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742A -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742A
KR20160148742A KR1020150084840A KR20150084840A KR20160148742A KR 20160148742 A KR20160148742 A KR 20160148742A KR 1020150084840 A KR1020150084840 A KR 1020150084840A KR 20150084840 A KR20150084840 A KR 20150084840A KR 20160148742 A KR20160148742 A KR 20160148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een bee
bee
queen
blocking
beeh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906B1 (ko
Inventor
김대립
Original Assignee
김대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립 filed Critical 김대립
Priority to KR1020150084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90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기간 여왕벌의 출입 통제로 교미 및 산란시기를 조절하여 낭충봉아부패병을 유발시키는 바이러스 감염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자연 분봉 차단 및 조절과 개화기별 여왕벌의 산란량 조절관리, 그리고 양벌, 땅벌 등 침입벌(해충)의 차단으로 토종꿀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여왕벌의 효율적 증식 및 교체와 보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는, 받침판과, 이 받침판의 상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적층되는 받침틀을 포함하고,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받침대; 하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하부 상자 및 상부 상자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적층되는 벌통; 상기 벌통의 상부에 거치되는 덮개부재 또는 받침대와 벌통이 하나로 연결되어있는 통벌통 ; 및 상기 받침대와 벌통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여왕벌차단 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 또는 상기받침대와 벌통 하단부에 여왕벌차단 슬릿이 다수 형성되어 여왕벌을 격리하거나 교미를 차단 및 조절관리 할 수 있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Block absence for queen bee of native bee, management device using i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기간 여왕벌의 출입 통제로 교미 및 산란시기를 조절하여 낭충봉아부패병을 유발시키는 바이러스 감염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 자연 분봉 차단 및 조절과 개화기별 여왕벌의 산란량 조절로 토종꿀생산성증대, 그리고 양벌, 땅벌 등 침입벌 및 해충 차단으로 토종벌과 꿀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으며, 여왕벌의 효율적 증식 및 교체와 보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편, 처녀 여왕벌 망실시 일벌산란(무정란) 방지 및 빠른 여왕벌공급으로 무왕벌에 대처할 수 있는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종벌은 3종류로 대별된다. 여왕벌은 번식력 있는 암컷으로서 1군당 1마리만 존재하면서 알을 낳고 페르몬을 분비하여 벌통내 전체 무리를 통솔한다. 알을 낳기 위해서는 탄생 후 1회는 맑은 날 오후에 벌통 밖으로 비행을 나가 약 5~10마리 정도의 수벌과 공중에서 교미를 하여 평생 알을 낳을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일벌은 먹이를 찾고 벌방(cell)을 짓는 등의 여러 가지 임무를 수행하는 번식력 없는 중성이다. 수벌은 침이 없고, 수정 기능만 갖고 있다.
최근 꿀벌을 보호하고자 하는 노력과 꿀벌의 산출물과 관련된 상품으로 인해 꿀벌에게 발생하고 있는 질병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꿀벌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발견되며, 가장 흔하고 평범한 바이러스로는 변형 날개 바이러스(DWV), 급성 꿀벌 숙주바이러스(ABPV), 만성 꿀벌 숙주 바이러스(CBPV), 흑여왕셀바이러스(BQCV), 케시미르바이러스(KBV)와 낭충봉아부패병바이러스(Sacbrood Bee Virus; SBV) 등이 있다.
현재까지도 꿀벌의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적절한 치료법은 제시된 바 없으며, 강군양성 및 유지만이 자연치료를 이끌 수 있는 유일한 예방책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들 꿀벌 바이러스들은 봉군을 지속적으로 약화시켜 다른 병인체와 혼합감염을 일으키며, 이러한 혼합감염은 봉군의 붕괴 등 봉군 전체에 치명적 손상을 일으키기에 최근 그 문제점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낭충봉아부패병(sacbrood)은 꿀벌 유충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서, 이 병에 걸린 유충은 번데기가 되지 못하고 말라죽게 되는 병이다. 꿀벌 유충(애벌레)에 발생하는 전염성 질병으로, 바이러스(Sacbrood Virus, SBV)에 의해 감염되며 부화기부터 유충이 번식하는 봄에서 여름 사이에 주로 발생한다.
이러한 낭충봉아부패병은 오염된 화분(꽃가루)과 화밀(꽃꿀), 해충 등을 통해 감염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일벌들은 병든 유충들이 들어 있는 벌방을 청소하고 말라 죽은 유충들을 제거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일벌들도 감염되며, 양봉기구와 벌의 교환 등을 통해 벌통에서 벌통으로 전염이 확산될 수 있다.
