애발생 유, 무를 알려줄 수는 있지만, 장애발생시의 정보는 전혀 수집하지 못하므로 장애유발 요인에 대한 정보를 알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가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관리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고 네트워크 콘솔장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장애원인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장애 관련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통합적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여 장비의 수명을 연장하고 고장의 사전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KR등록특허공보 제10-1453372(2014.10.22.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통신 인터페이스 접속방식에 제한을 받지않는 통합통신케이블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구비된 콘솔 포트와 중개 디바이스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중개 디바이스에 구비된 2G, 3G, 4G, 및 와이파이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통신으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원격에서 송수신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고가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현장 모니터링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콘솔 장비의 고장원인에 관한 패턴 데이터를 수집, 분류, 및 분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고장 및 장애와 관련된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통합적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은 통신 인터페이스의 형식이 상이한 콘솔 포트를 구비한 종류가 다른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콘솔 포트와 일측이 접속되는 통합통신케이블; 통합통신케이블의 타측이 접속되고,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 센서부에서 전송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와이파이를 포함한 무선통신부를 구비한 중개 디바이스; 중개 디바이스가 플러거 앤 플래이(Plug and Play)방식으로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인식하고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중개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솔 접속 어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통합접속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접속되어 중개기 역할을 수행하는 중개 디바이스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데이터분석 및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원격제어장치; 및 중개 디바이스의 무선통신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콘솔 장비의 고장원인에 관한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류 및 분석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장애 관련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통합적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솔통합관리서버을 제공한다.
또한, 콘솔 접속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제조사가 공급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한 후 해당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프로토콜을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개 디바이스는 중개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부, 무선통신부, 및 외부의 원격제어장치가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드라이버부가 칩(Chip) 형태로 모듈화되어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내장되고, 콘솔통합관리서버 및 원격제어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인터페이스 접속방식에 제한을 받지 않는 통합통신케이블을 사용하여 하나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중개 디바이스를 유선으로 연결하고 중개 디바이스에 구비된 2G, 3G, 4G, 와이파이를 포함한 모든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원격에서 송수신하며 제어할 수 있고,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콘솔 장비의 고장원인에 관한 패턴 데이터를 수집, 분류, 분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장애 관련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통합적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 인프라를 위한 케이블 인프라 구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중개 디바이스 및 원격제어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중개 디바이스 및 콘솔통합관리서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OSI 7 Layer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따른 데이터의 수집과 분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중개 디바이스 및 원격제어장치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중개 디바이스 및 콘솔통합관리서버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OSI 7 Layer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따른 데이터의 수집과 분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통합통신케이블(10), 중개 디바이스(20), 콘솔 접속 어플리케이션(미도시), 원격제어장치(30), 및 콘솔통합관리서버(4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통합통신케이블(10)은 통신 인터페이스의 형식이 상이한 콘솔 포트를 구비하고 종류가 다른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콘솔 포트와 일측이 접속된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에는 외부기기와의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위해 콘솔 포트가 구비되는데, 이 콘솔 포트는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조하는 각 제조사 별로 핀 구성방식을 달리하여 각 제조사별로 별도의 통신케이블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통합통신케이블(10)은 RS232/485/USB를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통합된 접속 인터페이스(커넥터 등)가 구비되어 콘솔 포트의 접속 인터페이스의 방식에 제한을 받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구비된 콘솔 포트와 접속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중개 디바이스(20)는 통합통신케이블(10)에 의해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외부기기에 해당하는 아래의 원격제어장치(3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원격제어장치가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중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아래의 콘솔통합관리서버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중개 디바이스(20)는 통합통신케이블(10)의 타측이 접속되고,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미도시), 센서부에서 전송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기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해 2G, 3G, 4G, 와이파이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중개 디바이스(20)에 구비되는 카메라는 네트워크 콘솔장비 또는 네트워크 콘솔장비가 설치된 장소의 주위환경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구비된다.
센서부는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포함된 중앙처리장치의 온도, 처리속도, 냉각팬의 작동상태, 접점입력 상태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 또는 네트워크 콘솔장비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 습도, 가스, 초음파 등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를 획득한다.
센서부에서 획득된 데이터는 중개 디바이스(20)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아래의 원격제어장치(30) 또는 콘솔통합관리서버(40)로 전송되게 된다.