바이러스의 감염은 애벌레가 숙주가 된다. 여왕벌이 산란하면 3일은 알의 형태로 있고, 3~13일 사이는 애벌레의 형태로, 13~21일 사이는 번데기 형태로, 21일 이후에는 성충이 되며, 애벌레 기간에 숙주가 되어 바이러스에 감염된다.
한편, 왕롱(王籠)은 여왕벌을 일시 격리하거나 새로 유입할 때 쓰이는 기구로서 주로 여왕벌을 가두어 일벌과 친화시켜 일벌이 여왕벌을 공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왕롱은 간격이 너무 좁아서 일벌의 출입이 어려워서 7일 정도 경과되면 여왕벌이 스트레스 등으로 죽고 일벌이 못쓰는 알(무정란)을 낳게 되므로 7일 이상 여왕벌을 가두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 여왕벌을 망(網)이나 합성수지 상자 등을 이용하여 7~10일 단기간 가두는 경우 벌집 및 꿀벌의 장(腸)내에 있는 바이러스의 완전 치료가 불가하여 낭충봉아부패병을 예방하기 위한 근본적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3-0071028호(2013. 06. 2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4-0081368호(2014. 07. 0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여왕벌산란 조절과 차단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토종벌 낭충봉아부패병 감염 차단과 함께 토종벌 장속의 바이러스까지 치료하는 것이 가능한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밀기간 여왕벌의 분봉과 산란량을 조절하여 일벌(외역별)수와 꿀저장방을 증가시켜 토종꿀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양벌, 땅벌등의 침입벌 및 해충 차단으로 토종벌과 토종꿀을 안전하게 관리하여 생산성을 크게 높여주는 것이 가능한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왕벌의 증식 및 교체와 보관이 용이하고 대량관리하는 것이 가능한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순차적으로 처녀 여왕벌을 수벌과 보다 안전하게 교미시킬 수 있으며, 여왕벌을 벌통내로 다시 방사시킨 후 출입구를 재개방하여 다시 교배시키는 것이 가능함으로서 무왕벌 대처가 가능한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는, 토종벌통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일벌은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여왕벌은 격리하는 여왕벌차단 제1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는, 토종벌통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어 일벌은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여왕벌은 격리하는 여왕벌차단 제2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는, 토종벌통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일벌은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여왕벌은 격리하는 여왕벌차단 제1슬릿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토종벌통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벌은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여왕벌은 격리하는 여왕벌차단 제2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여왕벌차단 제1슬릿이나 제2슬릿의 상하 높이나 좌우 폭 중 어느 하나는 3.6~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는, 받침판과, 이 받침판의 상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적층되는 받침틀을 포함하고,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받침대;
하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하부 상자 및 상부 상자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적층되는 벌통;
상기 벌통의 상부에 거치되는 덮개부재; 및
상기 받침대와 벌통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여왕벌차단 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틀의 개방된 일측에는 토종벌이 출입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토종벌 관찰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는, 받침판과, 이 받침판의 상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적층되는 받침틀을 포함하고,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받침대;
하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하부 상자 및 상부 상자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적층되는 벌통;
상기 벌통의 상부에 거치되는 덮개부재;
상기 받침대와 벌통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여왕벌차단 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 및
상기 받침틀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여왕벌차단 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는, 받침판과, 이 받침판의 상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적층되는 받침틀을 포함하고,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받침대;
하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하부 상자 및 상부 상자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적층되는 벌통;
상기 벌통의 상부에 거치되는 덮개부재; 및
상기 받침틀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여왕벌차단 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여왕벌 제1차단부재는 원형 또는 다면체 형태로서 여왕벌차단 슬릿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벌통의 내부에 지지바에 의해 걸쳐져 공중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왕벌 제1차단부재는 그물망으로 여왕벌차단 슬릿이 종횡으로 다수 형성된 메쉬(mesh)인 것으로, 벌통 내부에 수평이나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와 벌통 내부에 원형 또는 다면체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와 메쉬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가 같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왕벌 제2차단부재는 사각틀의 전면에 커버가 다수의 나사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에 여왕벌차단 슬릿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여왕벌 제2차단부재는 여왕벌차단 슬릿이 1개이상의 다수개가 종횡으로 가각 전면과 후면의 커버에 이중으로 형성된 6면 입체형 인 것을 특징으로한다,
그리고 상기 여왕벌차단 슬릿의 상하 높이나 좌우 폭 중 어느 하나는 3.6~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방법은, 상술한 여왕벌 관리장치를 이용한 여왕벌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여왕벌 제1차단부재나 여왕벌 제2차단부재에 의해 여왕벌을 격리 및 관리하여 일벌은 여왕벌차단 슬릿의 출입을 자유롭게 하도록, 상기 여왕벌 제1차단부재 또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가 하나의 토종벌통(재래벌통,개량벌통)에 같이 구비되어 토종벌의 여왕벌관리 및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방법은,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내부에 설치되고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상하 높이나 좌우 폭 중 어느 하나는 3.6~4.0mm의 여왕벌차단 슬릿이 형성되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나,
상기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고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상하 높이나 좌우 폭 중 어느 하나는 3.6~4.0mm의 여왕벌차단 슬릿이 형성되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를 사용하여,
여왕벌을 관리 및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는꿀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여왕벌 교체시 처녀여왕벌은 여왕벌 제2차단부재 내부에 가두어 교미시기를 관리하여 산란시기를 조절하고, 구여왕벌은 여왕벌 제1차단부재 내에서 안전하게 생활하도록 하여 장기간(20일 이상) 여왕벌 산란 조절과 차단이 가능함으로써 바이러스의 숙주인 토종벌 애벌래 육아활동을 장기간 중단 및 조절하여 토종벌 낭충봉아부패병 감염 차단과 토종벌 장속의 바이러스까지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둘째, 자연분봉의 차단 및 조절과 시기별 꽃의 개화량에 따라 여왕벌의 산란량을 조절하여 산란방이 감소하는 만큼 꿀저장방을 증가시키면서 일벌(외역벌)수를 조절 관리할 수 있고, 양벌, 땅벌 등 토종 일벌보다 체구가 큰 침입벌과 해충들을 차단시켜 토종꿀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여왕벌 제1차단부재를 다수개로 연결하여 다수의 여왕벌을 각각 격리할 경우 여왕벌의 증식 및 교체와 보관이 용이하고 대량관리 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날씨가 좋은 원하는 날짜에 여왕벌 제2차단부재를 개방하여 처녀여왕벌을 수벌과 교미시킬 수 있으며, 여왕벌 교미비행시 사고로 돌아오지 못할 경우 여왕벌 제1차단부재내 여왕벌로 인해서 일벌산란(무정란)을 방지하면서 여왕벌 제1, 제2 차단부재를 동시개방하여 순차적으로 안전하게 2차이상 반복 재교배시키는 것이 가능함으로서 무왕벌 대처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여왕벌 관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여왕벌 제1차단부재의 다양한 응용예를 나타내는 여왕벌 관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여왕벌 관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여왕벌 관리장치에 있어서의 여왕벌 제2차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여왕벌 관리장치에 있어서의 제2관찰문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을 활용한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전과 치료후의 낭충봉아부패병 밀도 변화 실험 데이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토종벌의 낭충봉아부패병 예방을 위한 여왕벌 관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여왕벌 관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100)는 크게 받침대(110), 벌통(120), 덮개부재(130),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받침대(110)는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서, 받침판(112)의 상면에 평면에서 보아 ''자형 단면을 갖는 받침틀(114)이 적층되고, 이 받침틀(114)의 개방된 일측에는 토종벌 관찰문(116)이 상하 슬라이딩 또는 서랍형으로 설치되며, 토종벌 관찰문(116)의 하단 중앙부에는 토종벌이 출입하는 ''자형 단면을 갖는 출입구(11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출입구(116a)는 토종벌 관찰문(116) 하단 중앙부에만 반듯이 위치하지는 않으며 벌통(120)의 하부 어느곳에도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토종벌 관찰문(116)이 상하 슬라이딩 또는 서랍형 방식으로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틀(114)에 대해 좌우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벌통(120)은 받침대(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하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하부 상자(122) 및 상부 상자(124)를 포함한다.
하부 상자(122)는 사각틀 형태로서 유충이 부화되고, 상부 상자(124) 역시 하부 상자와 동일한 형태로서 꿀 채취가 행해진다.
이때, 상기 받침대(110)과 하부 상자(122) 그리고 상부 상자(124)는 단일 구조체 또는 다단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덮개부재(130)는 평판 형태로서 벌통(120)의 상부에 거치되어 오염물질의 유입을 막아주고 벌집을 고정시켜 준다.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는 받침대(110)와 벌통(120) 사이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여왕벌을 포집하여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부에 가둔다.
도 2에서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가 벌통(120)의 양측면에 홈이나 턱을 형성하여 지지바(144)에 의해 걸쳐 공중에 설치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의 설치에 의해 방향에 관계없이 여왕벌차단 슬릿(142)을 통해 일벌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다.