이러한 중개 디바이스(20)의 설치에 의해 기존 RAS(remote access services)의 정적인 구성과 물리적, 논리적 네트워크 구성형상의 변화 즉,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 변화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중개 디바이스(20)는 중개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부, 무선통신부, 및 외부의 원격제어장치가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드라이버부가 칩(Chip) 형태로 모듈화되어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내장되고, 콘솔통합관리서버 및 원격제어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무선통신부, 카메라, 및 센서부를 구비한 중개 디바이스에 중개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를 하나의 칩 형태로 모듈화시키고 이를 네트워크 콘솔장비제조업체에 제공하여 제조단계에서 중개 디바이스(20)가 네트워크 콘솔장비 자체에 반영구적으로 내장되도록 함으로써 현장관리자가 통합케이블을 통한 유선 연결과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관리할 수 있다.
콘솔 접속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은 중개 디바이스(20)가 플러거 앤 플래이(Plug and Play)방식으로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인식하여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중개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프로그램의 일종이다.
콘솔 접속 어플리케이션은 중개 디바이스(20)에 임베디드(Embeded) 프로그램 형식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중개 디바이스(20)에 구비된 무선통신부를 통해 무선 인터넷으로 다운받아 설치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의 모바일 기기도 중개 디바이스(20)가 될 수 있다.
또한, 중개 디바이스(20)에 설치되는 콘솔 접속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콘솔장비 제조사가 공급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한 후 해당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인터넷을 통해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원격제어장치(30)는 와이파이 등의 무선통신수단이 구비된 휴대용 컴퓨터, 테블릿 PC, 스마트 폰을 포함한 휴대용 단말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중개 디바이스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30)는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통합통신케이블(10)을 통해 유선으로 접속되어 중개기 역할을 수행하는 중개 디바이스(20)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현장의 네트워크 관리자가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데이터분석 및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솔통합관리서버(40)는 중개 디바이스의 무선통신부와 무선통신을 송수신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네트워크 콘솔장치에 발생하는 고장원인에 관한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분류 및 분석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장애 관련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통합적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콘솔통합관리서버(40)는 네트워크 콘솔장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고장원인과 관련하여 재활용되지 않고, 일회성의 분석으로 끝나고 폐기처리 하던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분석을 통해 MtoM(Machine to Machine) 개념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대한 고장 및 장애의 사전 확인 시스템으로 활용된다.
즉, 콘솔통합관리서버(40)에 저장된 네트워크 콘솔장치의 고장원인에 관한 패턴 데이터들은 다양한 종류의 네트워크 콘솔 장비에 있어서 통합적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빅데이터로 활용된다.
중개 디바이스를 통해 수집되어 콘솔통합관리서버에 저장되는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관한 데이터는 아래 표 1 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콘솔장비 별로, Mibs(Management information Base)값과 OIDs(Object identifiers)값을 테이블별로 정리하여 장애발생 전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장애 발생 전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패턴을 찾아내어 패턴별 분석을 수행하여 고장 유무에 관한 사전확인이 가능하다.
분류 사용 분석
CLI interface show control | in Cable cable interface
SNMP interface OID interface 이름 추출
CM 검사 scm , scm phy 상향 tx Pwr
상/하향 SNR
CPE개수, 현상태등
IP 할당상태 검사 CPE & CM IP online 원인 확인
cpe ip 할당 장애검사
전체 포트 사용률검사 scm. sum total 집단 장애여부 확인
전체 포트 SNR 검사 SNMP값 추출 : OID Upstream port의 channel 사용룔 검사
전체 포트 Error 검사 SNMP값 추출 : OID Upstream port의 SNR 검사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고장 및 장애와 관련되어 콘솔콘솔통합관리서버로 저장되는 데이터들은 개방형 시스템 상호연결 모델 즉, OSI(Open System Inter-connetion) 7레이어(Layer) 프로토콜 방식을 사용하여 수집, 분석될 수 있다.