이때,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는 육면체와 같은 다면체 외에 원형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며, 육면체 형상의 경우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일면에는 여왕벌 출입용 개폐문(미도시)이 구비되고, 다른 각각의 면에 사각 형태를 갖는 여왕벌차단 슬릿(142)이 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이때 여왕벌차단 슬릿(142)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그 상하 높이(W)는 3.6~4.0mm로 한다.
상기 여왕벌차단 슬릿(142)의 높이를 3.6~4.0mm로 한정한 것은 이러한 범위내에서 일벌의 출입은 자유로운 반면에 상대적으로 일벌보다 몸집이 큰 여왕벌은 여왕벌차단 슬릿(142)을 통해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을 좌우로 길게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상하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토종벌 관찰문(116)을 받침틀(114)의 전면에 슬라이딩 또는 서랍형으로 결합시키고, 받침대(110)상에 벌통(120)을 적층시키며, 덮개부재(130)를 닫은 상태에서 벌집과 토종벌이 벌통(120) 내부 공간에 내려짐과 아울러, 밖으로 일을 나간 일벌은 출입구(116a)를 통해 받침대(110) 내부로 진입하게 된다.
이후, 일벌은 받침대(110) 및 벌통(120) 내부에 있게 되는 바, 여왕벌은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부에 격리된 상태에서 일벌은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의 내,외부로 출입이 용이하므로 효과적인 토종벌 여왕벌의 출입 통제로 여왕벌 산란을 차단 및 관리하여 바이러스 숙주인 토종벌 애벌레를 제거하거나 시기별 양을 조절하여 벌통내 바이러스 밀도를 낮출 수 있고 더 나아가 토종벌 장속의 바이러스까지도 치료가 가능하다(도 9 내지 도 11 참조).
즉, 기존의 토종벌왕롱은 간격이 너무 좁아서 일벌의 출입이 어려워서 7일 정도 경과되면 여왕벌이 스트레스 등으로 죽고 일벌이 못쓰는 알(무정란)을 낳게 되므로 7일 이상의 장기간 여왕벌을 가두는 것은 어려웠으나, 본 발명에 따른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는 여왕벌이 격리되는 대신 일벌의 출입이 자유로우므로 여왕벌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일벌이 못쓰는 알(무정란)을 낳는 폐단이 방지됨과 아울러, 여왕벌을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부에 격리시키고, 일벌의 통행은 가능함에 따라 여왕벌을 원하는 기간동안(20일 이상)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부에 가두어 장기간 알을 낳지 못하게 하는 것이 가능함으로써 토종벌 낭충봉아부패병 감염 차단과 토종벌 장속의 바이러스까지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꽃이 많은 유밀기에 여왕벌의 산란이 왕성하고 분봉열이 발생하더라도 여왕벌이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에 격리되므로 여왕벌의 산란조절과 자연분봉을 차단시켜서, 산란방이 감소하는 만큼 꿀저장방은 증가하므로 꿀의 채밀량을 대량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여왕벌을 제1차단부재(140)에 여왕벌을 각각 격리하는 경우 여왕벌의 관리가 용이하다.
즉, 여왕벌은 1군 1왕제로서 하나의 왕롱에 여러 마리의 여왕벌을 보관할 경우 서로 공격하여 죽게 되나, 여러 개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를 설치할 경우 하나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에 하나의 여왕벌을 각각 격리함으로써, 여왕벌 증식 및 보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에 보관된 처녀 여왕벌을 출입구(116a)를 개방시켜 수벌과의 교미 유도시 벌통 밖으로 나갔다가 천적에게 잡혀 죽고 못돌아 오는 경우 일벌이 못쓰는 알(무정란)을 낳게 되나, 본 발명에 따라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를 사용할 수 있어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에 있는 여왕벌의 페로몬에 의해 못쓰는 알(무정란)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벌통내로 다시 방사시킨 후 출입구(116a)를 재개방하여 안정적이고 순차적으로 반복 교배시키는 것이 가능함으로서 효율적인 무왕벌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를 다수개로 서로 연결하거나 여러 개로 칸을 나누어 설치할 경우 다수의 여왕벌을 각각 격리 가능함으로서, 여왕벌의 증식 및 교체와 보관을 효율적으로 대량관리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여왕벌 제1차단부재의 다양한 응용예를 나타내는 여왕벌 관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a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가, 그물망에 의해 여왕벌차단 슬릿(142)이 종횡으로 다수 형성된 메쉬(mesh)로 이루어진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3b처럼 벌통(120)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상부의 벌통(120)에 여왕벌을 위치시켜 격리할 수 있다.
이때 메쉬 형태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를 수평으로 다수 설치하여 다수의 여왕벌을 상하로 각각 격리할 수도 있다.
또한, 메쉬 형태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를 하나 이상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2개가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에 여왕벌이 격리되어 공중에 설치됨으로써 여왕벌끼리 접촉을 피하게 할 수 있다.
도 3c는 도 3a에 나타낸 메쉬 형태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와 도 2에 나타낸 육면체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가 하나의 벌통(120)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에 여왕벌을 격리 및 관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3d는 도 2에 도시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2개가 십(十)자형으로 연결시켜 격리된 여왕벌이 보다 많은 일벌과 자유롭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일벌산란(무정란)을 효율적으로 방지시키기 용이함을 보여준다.
이때에도 여왕벌차단 슬릿(142)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그 상하 높이(W)는 3.6~4.0mm인 것으로한다.
도면에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을 앞과뒤 좌우로 길게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상하 좌우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여왕벌 관리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여왕벌 관리장치에 있어서의 여왕벌 제2차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여왕벌 관리장치에 있어서의 제2관찰문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낭충봉아부패병 예방을 위한 여왕벌 관리장치(100)는 전술한 받침대(110), 벌통(120), 덮개부재(130),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외에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 제1차단부재(14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2,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는 전술한 토봉벌 관찰문(116)을 대치하여 상하 슬라이딩 또는 부착을 통해 사용되기도하고 받침대(110)등 벌통(120) 하부쪽 어드면에도 부착하여 사용가능한 것으로서, 사각틀(152)의 전면에 커버(154)가 다수의 나사(156)등 부착제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사각틀(152)과 커버(154)는 단일 구조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가 상하 슬라이딩 방식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틀(114)에 대해 좌우 슬라이딩 방식 또는 서랍형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버(154)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측 하단에서 좌우측 상단까지 여왕벌차단 슬릿(154a)을 최소 1개에서부터 다수개까지로 드물게 또는 촘촘히 형성시킬 수 있으며, 이때 여왕벌차단 슬릿(154a)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그 상하 높이(W)는 3.6~4.0mm로 한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범위내에서 일벌의 출입은 자유로운 반면에 상대적으로 일벌보다 몸집이 큰 토종벌 여왕벌은 여왕벌차단 슬릿(154a)을 통해 받침대(110)나 벌통(120) 내부의 여왕벌이 외부로 출입하는 것을 통제 및 조절관리하기 위함이다.
도면에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을 좌우로 길게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었으나, 상하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커버(154)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측 하단과, 좌우측 상단에 여왕벌차단 슬릿(154a)이 각각 형성된 것이 나타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왕벌차단 슬릿(154a)은 커버(154)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좌우측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슬릿(154a)의 개수는 반드시 4개로 한정하지 않고 1개 이상 촘촘히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는 받침대(110)나 벌통(120)의 6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한 토종벌 여왕벌 출입 통제 및 조절 관리기능 외에 자연분봉 차단기능, 양벌 및 침입벌(해충) 방어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 내부에 처녀토종벌 여왕벌이나 여왕벌집을 가둔 상태에서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를 받침대(110)와 벌통(120)의 내부에 도 2, 도 3a 내지 도 3d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후 여왕벌을 1마리 이상 격리시킨다.
그리하여 교미를 받지 않은 처녀 토종벌 여왕벌이 벌통(120) 내부의 벌집사이를 고루 기어다니면서 페로몬을 분비하여 일벌들을 관리토록 한다.
이후,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를 받침틀(114)의 1면에 슬라이딩 결합시키고 출입구(116a)가 개방되었을 시에는 닫아주고, 받침대(110)상에 벌통(120)을 적층시키며, 덮개부재(130)를 덮은 상태에서 토종벌 처녀 여왕벌은 여왕벌차단 슬릿(154a)을 통과하지 못함에 따라 수벌과의 교미가 차단되어 장기간 동안 자연적으로 여왕벌 산란이 차단된다.
이때 처녀 여왕벌이 페로몬을 분비하기 때문에 일벌 산란(무정란)은 이루어지지 않아 여왕벌 산란기능만 차단되며 그 외의 모든 기능은 정상적으로 작동된다.