여기서, OSI의 각 계층은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모니터링 되어야할 구성요소를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각 구성요소의 정상적인 작동상태에 관한 기준 값을 설정한 후, 이 기준 값을 초과하거나 미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각 구성요소의 고장 또는 장애 증상을 케이스(Case)별로 분류하여 콘솔통합관리서버로 저장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통합통신케이블 20 : 중개 디바이스
30 : 원격제어장치 40 : 콘솔통합관리서버

Claims (3)

  1. 통신 인터페이스의 형식이 상이한 콘솔 포트를 구비한 종류가 다른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콘솔 포트와 일측이 접속되는 통합통신케이블;
    통합통신케이블의 타측이 접속되고,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카메라,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한 센서부, 센서부에서 전송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와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외부기기와 무선 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와이파이를 포함한 무선통신부를 구비한 중개 디바이스;
    중개 디바이스가 플러거 앤 플래이(Plug and Play)방식으로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인식하고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중개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솔 접속 어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콘솔장비와 통합접속케이블을 통해 유선으로 접속되어 중개기 역할을 수행하는 중개 디바이스의 무선통신부를 통해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송수신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데이터분석 및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된 원격제어장치; 및
    중개 디바이스의 무선통신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네트워크 콘솔 장비의 고장원인에 관한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류 및 분석하여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를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장애 관련 빅데이터로 활용하여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통합적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콘솔통합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콘솔 접속 어플리케이션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제조사가 공급한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종류를 자동으로 인식한 후 해당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프로토콜을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중개 디바이스는 중개 디바이스에 구비된 센서부, 무선통신부, 및 외부의 원격제어장치가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드라이버부가 칩(Chip) 형태로 모듈화되어 네트워크 콘솔장비에 내장되고, 콘솔통합관리서버 및 원격제어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 콘솔장비의 작동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콘솔장비를 원격에서 제어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20150085934A 2015-06-17 2015-06-17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KR20160149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934A KR20160149017A (ko) 2015-06-17 2015-06-17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934A KR20160149017A (ko) 2015-06-17 2015-06-17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9017A true KR20160149017A (ko) 2016-12-27

Family

ID=57736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934A KR20160149017A (ko) 2015-06-17 2015-06-17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90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9984A (zh) * 2018-03-19 2018-06-22 浙江国自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云台控制系统、云台网关
KR20210001220A (ko) * 2019-06-27 2021-01-06 (주)인프라칩 비전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커넥터 장치를 기반으로 한 통신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비전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커넥터
US20220207127A1 (en) * 2020-12-30 2022-06-30 Dell Products, L.P. Console-based validation of secure assembly and delivery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9984A (zh) * 2018-03-19 2018-06-22 浙江国自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云台控制系统、云台网关
KR20210001220A (ko) * 2019-06-27 2021-01-06 (주)인프라칩 비전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커넥터 장치를 기반으로 한 통신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비전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클라우드 커넥터
US20220207127A1 (en) * 2020-12-30 2022-06-30 Dell Products, L.P. Console-based validation of secure assembly and delivery of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8264B (zh) 视频监控方法和系统
CN101448277B (zh) 处理无线接入网络故障的方法、系统及设备
CN1983969A (zh) 一种串口网络重定向系统及其实现方法
JP2015526956A (ja) パン−チルト−ズームデバイス識別方法、パン−チルト−ズームデバイス、カメラ、およびパン−チルト−ズーム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
KR20160149017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네트워크 콘솔장비 원격제어 시스템
CN102387044A (zh) 一种对通信网络进行测试方法
CN112152875A (zh) 一种WiFi模块异常连接的测试系统及方法
CN103763533A (zh) 有线对码无线连接的高清监控视频方法
KR101703908B1 (ko) 통합배선반 망 정보수집 및 관리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CN103096038A (zh) 多协议视频监控设备接入的融合视频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103312765A (zh) 验证工业自动化和控制系统的网络的节点的可达性
TWI738214B (zh) 物聯網廣播設備名稱多對多狀態識別系統
CN104102213B (zh) 一种用于物料分选设备的远程控制系统及方法
CN104378231A (zh) 企业无线路由器的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16962184A (zh) 一种自动部署RoCE集群的方法、系统、终端及介质
CN106059091A (zh) 变电站远程维护系统及方法
WO2015121389A1 (en) Method and hardware device for remotely connecting to and controlling a private branch exchange
KR101358131B1 (ko) Snmp를 이용한 중앙 집중형 plc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A3150968C (en) Method of and system for monitoring civil air defense equipment maintenance
CN103853139A (zh) 空调器网关和楼宇集控系统
CN111787077A (zh) 一种基于双通道的云服务物联网网关系统
TWM594771U (zh) 物聯網廣播設備名稱多對多狀態識別系統
EP2745547B1 (en) App driven base station man-machine interface
CN210780843U (zh) 一种针对物联网网关模块的测试及故障定位装置及系统
CN106533842B (zh) 一种伴侣式可独立分析的网络监管方法和监管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