즉, 육아벌과 일벌들은 벌통(120) 내부에 벌집을 조소하거나 벌꿀을 숙성시키며, 다른 일벌은 여왕벌차단 슬릿(154a)를 통해 받침대(110) 내부로 출입하며 오로지 수밀활동에 전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일벌은 받침대(110) 및 벌통(120) 내부에 있게 되는 바, 토종벌 여왕벌(구왕또는처녀왕)은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내부에 격리된 상태에서 최소 1마리 이상 있고,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의 내부에는 처녀 여왕벌 1마리가 있게 되어 토종벌통의 1군 내부에 토종벌 여왕벌이 2마리 이상이 각각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일벌들은 내,외부로 출입이 용이한 대신, 토종벌 여왕벌은 여왕벌차단 슬릿(154a)를 통해 받침대(110) 외부로 출입이 어려우므로 처녀 여왕벌의 출입 통제로 일정기간 교미를 차단시켜 토종벌의 여왕벌 산란을 장기간 동안 효율적으로 차단 및 조절관리하여 낭충봉아부패병을 유발시키는 바이러스 감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낭충봉아부패병 발생 위험시기가 약 20일~35일 정도 지난 후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를 개방하거나 출입구(116a)를 개방하면 자연적으로 처녀 여왕벌은 교미가 진행되어 여왕벌이 산란이 진행되어 토종벌의 군세가 증가된다.
만일 교미비행시 여왕벌이 죽게 되어 돌아오지 못할 경우에도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안의 여왕벌의 영향으로 일벌산란(무정란)은 진행되지 않으며, 이때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안으로 여왕벌을 다시 이동시킨 후 출입구(116a)를 다시 개방하면 처녀 여왕벌을 안전하게 2차교미를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꽃이 많은 유밀기에 여왕벌의 산란이 왕성하고 분봉열이 발생하더라도 여왕벌을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에 격리시켜 산란량조절 및 자연분봉을 차단 및 조절관리하여 일벌수와 꿀저장방을 늘림과 아울러, 양벌, 땅벌 등 토종 일벌보다 체구가 큰 침입벌(해충)들을 차단시켜 여왕벌보호 및 토종꿀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수의 여왕벌을 제1차단부재(140)에 여왕벌을 각각 격리하여 여왕벌 증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여왕벌 제1, 제2차단부재(140)(150)를 사용하는 경우 남아 있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또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에 있는 여왕벌을 통해 봉군을 증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우수 여왕벌 교체시 여왕벌 제1, 제2차단부재(140)(150)의 여왕벌을 순착적으로 개방하여 교배할 수 있으므로 무왕벌을 효율적으로 구제할 수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종벌의 낭충봉아부패병 예방을 위한 여왕벌 관리장치(100)는 전술한 받침대(110), 벌통(120), 덮개부재(130),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는 전술한 토종벌 관찰문(116)을 대치하여 부착 및 교환을 통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사각틀(152) 전면과 후면에 커버(154)를 각각 부착후 나사(156)와 같은 고정부재를 통해 사각틀(152)에 결합된다.
또한, 제2차단부재(150)는 여왕벌차단 슬릿(154a)이 1개이상의 다수개가 종횡으로 각각 전면과 후면의 커버(154)에 이중으로 형성된 6면입체형으로 형성되어 여왕벌관리가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며, 이때 여왕벌차단 슬릿(154a)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그 상하 높이(W)는 3.6~4.0mm로 한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범위내에서 일벌의 출입은 자유로운 반면에 상대적으로 일벌보다 몸집이 큰 토종벌 여왕벌은 여왕벌차단 슬릿(154a)을 통해 받침대(110)나 벌통(120) 내부의 여왕벌이 외부로 출입하는 것을 통제 및 조절하기 위함이다.
한편,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는 받침대(110)나 벌통(120)의 6면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한 토종벌 여왕벌 출입 통제 및 조절관리기능 외에 자연분봉 차단기능, 양벌 및 침입벌(해충) 방어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여왕벌 관리장치(100)의 구성에 의한 작용 및 효과는 전술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에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여왕벌 관리장치 110 : 받침대
112 : 받침판 114 : 받침틀
116 : 토종벌 관찰문 116a : 출입구
120 : 벌통 122 : 하부 상자
124 : 상부 상자 130 : 덮개부재
140 : 여왕벌 제1차단부재 142, 154a : 여왕벌차단 슬릿
144 : 지지바 150 : 여왕벌 제2차단부재
152 : 사각틀 154 : 커버

Claims (15)

  1. 토종벌통의 여왕벌을 관리하기 위한 차단부재에 있어서;
    상기 토종벌통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일벌은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여왕벌은 격리하는 여왕벌차단 제1슬릿(142)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
  2. 토종벌통의 여왕벌을 관리하기 위한 차단부재에 있어서;
    상기 토종벌통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어 일벌은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여왕벌은 격리하는 여왕벌차단 제2슬릿(154a)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
  3. 토종벌통의 여왕벌을 관리하기 위한 차단부재에 있어서;
    상기 토종벌통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일벌은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여왕벌은 격리하는 여왕벌차단 제1슬릿(142)이 다수 형성되고,
    상기 토종벌통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벌은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여왕벌은 격리하는 여왕벌차단 제2슬릿(154a)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왕벌차단 제1슬릿(142)이나 제2슬릿(154a)의 상하 높이나 좌우 폭 중 어느 하나는 3.6~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
  5. 받침판(112)과, 이 받침판(112)의 상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적층되는 받침틀(114)을 포함하고,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받침대(110);
    하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하부 상자(122) 및 상부 상자(124)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벌통(120);
    상기 벌통(120)의 상부에 거치되는 덮개부재(130); 및
    상기 받침대(110)와 벌통(12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여왕벌차단 슬릿(142)이 다수 형성되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틀(114)의 개방된 일측에는 토종벌이 출입하는 출입구(116a)가 형성된 토종벌 관찰문(11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6. 받침판(112)과, 이 받침판(112)의 상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적층되는 받침틀(114)을 포함하고,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받침대(110);
    하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하부 상자(122) 및 상부 상자(124)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벌통(120);
    상기 벌통(120)의 상부에 거치되는 덮개부재(130);
    상기 받침대(110)와 벌통(12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여왕벌차단 슬릿(142)이 다수 형성되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 및
    상기 받침틀(114)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여왕벌차단 슬릿(154a)이 다수 형성되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 를 포함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7. 받침판(112)과, 이 받침판(112)의 상면에 일측이 개방되도록 적층되는 받침틀(114)을 포함하고, 바닥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받침대(110);
    하방과 상방이 개방되는 하부 상자(122) 및 상부 상자(124)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벌통(120);
    상기 벌통(120)의 상부에 거치되는 덮개부재(130); 및
    상기 받침틀(114)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여왕벌차단 슬릿(154a)이 다수 형성되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 를 포함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는 원형 또는 다면체 형태로서 여왕벌차단 슬릿(142)이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으로, 벌통(120)의 양측면에 지지바(144)에 의해 걸쳐져 공중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는 그물망형태로 여왕벌차단 슬릿(142)이 종횡으로 다수 형성된 메쉬(mesh)인 것으로, 벌통(120) 내부에 수평이나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10)와 벌통(120) 내부에 원형 또는 다면체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와 메쉬의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가 같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는 사각틀(152)의 전면에 커버(154)가 다수의 나사(156)를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커버(154)에 여왕벌차단 슬릿(154a)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12.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는 그물망형태로 여왕벌차단 슬릿(154a)이 종횡으로 다수 형성된 메쉬(mes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13.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왕벌차단 슬릿(142)과 여왕벌차단 슬릿(154a) 상하 높이나 좌우 폭 중 어느 하나는 3.6~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14.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여왕벌 관리장치(100)를 이용한 여왕벌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나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에 의해 여왕벌을 격리하고 일벌은 여왕벌차단 슬릿(142)이나 여왕벌차단 슬릿(154a)의 출입을 자유롭게 하되, 상기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나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가 하나의 받침대(110)와 벌통(120)에 같이 구비되는 경우 낭충봉아부패병 발생 위험시기가 지난 후,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이나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를 개방하여 여왕벌의 자유로운 산란활동이나 교미가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방법.
  15.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100) 내부에 설치되고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상하 높이나 좌우 폭 중 어느 하나는 3.6~4.0mm의 여왕벌차단 슬릿(142)이 형성되는 여왕벌 제1차단부재(140)나,
    상기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100)의 개방된 일측에 설치되고 여왕벌을 격리할 수 있도록 상하 높이나 좌우 폭 중 어느 하나는 3.6~4.0mm의 여왕벌차단 슬릿(154a)이 형성되는 여왕벌 제2차단부재(150)를 사용하여,
    여왕벌을 관리 및 사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방법.
KR1020150084840A 2015-06-16 2015-06-16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1719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840A KR101719906B1 (ko) 2015-06-16 2015-06-16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840A KR101719906B1 (ko) 2015-06-16 2015-06-16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742A true KR20160148742A (ko) 2016-12-27
KR101719906B1 KR101719906B1 (ko) 2017-03-30

Family

ID=5773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840A KR101719906B1 (ko) 2015-06-16 2015-06-16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9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771A (ko) * 2016-07-06 2018-01-17 김대립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CN108308069A (zh) * 2018-04-13 2018-07-24 重庆市畜牧科学院 一种防治中蜂囊状幼虫病的装置及方法
WO2021137405A1 (ko) * 2020-01-02 2021-07-08 오승재 착탈식 왕롱을 갖춘 소초광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182U (ja) * 1995-12-21 1996-07-02 有限会社須藤光機製作所 養蜂用巣箱の巣口取付器
KR20010044750A (ko) * 2001-03-22 2001-06-05 김대립 토종벌통 및 토종벌통을 이용한 침입 벌 퇴치 및 토종벌인공분봉방법
KR200410878Y1 (ko) * 2005-11-21 2006-03-10 조동칠 개량식 토종벌통
KR101266895B1 (ko) * 2011-10-17 2013-05-23 장봉환 여왕벌 격리기
KR20130071028A (ko) 2011-12-20 2013-06-28 (주)비센 꿀벌의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제
KR20140081368A (ko) 2012-12-21 2014-07-01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182B2 (ja) * 1997-07-17 2000-03-27 有限会社 レインフォレスト 危険防止用発光棒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6182U (ja) * 1995-12-21 1996-07-02 有限会社須藤光機製作所 養蜂用巣箱の巣口取付器
KR20010044750A (ko) * 2001-03-22 2001-06-05 김대립 토종벌통 및 토종벌통을 이용한 침입 벌 퇴치 및 토종벌인공분봉방법
KR200410878Y1 (ko) * 2005-11-21 2006-03-10 조동칠 개량식 토종벌통
KR101266895B1 (ko) * 2011-10-17 2013-05-23 장봉환 여왕벌 격리기
KR20130071028A (ko) 2011-12-20 2013-06-28 (주)비센 꿀벌의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제
KR20140081368A (ko) 2012-12-21 2014-07-01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771A (ko) * 2016-07-06 2018-01-17 김대립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CN108308069A (zh) * 2018-04-13 2018-07-24 重庆市畜牧科学院 一种防治中蜂囊状幼虫病的装置及方法
CN108308069B (zh) * 2018-04-13 2023-09-12 重庆市畜牧科学院 一种防治中蜂囊状幼虫病的装置
WO2021137405A1 (ko) * 2020-01-02 2021-07-08 오승재 착탈식 왕롱을 갖춘 소초광
KR20210087365A (ko) * 2020-01-02 2021-07-12 오승재 착탈식 왕롱을 갖춘 소초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906B1 (ko)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14752U (zh) 短框式12框中蜂箱
KR101719906B1 (ko) 토종벌의 여왕벌 차단부재와 이를 이용한 토종벌의 여왕벌 관리장치 및 그 방법
US20200396977A1 (en) Cage for capturing hymenoptera
KR101203167B1 (ko) 응애 방제와 분봉 및 도봉 억제 기능을 갖는 벌통
CN103181341A (zh) 斜底方形自动恒温中蜂蜂箱
KR101934779B1 (ko) 토종벌통의 토종벌 출입문
KR101436571B1 (ko) 해충의 애벌레 출입방지구조를 갖는 벌통
KR20180069456A (ko) 해충 차단 기능을 갖는 벌통
US4546509A (en) Multiple queen beehive
DE202017000059U1 (de) Vorrichtung zur Bekämpfung der Varroamilbe im Bienenstock
KR101348172B1 (ko) 벌통
CN213719390U (zh) 一种多功能可调节式蜂箱巢门
US11540494B2 (en) Beehive excluder including stacked rows of openings and cantilevered extension clips
RU51456U1 (ru) Изолятор для пчелиной матки
RU159830U1 (ru) Улей-универсал
US11304409B2 (en) Murder hornet excluder
CN112021263B (zh) 一种运用循环组合巢框蜂箱的养蜂方法
KR102108379B1 (ko) 꿀벌의 벌통에 설치되는 말벌 포획기
RO128080B1 (ro)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KR101583321B1 (ko) 양봉용 소초
KR102023881B1 (ko)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닭진드기 방제용 조성물 이용한 포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RU2415570C1 (ru) Искусственное роение и борьба с естественным роением пчелиных семей
CN212232674U (zh) 一种蜜蜂养殖用循环组合式巢框及蜂箱
Sandrock et al. Efficacy and trade-offs of an innovative hyperthermia device to control Varroa destructor in honeybee colonies
CN221011497U (zh) 自动收防马蜂与蜜蜂分蜂除雄多功能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